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8번째 줄: 38번째 줄:
</ref><ref>여담으로 이 과정에서 공항 격납고에 주기중이던 세계 최대의 비행기 An-225 므리야(Мрiя/꿈)가 파괴되었다. 소련 시절 우주왕복선 부란의 수송을 위해 제작된 므리야는 현존하는 유일한 기체이자 가장 거대한 비행기라는 지위를 갖고 있었으나, 당시 정비를 이유로 엔진 하나를 탈거한 상태였기에 공항을 탈출하지 못했고 결국 러시아군의 포격을 받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ref>
</ref><ref>여담으로 이 과정에서 공항 격납고에 주기중이던 세계 최대의 비행기 An-225 므리야(Мрiя/꿈)가 파괴되었다. 소련 시절 우주왕복선 부란의 수송을 위해 제작된 므리야는 현존하는 유일한 기체이자 가장 거대한 비행기라는 지위를 갖고 있었으나, 당시 정비를 이유로 엔진 하나를 탈거한 상태였기에 공항을 탈출하지 못했고 결국 러시아군의 포격을 받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ref>
*2022년 2월 26일: 밤중 우크라이나군의 완강한 저항은 예상과 달리 러시아군의 공세를 한풀 꺾이게 했으나, 키이우 남부 30km 떨어진 도시 바실키프(Баcилікв)로도 러시아군의 공격이 시작되며 압박의 수위는 높아지고 있다.<ref>[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5404577 뉴스 12 러시아군, 우크라 수도 키예프로 진격…외곽서 교전 진행 중]</ref>
*2022년 2월 26일: 밤중 우크라이나군의 완강한 저항은 예상과 달리 러시아군의 공세를 한풀 꺾이게 했으나, 키이우 남부 30km 떨어진 도시 바실키프(Баcилікв)로도 러시아군의 공격이 시작되며 압박의 수위는 높아지고 있다.<ref>[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5404577 뉴스 12 러시아군, 우크라 수도 키예프로 진격…외곽서 교전 진행 중]</ref>
*2022년 2월 27일: 키이우가 항전을 이어가는 와중에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제2 도시 하르키우(Харкiв/구 하리코프)<ref>독소전 당시 하리코프 공방전의 중심이었던 도시로 이 때문인지 대부분 러시아식 발음인 하리코프로 알려져 있다.</ref>로 진입하여 시내를 향해 진격하였고 격전 끝에 러시아군의 진격을 저지하는데 성공한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의 공격을 분쇄하였으며 하르키우의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음을 공표했다. 한편 크림 축선으로 침공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도시, 헤르손(Херхон)과 베르단스크(Бердянськ)를 공격, 포위하여 우크라이나의 해안선 장악을 시도하고 있다.<ref>[https://m.yna.co.kr/amp/view/AKR20220227044653009 우크라 침공 제2도시 하리코프 시가전…우크라 "격퇴 후 통제 회복" (종합 2보)]</ref>
*2022년 2월 27일: 키이우가 항전을 이어가는 와중에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제2 도시 하르키우(Харкiв/구 하리코프)<ref>독소전 당시 하리코프 공방전의 중심이었던 도시로 이 때문인지 대부분 러시아식 발음인 하리코프로 알려져 있다.</ref>로 진입하여 시내를 향해 진격하였고 격전 끝에 러시아군의 진격을 저지하는데 성공한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의 공격을 분쇄하였으며 하르키우의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음을 공표했다. 한편 크림 축선으로 침공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도시, 헤르손(Херхон)과 베르단스크(Бердянськ)를 공격, 포위하여 우크라이나의 해안선 장악을 시도하고 있다.<ref>[https://m.yna.co.kr/amp/view/AKR20220227044653009 우크라 침공 제2도시 하리코프 시가전…우크라 "격퇴 후 통제 회복" (종합 2보)]</ref><br/>
*: 이 같은 우크라이나의 항전은, 당초 속전속결로 우크라이나를 장악하려던 푸틴의 계획에 차질을 빚게 하고 있으며 생존한 우크라이나군의 항공력과 예상보다 굳건한 방공쳬계의 활약으로 초기 목표인 제공권 장악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을 상대로 우세한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있으며 개전 첫날부터 이미 상당수의 회전익기와 항공기들이 격추당하는 등,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지 못한 채 지속적인 피해<ref>https://youtu.be/IVrKmz8TjPc 키이우 인근, 드니프로강 상공에서 러시아 지상군의 Mi-8을 격추시키는 영상이다.</ref>를 강요받고 있다. 더군다나 동시 다발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침공한 러시아군은 장기화되는 전황으로 보급 능력의 한계를 보이고 있고 군 장비들을 유기하는 모습으로 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ref>[https://amp/s/m.mk.co.kr/news/world/view-amp/2022/02/186340/ "예상보다 거센 저항에 러, 군수물자 보급이 약점"]</ref>
이 같은 우크라이나의 항전은, 당초 속전속결로 우크라이나를 장악하려던 푸틴의 계획에 차질을 빚게 하고 있으며 생존한 우크라이나군의 항공력과 예상보다 굳건한 방공쳬계의 활약으로 초기 목표인 제공권 장악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을 상대로 우세한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있으며 개전 첫날부터 이미 상당수의 회전익기와 항공기들이 격추당하는 등,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지 못한 채 지속적인 피해<ref>https://youtu.be/IVrKmz8TjPc 키이우 인근, 드니프로강 상공에서 러시아 지상군의 Mi-8을 격추시키는 영상이다.</ref>를 강요받고 있다. 더군다나 동시 다발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침공한 러시아군은 장기화되는 전황으로 보급 능력의 한계를 보이고 있고 군 장비들을 유기하는 모습으로 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ref>[https://amp/s/m.mk.co.kr/news/world/view-amp/2022/02/186340/ "예상보다 거센 저항에 러, 군수물자 보급이 약점"]</ref>
*2022년 2월 28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휴전 협상이 전쟁 발발 후 처음으로 진행되었다. 양 측의 국가 지도자는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 우크라이나 대표단과 러시아 대표단은 우크라이나와 접경한 벨라루스의 고멜(Гомель)주 에서 회담을 가졌지만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를 요구하는 러시아의 입장과 즉각적인 휴전 및 철군 입장을 고수하는 우크라이나의 입장 차이로 회담 결과는 불투명해 보인다. 그래도 5시간의 회담 끝에 다음 협상 일정을 논의하는 등, 파탄 대신 최소한의 접점은 찾은 모양이며 러시아 대표단은 며칠 내 협상을 재개할 의사를 내비쳤다.<ref>[https://m.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2282012001#c2b 러·우크라, 침공 닷새 만에 첫 휴전 협상 개시]</ref><ref>[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45880_35681.html 러시아·우크라 협상 5시간만에 종료]</ref>
*2022년 2월 28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휴전 협상이 전쟁 발발 후 처음으로 진행되었다. 양 측의 국가 지도자는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 우크라이나 대표단과 러시아 대표단은 우크라이나와 접경한 벨라루스의 고멜(Гомель)주 에서 회담을 가졌지만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를 요구하는 러시아의 입장과 즉각적인 휴전 및 철군 입장을 고수하는 우크라이나의 입장 차이로 회담 결과는 불투명해 보인다. 그래도 5시간의 회담 끝에 다음 협상 일정을 논의하는 등, 파탄 대신 최소한의 접점은 찾은 모양이며 러시아 대표단은 며칠 내 협상을 재개할 의사를 내비쳤다.<ref>[https://m.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2282012001#c2b 러·우크라, 침공 닷새 만에 첫 휴전 협상 개시]</ref><ref>[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45880_35681.html 러시아·우크라 협상 5시간만에 종료]</ref>
*2022년 3월 2일: 키이우를 향한 러시아군의 대규모 병력 이동이 위성에 의해 확인됨에 따라 수도 공략을 위한 대대적인 군사 행동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크림 축선의 러시아군은 결국 헤르손을 점령하였다. 또한 그동안 자국의 손실을 부정하던 러시아가 처음으로 498명이 전사하고 약 1,500이 부상당했다고 밝히며 손실이 있었음을 인정하였다.
*2022년 3월 2일: 키이우를 향한 러시아군의 대규모 병력 이동이 위성에 의해 확인됨에 따라 수도 공략을 위한 대대적인 군사 행동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크림 축선의 러시아군은 결국 헤르손을 점령하였다. 또한 그동안 자국의 손실을 부정하던 러시아가 처음으로 498명이 전사하고 약 1,500이 부상당했다고 밝히며 손실이 있었음을 인정하였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