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 게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3번째 줄: 43번째 줄:


=== 성우 기용 ===
=== 성우 기용 ===
여성향계에는 성우덕들이 많고 특히 BL쪽은 BL [[드라마 CD]]를 통해 양성화가 많이 되었다보니 BL물에 출연안하는 남성 성우를 찾는게 더 빠를 정도로 허들이 낮다. 애니메이션을 좀 보거나 이름만 보면 한번에 알 수 있는 엔간한 유명 성우들을 찾을 수 있는데 개중에는 [[이시다 아키라]]와 [[세키 토시히코]]처럼 졸업 선언을 하거나 본인의 의사, 소속사의 방침에 따라 계속 출연하기도 한다.
여성향계에는 성우덕들이 많고 특히 BL쪽은 BL [[드라마 CD]]를 통해 양성화가 많이 되었다보니 BL물에 출연안하는 남성 성우를 찾는게 더 빠를 정도로 허들이 낮다. 애니메이션을 좀 보거나 이름만 보면 한번에 알 수 있는 엔간한 유명 성우들을 찾을 수 있는데 개중에는 [[이시다 아키라]]와 [[세키 토시히코]]처럼 졸업 선언을 하거나 본인의 의사, 소속사의 방침에 따라 계속 출연하기도 한다.  


게다가 가명을 장르마다 매일 바꾸거나 못알아보게끔 짓는 에로게 출연 여성 성우들과 달리 에로게 및 성인용 BL물에 출연하는 남성 성우들은 가명을 웃기게 짓거나 [[미도리카와 히카루]]처럼 노골적으로 티내는 가명을 쓰기도 하며 [[이치죠 카즈야]]처럼 대놓고 본명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이렇다보니 내공이 높은 성우덕들은 목소리만 들어도 알아차릴 정도로 가명들을 꿰뚫고 다니기도 한다.
게다가 가명을 장르마다 매일 바꾸거나 못알아보게끔 짓는 에로게 출연 여성 성우들과 달리 에로게 및 성인용 BL물에 출연하는 남성 성우들은 가명을 웃기게 짓거나 [[미도리카와 히카루]]처럼 노골적으로 티내는 가명을 쓰기도 하며 [[이치죠 카즈야]]처럼 대놓고 본명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이렇다보니 내공이 높은 성우덕들은 목소리만 들어도 알아차릴 정도로 가명들을 꿰뚫고 다니기도 한다.
63번째 줄: 63번째 줄:
원체 [[에로게]]/[[여성향 게임]] 시장이 작은 만큼 BL 게임 시장은 작은 것도 모자라 BL 장르 특성상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려서 수익이 매우 나쁘다. BL 게임 시장이 침체기를 겪게된건 BL붐이 꺼져서인 것도 있으나 BL 게임 대부분이 미성년자가 구하기 힘든 [[에로게|어덜트 게임]]에 여성 전체가 BL을 좋아하는 것도 아니고 BL 향유층 중에서도 1차 BL을 안즐기는 소비자들도 있는 편에 가격이 매우 비싼 것도 한몫을 했다. 게다가 전성기 당시 쏟아져 나오던 게임들도 그림 및 성우빨로만 승부하던 [[쿠소게]] 천지들이였다. 원래 여성향 게임 시장은 초창기엔 BL 게임이 대세였지만 2006년을 기점으로 [[오토메 게임]]에게 완전히 역전된 상태.<ref>출처 : [https://blog.naver.com/sjm2000kr/20086793588 여성향 게임에 대한 이야기 2.] 2009년 8월 15일 작성자 : 시윤</ref>  
원체 [[에로게]]/[[여성향 게임]] 시장이 작은 만큼 BL 게임 시장은 작은 것도 모자라 BL 장르 특성상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려서 수익이 매우 나쁘다. BL 게임 시장이 침체기를 겪게된건 BL붐이 꺼져서인 것도 있으나 BL 게임 대부분이 미성년자가 구하기 힘든 [[에로게|어덜트 게임]]에 여성 전체가 BL을 좋아하는 것도 아니고 BL 향유층 중에서도 1차 BL을 안즐기는 소비자들도 있는 편에 가격이 매우 비싼 것도 한몫을 했다. 게다가 전성기 당시 쏟아져 나오던 게임들도 그림 및 성우빨로만 승부하던 [[쿠소게]] 천지들이였다. 원래 여성향 게임 시장은 초창기엔 BL 게임이 대세였지만 2006년을 기점으로 [[오토메 게임]]에게 완전히 역전된 상태.<ref>출처 : [https://blog.naver.com/sjm2000kr/20086793588 여성향 게임에 대한 이야기 2.] 2009년 8월 15일 작성자 : 시윤</ref>  


이때문에 에로게처럼 소량생산을 한뒤 초회한정판이라는 이름으로 특전을 엄청나게 붙여서 비싸게 팔아먹고 있으며 그나마 1년에 몇 타이틀이 나오는 에로게와 달리 BL 게임은 1년에 한두세개 나오는 히트작 하나로 연명하다가 거진 3, 4년만에 신작을 개발하는 일이 많은데 심하게는 5년을 넘기기도 한다. 개중에 아예 게임을 개발할 비용이나 인력이 안 되는 메이커는 게임 개발을 포기하고 드라마 CD 제작사로 노선을 잡기도한다. 이어서 가끔씩 해외에 정발되는 에로게나 갸루게와 달리 BL 게임은 19금은 당연하고 전연령판조차 단 한번도 해외정발이 된적이 없다.
이때문에 에로게처럼 소량생산을 한뒤 초회한정판이라는 이름으로 특전을 엄청나게 붙여서 비싸게 팔아먹고 있으며 그나마 1년에 몇 타이틀이 나오는 에로게와 달리 BL 게임은 1년에 한두세개 나오는 히트작 하나로 연명하다가 거진 3, 4년만에 신작을 개발하는 일이 많은데 심하게는 5년을 넘기기도 한다. 개중에 아예 게임을 개발할 비용이나 인력이 안 되는 메이커는 게임 개발을 포기하고 드라마 CD 제작사로 노선을 잡기도한다. 이어서 가끔씩 해외에 정발되는 에로게나 갸루게와 달리 BL 게임은 19금은 당연하고 전연령판조차 단 한번도 해외정발이 된적이 없다.  


시장 규모가 이렇다보니 [[드라마 CD]]나 다키마쿠라, 엽서, [[달력]], 자잘한 열쇠고리같은 고정 팬덤에게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2차 [[굿즈]] 제작이 활발하다. 그리고 엔간한 히트작은 일단 판매량을 공개하는 에로게와 달리 BL 게임은 판매량 집계조차 하지 않고 있다. 그나마 공식적으로 판매량을 공개한 타이틀은 《[[학원헤븐]]》과 《[[토가이누의 피]]》 밖에 없으며 《[[Lamento -BEYOND THE VOID-]]》와 《[[귀축안경]]》은 당시 아마존 실시간 판매 랭크에서 1, 2위를 달성했다는 것 빼면 정확한 판매량은 공개되지 않았다. 인기 메이커의 작품들도 정황상 많이 팔렸다고 추측하는 수준.
시장 규모가 이렇다보니 [[드라마 CD]]나 다키마쿠라, 엽서, [[달력]], 자잘한 열쇠고리같은 고정 팬덤에게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2차 [[굿즈]] 제작이 활발하다. 그리고 엔간한 히트작은 일단 판매량을 공개하는 에로게와 달리 BL 게임은 판매량 집계조차 하지 않고 있다. 그나마 공식적으로 판매량을 공개한 타이틀은 《[[학원헤븐]]》과 《[[토가이누의 피]]》 밖에 없으며 《[[Lamento -BEYOND THE VOID-]]》와 《[[귀축안경]]》은 당시 아마존 실시간 판매 랭크에서 1, 2위를 달성했다는 것 빼면 정확한 판매량은 공개되지 않았다. 인기 메이커의 작품들도 정황상 많이 팔렸다고 추측하는 수준.
71번째 줄: 71번째 줄:
== 게임내 특징 ==
== 게임내 특징 ==
=== 수위 ===
=== 수위 ===
BL 게임은 [[에로게|선정성을 이유로 18세 이용가 등급을 받은 게임]]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플랫폼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PC 게임]]의 비율이 높으며 과거에는 전연령판용, 성인판용을 따로 출시하거나 전연령용 오리지널 BL 게임을 개발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성인용 BL 게임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처음부터 전연령용으로 나온 BL 게임도 성관계 묘사를 추가한 성인용판을 발매하거나 만화, 소설같은 미디어 믹스에서 성기 노출만 검열한 성관계 묘사를 넣기도 한다.
BL 게임은 [[에로게|선정성을 이유로 18세 이용가 등급을 받은 게임]]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플랫폼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PC 게임]]의 비율이 높으며 과거에는 전연령판용, 성인판용을 따로 출시하거나 전연령용 오리지널 BL 게임을 개발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성인용 BL 게임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처음부터 전연령용으로 나온 BL 게임도 성관계 묘사를 추가한 성인용판을 발매하거나 만화, 소설같은 미디어 믹스에서 성기 노출만 검열한 성관계 묘사를 넣기도 한다.  


BL 게임 및 어덜트 게임 시장이 침체기를 겪는데도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전연령용이 아닌 18금을 왜 고집하느냐, 키스신같은 성적 묘사조차 없으면 보이즈 '''러브'''는 커녕 브로맨스, 우정이랑 별 차이가 없어서 그렇다. 실제 BL 팬덤들도 BL 게임을 구매하는 건 성애 묘사를 바라고 구하지 신이 없으면 BL이 아니라고 여기기 때문이며 한국만 아니라 일본도 BL물은 1차, 2차 창작 안가리고 최소 키스신 정도는 나와야하는 수위물들이 많은 편이다. TV 애니메이션 판이 나왔을때 H신들을 제거하면 BL같지 않다는 악평아닌 악평이 날아오기도 한다.<ref>대표적으로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과 [[드라머더 애니판|Dmmd 애니메이션판]]. 그러나 해당 애니메이션들은 제작진의 잘못된 판단으로 멀쩡한 연애 요소까지 대거 희석시켜서 비판을 받았다. 엔간한 BL 게임 원작 TV 애니는 성적 묘사는 자를 지 언정 연애 요소까지는 안자른다.</ref>
BL 게임 및 어덜트 게임 시장이 침체기를 겪는데도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전연령용이 아닌 18금을 왜 고집하느냐, 키스신같은 성적 묘사조차 없으면 보이즈 '''러브'''는 커녕 브로맨스, 우정이랑 별 차이가 없어서 그렇다. 실제 BL 팬덤들도 BL 게임을 구매하는 건 성애 묘사를 바라고 구하지 신이 없으면 BL이 아니라고 여기기 때문이며 한국만 아니라 일본도 BL물은 1차, 2차 창작 안가리고 최소 키스신 정도는 나와야하는 수위물들이 많은 편이다. TV 애니메이션 판이 나왔을때 H신들을 제거하면 BL같지 않다는 악평아닌 악평이 날아오기도 한다.<ref>대표적으로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과 [[드라머더 애니판|Dmmd 애니메이션판]]. 그러나 해당 애니메이션들은 제작진의 잘못된 판단으로 멀쩡한 연애 요소까지 대거 희석시켜서 비판을 받았다. 엔간한 BL 게임 원작 TV 애니는 성적 묘사는 자를 지 언정 연애 요소까지는 안자른다.</ref>
81번째 줄: 81번째 줄:


=== 주요 장르 ===
=== 주요 장르 ===
에로게처럼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비주얼 노벨]])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제국천전기]]》([[란마루]])나 《[[내 밑에서 발버둥쳐라]]》([[앨리스 블루]]), [[왕자님의 레벨 시리즈]]([[앨리스 블루]])처럼 [[RPG]]나 전투 진행, 시뮬레이션 등 미니 게임이 포함된 게임들도 있지만 현재 시점에선 멸망한 상태. 이유는 개발비용 문제때문이다.
에로게처럼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비주얼 노벨]])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제국천전기]]》([[란마루]])나 《[[내 밑에서 발버둥쳐라]]》([[앨리스 블루]]), [[왕자님의 레벨 시리즈]]([[앨리스 블루]])처럼 [[RPG]]나 전투 진행, 시뮬레이션 등 미니 게임이 포함된 게임들도 있지만 현재 시점에선 멸망한 상태. 이유는 개발비용 문제때문이다.  


보통 게임 제작에는 그래픽, 시나리오, 텍스트 삽입, 음악 및 성우 녹음 비용, 프로그래밍 비용이 들어가 안그래도 개발비가 많이 드는데 에로게보다 시장이 작은 BL 게임 특성상 손이 많이 가는 미니게임을 넣을 비용이 없기 때문이다. 당장 란마루도 제국천전기 하나만 시뮬레이션이였지 나머지는 비주얼 노벨에 앨리스블루가 무기한 휴지에 들어선 것도 게임 개발 비용을 기준치에 비해 회수를 못해서였다.
보통 게임 제작에는 그래픽, 시나리오, 텍스트 삽입, 음악 및 성우 녹음 비용, 프로그래밍 비용이 들어가 안그래도 개발비가 많이 드는데 에로게보다 시장이 작은 BL 게임 특성상 손이 많이 가는 미니게임을 넣을 비용이 없기 때문이다. 당장 란마루도 제국천전기 하나만 시뮬레이션이였지 나머지는 비주얼 노벨에 앨리스블루가 무기한 휴지에 들어선 것도 게임 개발 비용을 기준치에 비해 회수를 못해서였다.  


그리고 서로가 사랑하게되는 감정라인을 중요시하는 여성 소비자 특성상 게임성보다 스토리텔링이 중심인 비주얼 노벨이 더 각광받을 수 없기도 한데 본문에도 <del>질리도록</del> 많이 언급되었지만 BL 게임에서 명작으로 꼽히는 《토가이누의 피》를 비롯한 키랄제 게임들과 《귀축안경》, 《럭키독 1》, 고전 BL 게임으로는 《신무의 새》와 《아포그리파 제로》, 《화귀장》도 스토리텔링 중심에 주인공과 공략 캐릭터간의 감정라인을 세세하게 묘사한 비주얼 노벨 게임들이다.
그리고 서로가 사랑하게되는 감정라인을 중요시하는 여성 소비자 특성상 게임성보다 스토리텔링이 중심인 비주얼 노벨이 더 각광받을 수 없기도 한데 본문에도 <del>질리도록</del> 많이 언급되었지만 BL 게임에서 명작으로 꼽히는 《토가이누의 피》를 비롯한 키랄제 게임들과 《귀축안경》, 《럭키독 1》, 고전 BL 게임으로는 《신무의 새》와 《아포그리파 제로》, 《화귀장》도 스토리텔링 중심에 주인공과 공략 캐릭터간의 감정라인을 세세하게 묘사한 비주얼 노벨 게임들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3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