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메아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비고    = 24시간 방송 (주파수별 정파시간 상이)<br /><del>7535㎑ 제외한 </del>전 주파수에 방해전파 있음 (남한 자체 방해전파 포함) <!-- TODO: 756㎑ 팀킬여부 재확인 후 추가, 7535㎑ RFA 팀킬 (7540㎑) 기재방법 연구, 정파시간 기재 -->
|비고    = 24시간 방송 (주파수별 정파시간 상이)<br /><del>7535㎑ 제외한 </del>전 주파수에 방해전파 있음 (남한 자체 방해전파 포함) <!-- TODO: 756㎑ 팀킬여부 재확인 후 추가, 7535㎑ RFA 팀킬 (7540㎑) 기재방법 연구, 정파시간 기재 -->
}}
}}
'''VOH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해외동포총연합'이라는 정체불명의 주체가 [[대한민국]] 및 외국의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송출하는 [[위키백과:해적방송|해적방송]] ([[위키백과:지하방송|지하방송]])이자 [[단파방송]]...이지만, [[위키백과:데 팍토|사실상]] [[대한민국]]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송출 주체인 [[대북방송]]이라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ref>다른 의혹들은 다 집어치우고 일단 이 방송을 송출하는 시설부터가 남한 영토 안에 있다. ([https://www.cartogiraffe.com/%EB%8C%80%ED%95%9C%EB%AF%BC%EA%B5%AD/%EA%B2%BD%EA%B8%B0%EB%8F%84/%EA%B3%A0%EC%96%91%EC%8B%9C/%EB%8D%95%EC%96%91%EA%B5%AC/%EB%8C%80%EB%8D%95%EB%8F%99/%EB%8C%80%EB%B6%81%EB%B0%A9%EC%86%A1+%27%EC%9D%B8%EB%AF%BC%EC%9D%98+%EC%86%8C%EB%A6%AC%27+%EB%8B%A8%ED%8C%8C+%EC%86%A1%EC%8B%A0%EC%86%8C+++%EB%B0%A9%ED%95%B4%EC%A0%84%ED%8C%8C+%EC%A4%91%ED%8C%8C%ED%83%91/ #])(...)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도 비록 민간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이긴 했어도 희망의 메아리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대북방송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08152022165033.html #])</ref> 그러나 국가정보원이 공식적으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데다 해당 송출시설 및 주파수가 전파관리소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송출 주체에 대해 더 이상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VOH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해외동포총연합'이라는 정체불명의 주체가 [[대한민국]] 및 외국의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송출하는 [[위키백과:해적방송|해적방송]] ([[위키백과:지하방송|지하방송]])이자 [[단파방송]]...이지만, [[wikipedia:데 팍토|사실상]] [[대한민국]]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송출 주체인 [[대북방송]]이라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ref>다른 의혹들은 다 집어치우고 일단 이 방송을 송출하는 시설부터가 남한 영토 안에 있다. ([https://www.cartogiraffe.com/%EB%8C%80%ED%95%9C%EB%AF%BC%EA%B5%AD/%EA%B2%BD%EA%B8%B0%EB%8F%84/%EA%B3%A0%EC%96%91%EC%8B%9C/%EB%8D%95%EC%96%91%EA%B5%AC/%EB%8C%80%EB%8D%95%EB%8F%99/%EB%8C%80%EB%B6%81%EB%B0%A9%EC%86%A1+%27%EC%9D%B8%EB%AF%BC%EC%9D%98+%EC%86%8C%EB%A6%AC%27+%EB%8B%A8%ED%8C%8C+%EC%86%A1%EC%8B%A0%EC%86%8C+++%EB%B0%A9%ED%95%B4%EC%A0%84%ED%8C%8C+%EC%A4%91%ED%8C%8C%ED%83%91/ #])(...)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도 비록 민간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이긴 했어도 희망의 메아리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대북방송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08152022165033.html #])</ref> 그러나 국가정보원이 공식적으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데다 해당 송출시설 및 주파수가 전파관리소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송출 주체에 대해 더 이상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 특징 ==
== 특징 ==
방해전파가 강력한 데다 단파로만 방송하여 이북에서 일반 인민들이 듣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중파나 초단파 FM으로 쏘는 대북방송, 혹은 심지어 KBS TV방송<ref>[[위키백과:PAL|PAL]] 방식 (색상 표현은 [[위키백과:SÉCAM|SÉCAM]]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아날로그 및 DVB 방식 디지털로 초강출력으로 송출하는데, 전파 혼신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북방송의 성격 상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도 무작위로 송출한다고 한다. 일단 황해남도 정도에서는 실제로 수신이 가능하다.</ref>을 수신하는 게 더 현실적일 정도라서, 단파라디오를 예전부터 소지해왔거나 장마당에서 구입한 뒤 지금까지 단속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수신할 수 있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주 청취자는 북한 관내외의 정보기관, 북한 영내에 비해 단파라디오를 입수하기 쉬운 편인 국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 그리고 그 노동자들을 감독하고 외화를 벌어다 바쳐야 하는 북한 회사들의 인원들 및 외교관들 정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방해전파가 강력한 데다 단파로만 방송하여 이북에서 일반 인민들이 듣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중파나 초단파 FM으로 쏘는 대북방송, 혹은 심지어 KBS TV방송<ref>[[wikipedia:ko:PAL|PAL]] 방식 (색상 표현은 [[wikipedia:ko:SÉCAM|SÉCAM]]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아날로그 및 DVB 방식 디지털로 초강출력으로 송출하는데, 전파 혼신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북방송의 성격 상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도 무작위로 송출한다고 한다. 일단 황해남도 정도에서는 실제로 수신이 가능하다.</ref>을 수신하는 게 더 현실적일 정도라서, 단파라디오를 예전부터 소지해왔거나 장마당에서 구입한 뒤 지금까지 단속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수신할 수 있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주 청취자는 북한 관내외의 정보기관, 북한 영내에 비해 단파라디오를 입수하기 쉬운 편인 국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 그리고 그 노동자들을 감독하고 외화를 벌어다 바쳐야 하는 북한 회사들의 인원들 및 외교관들 정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34번째 줄: 34번째 줄:
2023년 3분기 즈음부터 4시간 단위에서 3시간 단위로 반복간격이 변경되었으며, 새로 생긴 프로그램도 있긴 하지만 많은 기존 프로그램들이 (특히 [[유튜브]]에서 끌어다 온 것들은 하나 빼고 전부 다) 숙청당했고, 선전선동 멘트도 바뀌었다. 이 때부터 1시간 당 약 1초씩 밀리기 시작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매일 자정에는 음악방송시간을 강제로 자르면서 정각에 진행하도록 한다는 것...
2023년 3분기 즈음부터 4시간 단위에서 3시간 단위로 반복간격이 변경되었으며, 새로 생긴 프로그램도 있긴 하지만 많은 기존 프로그램들이 (특히 [[유튜브]]에서 끌어다 온 것들은 하나 빼고 전부 다) 숙청당했고, 선전선동 멘트도 바뀌었다. 이 때부터 1시간 당 약 1초씩 밀리기 시작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매일 자정에는 음악방송시간을 강제로 자르면서 정각에 진행하도록 한다는 것...


2023년 10월 16일부터 4시간 단위 반복 편성으로 환원되었다. 그러다가 뭐가 마음에 안 든 것인지 11월 경부터 또 편성이 살짝 꼬이기 시작했다.
2023년 10월 16일부터 4시간 단위 반복 편성으로 환원되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84번째 줄: 84번째 줄: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2022년까지 메인 아나운서였던 목소리. 성우 [[구자형]]과 왠지 음색이 비슷하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성우 [[구자형]]과 왠지 음색이 비슷하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최준영''' 이라고 알려진 아나운서 겸 논설위원 겸 해설자. 2023년 기준 '해외동포 논단'과 지구촌 리포트, 위클리 매거진에 나온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최준영''' 또는 '''최준형'''이라고 알려진 아나운서 겸 논설위원 겸 해설자. 편집일 기준 '해외동포 논단'과 지구촌 리포트에 나온다.
* '''남성 해설자''' (이하 '''남3'''):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김진'''이라고 알려진 해설자. 언젠가부터 이 방송에는 나오지 않고 중파 방송으로 자리를 옮긴 듯하다.
* '''남성 해설자''' (이하 '''남3'''):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김진'''이라고 알려진 해설자. 언젠가부터 이 방송에는 나오지 않고 중파 방송으로 자리를 옮긴 듯하다.
* '''남성 TTS''' (이하 '''남4'''): 2023년 9월 23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남성 TTS''' (이하 '''남4'''): 2023년 9월 23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남성 아나운서 3''' (이하 '''남5'''): 2024년 2월 4일 청취 시 존재 확인. 2024년경 들어서 갑툭튀한 목소리. 정황 상 [[자유FM]]의 남1과 거의 동일인인 듯하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지구촌 리포트'에서 자신을 '''윤수영'''이라고 소개했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2022년까지 메인 아나운서였던 목소리. '지구촌 리포트'에서 자신을 '''윤수영'''이라고 소개했다.
* '''여성 TTS 1''' (이하 '''여2'''): 일기예보 진행 및 프로그램명 고지 시 이외에는 안 나오는 목소리로, [[TTS]]이다. 실제 생목소리로 녹음하거나 과거에 미리 녹음해둔 음원을 짜집기한 오디오가 아닌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억양이나 문장 이음이 어색하다.
* '''여성 TTS 1''' (이하 '''여2'''): 일기예보 진행 및 프로그램명 고지 시 이외에는 안 나오는 목소리로, [[TTS]]이다. 실제 생목소리로 녹음하거나 과거에 미리 녹음해둔 음원을 짜집기한 오디오가 아닌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억양이나 문장 이음이 어색하다.
* '''여성 TTS 2''' (이하 '''여3'''): 2023년 9월 30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여성 TTS 2''' (이하 '''여3'''): 2023년 9월 30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95번째 줄: 94번째 줄:
* '''여성 해설자''' (이하 '''여5'''): 여2의 목소리의 원본이 되는 아나운서. 숨소리나 억양의 차이가 있는 걸 보면 분명 사람인데, 여2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오니 대단히 낯설게 느껴진다.
* '''여성 해설자''' (이하 '''여5'''): 여2의 목소리의 원본이 되는 아나운서. 숨소리나 억양의 차이가 있는 걸 보면 분명 사람인데, 여2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오니 대단히 낯설게 느껴진다.


위의 출연진 중 몇몇은 [[자유코리아방송]], [[케이뉴스]] 등에서도 활동한다.{{출처 필요}}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위의 출연진 중 몇몇은{{출처 필요}} 중파 756㎑ 대북방송에서도 활동한다.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 인터벌 시그널 ===
=== 인터벌 시그널 ===
{{인용문|꿈과 희망을 드리는 희망의 메아리 방송입니다. V O H.|여성 아나운서 1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1).wav|#]]) 또는 여성 TTS 1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2).wav|#]])<ref>'V'를 한글 발음처럼 'Bㅢ'라고 읽는다.</ref> 또는 여성 아나운서 2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3).wav|#]])‎ 또는 남성 TTS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4).wav|#]])<ref>VOH 부분의 억양이 사람의 억양이 아니다.</ref>}}
{{인용문|꿈과 희망을 드리는 희망의 메아리 방송입니다. V O H.|여성 아나운서 2 또는 여성 TTS 2 또는 남성 TTS}}
<!-- TODO: 그래서 여2는 여5랑 합칩니까 맙니까? 0시에 여1 맞아요? 여4라고 했는데 알고보니 TTS였을 확률은? -->
 
시간대별로 낭독자가 다르다. 여1은 0시 (1·2부), 여2는 매 1시 (3·4부), 여4는 매 2시 (5·6부), 남4는 매 3시 (7·8부).
시간대별로 낭독자가 다르다. 여4는 0시와 2시 (1·2부와 5·6부), 여3은 매 1시 (3·4부), 남4는 매 3시 (7·8부).


==== <del>購 인터벌 시그널 ('세계를 듣는 방송')</del> ====
==== <del>購 인터벌 시그널 ('세계를 듣는 방송')</del> ====
109번째 줄: 108번째 줄:
=== 오늘의 소식 ===
=== 오늘의 소식 ===
* 오프닝: 남1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남2, 여1, 여2 中 1인 → 여3 또는 여4 → 무작위
* 진행: 남1, 남2, 여1, 여2 中 1인 → 여3 또는 여4
* 배치: 매 짝수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배치: 매 짝수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115번째 줄: 114번째 줄:
원칙적으로는 매일 녹음하는 뉴스로, 아나운서 1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좔좔좔 읊는 방식인데, 마치 국내외에 특파원이 있어서 취재를 한 것처럼 해당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국가의 수도 또는 주요 도시의 이름을 호명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국제연합]]의 경우 '뉴욕' 또는 'UN본부'가 해당 도시가 된다. 만일 같은 도시에서 나오는 기사라면 '계속해서 [도시이름]'이라고 말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 철저히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 북한 측에 대한 견제와 전향 유도를 하는 데 치우쳐 있고, 이 때문에 누가 봐도 '아 이건 좀...' 싶을 정도의 극우 관련 소식도 한미일 공조나 한국의 이권 획득으로 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 컨텐츠 자체는 다른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 내 뉴스 컨텐츠들과 거의 100% 겹친다. (대체로 순서만 다른 정도)
원칙적으로는 매일 녹음하는 뉴스로, 아나운서 1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좔좔좔 읊는 방식인데, 마치 국내외에 특파원이 있어서 취재를 한 것처럼 해당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국가의 수도 또는 주요 도시의 이름을 호명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국제연합]]의 경우 '뉴욕' 또는 'UN본부'가 해당 도시가 된다. 만일 같은 도시에서 나오는 기사라면 '계속해서 [도시이름]'이라고 말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 철저히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 북한 측에 대한 견제와 전향 유도를 하는 데 치우쳐 있고, 이 때문에 누가 봐도 '아 이건 좀...' 싶을 정도의 극우 관련 소식도 한미일 공조나 한국의 이권 획득으로 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 컨텐츠 자체는 다른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 내 뉴스 컨텐츠들과 거의 100% 겹친다. (대체로 순서만 다른 정도)


2023년 여름 개편으로 없어졌다가 동년 10월 16일 부로 부활했다. 도시를 호명하는 방식은 제거되었고 프로그램 내 코너로 '이 시각 세계'가 생겼다. <del>하루에 한 번 녹음하면서 이 시각같은 소리 하네 ㅄ같은 방송...</del>
2023년 여름 개편으로 없어졌다가 동년 10월 16일 부로 부활했다. 도시를 호명하는 방식은 제거되었고 프로그램 내 코너로 '이 시각 세계'가 생겼다. <del>하루에 한 번 녹음하면서 이 시각같은 소리 하네 ...</del>


=== 해상날씨예보 ===
=== 해상날씨예보 ===
* 진행: 남1, 여1, 여2 中 1인 → 남4 또는 여3
* 진행: 남1, 여1, 여2 中 1인 → 남4 또는 여3
* 배치: 오늘의 소식 종료
* 배치: 인터벌 시그널
원칙적으로 '오늘의 소식'의 진행자와 다른 아나운서가 녹음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원칙적으로 '오늘의 소식'의 진행자와 다른 아나운서가 녹음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대북방송답게 동·서해 남부와 남해는 예보에 포함되지 않고 동·서해 중부와 북부 및 일부 외해에 대해서만 예보가 이뤄진다. 특이사항으로 대화퇴 (야마토 퇴)를 지칭할 때에는 항상 '''"독도와 일본 오키 섬 사이로 동해안의 황금어장인 대화퇴 해역"'''이라고 수식어를 붙여 부르며, 이는 그 다음으로 아무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러시아 연해주 해역'과 대조된다.
대북방송답게 동·서해 남부와 남해는 예보에 포함되지 않고 동·서해 중부와 북부 및 일부 외해에 대해서만 예보가 이뤄진다. 특이사항으로 대화퇴 (야마토 퇴)를 지칭할 때에는 항상 "독도와 일본 오키 섬 사이로 동해안의 황금어장인 대화퇴 해역"이라고 수식어를 붙여 부르며, 이는 그 다음으로 아무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러시아 연해주 해역'과 대조된다.


2023년 여름 개편으로 개선된 TTS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가, 동년 10월 16일 '오늘의 소식'이 부활하면서 그 쪽이 끝난 뒤에 읊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원칙적으로 남4 목소리로 나오지만 아주 가끔 내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여3 목소리로 진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2023년 여름 개편으로 개선된 TTS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가, 동년 10월 16일 '오늘의 소식'이 부활하면서 그 쪽이 끝난 뒤에 읊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원칙적으로 남4 목소리로 나오지만 아주 가끔 내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여3 목소리로 진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 날씨와 생활 ===
* 진행: 남4 또는 여3
* 배치: 해상날씨예보 종료 후
2023년 가을 개편으로 생겨난 방송 내용. 솔직히 대북방송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는 별 쓸모 없다.


=== 프로그램 ===
=== 프로그램 ===
143번째 줄: 137번째 줄:
* 진행: 남1 → 남1 또는 여4
* 진행: 남1 → 남1 또는 여4
* 배치: 3부 → 1부 → 2부
* 배치: 3부 → 1부 → 2부
배치는 항상 3부...였다가, 2023년 여름 개편 시 인터벌 시그널과 이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분리되며 1부로 변경되었고, 동년 10월 16일 개편으로 2부로 재변경되었다. 방송내용 면에서는 '지구촌 리포트'의 것들 중 북한 관련 내용만 가져와 거의 그대로 재탕하는 수준이었다. 2023년 추석 연휴에는 사람이 없어서(...) 여2의 TTS로 재생했다.
배치는 항상 3부...였다가, 2023년 여름 개편 시 인터벌 시그널과 이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분리되며 1부로 변경되었고, 동년 10월 16일 개편으로 2부로 재변경되었다. 방송내용 면에서는 '지구촌 리포트'의 것들 중 북한 관련 내용만 가져와 거의 그대로 재탕하는 수준이다. 2023년 추석 연휴에는 사람이 없어서(...) 여2의 TTS로 재생했다.


==== 라디오 법수첩 ====
==== 라디오 법수첩 ====
* 오프닝: 여4
* 오프닝: 여4
* 진행: 여4
* 진행: 여4
* 배치: 3부 → ?
* 배치: 3부
{{인용문|억울하면 법대로 해! 법!}}
{{인용문|억울하면 법대로 해! 법!}}
북한 내에서 일어나는 각종 부조리를 당하게 될 때 북한의 법<ref>일반적인 민법이나 형법 같은 것은 물론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까지도 들고 온다.</ref>을 들먹이며 자승자박시키는 방어법을 다소 코믹하게 알려주는 프로그램.
북한 내에서 일어나는 각종 부조리를 당하게 될 때 북한의 법<ref>일반적인 민법이나 형법 같은 것은 물론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까지도 들고 온다.</ref.>을 들먹이며 자승자박시키는 방어법을 다소 코믹하게 알려주는 프로그램.


==== 날조된 왕조국가 북한을 파헤치다 ====
==== 지구촌 리포트 ====
* 오프닝: 여1
* 오프닝: 여1 또는 여3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음악 미상)
* 진행: 여1 + 남2
* 진행: 여1 + 남3 → 여1 + 남2 또는 여1 단독 또는 여3 단독
* 배치: 4부
* 배치: 5부 (평일) → 4부
지구촌 리포트를 껍데기만 바꾼 특집 프로그램.
<s>대충 개독교에 미친 윤씨와 극우에 미친 김씨가 교양있게 펼치는 알쓸신잡방송</s> 음악 재생이 프로그램 분량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 한동안 여1 (윤수영)과 함께 [[극우]]로 유명한 시사평론가 [[김진]]이 함께 출연했었다.


==== 북한은 지금 ====
==== 북한은 지금 ====
223번째 줄: 217번째 줄:
  그리고, 자유세계에 안기십시오. 엘리트의 자긍심을 지키며 당당히 능력을 인정받고 살아갈 수 있는 길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유세계에 안기십시오. 엘리트의 자긍심을 지키며 당당히 능력을 인정받고 살아갈 수 있는 길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음악 fade out)
  (음악 fade out)
북한 39호실 간부 여러분, (음악이 재생된다) 알고계십니까?
2014년 39호실 산하 조선대성은행 수석대표 윤태영, 김정은 비자금 500만달러와 함께 조용히 망명―
2014년 39호실 산하 대흥총국선박무역회사 사장 리정호, 거액의 자금과 함께 대한민국 망명, 2016년 미국으로 이주―
2015년 39호실 산하 대성지도국 유럽지국총국장 김명철<ref>[[동아일보]]에 따르면 '현지 사용 명칭'이라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60820/79870175/8888577]</ref> 거액의 자금과 함께 이탈리아 망명―
이들 외에도 매년 상당수의 39호실 간부들이 조용히 망명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왜 망명의 길을 택했을까요? 리정호씨가 말합니다.
리정호: 그 때 제가 함께 알고 지내던 여러 명의 고위급 간부들도 끔찍하게 고사총으로 처형됐고, 또 우리 자식들이 알고 있던 (어,) 친구들도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갔습니다. 우리는 그런 광경을 목격하면서 강한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그런 비극적인 상황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았습니다.<ref>[https://www.voakorea.com/embed/player/0/3918348.html 리정호 전 북한 39호실 고위관리 "망명을 결심한 이유"]</ref>
그런데 압도적인 숫자의 간부들이 왜 망명지로 대한민국을 택하고 있을까요?
대한민국은 탈북 간부들의 신변안전을 보장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은 탈북 간부들이 원하면 익명의 조용한 삶을 보장합니다.
또 하나, 대한민국은 탈북 간부들 개인계좌에 이체돼 있는 김정은 비자금을 간부 개인 소유로 인정합니다.
39호실 간부 여러분, 고난의 천 리가 가면 고난의 만 리가 옵니다.
그러니, 여러분의 삶에서 결정적 전환을 이뤄야 하지 않겠습니까?
(음악이 종료된다)
(북소리)
세계는 왜 북한을 실패국가라고 부르는가? <지표로 알아보는 북한의 실상> 첫 번째: 정치 분야 편
(암울한 음악으로 확대된다)
[[영국]]의 이코노미 인텔리전스 유닛<ref>원래는 '[https://www.eiu.com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이다.</ref>이 매년 발표하는 민주주의 지수 ― 2023년 발표된 보고서에서 [[노르웨이]]는 10점 만점에 9.81점으로 1위,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로 분류. 북한은 10점 만점에 1.08점, 총 167개국 가운데 165위, [[권위주의]] 체제로 분류. 북한보다 낮은 나라는 내전을 치른 [[아프가니스탄|아프카니스탄]],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미얀마]], 단 두 나라 뿐!
[[독일]] [[베를린]] 소재, 국제투명성기구가 국가적 [[부패]]를 억제하기 위해 매년 발표하는 부패인식지수 ― 점수가 낮을 수록 부패한 국가 ― 2023년 보고서에서 [[덴마크]]는 100점 만점에 90점으로 1위, 매우 청렴한 국가로 분류. 북한은 100점 만점에 17점으로 180개국 중 공동 172위, 완전히 부패한 국가로 분류. 북한은 부패를 견제할 법치제도 기반이 없으며 오히려 부패에 저항하는 주민들을 억압하고 있다고 지적!
이것은 지표로 알 수 있는 실패국가 북한의 모습입니다. 그러나, 실패보다 더 나쁜 건 정권의 은폐입니다.
최고권위의 [[사전]] 출판사 웹스터는 2023년을 특정하는 단어로 '진짜'를 선정했습니다.<ref>[https://www.merriam-webster.com/wordplay/word-of-the-year Word of the Year 2023]에서 'authentic'을 선정하였다. 2023년 12월 13일 확인.</ref> 북한처럼 진실, 진짜를 숨기는 나라, 그러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ref>그러나 선정 이유는 이 선전선동 문구와는 달리 기술 발전 등으로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authentic이 무엇이냐에 대해 정의하기 어려우며 논란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ref>
무엇을 들을 것입니까? 여러분의 미래는 여러분의 귀에 달려있습니다.
(음악이 종료된다)


==== 위클리 매거진 ====
==== 위클리 매거진 ====
298번째 줄: 267번째 줄:
* 오프닝: 여2
* 오프닝: 여2
<del>죄다 쉬어서 진행할 사람이 없는</del>추석 연휴 한정으로 방송하였다.
<del>죄다 쉬어서 진행할 사람이 없는</del>추석 연휴 한정으로 방송하였다.
==== <del>지구촌 리포트</del> (잠정 중단?) ====
* 오프닝: 여1 또는 여3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음악 미상)
* 진행: 여1 + 남3 → 여1 + 남2 또는 여1 단독 또는 여3 단독
* 배치: 5부 (평일) → 4부
<s>대충 개독교에 미친 윤씨와 극우에 미친 김씨가 교양있게 펼치던 알쓸신잡방송</s> 음악 재생이 프로그램 분량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 한동안 여1 (윤수영)과 함께 [[극우]]로 유명한 시사평론가 [[김진]]이 함께 출연했었다.


=== 음악방송시간 ===
=== 음악방송시간 ===
311번째 줄: 275번째 줄:
== 방송 예시 ==
== 방송 예시 ==
* {{YouTube|deFHqGXgL6E||||2023년 2월 17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deFHqGXgL6E||||2023년 2월 17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WHABVNzpkmI||||2023년 10월 2일 방송.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WHABVNzpkmI||||2023년 10월 2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glxXBU1fYgM||||2023년 10월 16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라 러시아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 {{YouTube|q0rH7fjwD4g||||2023년 10월 21일 방송.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라 러시아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 {{YouTube|A0VDVpmcbvE||||2023년 10월 22일~23일 방송.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라 러시아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 {{YouTube|YIysjNoE11U||||2024년 2월 4일 방송. [[비틀즈]]와 UFM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Hey Jude'가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대북방송]]
* [[대북방송]]
** [[인민의 소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문화어]]를 상당 부분 차용한 북한 말씨를 사용.
** [[인민의 소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문화어]]를 상당 부분 차용한 북한 말씨를 사용.
** [[자유FM]]: 초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FM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케이뉴스]]: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위키백과:뉴스 선전|뉴스 선전]]에 특화.
* [[프로파간다]]
* [[프로파간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