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게임체인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3종 ==
==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3종 ==
[[파일:Hyunmoo-2C missile was launched on a ship.png|섬네일||현무-2C 미사일이 해상에서 발사되는 장면]]
[[파일:Hyunmoo-2C_missile_was_launched_on_a_ship.png|섬네일||현무-2C 미사일이 해상에서 발사되는 장면]]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3종은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3종'은 '장사정포 킬러'로 불리우는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와 현무-2, 현무-4의 전력화가 언급되었다.<br />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3종은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3종'은 '장사정포 킬러'로 불리우는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와 현무-2, 현무-4의 전력화가 언급되었다.<br />
106번째 줄: 106번째 줄:
*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Ⅱ형
*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Ⅱ형


[[파일:Contents of Special Mission Brigade ability reinforcement business.png]]
[[파일:Contents_of_Special_Mission_Brigade_ability_reinforcement_business.png]]


특수임무여단의 능력보강 관련 사업중에선 자폭형 무인기, 특수작전무전기, 위치보고장치 사업이 언급되었다. 해당 자료는 원본 자료의 내용을 알기 쉽게 수정한 내용이다.
특수임무여단의 능력보강 관련 사업중에선 자폭형 무인기, 특수작전무전기, 위치보고장치 사업이 언급되었다. 해당 자료는 원본 자료의 내용을 알기 쉽게 수정한 내용이다.
* 블랙호넷 드론
*: 주야간 관측이 가능한 초소형 정찰드론으로써 13 특수임무여단에서 운용한다.


=== 특수임무여단 해체설 ===
=== 특수임무여단 해체설 ===
특수임무여단이 해체 수순에 들어갔으며 특수임무여단이 13 공수특전여단으로 원복되는 등 특수임무여단이 해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인터넷 상에서 돌고있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49&aid=0000155275 “참수부대도 사실상 해체”]</ref> 해당 소문에 대한 결론부터 말하면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
특수임무여단이 해체 수순에 들어갔으며 특수임무여단이 13 공수특전여단으로 원복되는 등 특수임무여단이 해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인터넷 상에서 돌고있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49&aid=0000155275 “참수부대도 사실상 해체”]</ref> 해당 소문에 대한 결론부터 말하면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


  [[파일:The budget proposal for 2019.png]]<br />
  [[파일:The_budget_proposal_for_2019.png]]<br />
  <big>2019년도 세입세출예산안사업별 설명서의 모습. 여기서 39번째 항목이 '''특임여단 능력보강'''이라고 적혀져 있다.</big>
  <big>2019년도 세입세출예산안사업별 설명서의 모습. 여기서 39번째 항목이 '''특임여단 능력보강'''이라고 적혀져 있다.</big>


  [[파일:Defense budget review report for 2019.png]]<br />
  [[파일:Defense_budget_review_report_for_2019.png]]<br />
  [[파일:Defense budget review report for 2019(2).png]]<br />
  [[파일:Defense_budget_review_report_for_2019(2).png]]<br />
  <big>국방부 소관 2019년도 예산안, 기금운용계획안, 임대형 민자사업(BTL) 한도액안 검토 보고서와(위) 2019 국방위원회<br />소관 예산안 심사보고서 자료(아래)의 모습. 해당 두 자료에선 특임여단이 언급되었다.</big>
  <big>국방부 소관 2019년도 예산안, 기금운용계획안, 임대형 민자사업(BTL) 한도액안 검토 보고서와(위) 2019 국방위원회<br />소관 예산안 심사보고서 자료(아래)의 모습. 해당 두 자료에선 특임여단이 언급되었다.</big>


143번째 줄: 140번째 줄:


==== 1월 21일에 공개된 특수임무여단 대원들 ====
==== 1월 21일에 공개된 특수임무여단 대원들 ====
[[파일:13th SMB soldiers on 21st January 2020(1).jpg]]
[[파일:13th_SMB_soldiers_on_21st_January_2020(1).jpg]]


[[파일:13th SMB soldiers on 21st January 2020(2).jpg]]
[[파일:13th_SMB_soldiers_on_21st_January_2020(2).jpg]]


[[파일:13th SMB soldiers on 21st January 2020(3).jpg]]
[[파일:13th_SMB_soldiers_on_21st_January_2020(3).jpg]]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려진 관련 사진들.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려진 관련 사진들.
156번째 줄: 153번째 줄:


=== 기타 ===
=== 기타 ===
* 13특수임무여단의 여단 특수임무대는 707, UDT/SEAL 특임대, 해병대 특수수색대 등과 함께 GPNVG-18을 운용한다.
* 해당 부대도 여단 특수임무대는 707, UDT/SEAL 특임대, 해병대 특수수색대 등과 함께 GPNVG-18을 운용한다.
* 특수임무여단의 장비를 보면 K1A 기관단총에 K2C1 소총에 장착하는 신축식 개머리판을 장착한 것을 많이 볼수 있다. 기본 지급품으로 보이는데 전군에서 가장 많이 운용하는 신축식 개머리판이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보급과 정비가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 특수임무여단의 장비를 보면 K1A 기관단총에 K2C1 소총에 장착하는 신축식 개머리판을 장착한 것을 많이 볼수 있다. 기본 지급품으로 보이는데 전군에서 가장 많이 운용하는 신축식 개머리판이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보급과 정비가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 드론봇 전투체계 ==
== 드론봇 전투체계 ==
  [[파일:ROK Army Drone Combat Unit.jpg]]
  [[파일:Dronebot_Combat_Development_Conference.jpg]]<br />
<big>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한 다수의 인사들이 드론봇 전투발전 컨퍼런스에 참석한 모습이다.</big>


[[파일:Reasons to drive the Warrior platform.jpg|500픽셀]]
[[파일:Reasons_to_drive_the_Warrior_platform.jpg|500픽셀]]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군 내부에선 육군의 향후 병력이 약 12만정도가 감축될것이라고 보고있으며 이에 따라 군에선 드론과 같은 무인전투체계에 중점을 두고있다. 중대에서부터 군단까지 다양한 제대에서 다양한 목적을 가진 소형 무인기, 민간 상용 드론 등을 활용하여 주요 표적에 대한 정찰능력 및 타격수단을 연동하는 등 드론전투단을 편성하는 것이다. 육군은 드론전투단 창설을 위해 2018년도부터 드론특기병(운용병)을 처음으로 뽑는다.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군 내부에선 육군의 향후 병력이 약 12만정도가 감축될것이라고 보고있으며 이에 따라 군에선 드론과 같은 무인전투체계에 중점을 두고있다. 중대에서부터 군단까지 다양한 제대에서 다양한 목적을 가진 소형 무인기, 민간 상용 드론 등을 활용하여 주요 표적에 대한 정찰능력 및 타격수단을 연동하는 등 드론전투단을 편성하는 것이다. 육군은 드론전투단 창설을 위해 2018년도부터 드론특기병(운용병)을 처음으로 뽑는다.


현재 2018년 9월 28일 육군 지상정보단이 창설되었으며 예하 부대로 드론봇 전투단이 있다. 드론봇 전투단은 대령이 지휘관으로 보임되며, 80여명 규모로 출범했다.
현재 2018년 9월 28일 육군 지상정보단이 창설되었으며 예하 부대로 드론봇 전투단이 있다. 드론봇 전투단은 대령이 지휘관이며 80여명 규모로 출범하였다.


드론봇은 드론+로봇의 합성어이며 육군 본부에서 처음 발표될 당시에는 드론 로봇이었지만 나중에는 드론봇으로 이름이 바뀐 것 같다.
드론봇은 드론+로봇의 합성어이며 육군 본부에서 처음 발표될 당시에는 드론 로봇이었지만 나중에는 드론봇으로 이름이 굳어진것같다.


<ref>[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93100018&ctcd=C03 <nowiki>[유용원의 밀리터리 리포트]</nowiki> 육군의 5대 게임 체인저 전쟁 판도 바꾼다]<br />
<ref>[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93100018&ctcd=C03 <nowiki>[유용원의 밀리터리 리포트]</nowiki> 육군의 5대 게임 체인저 전쟁 판도 바꾼다]<br />
180번째 줄: 178번째 줄:
[[분류:대한민국 육군]]
[[분류:대한민국 육군]]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명수 5]]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