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4 톰캣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기 정보
{{무기 정보
|이름     = 그루먼 F-14 톰캣
| 이름= 그루먼 F-14 톰캣  
|원어이름 =
| 그림= [[File:F-14D with GBU-10 over Afghanistan 2001.JPEG]]
|그림     = [[파일:F-14D with GBU-10 over Afghanistan 2001.JPEG]]
| 설명=  
|그림설명 =  
| 국가= {{USA}}
|종류     = 함재 전투기
| 종류= 함재 전투기
|제조    = 노스롭 그루먼
<!-- 종류 -->
|설계    =  
| 비행기= yes
|운영    = {{나라|미국}}
<!-- 역사 -->
|첫비행  =  
| 개발=  
|생산연도 = 1969년~1991년
| 개발년도=  
|사용연도 = {{나라|미국}} [[1974년]]~[[2006년]]<br />{{나라|이란}} [[1976년]]~{{현재년}}년 현재
| 생산= 노스롭 그루먼
|생산량  = 712대
| 생산년도= 1969년~1991년
|정원    = 2명
| 가격=
|엔진    = General Electric F110-GE-400 터보팬 엔진 ×2
| 생산개수= 712대
|출력    = 16,610lbf (일반)/28,200lbf (후연소)
| 사용년도= {{국기|미국}} [[1974년]]~[[2006년]]<br>{{국기|이란}} [[1976년]]~{{현재년}}년 현재
|속도    = 음속 2.34배
| 실전= 실전 문단 참고
|무장     = (공대공) : [[AIM-54 피닉스]]·[[AIM-7 스패로]]·[[AIM-9 사이드와인더]]<br />(공대지) : Mk80 시리즈 폭탄·페이브웨이 레이저유도폭탄<br />(기총) : [[M61 벌컨]]
<!-- 일반 제원 -->
|길이    = 19.13m
| 제원_파생형=  
|폭      = 19.54m
| 중량= 19,838kg(공허)/27,669kg(총중량)
|높이    = 4.5m
| 길이= 19.13m
|비고    =  
| 폭= 19.54m
| 높이= 4.5m
| 지름=
| 흘수=
| 승무원= 2명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공대공) : [[AIM-54 피닉스]]·[[AIM-7 스패로]]·[[AIM-9 사이드와인더]]<br>(공대지) : Mk80 시리즈 폭탄·페이브웨이 레이저유도폭탄<br>(기총) : [[M61 벌컨]]
| 부무장=
| 엔진= General Electric F110-GE-400 터보팬 엔진 ×2
| 엔진출력= 16,610lbf (일반)/28,200lbf (후연소)
| 출력비=
| 작전반경= 950km
| 최고속도= 음속 2.34배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16,000m
| 상승속도= 230m/s
| 탐지장비=  
| 전자장비= AN/AWG 9(초기)·휴즈 AN/APG-71 레이더(D형)·IRST(D형)
}}
}}
'''F-14 톰캣'''(F-14 Tomcat)은 미국 그루먼<ref>현재의 노스롭그루먼</ref>이 제작한 함재전투기다.
'''F-14 톰캣'''(F-14 Tomcat)은 미국 그루먼<ref>현재의 노스롭그루먼</ref>이 제작한 함재전투기다.
29번째 줄: 55번째 줄:


==개발==
==개발==
[[파일:F-14 Tomcat prototypes in flight c1972.jpg|230픽셀|썸네일|편대비행 중인 시제기들]]
[[File:F-14 Tomcat prototypes in flight c1972.jpg|230픽셀|썸네일|편대비행 중인 시제기들]]


대함 공격이나 항공력 투사보단 순수한 제공전투기로 개발된 톰캣은 원거리에서 항모전단을 노리고 접근하는 [[소련]] [[폭격기]]들의 고속 [[대함 미사일]] 및 여기에 장착될 수 있는 전술핵탄두 공격을 원거리에서 탐지하고 저지하기 위한 함대방공 전투기의 필요성에 의해 개발이 시작된다.
대함 공격이나 항공력 투사보단 순수한 제공전투기로 개발된 톰캣은 원거리에서 항모전단을 노리고 접근하는 [[소련]] [[폭격기]]들의 고속 [[대함 미사일]] 및 여기에 장착될 수 있는 전술핵탄두 공격을 원거리에서 탐지하고 저지하기 위한 함대방공 전투기의 필요성에 의해 개발이 시작된다.
36번째 줄: 62번째 줄:


==기능==
==기능==
[[파일:Gw-tomphoenix.jpg|230픽셀|썸네일|AIM-54을 발사하는 톰캣]]
[[File:Gw-tomphoenix.jpg|230픽셀|썸네일|AIM-54을 발사하는 톰캣]]


톰캣은 고성능 레이더와 장거리 공대공미사일의 조합으로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비행체를 사전 차단하는 요격기의 컨셉으로 운용되었다. 톰캣의 전용 무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AIM-54 피닉스]] 미사일은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AIM-7 스패로보다 월등히 긴 사거리를 보유한 장거리 공대공미사일로 100km가 넘는 사거리를 확보해 수평선 너머에서 접근하는 목표를 타격할수 있었다. 피닉스보단 짧지만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AIM-7 스패로]]도 BVR교전을 위한 기본 무장으로 운용되었고 최대 70km 사거리 범위에서 적 전투기와 교전할 수 있었다.
톰캣은 고성능 레이더와 장거리 공대공미사일의 조합으로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비행체를 사전 차단하는 요격기의 컨셉으로 운용되었다. 톰캣의 전용 무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AIM-54 피닉스]] 미사일은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AIM-7 스패로보다 월등히 긴 사거리를 보유한 장거리 공대공미사일로 100km가 넘는 사거리를 확보해 수평선 너머에서 접근하는 목표를 타격할수 있었다. 피닉스보단 짧지만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AIM-7 스패로]]도 BVR교전을 위한 기본 무장으로 운용되었고 최대 70km 사거리 범위에서 적 전투기와 교전할 수 있었다.  


피닉스가 제 성능대로 장거리 공대공미사일의 위력을 낼 수 있었던 건 톰캣이 탑재한 고성능 레이더인 AN/AWG-9 레이더(후에 AN/APG-71로 교체) 레이더가 있었기 때문으로, 최대 200km 수준의 탐지거리를 보유해 동시대의 다른 항공 레이더들 보다 탐지거리가 월등했다.
피닉스가 제 성능대로 장거리 공대공미사일의 위력을 낼 수 있었던 건 톰캣이 탑재한 고성능 레이더인 AN/AWG-9 레이더(후에 AN/APG-71로 교체) 레이더가 있었기 때문으로, 최대 200km 수준의 탐지거리를 보유해 동시대의 다른 항공 레이더들 보다 탐지거리가 월등했다.
여기에 발달된 전자 성능으로 원거리에 있는 24개의 목표물을 동시 탐지/추적하고 자체적으로 분류하여 각 목표에 6발의 미사일을 동시 유도 가능한 동시교전 기능을 보유했다.
여기에 발달된 전자 성능으로 원거리에 있는 24개의 목표물을 동시 탐지/추적하고 자체적으로 분류하여 각 목표에 6발의 미사일을 동시 유도 가능한 동시교전 기능을 보유했다.
대신 동시교전을 위해 [[레이더]]의 모드를 변경하면 탐지거리가 90km 안팤으로 극히 짧아지며 한 가닥의 지향성 빔이 목표를 번갈아 비춰주므로 완전한 동시유도라기 보단, 순차적으로 미사일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대신 동시교전을 위해 레이더의 모드를 변경하면 탐지거리가 90km 안팤으로 극히 짧아지며 한 가닥의 지향성 빔이 목표를 번갈아 비춰주므로 완전한 동시유도라기 보단, 순차적으로 미사일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반능동 중간유도를 하는 피닉스의 명중률에도 영향을 주는 등, 본래 톰캣의 교전 방식인 장거리,중거리 공중전에선 동시교전능력이 큰 의미가 없다. 이건 피닉스 뿐만 아니라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스패로 사용시에도 비슷한 문제이며 톰캣의 레이더가 카탈로그 상의 동시교전 능력이 발휘되려면 근거리 교전에 진입하고 나서야 그 위력을 발휘할수 있다. 물론 이 역시 타 기종들에 비하면 우월한 수치이긴 하지만.
이렇게 되면 반능동 중간유도를 하는 피닉스의 명중률에도 영향을 주는 등, 본래 톰캣의 교전 방식인 장거리,중거리 공중전에선 동시교전능력이 큰 의미가 없다. 이건 피닉스 뿐만 아니라 중거리 공대공미사일인 스패로 사용시에도 비슷한 문제이며 톰캣의 레이더가 카탈로그 상의 동시교전 능력이 발휘되려면 근거리 교전에 진입하고 나서야 그 위력을 발휘할수 있다. 물론 이 역시 타 기종들에 비하면 우월한 수치이긴 하지만.


그래도 수치상으론 높은 동시교전 능력을 보유한데다 장거리 미사일을 이용한 원거리 교전능력은 소련으로 하여금 물량 우위에 기반한 항공 공세의 한계를 느끼게 했고 전술을 바꿔 보다 동급의 신기종으로 응수하기 위해 소련 역시 [[MiG-29|4세대]] [[Su-27|전투기]] 개발을 진행한다.
그래도 수치상으론 높은 동시교전 능력을 보유한데다 장거리 미사일을 이용한 원거리 교전능력은 소련으로 하여금 물량 우위에 기반한 항공 공세의 한계를 느끼게 했고 전술을 바꿔 보다 동급의 신기종으로 응수하기 위해 소련 역시 [[MiG-29|4세대]] [[Su-27|전투기]] 개발을 진행한다.
52번째 줄: 78번째 줄:
또한 좁은 항공모함에 주기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비행시보다 더 좁은 각도로 주익이 후퇴하여 전폭을 최소화<ref>여타 함재기는 보통 주익의 일부를 접어서 전폭을 최소화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나, 톰캣은 주익을 접기가 곤란한 설계를 적용하였으므로, 후퇴각을 최대한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ref>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좁은 항공모함에 주기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비행시보다 더 좁은 각도로 주익이 후퇴하여 전폭을 최소화<ref>여타 함재기는 보통 주익의 일부를 접어서 전폭을 최소화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나, 톰캣은 주익을 접기가 곤란한 설계를 적용하였으므로, 후퇴각을 최대한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ref>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최대 속도는 음속의 2.4배 까지 가속할 수 있어 고속 공중전에 유리한 기체였다. 활동 반경은 함재기라 그리 길지 않은 920km 남짓이며 이는 2,000km는 가뿐히 넘는 공군의 라이벌 기체인 F-15보다 현저히 짧은 거리다. 다만 함재기의 특성상 항공모함에서 이착함시 기체에 가해지는 강력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랜딩기어 및 동체의 기골이 공군기에 비해 더 튼튼하고 무겁게 설계되어야 하는 태생적인 한계도 작용한다.
최대 음속의 2.4배 까지 가속할 수 있어 고속 공중전에 유리한 기체였다. 활동 반경은 함재기라 그리 길지 않은 920km 남짓이며 이는 2,000km는 가뿐히 넘는 공군의 라이벌 기체인 F-15보다 현저히 짧은 거리다. 다만 함재기의 특성상 항공모함에서 이착함시 기체에 가해지는 강력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랜딩기어 및 동체의 기골이 공군기에 비해 더 튼튼하고 무겁게 설계되어야 하는 태생적인 한계도 작용한다.  


이처럼 톰캣은 고속 기동에서는 유리하지만, 근접 전투에서는 동급 기체보다 공중전 능력은 떨어지는 편으로 평가되는 기종이다.
고속 기동에는 유리하지만 근접 전투에서는 동급 기체보다 공중전 능력은 떨어지는 편으로 평가되는 기종이다.
[[Su-27]]로 대표되는 동구권 4세대 기종보다 민첩성 면에서 떨어 지는데다최대 추중비도 0.8~0.9 사이라 에너지 파이팅이 장기인 [[F-15]]와도 비교했을 때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다만 톰캣은 설계사상 자체가 신속한 장거리 요격을 위한 요격기로서 주로 상대해야하는 소련의 폭격기나 대함미사일에 대비하는 측면이 고려되었으므로 근접전 능력은 상대적으로 희생한 측면이 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Su-27]]로 대표되는 동구권 4세대 기종보다 민첩성 면에서 떨어 지는데다최대 추중비도 0.8~0.9 사이라 에너지 파이팅이 장기인 [[F-15]]와도 비교했을 때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다만 톰캣은 설계사상 자체가 신속한 장거리 요격을 위한 요격기로서 주로 상대해야하는 소련의 폭격기나 대함미사일에 대비하는 측면이 고려되었으므로 근접전 능력은 상대적으로 희생한 측면이 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운용==
==운용==
[[파일:F-14A flies over QF-86F debris 1977.jpeg|230픽셀|썸네일]]
[[File:F-14A flies over QF-86F debris 1977.jpeg|230픽셀|썸네일]]


[[2006년]] [[9월 22일]]을 끝으로 미해군에선 모두 퇴역했지만 유일한 해외 운용국인 [[이란]]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전력으로 애지중지 되고 있다. 제정 이란 시기에 도입했던 피닉스 미사일들이 수명을 다한 이후에도 이란 공군은 대체제로 호크 지대공 미사일을 톰캣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스카이 호크 공대공 미사일로 [[마개조]]하기도 했고, 러시아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통합하는 등 운용을 위해 갖은 노력을 하고 있다. 미국은 [[2006년]] 톰캣을 퇴역시킨 이후, 여타 기체와는 다르게 극소수의 전시용 기체 일부를 제외하면 전량 폐기하여 고철로 만들어 버렸는데, 이는 적성국인 이란이 혹여나 퇴역한 톰캣의 부품을 입수하는 것을 원천차단할 목적에서였다.
[[2006년]] [[9월 22일]]을 끝으로 미해군에선 모두 퇴역했지만 유일한 해외 운용국인 [[이란]]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전력으로 애지중지 되고 있다. 제정 이란 시기에 도입했던 피닉스 미사일들이 수명을 다한 이후에도 이란 공군은 대체제로 호크 지대공 미사일을 톰캣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스카이 호크 공대공 미사일로 [[마개조]]하기도 했고, 러시아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통합하는 등 운용을 위해 갖은 노력을 하고 있다. 미국은 [[2006년]] 톰캣을 퇴역시킨 이후, 여타 기체와는 다르게 극소수의 전시용 기체 일부를 제외하면 전량 폐기하여 고철로 만들어 버렸는데, 이는 적성국인 이란이 혹여나 퇴역한 톰캣의 부품을 입수하는 것을 원천차단할 목적에서였다.
===실전===
===실전===
====이란====
====이란====
[[파일:Jalil Z.jpg|250픽셀|썸네일|최고의 F-14 에이스, 잘릴 잔디 소령]]
[[File:Jalil Z.jpg|250픽셀|썸네일|최고의 F-14 에이스 ''Jalil Zandi'']]


과거 미해군을 상징하는 함재기였지만 첫 실전은 미국이 아닌 이란에서 경험한다.
과거 미해군을 상징하는 함재기였지만 첫 실전은 미국이 아닌 이란에서 경험한다.


이라크<ref>사담 후세인 정권기</ref>가 [[이란]]을 침공하며 발발한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 공군의 전투기로 활약했다. 이란 공군이 보유한 79대의 F-14 중 40에서 60<ref>초반에는 높은 가동률을 유지했지만 전쟁의 심화와 미국의 부품 금수조치로 점차 저하되었다.</ref>여대가 상시 운용되어 전쟁 동안 50회의 공중전을 겪었다.
이라크<ref>사담 후세인 정권기</ref>가 [[이란]]을 침공하며 발발한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 공군의 전투기로 활약했다. 이란 공군이 보유한 79대의 F-14 중 40에서 60<ref>초반에는 높은 가동률을 유지했지만 전쟁의 심화와 미국의 부품 금수조치로 점차 저하되었다.</ref>여대가 상시 운용되어 전쟁 동안 50회의 공중전을 겪었다.  


전쟁 초반부엔 최신예기란 특성상 F-14는 이란의 석유 시설과 수도 테헤란 방어에 집중 투입되었지만 전쟁이 지속되면서 이라크 공군기들을 격퇴시키는 자율적 요격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전쟁 초반부엔 최신예기란 특성상 F-14는 이란의 석유 시설과 수도 테헤란 방어에 집중 투입되었지만 전쟁이 지속되면서 이라크 공군기들을 격퇴시키는 자율적 요격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F-14는 이라크가 보유했던 소련 및 [[프랑스]]제 전투기들을 상대로 압도적인 교환비를 내며 선전했고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의 공중우세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
F-14는 이라크가 보유했던 소련 및 [[프랑스]]제 전투기들을 상대로 압도적인 교환비를 내며 선전했고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의 공중우세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


이 시기 F-14 조종사들에선 현대 제트기로는 드문 에이스 조종사가 나오기도 했는데 이들 중 잘릴 잔디(''Jalil Zandi'') 소령은 F-14로 11대를 격추시키는 전후무후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 시기 F-14 조종사들에선 현대 제트기로는 드문 에이스 조종사가 나오기도 했는데 이들 중 ''Jalil Zandi'' F-14로 11대를 격추시키는 전후무후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한편 이 전쟁에 투입된 F-14에 의해 특이한 공중전 기록들이 남기도 했는데 주로 미그23과 관련된 것이 많다.
한편 이 전쟁에 투입된 F-14에 의해 특이한 공중전 기록들이 남기도 했는데 주로 미그23과 관련된 것이 많다.
특히 F-14와 미그23간의 교전은 가변익 전투기 간 첫 실전이란 나름 기념적인 의미가 있었으며 한발의 AIM-54로 밀집비행 중이던 미그23 3대를 격추시킨 기묘한 기록도 있다.<ref>이란군의 선전으로 논란이 있긴 하다.</ref>
특히 F-14와 미그23간의 교전은 가변익 전투기 간 첫 실전이란 나름 기념적인 의미가 있었으며 한발의 AIM-54로 밀집비행 중이던 미그23 3대를 격추시킨 기묘한 기록도 있다.<ref>논란이 있긴 하다.</ref>


이란의 F-14는 160여대의 이라크 전투기들을 격추시켰고 F-14가 격추시킨 기종 중 소련제 기종으로는 미그21,23,25와 수호이22가 있고 프랑스제 미라주F1도 F-14에 의해 상당수 격추되었다.
이란의 F-14는 160여대의 이라크 전투기들을 격추시켰고 F-14가 격추시킨 기종 중 소련제 기종으로는 미그21,23,25와 수호이22가 있고 프랑스제 미라주F1도 F-14에 의해 상당수 격추되었다.
전투기와의 공중전 외에도 폭격기인 투폴레프 Tu-22<ref>투폴레프 Tu-22M(나토명: 백파이어) 이전 사항인 초기형 Tu-22(나토명: 블라인더)로, 백파이어와는 구조적, 성능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ref>, 이라크 육군 항공기인 Mi-24 하인드 역시 격추된 기록이 있다.
전투기와의 공중전 외에도 폭격기인 투폴레프 Tu-22<ref>투폴레프 Tu-22M(나토명: 백파이어) 이전 사항인 초기형 Tu-22(나토명: 블라인더)로, 백파이어와는 구조적, 성능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ref>, 이라크 육군 항공기인 Mi-24 하인드 역시 격추된 기록이 있다.
====미국====
====미국====
[[파일:Vf-32 Kill Silhoutte.JPG|250픽셀|썸네일|2차 시드라만 사태에서 획득한 킬마크]]
[[File:Vf-32 Kill Silhoutte.JPG|250픽셀|썸네일|2차 시드라만 사태에서 획득한 킬마크]]


미해군의 톰캣은 리비아에서 발생한 1<ref>1981년</ref>,2차<ref>1989년</ref> 시드라 만 사태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된다.
미해군의 톰캣은 리비아에서 발생한 1<ref>1981년</ref>,2차<ref>1989년</ref> 시드라 만 사태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된다.
94번째 줄: 119번째 줄:


2차 사건때는 항모전단의 북쪽으로 접근하던 미그23 2대를 요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고 상호 요격 비행 중 미그23이 계속 무전을 무시한 채 항모에 접근하자 결국 AIM-7 스패로를 발사해 차단에 나선다.
2차 사건때는 항모전단의 북쪽으로 접근하던 미그23 2대를 요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고 상호 요격 비행 중 미그23이 계속 무전을 무시한 채 항모에 접근하자 결국 AIM-7 스패로를 발사해 차단에 나선다.
발사한 첫 미사일이 빗나가면서 미그23은 선회, 반격해 공중전에 들어갔고 F-14 202번기가 다시 발사한 스패로에 격추된다.
발사한 첫 미사일이 빗나가면서 미그23은 선회, 반격해 공중전에 들어갔고 F-14 202번기가 다시 발사한 스패로에 격추된다.  
 
다른 한대는 선회전 끝에 207번기가 쏜 사이드와인더에 격추되었으며 교전 직후 두대의 톰캣은 항모로 귀환한다.
다른 한대는 선회전 끝에 207번기가 쏜 사이드와인더에 격추되었으며 교전 직후 두대의 톰캣은 항모로 귀환한다.


102번째 줄: 126번째 줄:


이후 코소보 전쟁에서 NATO군의 전투기로 참가하면서 세르비아에 대한 폭격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세르비아군을 정찰하는 임무에도 투입되며 다양한 목적으로 운용된 대신, 본연의 임무라 할 수 있는 대부분의 공중전은 F-15가 맡았다.
이후 코소보 전쟁에서 NATO군의 전투기로 참가하면서 세르비아에 대한 폭격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세르비아군을 정찰하는 임무에도 투입되며 다양한 목적으로 운용된 대신, 본연의 임무라 할 수 있는 대부분의 공중전은 F-15가 맡았다.
==분류==
==분류==
===계열기===
===계열기===
[[파일:F-14-vf-84.jpg|썸네일]]
[[File:F-14-vf-84.jpg|썸네일]]


'''F-14A'''
'''F-14A'''


양산형 선행모델 톰캣으로 시제기인 YF-14에서 비롯되었다. 1970년 12월 첫 비행에 성공한 후 미해군과 이란 공군에 인도되었는데, 이란 공군용으론 80대가 제작되었지만 79대만 인도되었다. 이란에 수출하려던 나머지 1대는 도입 직전 제정 이란에 이슬람 혁명이 발생하면서 미국과 이란의 관계가 악화되자 인도가 취소되었다. 수출이 취소된 기체는 미해군이 도입해 운용하였다. 특이사항으로는 GE F110-GE-400 엔진을 장착하기전 P&W TF-30-P-414A 엔진을 사용하던 모델이다.
양산형 선행모델 톰캣으로 시제기인 YF-14에서 비롯되었다. 1970년 12월 첫 비행에 성공한 후 미해군과 이란 공군에 인도되었는데, 이란 공군용으론 80대가 제작되었지만 79대만 인도되었다. 이란에 수출하려던 나머지 1대는 도입 직전 제정 이란에 이슬람 혁명이 발생하면서 미국과 이란의 관계가 악화되자 인도가 취소되었다. 수출이 취소된 기체는 미해군이 도입해 운용하였다. 특이사항으로는 GE F110-GE-400 엔진을 장착하기전 P&W TF-30-P-414A 엔진을 사용하던 모델이다.  


[[파일:Grumman F-14 Tomcat 2.JPG|썸네일]]
[[File:Grumman F-14 Tomcat 2.JPG|썸네일]]


'''F-14B'''
'''F-14B'''
117번째 줄: 140번째 줄:
기존 A형의 기체 기골 강화와 P&W TF-30-P-414A엔진에서 GE 110-GE-400 엔진으로 교체가 진행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기존 A형의 개수형과 같이 신규 제조된 톰캣들도 포함한다. 처음엔 F-14A+형으로 불려졌었다. 신형 엔진으로 교체 후 고고도에서 압축기 내 공기 흐름이 차딘되는 문제로 인해 급격한 비행성능 저하 문제를 겪던 A형의 결점을 해결하였고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작전효율과 생존성 증가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낮은 출력으로도 말이 많았던 A형의 엔진을 고출력 엔진인 F110의 교체 덕에 전체 추력이 상승되어 기동성도 강화되었다. 전자장비는 A형과 동일한 사항을 유지하였으며 2차 개량으로 몇몇 부분의 성능을 끌어올렸다.
기존 A형의 기체 기골 강화와 P&W TF-30-P-414A엔진에서 GE 110-GE-400 엔진으로 교체가 진행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기존 A형의 개수형과 같이 신규 제조된 톰캣들도 포함한다. 처음엔 F-14A+형으로 불려졌었다. 신형 엔진으로 교체 후 고고도에서 압축기 내 공기 흐름이 차딘되는 문제로 인해 급격한 비행성능 저하 문제를 겪던 A형의 결점을 해결하였고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작전효율과 생존성 증가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낮은 출력으로도 말이 많았던 A형의 엔진을 고출력 엔진인 F110의 교체 덕에 전체 추력이 상승되어 기동성도 강화되었다. 전자장비는 A형과 동일한 사항을 유지하였으며 2차 개량으로 몇몇 부분의 성능을 끌어올렸다.


[[파일:F-14 Tomcat preparing to refuel.jpg|썸네일|기수부 아래 튀어나온 IRST가 D형의 특징이다.]]
[[File:F-14 Tomcat preparing to refuel.jpg|썸네일|기수부 아래 튀어나온 IRST가 D형의 특징이다.]]


'''F-14D Super Tomcat'''
'''F-14D Super Tomcat'''
130번째 줄: 153번째 줄:
===페이퍼 플랜===
===페이퍼 플랜===
==운용국가==
==운용국가==
;{{나라|미국}}
;{{국기|미국}}
: 미해군에서 [[2006년]] [[9월 22일]]까지 운용되었다. 특히 톰캣의 가변익은 구조가 복잡하여 비행 후 정비소요 및 비용이 높았고, F/A-18 호넷과 같은 멀티롤 기체의 효율성이 부각되면서 점차적으로 톰캣은 시대에 뒤쳐진 기체로 인식되었다. 결정적으로 퇴역 결정 당시 미국의 국방장관인 럼스펠드의 강력한 군축기조가 마지막 한방이 되어 톰캣의 퇴역을 결정짓는다.
: 미해군에서 [[2006년]] [[9월 22일]]까지 운용되었다. 특히 톰캣의 가변익은 구조가 복잡하여 비행 후 정비소요 및 비용이 높았고, F/A-18 호넷과 같은 멀티롤 기체의 효율성이 부각되면서 점차적으로 톰캣은 시대에 뒤쳐진 기체로 인식되었다. 결정적으로 퇴역 결정 당시 미국의 국방장관인 럼스펠드의 강력한 군축기조가 마지막 한방이 되어 톰캣의 퇴역을 결정짓는다.


;{{나라|이란}}
;{{국기|이란}}
: {{현재년}}년 현재 이란 공군에서 운용중이다. 미국이 유일하게 수출한 국가에 속할정도로 도입 당시 이란과 미국의 관계는 매우 좋았지만, 뜻하지않게 이슬람 혁명이 발발하면서 한순간에 우방국에서 적성국으로 상황이 변하면서, 미국은 이란에 대한 군수지원을 철폐하였고, 부품수급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란은 동류전환, 암시장을 통한 구매 및 자체적인 개량을 진행하면서 어떻게든 톰캣을 유지하려는 눈물겨운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톰캣의 강력한 레이더 성능을 활용한 일종의 [[조기경보기]] 역할을 부여하는 측면이 강하다.
: {{현재년}}년 현재 이란 공군에서 운용중이다. 미국이 유일하게 수출한 국가에 속할정도로 도입 당시 이란과 미국의 관계는 매우 좋았지만, 뜻하지않게 이슬람 혁명이 발발하면서 한순간에 우방국에서 적성국으로 상황이 변하면서, 미국은 이란에 대한 군수지원을 철폐하였고, 부품수급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란은 동류전환, 암시장을 통한 구매 및 자체적인 개량을 진행하면서 어떻게든 톰캣을 유지하려는 눈물겨운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톰캣의 강력한 레이더 성능을 활용한 일종의 [[조기경보기]] 역할을 부여하는 측면이 강하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