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스포츠 대회 정보
{{스포츠 이전다음
|대회이름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대회 = 동계 올림픽
|원어이름 = 2018 Winter Paralympics
| 이전대회 = 2014 소치 동계패럴림픽
|로고    = [[파일:The PyeongChang 2018 Paralympic Winter Games Emblem.svg]]
| 현재대회 =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종목    = 6개 종목, 80개 세부 종목
| 다음대회 =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시작년도 =  
| 이전 = 소치 2014
|종료년도 =  
| 현재 = 평창 2018
|다른이름 =
| 다음 = 베이징 2022
|주최    =
|개최지  = {{나라|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
|개최주기 =  
|일정    = 2018년 3월 9일 ~ 2018년 3월 18일
|참가    = 49 국가, 590 선수
|경기    =
|등급    =
|상위대회 =
|하위대회 =
|이전대회 = [[2014 소치 동계패럴림픽|2014 소치]] (겨울)<br />[[2020 도쿄 패럴림픽|2020 도쿄]] (여름)
|이후대회 =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2022 베이징]] (겨울)<br />[[2024 파리 패럴림픽|2024 파리]] (여름)
|웹사이트 =
|비고    =
}}
}}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영어|2018 Winter Paralympics}}, {{영어=|XII Paralympic Winter Games}})은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에서 [[2018년]] [[3월 9일]]부터 [[3월 18일]]까지 개최된 패럴림픽이다. [[패럴림픽]]은 척수 장애, 절단 및 기타 장애, 시각 장애, 뇌병변 장애가 있는 국가 대표 선수들을 위한 장애인 동계 올림픽으로 [[평창군]]과 [[강릉시]], [[정선군]] 일대의 주요 경기장에서 경기를 개최하게 된다. 이와 비슷한 국제 대회로는 2013년에 열린 [[지적 장애인]]들을 위한 [[2013년 동계 스페셜 올림픽]]이 있다.
{{패럴림픽 정보
|연도=2018
|종류=동계
|로고=
|로고크기=
|그림=
|대회=제12회 동계 패럴림픽 경기 대회
|개최국=[[대한민국]]
|개최도시=[[평창군|평창]]
|모토=하나된 열정
|모토 영어=Passion. Connected.
|참가국=49
|참가선수=
|남자선수=
|여자선수=
|임원=
|종목=5
|세부종목=80
|개막식=2018년 3월 9일
|폐막식=2018년 3월 18일
|개회 선언=[[문재인]] 대통령
|선수 선서=
|심판 선서=
|성화 점화=서순석, [[김은정 (컬링 선수)|김은정]]
|주경기장=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
{{공식 웹사이트|https://www.pyeongchang2018.com/ko/paralympics/index}}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llang|en|2018 Winter Paralympics}}, {{lang|en|XII Paralympic Winter Games}})은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에서 [[2018년]] [[3월 9일]]부터 [[3월 18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패럴림픽]]은 척수 장애, 절단 및 기타 장애, 시각 장애, 뇌병변 장애가 있는 국가 대표 선수들을 위한 장애인 동계 올림픽으로 [[평창군]]과 [[강릉시]], [[정선군]] 일대의 주요 경기장에서 경기를 개최하게 된다. 이와 비슷한 국제 대회로는 2013년에 열린 [[지적 장애인]]들을 위한 [[2013년 동계 스페셜 올림픽]]이 있다.


== 상징물 ==
== 상징물 ==
44번째 줄: 59번째 줄:
2017년 3월 13일 이전까지 '''대한민국 방송사들은 개최국 방송사으로서의 본분을 다하지 않았고 수신료의 가치를 져버렸다.'''
2017년 3월 13일 이전까지 '''대한민국 방송사들은 개최국 방송사으로서의 본분을 다하지 않았고 수신료의 가치를 져버렸다.'''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중계방송 시간이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 시간인 62시간보다 짧은 18시간 정도만 편성되여 논란이 있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pc2018/news/read.nhn?oid=076&aid=0003224102 '일본TV 62시간, 한국TV 18시간' 평창패럴림픽 개최국 중계 실화?],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ref> 특히 3월 11일에는 [[신의현]] 선수가 동메달을 딴 날인데도 TV중계가 아예 없었다. 이와 관련된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63949 청와대 청원글]이 올라왔다. 예전의 패럴림픽보다 중계가 늘어났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패럴림픽이 열리는 건 매우 드문 기회이기 때문에 통 크게 중계시간을 늘렸어야 했다.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중계방송 시간이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 시간인 62시간보다 짧은 18시간 정도만 편성되여 논란이 있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pc2018/news/read.nhn?oid=076&aid=0003224102 '일본TV 62시간, 한국TV 18시간' 평창패럴림픽 개최국 중계 실화?],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ref> 특히 3월 11일에는 [[신의현]] 선수가 동메달을 딴 날인데도 TV중계가 아예 없었다. 이와 관련된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63949 청와대 청원글]이 올라왔다. 예전의 패럴림픽보다 중계가 늘어났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패럴림픽이 열리는 건 매우 드문 기회이기 때문에 통 크게 중계시간을 늘렸어야 했다.  


아이스하키의 [[한민수]] 선수, 크로스컨트리의 신의현 선수 등 출전 선수들도 중계를 늘려달라고 할 정도.<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9951982 장애인아이스하키 주장 한민수 "체코전 중계 안돼 마음 아파"], 연합뉴스 김경윤 기자</ref><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81&aid=0002899070 평창올림픽은 중계 ‘경쟁’ 패럴림픽은 ‘잠잠’…신의현의 부탁], 서울신문 김유민 기자</ref>
아이스하키의 [[한민수]] 선수, 크로스컨트리의 신의현 선수 등 출전 선수들도 중계를 늘려달라고 할 정도.<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9951982 장애인아이스하키 주장 한민수 "체코전 중계 안돼 마음 아파"], 연합뉴스 김경윤 기자</ref><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81&aid=0002899070 평창올림픽은 중계 ‘경쟁’ 패럴림픽은 ‘잠잠’…신의현의 부탁], 서울신문 김유민 기자</ref>
58번째 줄: 73번째 줄:
개회식 중계는 3사가 모두 다 했다. 폐회식은 KBS1만 중계할려다가 나중에 SBS, MBC도 중계하기로 결정했다.
개회식 중계는 3사가 모두 다 했다. 폐회식은 KBS1만 중계할려다가 나중에 SBS, MBC도 중계하기로 결정했다.


올림픽 중계방송 때 수화 통역이 없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서 이번에는 개, 폐회식, 경기마다 수화 통역이 있었다.
올림픽 중계방송 때 수화 통역이 없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서 이번에는 개, 폐회식, 경기마다 수화 통역이 있었다.  
 
== 대회 진행 ==
== 대회 진행 ==
{{참고|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진행}}
{{참고|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진행}}


=== 개회식 ===
=== 개회식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폐회식 연출보다는 잘 연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도 남북이 공동 입장할려고 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02/0200000000AKR20180202186800007.HTML "남북, 평창패럴림픽 개폐회식 공동 입장"…IPC 공식발표], 연합뉴스 김경윤 기자</ref>


==== 선수단 입장 ====
하지만 북한은 [[한반도기]]에 [[독도]]를 넣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남한의 [[대한장애인체육회]]는 반대했기 때문에 공동 입장이 무산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9945210 남북, 한반도기 '독도 표기' 이견으로 패럴림픽 공동입장 무산(종합)], 연합뉴스 이동칠 기자</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9945250 패럴림픽 첫 남북 공동입장 막은 '독도 표기 딜레마'], 연합뉴스 이동칠 기자</ref> 누리꾼들은 "웬일로 북한이 맞는 말을 했네.", "남한은 북한보다 못하네"와 같이 독도기 우리땅인데도 독도 표시를 반대한 남한 측의 입장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도 남북이 공동 입장하고자 하였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02/0200000000AKR20180202186800007.HTML "남북, 평창패럴림픽 개폐회식 공동 입장"…IPC 공식발표], 연합뉴스 김경윤 기자</ref>


하지만 북한은 [[한반도기]][[독도]]를 넣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남한의 [[대한장애인체육회]]는 반대했기 때문에 공동 입장이 무산됐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9945210 남북, 한반도기 '독도 표기' 이견으로 패럴림픽 공동입장 무산(종합)], 연합뉴스 이동칠 기자</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9945250 패럴림픽 첫 남북 공동입장 막은 '독도 표기 딜레마'], 연합뉴스 이동칠 기자</ref> 누리꾼들은 "웬일로 북한이 맞는 말을 했네.", "남한은 북한보다 못하네"와 같이 독도기 우리땅인데도 독도 표시를 반대한 남한 측의 입장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폐회식 연출보다는 잘 연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소향]][[조수미]]의 주제곡(Here as ONE) 공연은 평가가 엇갈렸던 올림픽 개회식의 Imagine 공연보다 더 낫다는 평가를 받았다.


==== 성화 점화 ====
==== 성화 점화 ====
아이스 하키의 주장 한민수가 토치를 받은 이후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시도하지 않은, 성화대에 올라가는 계단을 내렸다. 사실 한민수는 계단을 오르기에는 불편하고, 대신에 로프를 매달고 있었기에 그것을 타고 성화대 근처까지 올라갔다. 이후 점화대 뒤에서 기다렸던 은메달 수상을 받은 것으로 소개되었지만 실제로는 동메달리스트인 이번 대회의 휠체어 컬링 스킵인 서순석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 여자|여자 컬링]] 스킵인 [[김은정 (컬링 선수)|김은정]]이 나타났다. 이때 김은정은 성화를 점화하기 전에 [[김영미 (컬링 선수)|영미!]]를 외쳤다. 이후 두 명이 점화대에 점화를 시도하였으나 폭죽이 터지고 나서 성화대에 점화되었다.
아이스 하키의 주장 한민수가 토치를 받은 이후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시도하지 않은, 성화대에 올라가는 계단을 내렸다. 사실 한민수는 계단을 오르기에는 불편하고, 대신에 로프를 매달고 있었기에 그것을 타고 성화대 근처까지 올라갔다. 이후 점화대 뒤에서 기다렸던 은메달 수상을 받은 것으로 소개되었지만 실제로는 동메달리스트인 이번 대회의 휠체어 컬링 스킵인 서순석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컬링 여자|여자 컬링]] 스킵인 [[김은정 (컬링 선수)|김은정]]이 나타났다. 이때 김은정은 성화를 점화하기 전에 [[김영미 (컬링 선수)|영미!]]를 외쳤다. 이후 두 명이 점화대에 점화를 시도하였으나 폭죽이 터지고 나서 성화대에 점화되었다.
==== 평창 하모니 ====
[[소향]]과 [[조수미]]의 주제곡(Here as ONE) 공연은 평가가 엇갈렸던 올림픽 개회식의 Imagine 공연보다 더 낫다는 평가를 받았다.
{{ㅊ|평창 나이트 시즌2}}<br />
[[클론]]을 초빙해 휠체어 댄스를 선보였으며, 일원이었던 [[구준엽]](DJ KOO)은 국악을 리믹스한 음원<ref>사운드클라우드 [https://soundcloud.com/djkoo/djkooremix 민요(쾌지나칭칭,강강술래,옹헤야,사설난봉가) - DJKOOREMIX]</ref>을 들려줘 흥을 냈다.


=== 폐회식 ===
=== 폐회식 ===
==== 황연대 성취상 시상 ====
황연대 성취상이 제정되고 그동안 수상한지 30년이 되어서 황연대가 황연대 극복상 당시에 수여받은 한국인에게 이를 기리는 메달을 수여받았다.
==== 행복, 피어나다 ====
배희관 밴드가 먼저 공연을 했다. 이후 [[에일리]]가 나와서 [[보여줄게]]를 부른 다음 배희관 밴드와 그녀가 [[그대에게]]를 불렀다.
=== 메달 집계 ===
=== 메달 집계 ===
{{범례2|#ccf|주최국 (대한민국)|border=solid 1px #AAAAAA}}
{{범례2|#ccf|주최국 (대한민국)|border=solid 1px #AAAAAA}}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패럴림픽 메달 집계 시작|2018년 동계 패럴림픽}}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 1 || align=left| {{깃발|미국}}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미국 선수단|미국]] || 12 || 15 || 8 || 35
| 1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USA|2018|동계}} || 12 || 15 || 8 || 35
|-
|-
| 2 || align=left| {{깃발|패럴림픽}}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중립 선수단|중립]] || 8 || 10 || 6 || 24
| 2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NPA|2018|동계}} || 8 || 10 || 6 || 24
|-
|-
| 3 || align=left| {{깃발|캐나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캐나다 선수단|캐나다]] || 8 || 1 || 15 || 24
| 3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CAN|2018|동계}} || 8 || 1 || 15 || 24
|-
|-
| 4 || align=left| {{깃발|독일}}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독일 선수단|독일]] || 6 || 8 || 2 || 16
| 4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GER|2018|동계}} || 6 || 8 || 2 || 16
|-
|-
| 5 || align=left| {{깃발|우크라이나}}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우크라이나 선수단|우크라이나]] || 6 || 7 || 8 || 21
| 5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UKR|2018|동계}} || 6 || 7 || 8 || 21
|-
|-
| 6 || align=left| {{깃발|슬로바키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슬로바키아 선수단|슬로바키아]] || 6 || 3 || 1 || 10
| 6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SVK|2018|동계}} || 6 || 3 || 1 || 10
|-
|-
| 7 || align=left| {{깃발|프랑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프랑스 선수단|프랑스]] || 5 || 8 || 5 || 18
| 7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FRA|2018|동계}} || 5 || 8 || 5 || 18
|-
|-
| 8 || align=left| {{깃발|벨라루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벨라루스 선수단|벨라루스]] || 4 || 4 || 4 || 12
| 8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BLR|2018|동계}} || 4 || 4 || 4 || 12
|-
|-
| 9 || align=left| {{깃발|일본}}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일본 선수단|일본]] || 3 || 3 || 3 || 9
| 9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JPN|2018|동계}} || 3 || 3 || 3 || 9
|-
|-
| 10 || align=left| {{깃발|네덜란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네덜란드 선수단|네덜란드]] || 3 || 3 || 1 || 7
| 10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NED|2018|동계}} || 3 || 3 || 1 || 7
|-
|-
| 11 || align=left| {{깃발|스위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스위스 선수단|스위스]] || 3 || 0 || 0 || 3
| 11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SUI|2018|동계}} || 3 || 0 || 0 || 3
|-
|-
| 12 || align=left| {{깃발|이탈리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이탈리아 선수단|이탈리아]] || 2 || 2 || 1 || 5
| 12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ITA|2018|동계}} || 2 || 2 || 1 || 5
|-
|-
| 13 || align=left| {{깃발|노르웨이}}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노르웨이 선수단|노르웨이]] || 1 || 2 || 4 || 7
| 13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NOR|2018|동계}} || 1 || 2 || 4 || 7
|-
|-
| 14 || align=left| {{깃발|호주}}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호주 선수단|호주]] || 1 || 0 || 3 || 4
| 14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AUS|2018|동계}} || 1 || 0 || 3 || 4
|- bgcolor=#ccccff
|- bgcolor=#ccccff
| 15 || align=left| {{깃발|대한민국}}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대한민국 선수단|대한민국]] || 1 || 0 || 2 || 3
| 15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KOR|2018|동계}} || 1 || 0 || 2 || 3
|-
|-
| 15 || align=left| {{깃발|핀란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핀란드 선수단|핀란드]] || 1 || 0 || 2 || 3
| 15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FIN|2018|동계}} || 1 || 0 || 2 || 3
|-
|-
| 15 || align=left| {{깃발|뉴질랜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뉴질랜드 선수단|뉴질랜드]] || 1 || 0 || 2 || 3
| 15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NZL|2018|동계}} || 1 || 0 || 2 || 3
|-
|-
| 18 || align=left| {{깃발|크로아티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크로아티아 선수단|크로아티아]] || 1 || 0 || 1 || 2
| 18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CRO|2018|동계}} || 1 || 0 || 1 || 2
|-
|-
| 19 || align=left| {{깃발|중국}}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중국 선수단|중국]] || 1 || 0 || 0 || 1
| 19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CHN|2018|동계}} || 1 || 0 || 0 || 1
|-
|-
| 19 || align=left| {{깃발|카자흐스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카자흐스탄 선수단|카자흐스탄]] || 1 || 0 || 0 || 1
| 19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KAZ|2018|동계}} || 1 || 0 || 0 || 1
|-
|-
| 21 || align=left| {{깃발|영국}}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영국 선수단|영국]] || 0 || 4 || 1 || 5
| 21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GBR|2018|동계}} || 0 || 4 || 1 || 5
|-
|-
| 22 || align=left| {{깃발|오스트리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오스트리아 선수단|오스트리아]] || 0 || 2 || 4 || 6
| 22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AUT|2018|동계}} || 0 || 2 || 4 || 6
|-
|-
| 23 || align=left| {{깃발|스페인}}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스페인 선수단|스페인]] || 0 || 1 || 1 || 2
| 23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ESP|2018|동계}} || 0 || 1 || 1 || 2
|-
|-
| 24 || align=left| {{깃발|스웨덴}}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스웨덴 선수단|스웨덴]] || 0 || 1 || 0 || 1
| 24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SWE|2018|동계}} || 0 || 1 || 0 || 1
|-
|-
| 25 || align=left| {{깃발|벨기에}}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벨기에 선수단|벨기에]] || 0 || 0 || 1 || 1
| 25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BEL|2018|동계}} || 0 || 0 || 1 || 1
|-
|-
| 25 || align=left| {{깃발|폴란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폴란드 선수단|폴란드]] || 0 || 0 || 1 || 1
| 25 || align=left| {{패럴림픽 국기|POL|2018|동계}} || 0 || 0 || 1 || 1
|- class="sortbottom"
|- class="sortbottom"
!colspan=2| 합계 || 74 || 74 || 76 || 224
!colspan=2| 합계 || 74 || 74 || 76 || 224
170번째 줄: 165번째 줄:


== 기타 ==
== 기타 ==
*러시아 선수는 개인 자격으로 패럴림픽 중립 선수단(NPA)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국가가 아니라 [[아지토스]] 마크를 달고 출전한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277&aid=0003817421 '집단도핑 파문' 러시아, 평창 패럴림픽 출전도 막혀], 아시아경제 이윤화 인턴기자</ref>
*러시아 선수는 개인 자격으로 패럴림픽 중립 선수단(NPA)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국가가 아니라 [[아지토스]] 마크를 달고 출전한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277&aid=0003817421 '집단도핑 파문' 러시아, 평창 패럴림픽 출전도 막혀], 아시아경제 이윤화 인턴기자</ref>  
*네이버 스포츠의 [http://sports.news.naver.com/pc2018/index.nhn 올림픽 특설 페이지]에는 한국 선수가 나오는 경기 일정, 결과만 보여주는 기능이 있는 일정, 결과 탭이 있었지만 [http://m.sports.naver.com/pcp2018/index.nhn 패럴림픽 특설 페이지]<ref>모바일 버전만 제공된다.</ref>에는 일정, 결과 탭이 없고 일정에 대해서는 조직위 링크만 달아놓고 끝이다. 이 때문에 한국 선수가 나오는 경기 일정, 결과만 찾는 게 어렵다.
 
== 같이 보기 ==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https://www.pyeongchang2018.com/ko/paralympics/index}}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3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