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notu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노래 정보
{{정보
|노래이름 = Ignotus
| 곡명        = Ignotus
|원어이름 =  
| 배경색      = #4a4087
|배경색  =  
| 글자색      = #fff
|글자색  =  
| 테두리색    = #2c2361
|그림     = [[파일:arcaea memoriesofconflict.png|256px]]
| 테두리두께  =
|그림설명 =  
| 그림       = arcaea memoriesofconflict.png
|음악가   = ak+q
| 설명        =  
|음반     = [[Memories of Conflict]]
| 음악가     = ak+q
|장르     =  
| 수록 음반   = [[Memories of Conflict|{{색||Memories of Conflict}}]]
|길이    =  
| 발매일      = {{날짜/출력|2019-10-27}}
|발매일   = [[2019년]] [[10월 27일]]
| 녹음        =
|레이블   = lowiro
| 장르       =  
|작사가   =  
| BPM        = 164
|작곡가   = ak+q
| 레이블      = lowiro
|프로듀서 =
| 작곡가      = ak+q
| 프로듀서    =
| 편곡        =
| 판매량      =
| 이전 번호  = 5
| 이전 곡명   = [[白道、多希望羊と信じありく]]
| 이번 번호   = 6
| 다음 번호   = 7
| 다음 곡명   = [[Iconoclast]]
}}
}}
{{탭
{{탭
|여백좁게=y
|제목1=원곡
|제목1=원곡
|제목2=익스텐드 버전
|제목2=익스텐드 버전
|내용1={{youtube|U7M6e1MGYl0|||center|'''YouTube Music 영상'''}}
|내용1={{youtube|U7M6e1MGYl0|||center|'''자동 생성된 영상'''}}
|내용2={{youtube|ufyxFmuhAWQ|||center|'''YouTube Music 영상'''}}
|내용2={{youtube|ufyxFmuhAWQ|||center|'''자동 생성된 영상'''}}
}}
}}
 
<br/>
'''Ignotus'''는 ak+q가 작곡하고 2015년 6월에 공개된 곡이다. 이후 [[Arcaea]]에 수록되었다.<br />
[https://soundcloud.com/ak_q/ignotus 공식 음원 (Soundcloud)]<br/>
'''Ignotus'''는 ak+q가 작곡하고 2015년 6월에 공개된 곡이다. 이후 [[Arcaea]]에 수록되었다.<br/>
제목의 유래는 "알려지지 않은"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ignotus"로 추정된다.
제목의 유래는 "알려지지 않은"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ignotus"로 추정된다.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
|문구 = 음악 듣기 (Arcaea OST)
== Arcaea ==
| Apple Music = 1524421030
=== 원곡 ===
| Spotify = 5j5JezlxYoBxkNxUf8B4pI
{{Arcaea 곡 정보
|YouTube Music = OLAK5uy_msaa8Q7XIFfu9CeIO0dhcrVCaIN_zT4_A
|이미지= Arcaea ignotus.jpg
}}
|테마(빛/대립)=대립
[https://soundcloud.com/ak_q/ignotus 공식 음원 (Soundcloud)]
 
== 원곡 ==
=== Arcaea ===
{{Arcaea/곡 정보
|이미지= Arcaea ignotus.png
|배경 테마=Conflict
|작곡=ak+q
|작곡=ak+q
|BPM = 170
|BPM = 170
47번째 줄: 48번째 줄:
|PRS CC=6.5
|PRS CC=6.5
|FTR CC=9.3
|FTR CC=9.3
|BYD 별도표기=Y
|PST 노트 수=579
|PST 노트 수=579
|PRS 노트 수=809
|PRS 노트 수=809
|FTR 노트 수=1225
|FTR 노트 수=1225
|배경=Eternal Core
|배경=Base
|버전 = 1.1.3
|추가날짜 = 2017-07-18
|일러스트레이션 = Khronetic
|노트 디자인 = Toaster
}}
}}
{{Arcaea/Arcaea}}
{{Arcaea/Arcaea}}
{{-}}
{{-}}
----
==== 채보 ====
{{탭
{{탭
|제목1=FTR
|제목1=FTR
66번째 줄: 63번째 줄:
}}
}}
==== 여담 ====
==== 여담 ====
* FTR 패턴의 718 콤보에서 우측에 등장하는 아크는 1.8.1 업데이트 이전까지는 {{색|#FF69B4|적색}}이었다가 '''{{색|#1E90FF|청색}}'''으로 수정되었다.
* FTR 채보의 718 콤보에서 우측에 등장하는 아크는 1.8.1 업데이트 이전까지는 {{색|#FF69B4|적색}}이었다가 '''{{색|#1E90FF|청색}}'''으로 수정되었다.
* 이 곡의 FTR 패턴은 3.0 업데이트에서 보면 정수가 가장 큰 폭('''0.4''')으로 하락한 패턴 중 하나이다.
* 이 곡의 FTR 채보는 3.0 업데이트에서 보면 정수가 가장 큰 폭('''0.4''')으로 하락한 채보 중 하나이다.
 
=== Ignotus Afterburn ===
{{Arcaea 곡 정보
|제목=Ignotus Afterburn
|이미지= Arcaea ignotusafterburn.jpg
|테마(빛/대립)=대립
|작곡=Arcaea Sound Team
|BPM = 170
|FTR 레벨=?
|FTR CC=-
|FTR 노트 수=1028
|배경=Base
}}
 
{{대사|[Leaked News!] An unknown anomal- no wait it's not an anomaly...<br/>huh wait what!? A new... song?... is this new?? <br/>How do I play it I can't find it!?<br/>Wait, let go I have to-|공식 트윗 中 [https://twitter.com/arcaea_en/status/980101433856090113]|정렬=center}}
 
 
원곡을 nitro가 "Arcaea Sound Team"이라는 명의로 함께 편곡한 곡이 "Ignotus Afterburn"이라는 이름과 함께 2018년 만우절 곡으로 등장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yocLzWyYuEA 공식 음원 영상]<ref>저작권 문제로 인해 1분 46초 이후 인용되었던 [[Arcaea]] 곡 메들리 구간이 수정되어 있다.</ref>
 
 
==== 진입 방법 ====
* '''최초 공개 (2018년)'''
*: 어떤 팩에 있든 누르면 [[Grievous Lady]]로 이동하게 해 주는 "Grievous Random" 버튼을 연타한다.<ref>이 기능은 이벤트 종료 후 "Random"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ref>
* '''2019년 이후'''
*: Ignotus의 Like(하트) 버튼을 연타해 진입할 수 있다.
 
{{-}}
 
==== 채보 ====
{{탭
|제목1=FTR
|내용1=
{{youtube|YBCWPyExKIQ|||center|'''PURE MEMORY 영상'''}}
 
}}


=== Lanota ===
==== Ignotus †Re:Afterburn 2? ====
<table style="float: right; line-height:1.3em;">
<tr><td style="border-left:1em solid #fff0">
[[파일:Arcaea ignotusafterburn2.png|200px|오른쪽]]
</td></tr></table>
2019년 만우절 채보 업데이트 전, '''Ignotus †Re:Afterburn 2'''의 더미 데이터 (이미지, 채보 파일) 가 존재했으나, [[Red and Blue and Green]]이 등장하면서 APK 데이터를 뜯는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한 만우절 장난임이 밝혀졌다. 만우절 업데이트 전 채보 파일과 이후의 채보 파일은 다음과 같다.
 
<pre>
AudioOffset:0
-
You really thought it'd be this easy?
</pre>
<pre>
AudioOffset:616
-
Happy April Fools' from the Arcaea Team.
</pre>
 
여담으로 616은 [[위키백과:고로아와세|고로아와세]]로 '''lowiro''' (lowiro → ろいろ → 616)를 작성한 것이다.
{{-}}
 
==== 여담 ====
* 이 곡에는 발매 이전까지 수록된 [[Arcaea]]의 곡이 매시업된 구간이 존재한다. 46초 - 56초 구간에는 [[Essence of Twilight]]과 [[Shades of Light in a Transcendent Realm]], 1분 46초부터는 순차적으로 [[Strongholds]], [[Modelista]], [[Qualia (nitro)|qualia -ideaesthesia]], [[memoryfactory.lzh]], [[Lethaeus]], [[Grievous Lady]], [[PRAGMATISM]] 또는 [[Red and Blue]]<ref>무슨 곡인지 의견이 분분하다.</ref>, [[Flyburg and Endroll]]이 매시업 되었다.
 
 
== [[Lanota]] ==
{{Lanota/곡 정보
{{Lanota/곡 정보
|곡 제목=Ignotus
|곡 제목=Ignotus
|일러스트=
|일러스트=
{{탭
{{탭
|버튼여백좁게 = y
|style=border:none
|style=border:none
|여백 사용자지정=0rem
|여백 사용자지정=0rem
|제목2=<span style="font-size:90%">'''해금 직후'''</span>
|제목2=<span style="font-size:90%"><b>해금 직후</b></span>
|제목1=<span style="font-size:90%">'''첫 클리어'''</span>
|제목1=<span style="font-size:90%"><b>첫 클리어</b></span>
|제목3=<span style="font-size:90%">'''챌린지 달성'''</span>
|제목3=<span style="font-size:90%"><b>챌린지 달성</b></span>
|내용2=<imagemap>Image:lanota ignotus 0.png|315px</imagemap>
|내용2=[[파일:lanota ignotus 0.png]]
|내용1=<imagemap>Image:lanota ignotus 1.png|315px</imagemap>
|내용1=[[파일:lanota ignotus 1.png]]
|내용3=<imagemap>Image:lanota ignotus 2.png|315px</imagemap>
|내용3=[[파일:lanota ignotus 2.png]]
}}
}}
|아티스트=ak+q
|아티스트=ak+q
95번째 줄: 151번째 줄:
|Master노트수=807
|Master노트수=807
}}
}}
{{Lanota/확장팩 챕터 H}}
{{Lanota/Chapter H}}


[[Arcaea]]와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수록되었다.<br />
[[Arcaea]]와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수록되었다.<br/>
컬래버레이션 오리지널 곡 [[Quon (Feryquitous)|Quon]]을 제외하면 원작과 일러스트가 다른 유일한 곡이다.
컬래버레이션 오리지널 곡 [[Quon]]을 제외하면 원작과 일러스트가 다른 유일한 곡이다.
{{-}}
{{-}}
==== 챌린지 ====
=== 챌린지 ===
{{Lanota/챌린지
{{Lanota/챌린지
|난이도1=Whisper
|난이도1=Whisper
|개수1=1개
|개수1=1개
|조건1=Max Combo 45% 이상
|조건1=최대 콤보 45% 이상
|난이도2=Whisper
|난이도2=Whisper
|개수2=1개
|개수2=1개
|조건2=모든 Flick 성공적으로 연주
|조건2=모든 플릭 노트 연주
|난이도3=Acoustic
|난이도3=Acoustic
|개수3=2개
|개수3=2개
|조건3=모든 Rail 성공적으로 연주
|조건3=모든 레일 노트 연주
|난이도4=Ultra
|난이도4=Ultra
|개수4=2개
|개수4=2개
|조건4=스코어 890000점 이상
|조건4=890000점 이상
|난이도5=Ultra
|난이도5=Ultra
|개수5=3개
|개수5=3개
|조건5=Fail 판정 8 이하
|조건5=Fail 판정 8개 이하
|난이도6=Master
|난이도6=Master
|개수6=3개
|개수6=3개
|조건6=Harmony 판정 98% 이상
|조건6=Harmony 판정 98% 이상
}}
}}
----
=== 채보 ===
{{탭
{{탭
|제목1 = Master
|제목1 = Master
128번째 줄: 184번째 줄:
|내용2 = {{youtube|nW2YZIwKni0|||center|'''PP 영상'''}}
|내용2 = {{youtube|nW2YZIwKni0|||center|'''PP 영상'''}}
}}
}}
== Ignotus Afterburn ==
{{노래 정보
|노래이름 = Ignotus Afterburn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arcaea memoriesofdreams.png|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Arcaea Sound Team against. ETIA.
|음반    = [[Memories of Dreams]]
|장르    =
|길이    =
|발매일  = [[2021년]] [[11월 11일]]
|레이블  = lowiro
|작사가  =
|작곡가  = Arcaea Sound Team against. ETIA.
|프로듀서 =
}}
{{youtube|yocLzWyYuEA|||center|'''공식 음원 영상'''}}
{{대사|[Leaked News!] An unknown anomal- no wait it's not an anomaly...<br />huh wait what!? A new... song?... is this new?? <br />How do I play it I can't find it!?<br />Wait, let go I have to-|공식 트윗 中 [https://twitter.com/arcaea_en/status/980101433856090113]|정렬=center}}
'''Ignotus Afterburn'''은 ak+q의 원곡을 nitro가 "Arcaea Sound Team"이라는 명의로 편곡한 2018년 [[Arcaea]] 만우절 기념곡이다.
최초 공개 당시에는 [[Grievous Lady]]로 이동하게 해 주는 "Grievous Random" 버튼<ref>이 기능은 이벤트 종료 후 "Random" 버튼으로 변경되었다.</ref> 을 연타해 진입할 수 있었으며, 이후부터는 Ignotus의 Like(하트) 버튼을 연타해 진입할 수 있다. 출시 5주년인 2022년 3월 9일에 상시 해금 가능한 BYD 패턴이 추가되었다.
2021년 11월에 Arcaea의 사운드트랙 앨범 《[[Memories of Dreams]]》의 27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 문구 = 음악 듣기 (Arcaea OST)
| Apple Music = 1644145013
| Spotify = 28P0JENkhoVSSeZlrnWNiH
|YouTube Music = OLAK5uy_k-sjzbpcEAj1ckPp27FoEaQR_kB5DUn8I
}}
=== Arcaea ===
{{Arcaea/곡 정보
|제목=Ignotus Afterburn
|이미지= Arcaea ignotusafterburn.png
|배경 테마=Conflict
|작곡=Arcaea Sound Team
|BPM = 170
|FTR 레벨=?<ref>[[만우절]] 한정 공개</ref>
|FTR CC=N/A
|BYD 레벨=9<sup>+</sup>
|BYD CC=9.9
|FTR 노트 수=1028
|BYD 노트 수=1077
|배경=Beyond
|배경 (표기)=Beyond<ref>[[만우절]] FTR 패턴의 경우 Base</ref>
|버전 = 1.6.1
|추가날짜 = 2018-04-01
|BYD 버전 = 3.12.2
|BYD 추가날짜 = 2022-03-09
|일러스트레이션 = Khronetic
|노트 디자인 = 《WARNING》<br/>TaroNuke vs Arcaea Charting Team
|BYD 노트 디자인 = Toaster × {{일본어=|石樂}}
}}
{{탭
|제목1=BYD
|내용1={{youtube|z8zpU2SluWY|||center|'''이론치 영상'''}}
특별히 난이도가 편중된 구간이 없으며 꺾인 아크와 짧은 16비트, 24비트 트릴이 주를 이룬다. FTR의 양손 아크 구간이 트레이스 노트로 등장하며, 만우절 패턴의 최후반부 급가속 동타가 재연되어 있다.
|제목2=FTR
|내용2=
{{youtube|YBCWPyExKIQ|||center|'''Pure Memory 영상'''}}
시점 변경, 홀드 노트를 처리하는 도중에 같은 손가락으로 아크 노트를 처리하는 패턴, 같은 색의 아크가 두 개 이상 등장하는 패턴이 사용된 최초의 패턴이다. 이 패턴에 한정해 1분 46초부터는 순차적으로 발매 이전까지 수록된 [[Arcaea]] 곡의 매시업 구간이 존재하며, [[Strongholds]], [[Modelista]], [[Qualia (nitro)|qualia -ideaesthesia-]], [[memoryfactory.lzh]], [[Lethaeus]], [[Grievous Lady]], [[PRAGMATISM]], [[Flyburg and Endroll]]이 매시업 되었다.
}}
=== 여담 ===
<gallery mode="packed" heights=160px>
arcaea ignotusafterburn2.png|Ignotus †Re:Afterburn 2
arcaea ignotusafterburn4.png|Ignotus Afterburn 4
</gallery>
* 2019년 Arcaea [[Red and Blue and Green|만우절 기념곡]] 업데이트 전, '''Ignotus †Re:Afterburn 2'''의 더미 데이터 (이미지, 패턴 파일) 가 존재했으나, [[Red and Blue and Green]]이 등장하면서 APK 데이터를 뜯는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한 만우절 장난임이 밝혀졌다. 만우절 업데이트 전 패턴 파일과 이후의 패턴 파일은 다음과 같다. 파일 내의 숫자 616은 [[위키백과:고로아와세|고로아와세]]로 '''lowiro''' (lowiro → ろいろ → 616)를 작성한 것이다.
<table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font-size:90%; line-height:1.25rem;'>
<tr><td><pre>AudioOffset:0
-
You really thought it'd be this easy?</pre></td>
<td><pre>AudioOffset:616
-
Happy April Fools' from the Arcaea Team.</pre></td></tr>
<tr style='text-align:center;'><td>만우절 업데이트 전</td><td>만우절 업데이트 후</td>
</table>
* 2024년 Arcaea 만우절 업데이트에서 [[HIVEMIND INTERLINKED|당해 만우절 기념곡]] 진입 과정에서 실존하지 않는 곡 '''Ignotus Afterburn 4'''가 곡 선택창에 무작위로 노출되었다.
{{-}}




{{각주}}
{{각주}}
[[분류:드럼 앤 베이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