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77 사격지휘장갑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차량이름 = K77
|차량이름 = K77
|원어이름 =  
|원어이름 =  
|그림    = [[파일:k77 fdcv.jpg]]
|그림    = [[File:k77_fdcv.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다른이름 =  
|다른이름 =  
52번째 줄: 52번째 줄:
File:k77 fdcv inside.jpg|실내
File:k77 fdcv inside.jpg|실내
</gallery>
</gallery>
개발 목적에 부합하도록 자주포 및 다련장미사일을 운용하는 포병 부대에 편제된다. 통상 1개 포대(자주포 6문)당 1대의 지휘장갑차가 배치되며, 대대 본부에도 1대의 장갑차가 배치된다. 상급 지휘부대인 포병연대나 포병여단 본부에도 지급되어 운용된다. 2000년대 이후 배치된 [[K9 자주곡사포]] 및 [[천무]]도 별도 지휘장갑차를 개발하지 않았으므로 다른 자주포 부대와 마찬가지로 K77을 운용한다. 원래 미군에서 M577 지휘장갑차를 쓰던 MLRS 부대나 203mm 곡사포대도 K77을 받았다.
개발 목적에 부합하도록 자주포를 운용하는 포병 부대에 편제된다. 통상 1개 포대(자주포 6문)당 1대의 지휘장갑차가 배치되며, 대대 본부에도 1대의 장갑차가 배치된다. 상급 지휘부대인 포병연대나 포병여단 본부에도 지급되어 운용된다. 2000년대 이후 배치된 [[K9 자주곡사포]]는 별도로 K9 차대를 활용한 지휘장갑차를 개발하지 않았으므로 다른 자주포 부대와 마찬가지로 K77을 운용한다. 원래 미군에서 M577 지휘장갑차를 쓰던 MLRS 부대나 203mm 곡사포대도 K77을 받았다.


포병의 사격을 책임지는 [[작전장교]] 및 [[전포대장]]을 비롯하여 사격지휘병, 통신병 등이 탑승한다. 차량 내부에는 작전에 필요한 온갖 지도와 서류를 수납할 수 있는 서랍과 간이 책상, [[BTCS]] 거치용 받침대, 의자 등이 설치되어 있고 통상 6명 정도의 작전인원이 활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물론 훈련 내용에 따라 더 많은 인원이 활동할 수 있으나 차내 공간의 한계상 대부분 차량 후방의 해치를 개방하고 지휘소 텐트를 연결하는 모습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포병의 사격을 책임지는 [[작전장교]] 및 [[전포대장]]을 비롯하여 사격지휘병, 통신병 등이 탑승한다. 차량 내부에는 작전에 필요한 온갖 지도와 서류를 수납할 수 있는 서랍과 간이 책상, [[BTCS]] 거치용 받침대, 의자 등이 설치되어 있고 통상 6명 정도의 작전인원이 활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물론 훈련 내용에 따라 더 많은 인원이 활동할 수 있으나 차내 공간의 한계상 대부분 차량 후방의 해치를 개방하고 지휘소 텐트를 연결하는 모습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62번째 줄: 62번째 줄:
* K9 부대에도 K77이 편제되나, K9의 기동속도가 K77보다 약 10 km/h정도 빠르고 가속력도 좋기 때문에 급속 진지변환 등 기동간 K77이 K9을 쫓아다니기 벅차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또한 K9 부대에서는 K77 정비를 위해 별도로 수리공구나 부속 등을 갖추어야하고, 정비병들도 수리방법 등을 별도로 익혀야 하는 등 일거리가 늘어나는 존재로 여겨진다. 수출형으로는 K9의 차대를 활용한 "K11"를 제공한다.
* K9 부대에도 K77이 편제되나, K9의 기동속도가 K77보다 약 10 km/h정도 빠르고 가속력도 좋기 때문에 급속 진지변환 등 기동간 K77이 K9을 쫓아다니기 벅차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또한 K9 부대에서는 K77 정비를 위해 별도로 수리공구나 부속 등을 갖추어야하고, 정비병들도 수리방법 등을 별도로 익혀야 하는 등 일거리가 늘어나는 존재로 여겨진다. 수출형으로는 K9의 차대를 활용한 "K11"를 제공한다.
* K77은 오직 사격지휘만을 위한 기동장비이기 때문에, 포대장이나 대대장은 평범하게 [[K131|레토나]] 타고 다닌다. 그래서 기동작전지휘소를 만들 때는 두돈반이나 오톤에 호루를 치고 실내공간을 만들거나 K77를 지급받고 짬된 박스카를 활용한다.
* K77은 오직 사격지휘만을 위한 기동장비이기 때문에, 포대장이나 대대장은 평범하게 [[K131|레토나]] 타고 다닌다. 그래서 기동작전지휘소를 만들 때는 두돈반이나 오톤에 호루를 치고 실내공간을 만들거나 K77를 지급받고 짬된 박스카를 활용한다.
* K55의 원판인 M109를 끌고 다니는 미군의 경우, 사격지휘장갑차로 [[M113]]에 기반한 M1068(보병용 지휘장갑차)을 사용하다가 2010년대 후반에 들어 [[M109]]의 차대를 이용한 탄약운반장갑차인 [[M992]]를 개수하여 사격지휘장갑차로 전환하고 있다.<ref> Matthew Spearman, <Converting the M992A2 into an FDC platform>, [https://tradocfcoeccafcoepfwprod.blob.core.usgovcloudapi.net/fires-bulletin-archive/2019/jul-aug/jul-aug.pdf  Fires July-Aug 2019], pp.47-49.</ref>
* K55의 원판인 M109를 끌고 다니는 미군의 경우, 사격지휘장갑차로 [[M113]]에 기반한 M1068(보병용 지휘장갑차)을 사용하다가 2010년대 후반에 들어 [[M109]]의 차대를 이용한 탄약운반장갑차인 [[M992]]를 개수하여 사격지휘장갑차로 전환하고 있다.<ref> Matthew Spearman, <Converting the M992A2 into an FDC platform>, [https://sill-www.army.mil/fires-bulletin-archive/archives/2019/jul-aug/jul-aug.pdf  Fires July-Aug 2019], pp.47-49.</ref>
{{각주}}
{{각주}}
{{대한민국 육군 장비}}
{{대한민국 육군 장비}}
[[분류:장갑차]]
[[분류:장갑차]]
[[분류:대한민국 국군]]
[[분류:대한민국 국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