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7 소음기관단총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무기 정보
{{무기 정보
|무기이름 = K7 기관단총
| 이름= K7 소음기관단총
|원어이름 =
| 그림= [[File:Daewoo K7 SMG at Defense Asia 2006 0.jpg|border|260px]]
|그림     = [[파일:Daewoo K7 SMG at Defense Asia 2006 0.jpg|border|260px]]
| 설명= 디펜스 아시아 2006에 전시된 K7 소음기관단총
|그림설명 = 디펜스 아시아 2006에 전시된 K7 소음기관단총
| 국가= [[대한민국]]
|종류    = [[기관단총]]
| 종류= [[기관단총]]
|제조    = 대우통신 (현 [[S&T 모티브]])
<!-- 종류 -->
|설계    = [[국방과학연구소]]<br />[[대우통신]]
| 총= yes
|운용    = [[대한민국]]
<!-- 역사 -->
|생산연도 = 2001~현재
| 개발= [[국방과학연구소]]<br />[[대우통신]]
|사용연도 = 2001~현재
| 개발년도= 1998~2000
|생산량  =
| 생산= 대우통신 (현 [[S&T 모티브]])
|유효거리 = 150 m
| 생산년도= 2001~현재
|최대거리 =
| 가격= ₩2,800,000
|탄약    = [[9mm 파라벨럼]]
| 사용년도= 2001~현재
|발사속도 = 1,100rpm
<!-- 일반 제원 -->
|포구속도 =
| 중량= 3.38kg
|총기장전 = 블로우백
| 길이= 610mm (축소)<br>790mm (확장)
|길이     = 610mm (축소)<br />790mm (확장)
<!-- 총 제원 -->
|총포신  =  
| 탄약= [[9×19mm 파라벨럼]]
|폭      =  
| 장전방식= 블로우백
|높이    =  
| 연사속도= 1,100rpm
|무게    = 3.38kg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비고    =  
| 사거리= 150 m
}}
}}


'''K7 기관단총'''(Deawoo telecom K7 Sub machine gun)은 [[대한민국]]에서 자체 개발한 7번째 보병화기로 일체형 [[소음기]] 적용되어있는 것이 특징인 [[기관단총]]이다. 은밀한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특수부대]]의 요구에 따라 [[K1A 기관단총]]을 기초로 개발되었다.
'''K7 소음기관단총'''(Deawoo telecom K7 Sub machine gun)은 [[대한민국]]에서 자체 개발한 7번째 보병화기로 일체형 [[소음기]] 적용되어있는 것이 특징인 [[기관단총]]이다. 은밀한 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특수부대]]의 요구에 따라 [[K1A 기관단총]]을 기초로 개발되었다.


== 개발 ==
== 개발 ==
{{youtube|_DcLkvL_PsY|||가운데|}}
총이 개발된지 수 세기가 지났지만 특수부대 작전상 은밀한 무성무기가 필요했기에 [[단검]], [[쇠뇌]]와 같은 [[냉병기]]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사용되었다. 당시 국군의 [[특수부대]]들은 [[석궁]]이나 독침같은 냉병기와 더불어 [[독일]]에서 수입한 [[H&K MP5|MP5SD3 및 MP5SD6]] 소음기관단총을 소수 도입하여 사용하였지만, 외국제라는 특성상 도입 비용이 만만치 않았으며 부품을 수입해와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았다.<ref name=KForceNetworkTV>소화기 개발 4부 [http://tv.dema.mil.kr/web/tv/replay/list.do]</ref>  
총이 개발된지 수 세기가 지났지만 특수부대 작전상 은밀한 무성무기가 필요했기에 [[단검]], [[쇠뇌]]와 같은 [[냉병기]]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사용되었다. 당시 국군의 [[특수부대]]들은 [[석궁]]이나 독침같은 냉병기와 더불어 [[독일]]에서 수입한 [[H&K MP5|MP5SD3 및 MP5SD6]] 소음기관단총을 소수 도입하여 사용하였지만, 외국제라는 특성상 도입 비용이 만만치 않았으며 부품을 수입해와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았다.<ref name=KForceNetworkTV>소화기 개발 4부 [http://tv.dema.mil.kr/web/tv/replay/list.do]</ref>  


39번째 줄: 39번째 줄:


== 장점 ==
== 장점 ==
국산화기라는 특성 덕분에 부품 수급이 용이하여 정비가 쉬우며, 기존 MP5SD6 등 외국산 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가성비]]가 뛰어나다. 또한 소음 억제 능력이 MP5SD6와 비슷한 수준으로 뛰어난 정숙성을 자랑한다.
국산화기라는 특성 덕분에 부품 수급이 용이하여 정비가 쉬우며, 기존 MP5SD6 등 외국산 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가성비]]가 뛰어나다. 또한 소음 억제 능력이 MP5SD6와 비슷한 수준으로 뛰어난 정숙성을 자랑한다.  


총열과 일체화된 소음기에는 6개의 구멍을 뚫어 인위적으로 총구속도를 낮추면서 총구속도가 음속을 넘어가는 것을 억제했으며 총구 소음 주파수를 변조하여 얼핏 듣기엔 공기총처럼 들리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K7의 소음은 111dB 정도이며, 전용 아음속탄을 사용시 97dB 수준까지 억제가 가능하다. 개발 당시 많은 부분을 참고한 MP5SD6가 지속사격시 내구도를 위해 지연 블로우백을 채용했지만 노리쇠 구조가 복잡해지고, 특히 MP5 계열 특유의 롤러코킹 방식 등으로 부품이 많았으며 사격시 탄매가 많이 끼는 현상이 있었으므로 야전에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K7은 단순 블로우백 방식으로 제작되었다.<ref name=KForceNetworkTV></ref>
총열과 일체화된 소음기에는 6개의 구멍을 뚫어 인위적으로 총구속도를 낮추면서 총구속도가 음속을 넘어가는 것을 억제했으며 총구 소음 주파수를 변조하여 얼핏 듣기엔 공기총처럼 들리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K7의 소음은 111dB 정도이며, 전용 아음속탄을 사용시 97dB 수준까지 억제가 가능하다. 개발 당시 많은 부분을 참고한 MP5SD6가 지속사격시 내구도를 위해 지연 블로우백을 채용했지만 노리쇠 구조가 복잡해지고, 특히 MP5 계열 특유의 롤러코킹 방식 등으로 부품이 많았으며 사격시 탄매가 많이 끼는 현상이 있었으므로 야전에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K7은 단순 블로우백 방식으로 제작되었다.<ref name=KForceNetworkTV></ref>
K7의 상부가 K2 소총을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K1A와는 달리 상부에 레일이나 조준경 등을 장착 가능하다.


== 단점 ==
== 단점 ==
52번째 줄: 50번째 줄:
총알이 정확하고 곧게 나가기 위해선 적당히 빠른 총구속도가 중요하기에 적정사거리를 넘어가면 명중률 보장이 안 된다. 이것도 소음무기의 공통적인 단점 중 하나.<ref name=KForceNetworkTV></ref> 때문에 유효사거리도 짧은 편이어서 높은 명중률 보장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사수가 목표물에 접근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총알이 정확하고 곧게 나가기 위해선 적당히 빠른 총구속도가 중요하기에 적정사거리를 넘어가면 명중률 보장이 안 된다. 이것도 소음무기의 공통적인 단점 중 하나.<ref name=KForceNetworkTV></ref> 때문에 유효사거리도 짧은 편이어서 높은 명중률 보장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사수가 목표물에 접근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본래 K1A는 5.56x45mm 규격의 탄을 사용했었고, 이 총몸을 그대로 활용하여 [[9mm 파라벨럼]] 규격의 탄알집을 사용하기 때문에 탄창을 결합하는 부분인 멕웰이 ㄱ자로 각지게 된다. 이 때문에 멕웰 그립을 사용하기 어렵다.
본래 K1A는 5.56x45mm 규격의 탄을 사용했었고, 이 총몸을 그대로 활용하여 [[9mm 파라벨럼]] 규격의 탄알집을 사용하기 때문에 탄창을 결합하는 부분인 멕웰이 ㄱ자로 각지게 된다. 이 때문에 멕웰 그립을 사용하기 어렵다.  


발사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ref>히틀러의 전기톱이라 불리던 [[MG42]] 기관총의 발사속도가 1,200 rpm 정도였는데, K7은 1,100 rpm 수준의 발사속도를 보여준다.</ref> 자동사격시 반동제어가 MP5SD6 보다 어렵다.
발사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ref>히틀러의 전기톱이라 불리던 [[MG42]] 기관총의 발사속도가 1,200 rpm 정도였는데, K7은 1,100 rpm 수준의 발사속도를 보여준다.</ref> 자동사격시 반동제어가 MP5SD6 보다 어렵다.
60번째 줄: 58번째 줄:
또한 K1A나 K2와 마찬가지로 확장성이 매우 부족하다. K1A는 보급 쿼드레일(상부를 제외한 부분은 탈부착 레일형)이 있고, K2는 K2C1이 있다. K7의 경우 K7용 쿼드레일을 어느 모 회사가 개발했다만 국방부에서 정식 보급되는 레일은 아직 상부레일에 국한된다.
또한 K1A나 K2와 마찬가지로 확장성이 매우 부족하다. K1A는 보급 쿼드레일(상부를 제외한 부분은 탈부착 레일형)이 있고, K2는 K2C1이 있다. K7의 경우 K7용 쿼드레일을 어느 모 회사가 개발했다만 국방부에서 정식 보급되는 레일은 아직 상부레일에 국한된다.


== 운용 국가 ==
== 사용국 ==
* {{나라|대한민국}}: 특수부대 위주로 소량 사용중이다.
* 방글라데시 : <ref name=KForceNetworkTV></ref>
* {{나라|방글라데시}}<ref name=KForceNetworkTV></ref>
* 대한민국 :
* {{나라|인도네시아}}<ref name=KForceNetworkTV></ref>
* 인도네시아 : <ref name=KForceNetworkTV></ref>
* {{나라|캄보디아}}<ref name=KForceNetworkTV></ref>
* 캄보디아 : <ref name=KForceNetworkTV></ref>


== 관련문서 ==
== 관련문서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