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TY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Game Of The Year의 약자. 직역하면 '올해의 게임'이다. 그해 최고의 게임에게 주는 상이지만 어떠한 단체에서 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웹진이나 게임어워드에서 주는 대상들의 개수를 헤아려 가장 많은 상을 받은 게임에게 GOTY라는 타이틀을 부여하는 형식이다.
[[분류:게임]]
 
[[분류:상]]
==개요==
Game Of The Year의 약자. 직역하면 '올해의 게임'이다.
그해 최고의 게임에게 주는 상이지만 어떠한 단체에서 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웹진이나 게임어워드에서 주는 대상들의 개수를 헤아려 가장 많은 상을 받은 게임에게 GOTY라는 타이틀을 부여하는 형식이다.
==역대 GOTY 수상목록==
==역대 GOTY 수상목록==
[http://gotypicks.blogspot.kr/ 출처]
[http://gotypicks.blogspot.kr/ 출처]
===2018===
* 갓 오브 워 - 198
* 레드 데드 리뎀션 2 - 134
* 마블 스파이더 맨 - 16
* 셀레스테 - 7
* 리턴 오브 더 오브라 딘 - 5
* 포트나이트 배틀 로얄 - 4
* 몬스터 헌터: 월드 - 4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4
* 테트리스 이펙트 - 4
* 아스트로 봇 레스큐 미션 - 3
* 플로렌스 - 2
* 킹덤 컴: 딜리버런스 - 2
* 어쌔신크리드 오디세이 - 1
* 프로스트펑크 - 1
* 서브나우티카 - 1
* 투 포인트 하스피탈 - 1
* 용과 같이 6Yakuza 6: 생명의 시 - 1
* 11-11: 메모리즈 리톨드 - 1
===2017===
*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 189
* 호라이즌 제로 던 - 52
* 슈퍼마리오 오디세이 -26
* 니어: 오토 마타 - 12
* 페르소나 5 - 10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10
* 어쌔신크리드 오리진 - 7
*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II - 7
* 울펜슈타인 II: 더 뉴 콜로서스 - 5
* 프레이 - 4
* 바이오하자드 7 - 4
* 헬블레이드 - 2
* 나이트 인 더 우즈 - 1
* 팀블위드 파크 - 1
* 톰 클랜시의 고스트 리콘 와일드 랜드 - 1
* 언차티드: 더 로스트 레거시 - 1
* 왓 리메인즈 오브 에디스 핀치 - 1
===2016===
* 언차티드 4: 해적왕과 최후의 보물 - 165
* [[오버워치]] - 102
* 둠 - 29
* 배틀필드 1 - 16
* The Last Guardian - 15
* INSIDE - 12
* [[다크 소울 3|다크 소울 III]] - 12
* 파이널 판타지 XV - 9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블러드 앤 와인 - 9
* 디스아너드 2 - 8
* The Witness - 7
* 타이탄 폴 2 - 5
*히트맨 - 3
* 포켓몬 GO - 3
* XCOM 2 - 3
* 슈퍼핫 - 2
*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 - 1
* FIFA 17 - 1
* 파이어워치 - 1
* 포르자 호라이즌 3 - 1
* 몬스터 헌터 제너레이션즈 - 1
* 아울보이 - 1
* 시드마이어의 문명 VI - 1
* Thumper - 1
* Tokyo Mirage Sessions ♯FE - 1
* 톰 클랜시의 레인보우 식스 시즈 - 1
===2015===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257
* 폴아웃 4 - 58
* 블러드본 - 31
* 메탈 기어 솔리드 V: 팬텀 페인 - 29
*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 12
* 슈퍼마리오 메이커 - 8
* 언더테일 - 8
* 로켓리그 - 7
* 라이즈 오브 툼레이더 - 5
* 배트맨: 아캄 나이트 - 4
* Her Story - 3
* 어쌔신 크리드 신디케이트 - 2
* 스플라툰 - 2
* Axiom Verge - 1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3 - 1
* Cibele - 1
*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 - 1
* Everybody's Gone to the Rapture - 1
* 커벌 스페이스 프로그램 - 1
* Massive Chalice - 1
* 오리와 눈 먼 숲 - 1
* Prune - 1
*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 1
* Sunless Sea - 1
* 테일스 프롬 보더랜드 - 1
* 언틸 던 - 1
===2014===
===2014===
* 드래곤 에이지: 인퀴지션 - 134
* 드래곤 에이지: 인퀴지션 - 134
120번째 줄: 26번째 줄: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 2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 2
* 단간론파
* 단간론파
<br />
<br/>
많은 게이머들의 기대를 받았던 게임<ref> 마케팅만 화려했던 와치독스, 전편과 똑같은데 배경이 우주로 바뀐 것뿐이라는 문명: 비욘드 어스, 컨텐츠가 부족한 타이탄폴과 데스티니, 역대 어쌔신크리드 시리즈중 가장 최악의 혹평을 받은 어쌔신크리드: 유니티 등이 있다.</ref>들이 모두 '''망했다'''. 오히려 드레곤에이지: 인퀴지션이나, 미들어스가 예상외의 복병으로 떠올랐지만, 확실히 이전의 GOTY 후보들보다 질이 떨어지는 것은 부정 할 수 없는 사실.
많은 게이머들의 기대를 받았던 게임<ref> 마케팅만 화려했던 와치독스, 전편과 똑같은데 배경이 우주로 바뀐 것뿐이라는 문명: 비욘드 어스, 컨텐츠가 부족한 타이탄폴과 데스티니, 역대 어쌔신크리드 시리즈중 가장 최악의 혹평을 받은 어쌔신크리드: 유니티 등이 있다.</ref>들이 모두 '''망했다'''. 오히려 드레곤에이지: 인퀴지션이나, 미들어스가 예상외의 복병으로 떠올랐지만, 확실히 이전의 GOTY 후보들보다 질이 떨어지는 것은 부정 할 수 없는 사실.


145번째 줄: 51번째 줄:
* 쉐도우런 리턴즈 - 1
* 쉐도우런 리턴즈 - 1
* 스페이스팀 - 1
* 스페이스팀 - 1
<br />
<br/>
더 라스트 오브 어스와 GTA5 의 대결에서 더 라스트 오브 어스가 완승. GTA 5가 라스트 오브 어스보다 늦게 발매되었고 역대급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GTA5 가 유리하지 않을까 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GTA5의 잔혹성과 윤리적 문제가 발목을 잡았고 결국 라스트 오브 어스가 최다 GOTY를 따냈다. 이번에 라스트 오브 어스가 받은 249개의 GOTY는 재작년 스카이림이 받은 개수를 뛰어넘어 역대 최다 GOTY를 받았고 Golden Joystick Awards, VGA, GDC, AIAS 같은 권위있는 거대 시상식이나 IGN, 게임스팟 등 거대 웹진에서도 GOTY를 받아 질적으로도 완승하였다.<ref> GTA 5도 Edge, Gamepro, Golden Joystick Awards등 권위있는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았다.</ref>  바이오쇼크 인피니티도 게임성이 매우 우수하지만 아쉽게 위의 두 게임에 밀려 3위를 하였다. 그 외에도 완벽히 시리즈를 부활시켰다는 평을 들었던 툼레이더나, 페이퍼플리즈와 브라더스, 스탠리 페러블 같이 장르가 특이하거나 개성넘치는 게임들도 GOTY를 받아 [[2013년]]은 게이머들 사이에서 매우 풍족한 한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와 GTA5 의 대결에서 더 라스트 오브 어스가 완승. GTA 5가 라스트 오브 어스보다 늦게 발매되었고 역대급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GTA5 가 유리하지 않을까 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GTA5의 잔혹성과 윤리적 문제가 발목을 잡았고 결국 라스트 오브 어스가 최다 GOTY를 따냈다. 이번에 라스트 오브 어스가 받은 249개의 GOTY는 재작년 스카이림이 받은 개수를 뛰어넘어 역대 최다 GOTY를 받았고 Golden Joystick Awards, VGA, GDC, AIAS 같은 권위있는 거대 시상식이나 IGN, 게임스팟 등 거대 웹진에서도 GOTY를 받아 질적으로도 완승하였다.<ref> GTA 5도 Edge, Gamepro, Golden Joystick Awards등 권위있는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았다.</ref>  바이오쇼크 인피니티도 게임성이 매우 우수하지만 아쉽게 위의 두 게임에 밀려 3위를 하였다. 그 외에도 완벽히 시리즈를 부활시켰다는 평을 들었던 툼레이더나, 페이퍼플리즈와 브라더스, 스탠리 페러블 같이 장르가 특이하거나 개성넘치는 게임들도 GOTY를 받아 [[2013년]]은 게이머들 사이에서 매우 풍족한 한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163번째 줄: 69번째 줄:
* 슬리핑 독스 - 2
* 슬리핑 독스 - 2
* 스펙옵스: 더 라인 - 2
* 스펙옵스: 더 라인 - 2
<br />
<br/>
[[2011년]]에 비해 심심하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어드벤쳐 게임인 워킹데드와 저니가 1,2위를 했다는 점에서 상위 두 게임의 퀼리티가 뛰어나다는 것을 입증했고, 시리즈를 미무리한 매스 이펙트 3나, 성공적인 속편으로 돌아온 보더랜드2, 엑스컴 시리즈를 멋지게 리메이크한 엑스컴: 에너미 언노운 등 전체적인 게임의 질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2011년]]에 비해 심심하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어드벤쳐 게임인 워킹데드와 저니가 1,2위를 했다는 점에서 상위 두 게임의 퀼리티가 뛰어나다는 것을 입증했고, 시리즈를 미무리한 매스 이펙트 3나, 성공적인 속편으로 돌아온 보더랜드2, 엑스컴 시리즈를 멋지게 리메이크한 엑스컴: 에너미 언노운 등 전체적인 게임의 질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183번째 줄: 89번째 줄:
* 데드 스페이스 2 - 1
* 데드 스페이스 2 - 1
*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4 - 1
*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4 - 1
<br />
<br/>
'''베데스다입니다. 엘더스크롤입니다. 설명끝.'''<br />게임이 아니라 예술이라는 평가를 받은 포탈 2, 오픈월드에 고담특유의 분위기를 잘살려 매우 좋은평을 받은 아캄시티, 역대급 평가를 받은 전작에 힘입어 기대를 모은 언챠티드 3, 그 외에 여러 질좋은 게임들이 그야말로 스카이림 하나에 밀려났다. 실제로 스카이림을 제외한 모든 게임의 GOTY 횟수를 합쳐도(174) 스카이림(226)에 밀린다. 스카이림의 경우 Golden Joystick Awards, VGA, GDC, AIAS 같은 거대시상식에서도 GOTY 싹쓸이했다. <s>배트맨 시리즈는 [[2009년]] 언차티드2에 밀린것에 이어 또다시 스카이림에 밀려 1위를 하지 못하였다.</s>
'''베데스다입니다. 엘더스크롤입니다. 설명끝.'''<br />게임이 아니라 예술이라는 평가를 받은 포탈 2, 오픈월드에 고담특유의 분위기를 잘살려 매우 좋은평을 받은 아캄시티, 역대급 평가를 받은 전작에 힘입어 기대를 모은 언챠티드 3, 그 외에 여러 질좋은 게임들이 그야말로 스카이림 하나에 밀려났다. 실제로 스카이림을 제외한 모든 게임의 GOTY 횟수를 합쳐도(174) 스카이림(226)에 밀린다. 스카이림의 경우 Golden Joystick Awards, VGA, GDC, AIAS 같은 거대시상식에서도 GOTY 싹쓸이했다. <s>배트맨 시리즈는 [[2009년]] 언차티드2에 밀린것에 이어 또다시 스카이림에 밀려 1위를 하지 못하였다.</s>
<br />
<br/>


=== 2010===
=== 2010===
200번째 줄: 106번째 줄:
* 어쌔신크리드: 브라더후드 - 3
* 어쌔신크리드: 브라더후드 - 3
* 뱅퀴시 - 2
* 뱅퀴시 - 2
<br />
<br/>
이미 샌드박스류 게임의 대가의 반열에 올라선 락스타 게임즈가 서부극이라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해 그간의 노하우를 담아내어 만든 레드 데드 리뎀션과 바이오웨어가 만든 방대한 스토리의 SF 명작 매스이펙트 시리즈중 가장 높은 평을 받은 매스 이펙트 2의 대결이었다. 결과는 레드 데드 리뎀션의 승리로 끝났지만, 두 게임의 GOTY 개수는 10개밖에 나지 않는다. 그 외에 PC독점 게임은 GOTY 순위에 오르기 힘들다는 편견을 깨버린 스타크래프트 2가 무려 6개의 GOTY를 받으며 선전했다.
이미 샌드박스류 게임의 대가의 반열에 올라선 락스타 게임즈가 서부극이라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해 그간의 노하우를 담아내어 만든 레드 데드 리뎀션과 바이오웨어가 만든 방대한 스토리의 SF 명작 매스이펙트 시리즈중 가장 높은 평을 받은 매스 이펙트 2의 대결이었다. 결과는 레드 데드 리뎀션의 승리로 끝났지만, 두 게임의 GOTY 개수는 10개밖에 나지 않는다. 그 외에 PC독점 게임은 GOTY 순위에 오르기 힘들다는 편견을 깨버린 스타크래프트 2가 무려 6개의 GOTY를 받으며 선전했다.
===2009===
===2009===
212번째 줄: 118번째 줄:
* 스트리트 파이터 4 - 2
* 스트리트 파이터 4 - 2
* 레프트 4 데드 2 - 1
* 레프트 4 데드 2 - 1
<br />
<br/>
너티 독 불후의 명작이자 끝이 있다는 게 유일한 단점으로 지적받은 언챠티드 2가 [[2009년]]을 휩쓸었다.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이나 데몬즈 소울, 레프트 4 데드 2등 여러 좋은 게임이 나왔지만 언챠티드 2 앞에서 버로우. 물론 BAFTA에서는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을, Golden Joystick Awards에서는 매스이펙트 2, 게임스팟에서는 데몬즈 소울에게 GOTY를 주었지만 그 외 GDC, AIAS, 유로게이머 등에서도 언챠티드 2의 손을 들어주었다.
너티 독 불후의 명작이자 끝이 있다는 게 유일한 단점으로 지적받은 언챠티드 2가 [[2009년]]을 휩쓸었다.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이나 데몬즈 소울, 레프트 4 데드 2등 여러 좋은 게임이 나왔지만 언챠티드 2 앞에서 버로우. 물론 BAFTA에서는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을, Golden Joystick Awards에서는 매스이펙트 2, 게임스팟에서는 데몬즈 소울에게 GOTY를 주었지만 그 외 GDC, AIAS, 유로게이머 등에서도 언챠티드 2의 손을 들어주었다.


===2008===
===2008===
240번째 줄: 147번째 줄:
* 어쌔신크리드 - 1
* 어쌔신크리드 - 1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1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1
<br />
<br/>
거물급 FPS 게임들이 쏟아져 나왔던 해. 다만 바이오쇼크가 정말로 1위를 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게 IGN, 게임스팟, 게임트레일러, 에지 등 메이저 웹진들의 GOTY는 거의 다 슈퍼 마리오 갤럭시가 가져가 버렸다. 그러나 소위 앞에서 말한 거대시상식에서는 모두 다른 게임에게 GOTY를 주었기 때문에<ref>Golden Joystick Award과 VGA는 콜 오브 듀티 4, AIAS는 매스 이펙트, BAFTA는 바이오쇼크, GDC는 포탈</ref> 기준을 무엇으로 잡느냐에 승자가 달라진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여러 명작이 나왔다는 의미가 되고, 실제로 대부분이 지금해보아도 매우 재미있는 게임이다.
거물급 FPS 게임들이 쏟아져 나왔던 해. 다만 바이오쇼크가 정말로 1위를 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게 IGN, 게임스팟, 게임트레일러, 에지 등 메이저 웹진들의 GOTY는 거의 다 슈퍼 마리오 갤럭시가 가져가 버렸다. 그러나 소위 앞에서 말한 거대시상식에서는 모두 다른 게임에게 GOTY를 주었기 때문에<ref>Golden Joystick Award과 VGA는 콜 오브 듀티 4, AIAS는 매스 이펙트, BAFTA는 바이오쇼크, GDC는 포탈</ref> 기준을 무엇으로 잡느냐에 승자가 달라진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여러 명작이 나왔다는 의미가 되고, 실제로 대부분이 지금해보아도 매우 재미있는 게임이다.
===2006===
===2006===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40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40
273번째 줄: 179번째 줄:
* GTA: 산 안드레아스 - 9  
* GTA: 산 안드레아스 - 9  
* 괴혼: 굴려라 왕자님 - 3
* 괴혼: 굴려라 왕자님 - 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3
* 둠 3 - 2
* 둠 3 - 2
* 메탈 기어 솔리드 3 - 2
* 메탈 기어 솔리드 3 - 2
294번째 줄: 200번째 줄:
*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블러드문 - 1
*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블러드문 - 1
* 버추어 파이터 4 에볼루션 - 1
* 버추어 파이터 4 에볼루션 - 1
 
<references/>
== 여담 ==
* GOTY를 이어받아 올해 최'''악'''의 게임을 꼽는 시상식으로 [[KOTY]]가 만들어졌다. [[일본]]의 커뮤니티 사이트인 [[5ch]]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것으로, KOTY는 Kusoge Of The Year의 약자이다.
 
{{각주}}
[[분류:게임]]
[[분류: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