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7번째 줄: 27번째 줄:
|비고    =  
|비고    =  
}}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발발한 전쟁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발발한 전쟁이다.
 
== 배경 ==
== 배경 ==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소비에트 연방은 동유럽을 공산화시켜 서방에 대항할 완충지대로 만들었고,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동독, 폴란드, 헝가리 등에서의 반소련 저항을 무력으로 짓밟았다.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몰락하자 동유럽 국가들은 급격한 서구화를 추진했고 결국 러시아가 노렸던 동유럽 완충지대화는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마침 러시아와 동유럽 사이에 있던 우크라이나에서 친서방 대 친러시아 대립이 격화되자 러시아는 크림 반도를 합병하고 친러시아 반군들을 8년 가까이 몰래 지원했었다. 이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완충지대화를 서방에 요구했으나 이는 당연히 거부되었고 결국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직접 침공하면서 전쟁이 발발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소비에트 연방은 동유럽을 공산화시켜 서방에 대항할 완충지대로 만들었고,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동독, 폴란드, 헝가리 등에서의 반소련 저항을 무력으로 짓밟았다.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몰락하자 동유럽 국가들은 급격한 서구화를 추진했고 결국 러시아가 노렸던 동유럽 완충지대화는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마침 러시아와 동유럽 사이에 있던 우크라이나에서 친서방 대 친러시아 대립이 격화되자 러시아는 크림 반도를 합병하고 친러시아 반군들을 8년 가까이 몰래 지원했었다. 이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완충지대화를 서방에 요구했으나 이는 당연히 거부되었고 결국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직접 침공하면서 전쟁이 발발했다.
47번째 줄: 46번째 줄:
* 2022년 5월 9일: 5월 9일 77주년 전승절을 맞이하며 승리선언 또는 전면전 선포가 있을 것이라는 몇몇 예상과는 달리 행사에 참석한 푸틴 대통령은 전쟁의 당위성을 주장하는데 그쳤다.
* 2022년 5월 9일: 5월 9일 77주년 전승절을 맞이하며 승리선언 또는 전면전 선포가 있을 것이라는 몇몇 예상과는 달리 행사에 참석한 푸틴 대통령은 전쟁의 당위성을 주장하는데 그쳤다.
* 2022년 5월 16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제2의 도시인 하르키우에서 퇴각하며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를 탈환하였다.
* 2022년 5월 16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제2의 도시인 하르키우에서 퇴각하며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를 탈환하였다.
* 2022년 11월: 러시아가 북한에게 옷을 구입하는 지경까지 되게되고 곧 겨울도 찾아오게되어 상황이 불리해졌다.
* 2022년 11월 러시아가 북한에게 옷을 구입하는 지경까지 되게되고 곧 겨울도 찾아오게되어 상황이 불리해졌다.
* 2022년 11월 11일: 헤르손 시와 헤르손 주 일부를 8개월만에 탈환했다. [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591220371994607616?t=zVEI3iWAI4qcEd3zKUSd4A&s=19 탈환 과정]
* 2022년 11월 11일: 헤르손 시를 8개월만에 탈환했다.


* 2023년 6월 24일: 바그너 그룹의 대표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러시아군으로부터 전술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를 명분으로 국경을 넘어 러시아를 공격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북진에 나선 바그너 그룹은 남부 로스토프주를 장악하고 모스크바 남부 200km 까지 진격하였고 푸틴 대통령은 강경 진압을 예고했으나 루카센코 벨라루스 대통령의 중재로 소강 국면을 맞았고 프리고진을 비롯한 반란 참여 바그너 그룹 병력들은 벨라루스로 망명을 결정했다.<ref>해당 반란의 이면에는 프리고진의 권력 다툼이 있으며 여기서 러 국방장관 세르게이 쇼이구에게 밀리고 푸틴의 신임까지 잃어가던 상황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사실상 푸틴에 대한 보복으로도 볼수 있다.</ref>
== 반응 ==
== 반응 ==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을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으며,<ref>[https://www.yna.co.kr/view/AKR20220224112400072 <nowiki>[우크라 침공] 유엔 사무총장 "푸틴, 우크라이나 침공 중단해야"</nowiki>]</ref> 프랑스와 미국 대사는 2022년 2월 25일 유엔 안보리에 결의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국,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연합은 이 공격을 도발적이고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규정했으며 러시아의 개개인, 기업 및 자산에 대한 가혹한 제재를 약속했다. 프랑스, 스페인, 일본, 이탈리아, 조지아도 이러한 공격을 비난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을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했으며,<ref>[https://www.yna.co.kr/view/AKR20220224112400072 <nowiki>[우크라 침공]</nowiki> 유엔 사무총장 "푸틴, 우크라이나 침공 중단해야"]</ref> 프랑스와 미국 대사는 2022년 2월 25일 유엔 안보리에 결의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국,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연합은 이 공격을 도발적이고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규정했으며 러시아의 개개인, 기업 및 자산에 대한 가혹한 제재를 약속했다. 프랑스, 스페인, 일본, 이탈리아, 조지아도 이러한 공격을 비난했다.


러시아의 우방국인 인도에서는 별반응이 나오지 않았다.
러시아의 우방국인 인도에서는 별반응이 나오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미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도핑 사건 때문에 [[올림픽]], [[패럴림픽]]에서 러시아 선수는 러시아의 국명, 국기, 국가를 쓰지 못하고 개인 자격으로 출전해야 하는 징계를 받고 있었는데 거기에다가 올림픽 휴전<ref>올림픽 개막 7일 전(2022년 1월 28일)부터 패럴림픽 폐막 7일 후(2022년 3월 20일)까지.</ref>을 위반했기 때문에 [[IPC]]는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러시아, 벨라루스 선수의 출전을 완전히 금지하는 더 강한 조치를 내렸다.<ref>[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3031753001 러시아·벨라루스, 동계 패럴림픽 참가 못한다]</ref> 원래는 올림픽 휴전 위반에 대한 제재 규정이 없어서 개인 자격 출전을 허용할려 했는데 거센 반발이 일어나자 바꾼 것이다. 그리고 [[IOC]]는 러시아 정부 인사에게 내려젔던 훈장을 박탈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20228182800088?input=1195m <nowiki>[우크라 침공] ​IOC "푸틴 올림픽 훈장 철회"</nowiki>]</ref>
러시아는 이미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도핑 사건 때문에 [[올림픽]], [[패럴림픽]]에서 러시아 선수는 러시아의 국명, 국기, 국가를 쓰지 못하고 개인 자격으로 출전해야 하는 징계를 받고 있었는데 거기에다가 올림픽 휴전<ref>올림픽 개막 7일 전(2022년 1월 28일)부터 패럴림픽 폐막 7일 후(2022년 3월 20일)까지.</ref>을 위반했기 때문에 [[IPC]]는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러시아, 벨라루스 선수의 출전을 완전히 금지하는 더 강한 조치를 내렸다.<ref>[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3031753001 러시아·벨라루스, 동계 패럴림픽 참가 못한다]</ref> 원래는 올림픽 휴전 위반에 대한 제재 규정이 없어서 개인 자격 출전을 허용할려 했는데 거센 반발이 일어나자 바꾼 것이다. 그리고 [[IOC]]는 러시아 정부 인사에게 내려젔던 훈장을 박탈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220228182800088?input=1195m <nowiki>[우크라 침공]</nowiki> ​IOC "푸틴 올림픽 훈장 철회"]</ref>


[[FIFA]]와 [[UEFA]]는 국가대표팀과 클럽팀 둘 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UEFA 유로파 리그]]를 포함한 국제대회에서 러시아의 출전을 금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스포츠중재재판소]]에 [https://www.news1.kr/articles/?4604452 항소]했지만 [https://www.news1.kr/articles/?4620896 기각]당했다.
[[FIFA]]와 [[UEFA]]는 국가대표팀과 클럽팀 둘 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UEFA 유로파 리그]]를 포함한 국제대회에서 러시아의 출전을 금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스포츠중재재판소]]에 [https://www.news1.kr/articles/?4604452 항소]했지만 [https://www.news1.kr/articles/?4620896 기각]당했다.
64번째 줄: 62번째 줄:
2022년 9월 후순 러시아에서 예비군 동원령이 내려지고 여러 자치공화국에서 강제동원까지 되는 중이다. 러시아에서는  징집 대상의 남성들이 동원령을 피해 주변국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항공권과 열차표가 매진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러시아 국내에서도 반전 시위가 발생하고 있다.
2022년 9월 후순 러시아에서 예비군 동원령이 내려지고 여러 자치공화국에서 강제동원까지 되는 중이다. 러시아에서는  징집 대상의 남성들이 동원령을 피해 주변국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항공권과 열차표가 매진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러시아 국내에서도 반전 시위가 발생하고 있다.


== 결과 ==
=== 중국 ===
중국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와는 거리를 두는 중이다.
 
=== 인도 ===
러시아의 우방국인 인도에서도 러시아와는 거리를 두고 있다.


== 기타 ==
== 기타 ==
73번째 줄: 75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나무위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나무위키|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