KH-179 견인곡사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무기 정보
{{무기 정보
|무기이름 = KH-179
| 이름= KH-179
|원어이름 =
| 그림= [[File:2013.2.13_육군_25사단_포병연대_주둔지_포탄사격_The_Fire_Drill_of_Artillery_Regiment_in_ROK_Army_25th_Div_(8486597609).jpg]]
|그림     = [[파일:2013.2.13 육군 25사단 포병연대 주둔지 포탄사격 The Fire Drill of Artillery Regiment in ROK Army 25th Div (8486597609).jpg]]
| 종류= [[견인포]]
|그림설명 =  
| 국가= [[대한민국]]
|종류     = [[견인포]]
<!-- 종류 -->
|제조    = [[현대위아]]
| 포= yes
|설계    = [[국방과학연구소]]
<!-- 역사 -->
|운용    = [[대한민국]]
| 사용년도= [[1984년]]~현재
|생산연도 = [[1984년]]~현재
| 사용국가= [[대한민국]]
|사용연도 = [[1984년]]~현재
| 실전=
|생산량  =  
<!-- 생산 -->
|유효거리 = 22 Km(일반탄)<br />30 Km(RAP탄)
| 개발= [[국방과학연구소]]
|최대거리 =  
| 개발년도= [[1979년]]~[[1982년]]
|탄약     = 155 mm [[포탄]]
| 생산= [[현대위아]]
|발사속도 = 분당 2발~4발
| 생산년도= [[1984년]]~현재
|포구속도 =  
<!-- 일반 제원 -->
|총기장전 =  
| 중량= 6,855 Kg
|길이    = 10.3 m
| 길이= 10.3 m
|총포신  = 7.08 m
| 총열_포신길이= 7.08 m
|폭      =
<!-- 포 제원 -->
|높이    =
| 폐쇄기=
|무게    = 6,855 Kg
| 주퇴복좌기=
|비고    =  
| 포가=
| 고각= 0 ~ 1275 [[밀]]
| 선회각= 좌 418 [[밀]]<br>우 448 [[밀]]
<!-- 총 제원 -->
| 탄약= 155 mm [[포탄]]
| 연사속도= 분당 2발~4발
| 탄속=  
| 사거리= 22 Km(일반탄)
| 최대사거리= 30 Km(RAP탄)
| 장전방식= 수동
}}
}}


39번째 줄: 48번째 줄:
* 사거리 증대
* 사거리 증대
*: 기존 M114는 포신의 길이가 3.62 m로 짧아 사거리가 15 Km를 넘기기 어려웠다. 당시 북한의 다양한 곡사포와 방사포의 사거리는 20~30 Km 정도는 충분히 확보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M114의 짧은 사거리는 국군으로서는 전술적인 우위를 북에게 넘겨주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떻게든 북한이 보유한 화포들과 비등하거나 더 긴 사거리를 확보하길 원했었다. 국과연은 이러한 국방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포신의 길이를 M114의 2배에 가까운 7.08 m로 연장하여 일반탄 사격시 22 Km, 로켓추진보조탄(RAP, Rocket Assistant Projectile) 사용시 30 Km의 사거리를 충족시켰다.
*: 기존 M114는 포신의 길이가 3.62 m로 짧아 사거리가 15 Km를 넘기기 어려웠다. 당시 북한의 다양한 곡사포와 방사포의 사거리는 20~30 Km 정도는 충분히 확보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M114의 짧은 사거리는 국군으로서는 전술적인 우위를 북에게 넘겨주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떻게든 북한이 보유한 화포들과 비등하거나 더 긴 사거리를 확보하길 원했었다. 국과연은 이러한 국방부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포신의 길이를 M114의 2배에 가까운 7.08 m로 연장하여 일반탄 사격시 22 Km, 로켓추진보조탄(RAP, Rocket Assistant Projectile) 사용시 30 Km의 사거리를 충족시켰다.
* 경량화
* 경량화
*: 포신의 길이가 길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소재를 곳곳에 적용하여 경량화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총 중량이 7톤을 넘기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KH-179는 육군의 [[CH-47 치누크]] 헬리콥터에 슬링을 연결하여 공중수송이 가능하며, 공군의 [[C-130 허큘리스]] 수송기에 적재도 가능하게 되었다.
*: 포신의 길이가 길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소재를 곳곳에 적용하여 경량화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총 중량이 7톤을 넘기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KH-179는 육군의 [[CH-47 치누크]] 헬리콥터에 슬링을 연결하여 공중수송이 가능하며, 공군의 [[C-130 허큘리스]] 수송기에 적재도 가능하게 되었다.
47번째 줄: 57번째 줄:


==허리분쇄기==
==허리분쇄기==
KH-179가 아무리 경량화를 추구했다 하더라도 그 경량화의 목적은 수송성에 중점을 둔 요소이지, 이 물건을 운용하는 인원들에 대한 배려라고 보기는 어렵다. 2000년대에 등장한 미군의 [[M777 곡사포]]처럼 운용 편의성을 높인 설계사상도 KH-179가 개발되던 1980년대에는 그다지 고려 대상이 아니었으니.
KH-179가 아무리 경량화를 추구했다 하더라도 그 경량화의 목적은 수송성에 중점을 둔 요소이지, 이 물건을 운용하는 인원들에 대한 배려라고 보기는 어렵다. 2000년대에 등장한 미군의 [[M777 곡사포]]처럼 운용 편의성을 높인 설계사상도 KH-179가 개발되던 1980년대에는 그다지 고려 대상이 아니었으니.  


KH-179는 사격절차의 모든 과정이 100%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지는 수동식이며, [[방렬]]에 필요한 부품들 모두 평등하게 무겁기 짝이 없는 쇳덩이들 뿐이다. 또한 정식 운용인원은 10명 정도를 상정하고 있지만, 병력 자원의 부족으로 실질적으로는 8명 정도가 1문을 운용하는 현실이다. 그나마 구형 M114와 비교 시 장점이라면 포신의 길이가 길어져서 견인포 바퀴를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잘 맞아서 포다리를 잡고 있는 인원들의 부담이 다소 경감되었다는 점.
KH-179는 사격절차의 모든 과정이 100%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지는 수동식이며, [[방렬]]에 필요한 부품들 모두 평등하게 무겁기 짝이 없는 쇳덩이들 뿐이다. 또한 정식 운용인원은 10명 정도를 상정하고 있지만, 병력 자원의 부족으로 실질적으로는 8명 정도가 1문을 운용하는 현실이다. 그나마 구형 M114와 비교 시 장점이라면 포신의 길이가 길어져서 견인포 바퀴를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잘 맞아서 포다리를 잡고 있는 인원들의 부담이 다소 경감되었다는 점.  


견인포 운용인원들의 고생이란 정말 눈물겨울 정도인데, 대략 다음의 과정들이 진행되는 동안 쉴 새 없이 무거운 쇳덩이와 씨름하는 과정들 뿐이기 때문이다.
견인포 운용인원들의 고생이란 정말 눈물겨울 정도인데, 대략 다음의 과정들이 진행되는 동안 쉴 새 없이 무거운 쇳덩이와 씨름하는 과정들 뿐이기 때문이다.
58번째 줄: 68번째 줄:


==운용 국가==
==운용 국가==
* {{나라|대한민국}}: 제식 155 mm 견인곡사포.
* {{국기|대한민국}}: 제식 155 mm 견인곡사포.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