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M-120 암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미사일 정보
  {{미사일 정보
|이름    = AIM-120 AMRAAM
|이름    = AIM-120 AMRAAM
|원어이름 = Advanced middle range air to air missile
|원어이름 = Advanced middle range air to air missile
39번째 줄: 39번째 줄:
능동형 레이더 유도를 사용하는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발사 부호는 FOX 3다.
능동형 레이더 유도를 사용하는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발사 부호는 FOX 3다.


관성 유도를 통한 발사 후 지속적인 유도 없이 자체적으로 추적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유도가 필요하던 반능동 미사일에 비해 전투기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 암람의 존재 의의라 할수 있다.
관성 유도를 통한 발사 후 지속적인 유도 없이 자체적으로 추적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유도가 필요하던 반능동 미사일에 비해 전투기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 암람의 존재 의의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암람의 특징인 능동 유도는 미사일 기수부에 탑재된 자체 레이더가 방사한 레이더파가 목표에 부딫혀 돌아오는 신호를 감지, 추적하는 방식으로, 기존 스패로에서 모기의 레이더가 하는 일을 스스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암람의 특징인 능동 유도는 미사일 기수부에 탑재된 자체 레이더가 방사한 레이더파가 목표에 부딫혀 돌아오는 신호를 감지, 추적하는 방식으로, 기존 스패로에서 모기의 레이더가 하는 일을 스스로 하는 것이다.


49번째 줄: 49번째 줄:


여기서 모기의 레이더가 목표를 포착해 락온하고 지령유도를 통해 목표 근처까지 유도하는 방식이 LOBL이며 미사일이 목표 인근에 도달할 때까지 레이더로 목표를 조사하고 있어야 하는, 스패로와 동일한 방식의 유도방식이다.
여기서 모기의 레이더가 목표를 포착해 락온하고 지령유도를 통해 목표 근처까지 유도하는 방식이 LOBL이며 미사일이 목표 인근에 도달할 때까지 레이더로 목표를 조사하고 있어야 하는, 스패로와 동일한 방식의 유도방식이다.
단점 역시 스패로의 단점 그대로 미사일을 발사한 기체는 레이더로 목표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하므로 미사일을 발사한 기체는 급격한 기동이 제한된다.<ref>내 앞으로 적 미사일이 날라오는 중이라도 적기를 격추시키고 싶다면 회피기동을 해서는 안된다. 물론 이건 스패로 얘기고 암람의 경우 유도가 끊기자마자 마지막 유도 위치로 비행하며 자체 레이더를 가동시키므로 유도 끊긴 스패로와 달리 엄한 곳으로 날아가거나 하진 않는다.</ref>
단점 역시 스패로의 단점 그대로 미사일을 발사한 기체는 레이더로 목표를 계속 잡고 있어야 하므로 미사일을 발사한 기체는 급격한 기동이 제한된다.<ref>내 앞으로 적 미사일이 날라오는 중이라도 적기를 격추시키고 싶다면 회피기동을 해서는 안 된다. 물론 이건 스패로 얘기고 암람의 경우 유도가 끊기자마자 마지막 유도 위치로 비행하며 자체 레이더를 가동시키므로 유도 끊긴 스패로와 달리 엄한 곳으로 날아가거나 하진 않는다.</ref>
한편 또 다른 방식인 LOAL은 락온을 걸지 않고 목표 위치를 향해 유도탄 부터 쏜 뒤 데이터 링크를 이용해 미사일을 쏜 기체가 습득한 적기의 방위를 미사일로 직접 전송하여 유도하는 것으로 전투기가 레이더를 이용해 미사일을 유도할 필요가 없다.
한편 또 다른 방식인 LOAL은 락온을 걸지 않고 목표 위치를 향해 유도탄 부터 쏜 뒤 데이터 링크를 이용해 미사일을 쏜 기체가 습득한 적기의 방위를 미사일로 직접 전송하여 유도하는 것으로 전투기가 레이더를 이용해 미사일을 유도할 필요가 없다.


91번째 줄: 91번째 줄:


또한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는 인도 공군 미그21bis가 파키스탄 F-16BM에게 암람을 맞고 격추당하며 2010년 이후 전투기 사이의 공중전에서 격추 기록을 내기도 했다.
또한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는 인도 공군 미그21bis가 파키스탄 F-16BM에게 암람을 맞고 격추당하며 2010년 이후 전투기 사이의 공중전에서 격추 기록을 내기도 했다.
특이할 부분은 암람의 오랜 적수인 러시아제 능동 레이더 유도 미사일, [[빔펠 R-77]]과 처음으로 한 전투에서 대면하며 [[드림매치|대결의 장]]이 마련되기도 했는데, R-77로 무장하고 교전에 참여한 인도 수호이30MKI가 암람의 공격을 회피하긴 했으나 동급의 무장을 가지고도 반격을 가했다는 언급이 없어 R-77의 성능이 적어도 C-5형보다는 사거리적 열세거나 전자전 상황 등 각종 전장환경에선 취약하다는 평가가 나온다.<ref>당시 (암람으로) [[수호이30]]을 격추했다는 파키스탄의 주장이 있었으며 격추되었다는 [[수호이30]]의 수직미익(모조품일 가능성이 있음)까지 공개하기도 했다. 한편 인도는 격추된 수호이30은 없다고 공표했지만 몇개월 후 사고로 인한 손실을 알리며 격추 사실을 숨기려 한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여기에 관한 판단은 각자의 몫.</ref>
특이할 부분은 암람의 오랜 적수인 러시아제 능동 레이더 유도 미사일, [[빔펠 R-77]]과 처음으로 한 전투에서 대면하며 [[드림매치|대결의 장]]이 마련되기도 했는데, R-77로 무장하고 교전에 참여한 인도 수호이30MKI가 암람의 공격을 회피하긴 했으나 동급의 무장을 가지고도 반격을 가했다는 언급이 없어 R-77의 성능이 적어도 C-5형보다는 사거리적 열세거나 전자전 상황 등 각종 전장환경에선 취약하다는 평가가 나온다.<ref>당시 (암람으로) [[수호이30]]을 격추했다는 파키스탄의 주장이 있었으며 격추되었다는 [[수호이30]]의 수직미익(모조품일 가능성이 있음)까지 공개하기도 했다. 한편 인도는 격추된 수호이30은 없다고 공표했지만 몇개월 후 사고로 인한 손실을 알리며 격추 사실을 숨기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여기에 관한 판단은 각자의 몫.</ref>


==분류==
==분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