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M-158 JASSM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미사일 정보
{{무기 정보
|이름     = AGM-158 JASSM
| 이름= AGM-158 JASSM
|원어이름 =
| 그림= [[File:AGM-158 JASSM.jpg]]
|그림     = [[파일:AGM-158 JASSM.jpg]]
| 설명=  
|그림설명 =  
| 국가= {{국기|미국}}
|종류     = 공대지 순항미사일
| 종류= 공대지 순항미사일
|제조    = 록히드 마틴
<!-- 종류 -->
|설계    = 1995년
| 비행기= yes
|운영    = {{나라|미국}}
<!-- 역사 -->
|생산연도 = 1998~현재
| 개발= 1995년
|사용연도 = 2006년~현재
| 개발년도=  
|생산량  = 2000여기 목표
| 생산= 록히드 마틴
|엔진     = Teledyne CAE J402 -CA-100 터보제트 엔진(단발)
| 생산년도=1998~현재
|추진제  =  
| 가격= 11억 3천만원~12억 원
|속도    = 아음속(800km/h)
| 생산개수= 2000여기 목표
|사거리   =  
| 사용년도= 2006년~현재
|탄두    = 450kg WDU-42/B 관통탄두
| 실전=
|유도    = GPS 보정 관성유도장비(비행 시),적외선 유도/목표 인식 유도(종말)
<!-- 일반 제원 -->
|발사대  =  
| 제원_파생형=
|길이    = 4.27m
| 중량= 975kg/1021kg(ER)
|폭      = 2.4m(날개폭)
| 길이=4.27m
|높이    =  
| 폭=2.4m(날개폭)
|무게    = 975kg/1021kg(ER)
| 높이=
|비고    =  
| 승무원=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450kg WDU-42/B 관통탄두
| 부무장=
| 엔진= Teledyne CAE J402 -CA-100 터보제트 엔진(단발)
| 엔진출력= 680lb
| 출력비=  
| 사거리=
| 최고속도=아음속(800km/h)
| 항법_유도장치= GPS 보정 관성유도장비(비행 시),적외선 유도/목표 인식 유도(종말)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 상승속도=  
| 탐지장비=  
| 전자장비=  
}}
}}


32번째 줄: 54번째 줄:
스텔스 설계로 피탐지율을 줄였으며 유럽의 [[스톰 섀도]], KEPD 350 타우러스와 함께 대표적인 현대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다.
스텔스 설계로 피탐지율을 줄였으며 유럽의 [[스톰 섀도]], KEPD 350 타우러스와 함께 대표적인 현대 공대지 순항미사일이다.
==기능==
==기능==
[[파일:B-2 launch jassm.jpg|thumb|B-2 JASSM 실사격]]
[[File:B-2 launch jassm.jpg|thumb|B-2 JASSM 실사격]]


JASSM은 이름에 들어가는 합동이란 명칭답게 공군과 해군 모두 사용 가능한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지향하였다.
JASSM은 이름에 들어가는 합동이란 명칭답게 공군과 해군 모두 사용 가능한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지향하였다.
44번째 줄: 66번째 줄:
스텔스 설계를 도입해 레이더 반사면적을 줄이는 시도를 했는데 경사진 기체 구조와 공기 흡입구의 톱니 형상 등에서 보이듯이 스텔스 기술이 상당부 도입된 것을 알 수 있다.
스텔스 설계를 도입해 레이더 반사면적을 줄이는 시도를 했는데 경사진 기체 구조와 공기 흡입구의 톱니 형상 등에서 보이듯이 스텔스 기술이 상당부 도입된 것을 알 수 있다.


[[파일:AGM-158 JASSM during tests.jpg|thumb|목표에 직격하는 JASSM]]
[[File:AGM-158 JASSM during tests.jpg|thumb|목표에 직격하는 JASSM]]


JASSM의 유도장비는 관성유도장비 INS와 이를 보정하는 GPS 위성항법장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이며 가격절감을 위해 장거리 순항미사일들이 사용하는 지형 대조장비 같은 고급 옵션들을 대폭 생략하였다.
JASSM의 유도장비는 관성유도장비 INS와 이를 보정하는 GPS 위성항법장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이며 가격절감을 위해 장거리 순항미사일들이 사용하는 지형 대조장비 같은 고급 옵션들을 대폭 생략하였다.
85번째 줄: 107번째 줄:


===AGM-158C LRASM===
===AGM-158C LRASM===
[[파일:A LRASM at NAS Patuxent River 2015 Aug. 12, 2015.jpg|thumb]]
[[File:A LRASM at NAS Patuxent River 2015 Aug. 12, 2015.jpg|thumb]]


JASSM을 [[대함 미사일]]로 전용한 파생형이다. 이름인 LRASM은 장거리 대함 미사일(Long Range Anti Ship Missile)의 약자이며 하푼을 승계하는 차기 대함미사일로 계획되어 있다.
JASSM을 [[대함 미사일]]로 전용한 파생형이다. 이름인 LRASM은 장거리 대함 미사일(Long Range Anti Ship Missile)의 약자이며 하푼을 승계하는 차기 대함미사일로 계획되어 있다.
97번째 줄: 119번째 줄:
탄두는 [[하푼]]의 2배에 달하는 450kg의 고중량 탄두를 장착해 강력한 파괴력을 자랑한다.
탄두는 [[하푼]]의 2배에 달하는 450kg의 고중량 탄두를 장착해 강력한 파괴력을 자랑한다.
==보유 국가==
==보유 국가==
'''*{{나라|미국}}'''
'''*{{국기|미국}}'''


:개발국이자 최대 운용국가로 미 공군이 운용자이다. 모든 계열형을 운용중 이거나 운용할 예정이며 최대 2000발 이상 생산을 목표로 100만 달러(11억)에 달하는 비싼 도입가를 낮추기를 희망하고 있다.
:개발국이자 최대 운용국가로 미 공군이 운용자이다. 모든 계열형을 운용중 이거나 운용할 예정이며 최대 2000발 이상 생산을 목표로 100만 달러(11억)에 달하는 비싼 도입가를 낮추기를 희망하고 있다.


'''*{{나라|호주}}'''
'''*{{국기|호주}}'''


:2006년 호주 왕립 공군은 JASSM과 KEPD-350 타우러스, SLAM-ER간의 경합에서 JASSM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고 2010년부터 호주 내에서 생산돼 자국의 F/A-18에서 운용하게 되었다.
:2006년 호주 왕립 공군은 JASSM과 KEPD-350 타우러스, SLAM-ER간의 경합에서 JASSM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고 2010년부터 호주 내에서 생산돼 자국의 F/A-18에서 운용하게 되었다.


'''*{{나라|폴란드}}'''
'''*{{국기|폴란드}}'''


:미국 외에 처음으로 JASSM-ER형을 도입한 국가이다. 폴란드 공군이 보유한 F-16 Block52+의 지상 공격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모두 200여 기를 도입하게 된다.
:미국 외에 처음으로 JASSM-ER형을 도입한 국가이다. 폴란드 공군이 보유한 F-16 Block52+의 지상 공격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모두 200여 기를 도입하게 된다.


'''*{{나라|핀란드}}'''
'''*{{국기|핀란드}}'''


:핀란드 공군이 보유한 F/A-18 호넷의 현대화와 지상 공격능력 확대를 위한 2차 MLU 사업에서 JASSM의 도입을 명시하였다.
:핀란드 공군이 보유한 F/A-18 호넷의 현대화와 지상 공격능력 확대를 위한 2차 MLU 사업에서 JASSM의 도입을 명시하였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