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M-9 사이드와인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이름    = AIM-9 사이드와인더
|이름    = AIM-9 사이드와인더
|원어이름 =  
|원어이름 =  
|그림    = [[파일:Aim-9l.jpg]]
|그림    = [[File:Aim-9l.jpg]]
|그림설명 = AIM-9L 사이드와인더
|그림설명 = AIM-9L 사이드와인더
|종류    =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종류    =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25번째 줄: 25번째 줄:
}}
}}


'''AIM-9 사이드와인더'''(Sidewinder)는 [[미국]]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AIM-9 사이드와인더'''는 [[미국]]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현존 공대공 미사일 중 가장 역사가 긴 사이드와인더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분야의 선두 기종으로써 후속 기종들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현존 공대공 미사일 중 가장 역사가 긴 사이드와인더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분야의 시초로 후속 기종들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미국과 서방세계의 표준 공대공 미사일로 운용중이며 실전에서 가장 높은 전과를 올린 [[공대공 미사일]] 중 하나이다.
미국과 서방세계의 표준 공대공 미사일로 운용되었고 실전에서 가장 높은 전과를 올린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 중 하나이다.


사이드와인더란 별칭의 유래는 방울뱀의 한 종이다.<ref>사막방울뱀(뿔방울뱀)의 영명이다. 목표를 추적하는 모습이 마치 뱀 같기도 하거니와 열추적 탐색기를 사용해 열원을 감지하는 것이 방울뱀의 피트 기관을 연상시켜 붙여진 이름이다</ref>
사이드와인더란 별칭의 유래는 방울뱀의 한 종이다.<ref>사막방울뱀(뿔방울뱀)의 영명이다. 목표를 추적하는 모습이 마치 뱀 같기도 하거니와 열추적 탐색기를 사용해 열원을 감지하는 것이 방울뱀의 피트 기관을 연상시켜 붙여진 이름이다</ref>.
==개발==
==개발==
[[파일:AIM-9B hits F6F-5K over China Lake 1957.jpeg|250픽셀|thumb]]
[[File:AIM-9B hits F6F-5K over China Lake 1957.jpeg|250픽셀|thumb]]
==기능==
==기능==
사이드와인더의 컨샙은 당시 최고 기술들을 집약시켜 만든 결전병기가 아니였다.
사이드와인더의 컨샙은 당시 최고 기술들을 집약시켜 만든 결전병기가 아니였다.
47번째 줄: 47번째 줄:
냉각제는 액체질소를 주로 사용하지만 계열형에 따라 다른 냉각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냉각제는 액체질소를 주로 사용하지만 계열형에 따라 다른 냉각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파일:F104-AIM9.gif|260픽셀|thumb|QF-80 무인기에 명중한 AIM-9B]]
[[File:F104-AIM9.gif|260픽셀|thumb|QF-80 무인기에 명중한 AIM-9B]]


추진기관으로 고체연료 로켓을 사용한다. 초기형인 B형은 Mk.17 로켓모터로 추진해 (음속의)1.7배까지 가속할 수 있었고 4km 내외의 사거리를 확보했다.
추진기관으로 고체연료 로켓을 사용한다. 초기형인 B형은 Mk.17 로켓모터로 추진해 (음속의)1.7배까지 가속할 수 있었고 4km 내외의 사거리를 확보했다.
99번째 줄: 99번째 줄:


==분류==
==분류==
[[파일:AIM-9 Variants.jpg|thumb]]
[[File:AIM-9 Variants.jpg|thumb]]


AIM-9 사이드와인더는 장기간 운용을 통해 많은 개량을 거쳐 왔고 그만큼 많은 기종들과 파생형들이 개발되었다.
AIM-9 사이드와인더는 장기간 운용을 통해 많은 개량을 거쳐 왔고 그만큼 많은 기종들과 파생형들이 개발되었다.
===계열형===
===계열형===


[[파일:AIM-9B.png|thumb|'''AIM-9A/B''']]
[[File:AIM-9B.png|thumb|'''AIM-9A/B''']]


초기 개발 원형으로 A형은 시제형이며 A형을 개량한 B형이 양산형으로 배치된다.
초기 개발 원형으로 A형은 시제형이며 A형을 개량한 B형이 양산형으로 배치된다.
118번째 줄: 118번째 줄:
그래도 B형은 공대공 미사일이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향후 운용되는 사이드와인더 계열형들의 원형이 된다.
그래도 B형은 공대공 미사일이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향후 운용되는 사이드와인더 계열형들의 원형이 된다.


[[파일:AIM-9D.png|thumb|'''AIM-9D/G/H''']]
[[File:AIM-9D.png|thumb|'''AIM-9D/G/H''']]


B형을 바탕으로 미 해군이 개발한 개량형이다. 베트남 전쟁 초반 많은 문제를 보인 B형의 성능을 개선한 D형을 시작으로 G형과 H형도 개발되어 오늘날까지 일부에서 운용되고 있다.
B형을 바탕으로 미 해군이 개발한 개량형이다. 베트남 전쟁 초반 많은 문제를 보인 B형의 성능을 개선한 D형을 시작으로 G형과 H형도 개발되어 오늘날까지 일부에서 운용되고 있다.
130번째 줄: 130번째 줄:
이 형식들은 졸전을 면치 못했던 B형과 달리 실전에서 많은 활약을 펼쳤고 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미 해군에서 운용된다.
이 형식들은 졸전을 면치 못했던 B형과 달리 실전에서 많은 활약을 펼쳤고 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미 해군에서 운용된다.


[[파일:AIM-9E.png|thumb|'''AIM-9E/J/N/P''']]
[[File:AIM-9E.png|thumb|'''AIM-9E/J/N/P''']]


위의 사항들이 미 해군에 의해 개량되었다면 본 형식은 미 공군이 주체가 되어 개발한 형식이다.
위의 사항들이 미 해군에 의해 개량되었다면 본 형식은 미 공군이 주체가 되어 개발한 형식이다.
146번째 줄: 146번째 줄:
이 중 P형은 여러번 개량을 거쳐 P4형에 이르러선 제한적인 전방위 추적능력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몇몇 성능들은 L형에 준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이 중 P형은 여러번 개량을 거쳐 P4형에 이르러선 제한적인 전방위 추적능력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몇몇 성능들은 L형에 준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파일:AIM-9M.png|thumb|'''AIM-9L/M''']]
[[File:AIM-9M.png|thumb|'''AIM-9L/M''']]


현재 가장 많이 운용되고 있는 기종 중 하나로 미 공군과 미 해군이 합동으로 개발된 기종이다.
현재 가장 많이 운용되고 있는 기종 중 하나로 미 공군과 미 해군이 합동으로 개발된 기종이다.
157번째 줄: 157번째 줄:
M형 부터는 플레어와 같은 기만기에 대한 대응 능력을 확보했다.
M형 부터는 플레어와 같은 기만기에 대한 대응 능력을 확보했다.


[[파일:AIM-9B-9D-9C NAN3-71.jpg|thumb|'''AIM-9C'''(맨 아래)]]
[[File:AIM-9B-9D-9C NAN3-71.jpg|thumb|'''AIM-9C'''(맨 아래)]]


다른 계열형들 처럼 B형에서 파생되었지만 특이하게 적외선 대신 반능동 레이더를 탐색기로 사용하는 이단아적 존재이다.
다른 계열형들 처럼 B형에서 파생되었지만 특이하게 적외선 대신 반능동 레이더를 탐색기로 사용하는 이단아적 존재이다.
180번째 줄: 180번째 줄:


90도의 광각에 128×128 배율의 적외선 탐색기로 적기의 회피기동에도 다시 목표를 잡는 것이 쉬워졌고 열원의 종류를 분간하는 다채널 탐색기는 플레어와 항공기의 발산열을 구별할 수 있다.
90도의 광각에 128×128 배율의 적외선 탐색기로 적기의 회피기동에도 다시 목표를 잡는 것이 쉬워졌고 열원의 종류를 분간하는 다채널 탐색기는 플레어와 항공기의 발산열을 구별할 수 있다.
'''AIM-9X BLOCK1'''


'''AIM-9X BLOCK2'''  
'''AIM-9X BLOCK2'''  


블록1의 개량형으로 모기, 또는 아군기의 레이더와 데이터 링크하여 목표의 예상 경로까지 유도되는 LOAL(Lock on after Launch)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미사일 탐색기가 목표를 획득하지 않아도 발사해 목표 인근에서 탐색에 들어가는 기능으로, 탐색기가 적기를 바라보도록 하는 상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모기, 또는 아군기의 레이더와 데이터 링크하여 목표의 예상 경로까지 유도되는 LOAL(Lock on after Launch) 기능이 추가되
었는데 미사일 탐색기가 목표를 획득하지 않아도 발사해 목표 인근에서 탐색에 들어가는 기능으로, 탐색기가 적기를 바라보도록 하는 대기 상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때문에 90도 탐색 범위 밖의 적기를, 모기나 다른 아군기들이 대신 잡아줘 탐색기가 보지 못하는 전 방위에 대한 공격도 가능하다.
때문에 90도 탐색 범위 밖의 적기를, 모기나 다른 아군기들이 대신 잡아줘 탐색기가 보지 못하는 전 방위에 대한 공격도 가능하다.
189번째 줄: 192번째 줄:


'''AIM-9X BLOCK3'''
'''AIM-9X BLOCK3'''
미 해군 주도로 개발이 진행된 최신 사항의 사이드와인더로 여러 개량점들이 있으나 가장 주목할 부분은 블록1 대비 60%의 사거리 향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약 30~40 킬로미터 이상의 사거리를 갖는, 중거리급 공대공 미사일로의 발전을 의미하며 암람의 비행 방식과 동일하게 초기 발사 후 급상승 비행으로 사거리를 늘리는 비행 방식을 사용한다.
그 외 블록2부터 추가된 데이터 링크와 GPS 수신 기능으로 시계외 발사 시 중간유도가 가능하도록 했고 운용 안정성을 높히는 개량이 진행되었다.
===파생형===
===파생형===
'''MIM-72 채퍼럴'''
'''MIM-72 채퍼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