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호 전차 B형 티거2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7번째 줄: 47번째 줄:
==설계 및 성능==
==설계 및 성능==
===공격력===
===공격력===
티거2의 주포는 악명높은 88포가 71 구경장으로 증가된 주포(Kwk.43L/73)를 사용하게 되며 티거1을 능가하는 대 장갑 능력을 보유한다.
티거2의 주포는 악명높은 88포가 71 구경장으로 증가된 주포(Kwk.43L/73)를 사용하게 되며 티거1을 능가하는 대장갑 능력을 보유한다.


이 71구경장 88포는 길어진 포신에 의해 탄 가속력이 증대되었고 덕분에 일반 철갑탄을 쏠 경우 초속 1,000m<ref>약 마하 3~4 정도.</ref>의 속도로, 경심 철갑탄 등 고속 철갑탄을 쏠 때는 초속 1.13km로 탄을 쏘아 보내는 강력한 전차포였다.
이 71구경장 88포는 길어진 포신에 의해 탄 가속력이 좋아졌고 덕분에 일반 철갑탄을 쏠 경우 초속 1,000m<ref>약 마하 3~4 정도.</ref>의 속도로, 고속철갑탄을 쏠 때는 초속 1.13km로 탄을 쏘아 보내는 강력한 전차포였다.


이 수치는 장갑 관통력 면에서 티거1의 주포보다 뛰어난 [[5호 전차 판터]]의 (75mm)주포 탄속과 비교했을 때 잘 드러나는데, 초속 900m 대의 판터 주포보다 고속이고 무엇보다 구경 면에서 우위에 있었다.
이 수치는 장갑 관통력이 티거1의 주포보다 뛰어난 [[5호 전차 판터]]의 (75mm)주포 탄속과 비교했을 때 잘 드러나는데, 초속 900m 대의 판터 주포보다 고속이고 무엇보다 구경 면에서 우위에 있었다.
이런 속도에서 나오는 탄의 운동에너지로 티거2는 T-34나 M4 같은 대전기 대부분 중형 전차의 전면장갑을 중거리 이상 1.8~2km 거리에서 관통하는 위력을 발휘했고 중(重)전차라 해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이런 속도에서 나오는 탄의 운동에너지로 티거2는 T-34나 M4 같은 대전기 대부분의 중형 전차의 전면장갑을 중거리 이상 1.8~2km 거리에서 관통하는 위력을 발휘했고 중전차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방어력===
===방어력===
강력한 화력과 함께 중전차의 또다른 덕목인 방어력에서도 그 유명했던 티거1보다 증가된 중장갑을 두른 전차이다.
강력한 화력과 함께 중전차의 또다른 덕목인 방어력에서도 그 유명했던 티거1보다 증가된 중장갑을 두른 전차이다.
더군다나 [[5호 전차]]와 함께 동부전선에서 조우한 [[T-34]]의 영향을 상당부 받아서 두꺼운 장갑에만 의존하는 대신 경사장갑을 채용하여 피탄에 유리한 형태를 띄게 된 것 역시 특징이다.
더군다나 [[5호 전차]]와 함께 동부전선에서 조우한 [[T-34]]의 영향을 상당부 받아서 두꺼운 장갑에만 의존하는 대신 경사장갑을 채용하여 피탄에 유리한 형태를 띄게 된 것 역시 특징이다.


전차에서 가장 두껍다는 포탑 전면 장갑은 180mm에 달했고 그 중에서도 포방패가 겹치는 부분은 장갑 두께가 200mm에 근접했다.
전차에서 가장 두껍다는 포탑 전면 장갑은 180mm에 달했고 그 중에서도 포방패 부분은 장갑 두께가 200mm에 근접했다.
차체 전면도 포탑보다는 얇지만 150mm 에 달해, 티거1의 포탑 전면 수치인 110mm를 단순 두께에서 뛰어넘었고 60도의 경사장갑 구조로 되어 실 방어력은 그 이상이었다.
차체 전면도 포탑보다는 얇지만 150mm 에 달해, 티거1의 포탑 전면 수치인 110mm를 단순 두께에서 뛰어넘었고 60도의 경사장갑 구조로 되어 실 방어력은 그 이상이었다.
이런 중장갑을 뚫기 위해선 소련군 T-34/85의 85mm 주포의 경우 100m 이내까지 접근해서 사격해야만 관통이 가능했고 같은 중전차이자 맞수인 스탈린 전차(IS-2)의 122mm 주포탄을 표준 교전거리에서 방어해 내는 위력을 발휘했다.<ref>IS-2의 주포는 대전차용 보다는 진지 돌파와 보병 지원에 맞춰져 있는 편이긴 했다.</ref>
이런 중장갑을 뚫기 위해선 소련군 T-34/85의 85mm 주포의 경우 100m 이내까지 접근해서 사격해야만 관통이 가능했고 같은 중전차이자 맞수인 스탈린 전차(IS-2)의 122mm 주포탄을 표준 교전거리에서 방어해 내는 위력을 발휘했다<ref>IS-2의 주포는 대전차용 보다는 진지 돌파와 보병 지원에 맞춰져 있는 편이긴 했다.</ref>.


하지만 측면의 경우 티거1의 측면과 동일한 80mm 장갑으로 비교적 얇은 편이라, 정면 외 공격엔 비교적 취약했다.
하지만 측면의 경우 티거1의 측면과 동일한 80mm 장갑으로 비교적 얇은 편이라, 정면 외 공격엔 비교적 취약했다.
70번째 줄: 70번째 줄:
노르망디에 배치된 503 중전차 대대의 티거2는 1944년 7월 14일 노르망디 상륙을 저지하는 노르망디 전투에서 그 모습을 처음으로 드러냈으나 실전 성적은 부각되지 않았다.
노르망디에 배치된 503 중전차 대대의 티거2는 1944년 7월 14일 노르망디 상륙을 저지하는 노르망디 전투에서 그 모습을 처음으로 드러냈으나 실전 성적은 부각되지 않았다.


티거2가 동부전선에서 적 전차와 처음 교전을 벌인 것은 1944년 8월 11일로, 비스와 강 일대에서 독일군 501 중전차 대대 소속 티거2 3대가 바바노프 교두보 근교에 매복해 있던 소련군<ref>알렉산드르 오스킨의 T-34.</ref>의 T-34/85 1대에 측면 및 후면을 공격당해 모두 전파되는 수모를 겪었다.
티거2가 적 전차와 처음 교전을 벌인 것은 1944년 8월 11일로, 비스와 강 일대에서 소련군과 교전한 독일군 501 중전차 대대 소속 티거2 3대가 바바노프 교두보 근교에 매복해 있던 소련군 T-34/85 1대에 측면 및 후면을 공격당해 모두 전파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는 동부전선 배치 후 처음으로 실전 투입된 전차들이였지만, 티거2의 첫 실전 기록은 선배들과 마찬가지로 처참한 실적을 냈다.
이는 동부전선 배치 후 처음으로 실전 투입된 전차들이였지만, 티거2의 첫 실전 기록은 선배들과 마찬가지로 부진한 실적을 냈다.


이후 아르덴 대공세에서 4개의 중전차 대대에 배속된 86대의 티거2는 서부전선 최대의 기갑전에서 다수의 연합군 전차들을 상대했다
이후 아르덴 대공세에서 4개의 중전차 대대에 배속된 티거2는 서부전선 최대의 기갑전에서 악명을 떨쳤다.
그러나 진격하던 소련군 전자들을 상대로 원거리에서 매복한 채 저격을 가했던 동부전선과 달리, 전격전을 재현하겠다는 기동전에선 특유의 낮은 신뢰성과 기동성이 발목을 잡았고 기동 중 상당한 수가 돈좌되었다.  
그러나 진격하던 소련군 전자들을 상대로 원거리에서 매복한 채 격파하던 동부전선과 달리, 전격전을 재현하겠다는 기동전에선 특유의 낮은 신뢰성과 기동성이 발목을 잡았고  
또한 이렇게 퍼진 전차들은 급박한 전투 상황에서 수거하지 못하곤 유기하는 비전투 손실도 상당히 발생했다.
기동 중 상당한 수가 돈좌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제공권을 상실함에 따라 연합군의 공습이 재개되었고 연합군 항공기들에 의해 다수의 전차들이 파괴되었다.
이렇게 퍼진 전차들은 급박한 전투 상황에서 수거하지 못하곤 유기하는 비전투 손실도 상당히 발생했다.
===전쟁 말===
===전쟁 말===
==변형==
==변형==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