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ale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곡 정보
|노래이름 = Altale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fairythm.png|256px]]
|그림설명 =
|음악가  = [[Sakuzyo]]
|음반    = [[fairythm]]
|장르    =
|길이    =
|발매일  = [[2014년]] [[12월 30일]]
|레이블  = [[Diverse System]]
|작사가  =
|작곡가  =
|프로듀서 =
}}
{{youtube|ikr59Iplnlo|||center|'''BGA 영상'''}}
{{youtube|ikr59Iplnlo|||center|'''BGA 영상'''}}
'''Altale'''는 [[Sakuzyo]](削除)의 G2R2014 참가곡이다. 장르는 Fantasy이며, BGA는 レオル가 단편 애니메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WDudaG6AFDA ペスカドヲル] 를 재구성해 제작했다. 이후 같은 해 12월 30일에 Sakuzyo의 앨범 《[[fairythm]]》에 원곡이 12번 트랙으로, [[2016년]] [[4월 24일]]에 발매된 Sakuzyo의 앨범 《[[14 Scores]]》에 솔로 피아노 편곡 버전이 14번 트랙으로, [[2016년]] [[4월 29일]]에 발매된 Sakuzyo의 앨범 《[[Context]]》에 다시 바이올린이 추가된 편곡 버전이 10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Altale'''는 Sakuzyo(削除)의 G2R2014 참가곡이며, BGA는 レオル가 담당하였으며 단편 애니메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WDudaG6AFDA ペスカドヲル] 를 재편집한 것이다.<br>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작곡가가 표기한 장르는 Fantasy이다.
| 문구 = 음악 듣기 (원곡)
== BMS ==
| Spotify = 3pcR9v0rdv80j78l0s5Obh
=== G2R2014 ===
| YouTube Music = OLAK5uy_nQ-LMzeiYjmK2nQLDV7Pdsnul7HMMZVrY
| Apple Music = 1079963954
}}


== BMS ==
'''총점 : 263326 (268 임프레션)'''<br>
{{Be-Music Script/곡 정보
중앙값 : 1000 / 1000.00<br>
|음악가={{일본어=|削除}}
평점 : 982.55 / 1000.00<br>
|BGA={{일본어=|レオル}}
<br>
|패턴=-
'''개인전 스코어 순위 : 1위'''<br>
|기타 참여=-
개인전 중앙값 순위 : 2위
|장르=fantasy
|BPM=83 - 90
|곡 길이=2:36
|대회명=G2R2014 "GO BACK 2 YOUR ROOTS"
|팀={{일본어=|カタストロフィー理論}}
|임프레션=268
|총점=263326
|총점 순위=1
|중앙값=1000
|중앙값 순위=2
|평점=982.55
|평점 순위=-
|종합 순위=-
|7키=Y
|번외 난이도=인세인
|7키 노멀=5
|7키 하이퍼=10
|7키 어나더=12
|7키 번외 난이도=0
}}
[http://manbow.nothing.sh/event/event.cgi?action=More_def&num=150&event=96 G2R2014 개별 곡 링크]


{{인용문|몇 년 전부터 계속계속계~속 만들고 싶었던 것이 드디어 형태를 갖췄습니다.|작곡가 코멘트}}
{{-}}


== 원곡 ==
== [[리듬 게임]] 수록 ==
=== [[CHUNITHM]] ===
=== [[CHUNITHM]] ===
{{CHUNITHM 시리즈의 수록곡
{{CHUNITHM 시리즈의 수록곡
67번째 줄: 24번째 줄:
|Basic레벨= 3
|Basic레벨= 3
|Advanced레벨= 5
|Advanced레벨= 5
|Expert레벨= 9+
|Expert레벨= 9
|Master레벨= 13+<br /><small>(13.7)</small>
|Master레벨= 12+<br><small>(12.7)</small>
|Basic노트= 441
|Basic노트= 441
|Advanced노트= 669
|Advanced노트= 669
77번째 줄: 34번째 줄:
|변경점= 레벨 변경<ref>MASTER 12<sub>(PLUS-STAR+)</sub></ref>
|변경점= 레벨 변경<ref>MASTER 12<sub>(PLUS-STAR+)</sub></ref>
}}
}}
{|class="infobox" style="text-align:center; width:16em; font-size:95%; float:left; line-height:1.3em"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21em;"
! colspan="4" style="background:#000; color:#FFF; line-height:1.5em | '''WORLD'S END'''
! colspan="4"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WORLD'S END'''
|-
|-
! style="width:2em;" | 속성
! style="width:2em;" | 속성
88번째 줄: 45번째 줄:
| 1872
| 1872
|}
|}
{{-}}
{{탭
{{탭
|제목1=MASTER
|제목1=MASTER
|내용1={{youtube|valp--eFtQ4|||center|'''AJC 영상'''}}
|내용1={{youtube|valp--eFtQ4|||center|'''AJC 영상'''}}<br>
|제목2=EXPERT
|제목2=EXPERT
|내용2={{youtube|fhBmquuq5Uc|||center|'''AJC 영상'''}}
|내용2={{youtube|fhBmquuq5Uc|||center|'''AJC 영상'''}}<br>
|제목3=ADVANCED
|제목3=ADVANCED
|내용3={{youtube|SY0C2PYxvpg|||center|'''AJ 영상'''}}
|내용3={{youtube|SY0C2PYxvpg|||center|'''AJ 영상'''}}<br>
|제목4=BASIC
|제목4=BASIC
|내용4={{youtube|n58A-sD2joc|||center|'''AJ 영상'''}}
|내용4={{youtube|n58A-sD2joc|||center|'''AJ 영상'''}}<br>
|제목5=WORLD'S END
|제목5=WORLD'S END
|내용5={{youtube|qTGxIJ1-Jm8|||center|'''플레이 영상'''}}
|내용5={{youtube|qTGxIJ1-Jm8|||center|'''플레이 영상'''}}<br>
}}
}}


=== DEEMO ===
=== [[DEEMO]] ===
{{DEEMO의 수록곡
{{DEEMO의 수록곡
|일러스트=deemo_altale.png
|일러스트=deemo_altale.png
125번째 줄: 81번째 줄:


{{-}}
{{-}}
----
==== 채보  ====
{{탭
{{탭
|제목1=Extra
|제목1=Extra
|제목2=Hard
|제목3=Normal
|제목4=Easy
|내용1=
|내용1=
{{youtube|BTyrS9kOV8g|||center|'''AC 영상'''}}
{{youtube|BTyrS9kOV8g|||center|'''AC 영상'''}}
CHUNITHM WORLD'S END 패턴의 속성 両<ref>半의 파생형으로 각 라인이 절반으로 더 나뉘어 그 만큼 작아진 노트가 나온다.</ref> 을 반영해 전체적으로 노트의 크기가 굉장히 작다. 초반부의 단타 + 슬라이드 패턴은 '''한 손 8비트 단타 + 한 손 단타/슬라이드''' 패턴으로 강화되었고, 중반부에서의 한 손 슬라이드 + 한 손 단타 패턴은 32비트 계단 단타 패턴으로 강화되었다. 또한 한 손 32비트 트릴 패턴과 3중 슬라이드 등 두 손가락만으로 플레이가 어려운 패턴이 다수 존재한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Ufbqp58rGBA "어렵다"라고 서술한 이유는 가능은 하기 때문이다]</ref>
<br/>
CHUNITHM WORLD'S END 채보의 속성 両<ref>半의 파생형으로 각 라인이 절반으로 더 나뉘어 그 만큼 작아진 노트가 나온다.</ref> 을 반영해 전체적으로 노트의 크기가 굉장히 작다. 초반부의 단타 + 슬라이드 패턴은 '''한 손 8비트 단타 + 한 손 단타/슬라이드''' 패턴으로 강화되었고, 중반부에서의 한 손 슬라이드 + 한 손 단타 패턴은 32비트 계단 단타 패턴으로 강화되었다. 또한 한 손 32비트 트릴 패턴과 3중 슬라이드 등 두 손가락만으로 플레이가 어려운 패턴이 다수 존재한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Ufbqp58rGBA "어렵다"라고 서술한 이유는 가능은 하기 때문이다]</ref>
|제목2=Hard
|내용2=
|내용2=
{{youtube|E0Zg1c99sfc|||center|'''AC 영상'''}}
{{youtube|E0Zg1c99sfc|||center|'''AC 영상'''}}
<br/>
초반부는 분위기 전환과 함께 단타 + 슬라이드 패턴이 계속되는 구간이 등장하고, 이후 중반부 진입까지 짧은 트릴과 2-1-2-1 16비트 단타 패턴이 등장한다. 431 콤보부터 시작되는 중반부에서는 화면 전체를 사용하는 크기가 작은 트릴이 길게 등장하고, 직후 한 손 슬라이드 + 한 손 단타 패턴이 등장한다. 이 구간의 난이도도 높은 편이지만 FC 난이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패턴은 1104콤보 경부터 시작하는 '''크기가 작은 48비트 트릴.''' BPM 270의 16비트 트릴과 속도가 맞먹어 상당히 높은 처리력을 요구한다.
초반부는 분위기 전환과 함께 단타 + 슬라이드 패턴이 계속되는 구간이 등장하고, 이후 중반부 진입까지 짧은 트릴과 2-1-2-1 16비트 단타 패턴이 등장한다. 431 콤보부터 시작되는 중반부에서는 화면 전체를 사용하는 크기가 작은 트릴이 길게 등장하고, 직후 한 손 슬라이드 + 한 손 단타 패턴이 등장한다. 이 구간의 난이도도 높은 편이지만 FC 난이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패턴은 1104콤보 경부터 시작하는 '''크기가 작은 48비트 트릴.''' BPM 270의 16비트 트릴과 속도가 맞먹어 상당히 높은 처리력을 요구한다.
|제목3=Normal
|내용3=
|내용3=
{{youtube|vsGYtCZxNOs|||center|'''AC 영상'''}}
{{youtube|vsGYtCZxNOs|||center|'''AC 영상'''}}
<br/>
|제목4=Easy
|내용4=
|내용4=
{{youtube|yTf9kqmx4f0|||center|'''AC 영상'''}}
{{youtube|yTf9kqmx4f0|||center|'''AC 영상'''}}
<br/>
}}
}}


=== DEEMO -Reborn- ===
=== [[DEEMO -Reborn-]] ===
{{DEEMO -Reborn-/Rayark Selection Vol.2}}
Deemo's Collection Vol.2에서의 자리는 Edmund Fu의 [[Starting Wind]]로 바뀌고 이 곡은 DLC "Classic Song Packs Season Pass" 구매 시 얻을 수 있는 Rayark Selection Vol.2의 5번째 수록곡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본편의 5번째 수록곡이 V.K克의 곡인 [[花水月|Hua Sui Yue]]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 채보 (TV 모드) ====
{{탭
{{탭
|제목1=Hard (TV 모드)
|제목1=Hard
|내용1=
|내용1=
{{youtube|XYHgD-tUzQA|||center|'''AC 영상'''}}
{{youtube|XYHgD-tUzQA|||center|'''AC 영상'''}}
|제목2=Normal (TV 모드)
|제목2=Normal
|내용2=
|내용2=
{{youtube|AvrAEieqIyY|||center|'''98.67 FC 영상'''}}
{{youtube|AvrAEieqIyY|||center|'''98.67 FC 영상'''}}
|제목3=Easy (TV 모드)
|제목3=Easy
|내용3=
|내용3=
{{youtube|9dFuwbe1xkw|||center|'''AC 영상'''}}
{{youtube|9dFuwbe1xkw|||center|'''AC 영상'''}}
161번째 줄: 122번째 줄:


=== [[maimai 시리즈]] ===
=== [[maimai 시리즈]] ===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
| 자켓               = Altale CHUNITHM.jpg
|자켓 = Altale CHUNITHM.jpg
| 타이틀            = Altale
|제목 = Altale
| 아티스트           = {{일본어=|削除}}
|아티스트 = 削除
| 카테고리           = GAME&VARIETY
|카테고리 = GAME&VARIETY
| BPM               = 90
|BPM = 90
| 수록일             = [[2019년]] [[5월 10일]]
|수록일 = 2019-05-10
| 스탠다드 패턴 정보 =  
|수록기종 = FiNALE
  {{새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스탠다드 패턴
|Basic레벨 = 4
  | Basic레벨   = 4
|Advanced레벨 = 7+
  | Advanced레벨 = 7+
|Expert레벨 = 11
  | Expert레벨   = 12
|Master레벨 = 12+
  | Master레벨  = 13
|Remaster레벨 =  
  | Basic노트   = 126
|Basic노트 = 145
  | Advanced노트 = 195
|Advanced노트 = 256
  | Expert노트   = 305
|Expert노트 = 402
  | Master노트   = 371
|Master노트 = 487
  }}
|Remaster노트 =
| 삭제 패턴 정보 =  
|변경점 =  
  {{새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삭제 패턴
|레벨변경 = 예
  | Easy레벨  = 3
|B변경 =
  | Easy노트  = 127
|A변경 =
  }}
|E변경 = 10+<sub>(FiNALE-DX)</sub>
|M변경 =  
|R변경 =  
}}
}}
EXP 보면은 Jack, MST 보면은 チャン@DP皆伝가 제작했다. 영상 녹화가 불가능한 곡이다.
EXP 보면은 Jack, MST 보면은 チャン@DP皆伝가 제작했다. 영상 녹화가 불가능한 곡이다.
{{탭
{{탭
195번째 줄: 156번째 줄:
}}
}}


=== Arcaea ===
 
{{Arcaea/곡 정보
=== [[Arcaea]] ===
{{Arcaea 곡 정보
|이미지=arcaea altale.png
|이미지=arcaea altale.png
|배경 테마=Light
|테마(빛/대립)=
|작곡=Sakuzyo
|작곡=Sakuzyo
|BPM = 83 - 90
|BPM = 83 - 90
|채보 (단일 명의)=Kurorak
|PST 레벨=2
|PST 레벨=2
|PRS 레벨=5
|PRS 레벨=5
|FTR 레벨=9<sup>+</sup>
|FTR 레벨=9+
|PST CC=2.5
|PST CC=2.5
|PRS CC=5.5
|PRS CC=5.5
211번째 줄: 174번째 줄:
|FTR 노트 수=690
|FTR 노트 수=690
|배경=Adverse Prelude
|배경=Adverse Prelude
|버전 = 3.0.0
|추가날짜 = 2020-05-27
|일러스트레이션 = -
|노트 디자인 = Kurorak
}}
}}
{{Arcaea/Memory Archive}}
{{Arcaea/Memory Archive}}




3.0 업데이트에서 Memory Archive 곡으로 추가되었다.
{{-}}
{{-}}


----
==== 채보 ====
{{탭
{{탭
|제목1=FTR
|제목1=FTR
|내용1=
|내용1=
{{youtube|6uz8rHqf6Ok|||center|'''Pure Memory (-28) 영상'''}}
{{youtube|6uz8rHqf6Ok|||center|손 배치 및 '''PURE MEMORY (-28) 영상'''.}}
기준 BPM이 180으로 설정되어 있어, 일반 패턴 노트 낙하 속도의 '''{{색|crimson|0.46}}배<ref>후반부.</ref> ~ 0.50배'''의 속도로 노트가 떨어진다. 아크 꼬임과 함께 등장하는 느린 8비트 단타가 주 패턴이며 가끔씩 등장하는 32비트 트릴로 난이도를 높이는 패턴이다. 특히 주의해야할 패턴은 297 콤보에 등장하는 도약 요구 트릴과 밀리기 쉬운 최후반부(642 콤보)의 긴 플로어 32비트 트릴 정도이다.
<br/>
기준 BPM이 180으로 설정되어 있어, 일반 채보 노트 낙하 속도의 '''{{색|crimson|0.46}}배<ref>후반부.</ref> ~ 0.50배'''의 속도로 노트가 떨어진다. 아크 꼬임과 함께 등장하는 느린 8비트 단타가 주 패턴이며 가끔씩 등장하는 32비트 트릴로 난이도를 높이는 채보인다. 특히 주의해야할 패턴은 297 콤보에 등장하는 도약 요구 트릴과 밀리기 쉬운 최후반부(642 콤보)의 긴 플로어 32비트 트릴 정도이다.
}}
}}


==== 여담 ====
==== 여담 ====
* 해당 곡의 FTR 패턴은 기믹을 목적으로 한 BPM 변화가 있는 곡을 제외한다면 [[Fallensquare]] (0.55배), [[memoryfactory.lzh]] (0.56배)를 제치고 가장 느린 노트 낙하 속도를 지니고 있으며, 이 때문에 패턴에 대한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 해당 곡의 FTR 채보는 기믹을 목적으로 한 BPM 변화가 있는 곡을 제외한다면 [[Fallensquare]] (0.55배), [[memoryfactory.lzh]] (0.56배)를 제치고 가장 느린 노트 낙하 속도를 지니고 있으며, 이 때문에 채보에 대한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 14 Scores ==
{{날짜/출력|2016-04-24}}에 발매된 [[Sakuzyo]]의 앨범 《14 Scores》에 솔로 피아노 편곡 버전이 14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 Duo Rework ==
=== DEEMO II ===
{{DEEMO II/곡 정보
| 곡 제목      = Altale (Duo Rework)
| 아티스트    = Sakuzyo
| 일러스트    = deemoii altale.png
| BPM          = -
| Easy레벨    = 4
| Easy노트수  = 304
| Normal레벨  = 7
| Normal노트수 = 627
| Hard레벨    = 10
| Hard레이팅  = 10.3
| Hard노트수  = 938
| 곡팩 번호    = 온디맨드01
| 곡 해금 정보 =
{{DEEMO II/곡 해금 정보
| 일반 난이도 해금 조건 = 챕터1 [초행길] 완료
}}
}}
----
{{탭
|제목1 = Hard
|내용1 = {{youtube|0zL2yXzLWH4|||center|'''AC 영상'''}}
}}
{{각주}}
{{각주}}
[[분류:CHUNITHM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CHUNITHM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BMS OF FIGHTERS 참가곡]]
[[분류:BMS OF FIGHTERS 참가곡]]
[[분류:온게키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Cytus의 수록곡]]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