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Fi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0번째 줄: 170번째 줄:


{{인용문2|'''The Services are offered only to 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The Services must be primari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are not intended for extended international use. Further, the Services are designed for use predominantly within our network. '''If your usage outside our network is excessive, abnormally high,''' or cause us to incur too much cost, we may, at our option and sole discretion, suspend your Google Fi account, terminate your service, or '''limit your use of roaming.'''|Welcome to Google Fi / Using the Services}}
{{인용문2|'''The Services are offered only to 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The Services must be primari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are not intended for extended international use. Further, the Services are designed for use predominantly within our network. '''If your usage outside our network is excessive, abnormally high,''' or cause us to incur too much cost, we may, at our option and sole discretion, suspend your Google Fi account, terminate your service, or '''limit your use of roaming.'''|Welcome to Google Fi / Using the Services}}
그리고, [https://fi.google.com/about/tos/#welcome 약관]<ref name=en />에 "이 서비스는 미국 거주자에게 제공됩니다. 이 서비스는 미국 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것이며 국제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서비스가 아닙니다 [...] 네트워크 외부에서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 로밍 사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라는 문구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Google Fi를 개통하는 것은 약관 위반'''으로 볼 수 있다. 물론 Google Fi를 미국 밖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del>실제로 로밍에 제한이 생기거나</del><ref>2022년쯤부터 로밍 정지를 시행하기 시작했다.</ref> 계정이 정지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 유사시에 대응하기 위한 약관으로 보이지만, 구글이 언제든지 그렇게 하더라도 클레임을 걸기 힘들다는 것. <del>사실 돈만 잘 내면 별 터치 안하는 구글이기 때문에 다들 괜찮을거라고 생각하는 것 뿐</del>
그리고, [https://fi.google.com/about/tos/#welcome 약관]<ref name=en />에 "이 서비스는 미국 거주자에게 제공됩니다. 이 서비스는 미국 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것이며 국제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서비스가 아닙니다 [...] 네트워크 외부에서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 로밍 사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라는 문구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Google Fi를 개통하는 것은 약관 위반'''으로 볼 수 있다. 물론 Google Fi를 미국 밖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실제로 로밍에 제한이 생기거나 계정이 정지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 유사시에 대응하기 위한 약관으로 보이지만, 구글이 언제든지 그렇게 하더라도 클레임을 걸기 힘들다는 것. <del>사실 돈만 잘 내면 별 터치 안하는 구글이기 때문에 다들 괜찮을거라고 생각하는 것 뿐</del>


또, 카드사의 각종 이동 통신 할인 서비스들은 한국 내 통신사들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외 결제로 들어가는 Google Fi 서비스의 경우 할인을 받을 수 없으며<ref>다만 역으로 해외 결제 혜택이 강한 카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ref>, 약정 할인 등도 받을 수 없다. 할부의 경우에도 미국 [[SSN]]이 필요하기 때문에 Google Fi에서 자체 지원 할부 서비스를 이용해 휴대전화를 구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 카드사의 서비스<ref>해외 거래 할부 전환 등, 무이자 이벤트를 하기도 한다.</ref>를 이용하면 가능하지만 굳이 그럴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라리 [[자급제폰]]을 할부로 구매하는게 낫다.<del>픽셀을 구글 스토어에서 산다는 뽕을 맞기 위해서라면?</del><ref>기본적으로 미국 내에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고 만들졌기에, 국내에 정발되지 않은 기기도 구매할 수 있다.</ref> 다만 Google Fi에서 기존 고객들을 위한 할인 행사를 상당히 자주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거라면 나쁘지 않다.
또, 카드사의 각종 이동 통신 할인 서비스들은 한국 내 통신사들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외 결제로 들어가는 Google Fi 서비스의 경우 할인을 받을 수 없으며<ref>다만 역으로 해외 결제 혜택이 강한 카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ref>, 약정 할인 등도 받을 수 없다. 할부의 경우에도 미국 [[SSN]]이 필요하기 때문에 Google Fi에서 자체 지원 할부 서비스를 이용해 휴대전화를 구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 카드사의 서비스<ref>해외 거래 할부 전환 등, 무이자 이벤트를 하기도 한다.</ref>를 이용하면 가능하지만 굳이 그럴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라리 [[자급제폰]]을 할부로 구매하는게 낫다.<del>픽셀을 구글 스토어에서 산다는 뽕을 맞기 위해서라면?</del><ref>기본적으로 미국 내에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고 만들졌기에, 국내에 정발되지 않은 기기도 구매할 수 있다.</ref> 다만 Google Fi에서 기존 고객들을 위한 할인 행사를 상당히 자주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거라면 나쁘지 않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