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메아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비고    = 24시간 방송 (주파수별 정파시간 상이)<br /><del>7535㎑ 제외한 </del>전 주파수에 방해전파 있음 (남한 자체 방해전파 포함) <!-- TODO: 756㎑ 팀킬여부 재확인 후 추가, 7535㎑ RFA 팀킬 (7540㎑) 기재방법 연구, 정파시간 기재 -->
|비고    = 24시간 방송 (주파수별 정파시간 상이)<br /><del>7535㎑ 제외한 </del>전 주파수에 방해전파 있음 (남한 자체 방해전파 포함) <!-- TODO: 756㎑ 팀킬여부 재확인 후 추가, 7535㎑ RFA 팀킬 (7540㎑) 기재방법 연구, 정파시간 기재 -->
}}
}}
'''VOH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해외동포총연합'이라는 정체불명의 주체가 [[대한민국]] 및 외국의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송출하는 [[위키백과:해적방송|해적방송]] ([[위키백과:지하방송|지하방송]])이자 [[단파방송]]...이지만, [[위키백과:데 팍토|사실상]] [[대한민국]]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송출 주체인 [[대북방송]]이라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ref>다른 의혹들은 다 집어치우고 일단 이 방송을 송출하는 시설부터가 남한 영토 안에 있다. ([https://www.cartogiraffe.com/%EB%8C%80%ED%95%9C%EB%AF%BC%EA%B5%AD/%EA%B2%BD%EA%B8%B0%EB%8F%84/%EA%B3%A0%EC%96%91%EC%8B%9C/%EB%8D%95%EC%96%91%EA%B5%AC/%EB%8C%80%EB%8D%95%EB%8F%99/%EB%8C%80%EB%B6%81%EB%B0%A9%EC%86%A1+%27%EC%9D%B8%EB%AF%BC%EC%9D%98+%EC%86%8C%EB%A6%AC%27+%EB%8B%A8%ED%8C%8C+%EC%86%A1%EC%8B%A0%EC%86%8C+++%EB%B0%A9%ED%95%B4%EC%A0%84%ED%8C%8C+%EC%A4%91%ED%8C%8C%ED%83%91/ #])(...)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도 비록 민간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이긴 했어도 희망의 메아리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대북방송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08152022165033.html #])</ref> 그러나 국가정보원이 공식적으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데다 해당 송출시설 및 주파수가 전파관리소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송출 주체에 대해 더 이상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VOH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해외동포총연합'이라는 정체불명의 주체가 [[대한민국]] 및 외국의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송출하는 [[위키백과:해적방송|해적방송]] ([[위키백과:지하방송|지하방송]])이자 [[단파방송]]...이지만, [[wikipedia:데 팍토|사실상]] [[대한민국]]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송출 주체인 [[대북방송]]이라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ref>다른 의혹들은 다 집어치우고 일단 이 방송을 송출하는 시설부터가 남한 영토 안에 있다. ([https://www.cartogiraffe.com/%EB%8C%80%ED%95%9C%EB%AF%BC%EA%B5%AD/%EA%B2%BD%EA%B8%B0%EB%8F%84/%EA%B3%A0%EC%96%91%EC%8B%9C/%EB%8D%95%EC%96%91%EA%B5%AC/%EB%8C%80%EB%8D%95%EB%8F%99/%EB%8C%80%EB%B6%81%EB%B0%A9%EC%86%A1+%27%EC%9D%B8%EB%AF%BC%EC%9D%98+%EC%86%8C%EB%A6%AC%27+%EB%8B%A8%ED%8C%8C+%EC%86%A1%EC%8B%A0%EC%86%8C+++%EB%B0%A9%ED%95%B4%EC%A0%84%ED%8C%8C+%EC%A4%91%ED%8C%8C%ED%83%91/ #])(...)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도 비록 민간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이긴 했어도 희망의 메아리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대북방송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08152022165033.html #])</ref> 그러나 국가정보원이 공식적으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데다 해당 송출시설 및 주파수가 전파관리소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송출 주체에 대해 더 이상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 특징 ==
== 특징 ==
방해전파가 강력한 데다 단파로만 방송하여 이북에서 일반 인민들이 듣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중파나 초단파 FM으로 쏘는 대북방송, 혹은 심지어 KBS TV방송<ref>[[위키백과:PAL|PAL]] 방식 (색상 표현은 [[위키백과:SÉCAM|SÉCAM]]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아날로그 및 DVB 방식 디지털로 초강출력으로 송출하는데, 전파 혼신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북방송의 성격 상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도 무작위로 송출한다고 한다. 일단 황해남도 정도에서는 실제로 수신이 가능하다.</ref>을 수신하는 게 더 현실적일 정도라서, 단파라디오를 예전부터 소지해왔거나 장마당에서 구입한 뒤 지금까지 단속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수신할 수 있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주 청취자는 북한 관내외의 정보기관, 북한 영내에 비해 단파라디오를 입수하기 쉬운 편인 국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 그리고 그 노동자들을 감독하고 외화를 벌어다 바쳐야 하는 북한 회사들의 인원들 및 외교관들 정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방해전파가 강력한 데다 단파로만 방송하여 이북에서 일반 인민들이 듣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중파나 초단파 FM으로 쏘는 대북방송, 혹은 심지어 KBS TV방송<ref>[[wikipedia:ko:PAL|PAL]] 방식 (색상 표현은 [[wikipedia:ko:SÉCAM|SÉCAM]]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아날로그 및 DVB 방식 디지털로 초강출력으로 송출하는데, 전파 혼신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북방송의 성격 상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도 무작위로 송출한다고 한다. 일단 황해남도 정도에서는 실제로 수신이 가능하다.</ref>을 수신하는 게 더 현실적일 정도라서, 단파라디오를 예전부터 소지해왔거나 장마당에서 구입한 뒤 지금까지 단속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수신할 수 있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주 청취자는 북한의 정보기관 정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25번째 줄: 25번째 줄:
원래는 주파수를 두 묶음으로 나눠서 따로 정파를 진행했었는데, 2019년 즈음부터는 24시간 방송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정파는 여전히 일어나며, 별도의 시간 고지는 없는 대신 아직까지는 주파수별로 정파시간을 정해놓고 (반)자동으로 송출을 끄고 켜는 듯하다.
원래는 주파수를 두 묶음으로 나눠서 따로 정파를 진행했었는데, 2019년 즈음부터는 24시간 방송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정파는 여전히 일어나며, 별도의 시간 고지는 없는 대신 아직까지는 주파수별로 정파시간을 정해놓고 (반)자동으로 송출을 끄고 켜는 듯하다.


24시간 방송체제가 된 후에는 주파수 변동<ref>방해전파 회피 등을 목적으로 송출 주파수를 옮기는 행위. 보통 단파방송에서는 원래의 주파수에서 ±5kHz씩 옮기며,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매주 월요일에 옮겼다.</ref> 및 국명고지를 전혀 하지 않았다.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들이 죄돠 방송국명을 고지하지 않던 시절에는 인터벌 시그널에서 '세계를 듣는 방송'이라고만 말할 뿐, 자신들이 '해외동포총연합'인지, 송출중인 방송의 이름이 'VOH 희망의 메아리'인지조차도 말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문서의 제목은 타 방송과의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당시 자칭했던 이름으로 기재하였을 뿐이...었다가, 2023년 10월 16일부터 다시 희망의 메아리 VOH라는 이름을 부르게 되었다. 방송국명 고지 재개는 '인민의 소리'보다 1주일 정도 늦었다.
24시간 방송체제가 된 후에는 주파수 변동<ref>방해전파 회피 등을 목적으로 송출 주파수를 옮기는 행위. 보통 단파방송에서는 원래의 주파수에서 ±5kHz씩 옮기며,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매주 월요일에 옮겼다.</ref> 및 국명고지를 전혀 하지 않는다. 인터벌 시그널에서 '세계를 듣는 방송'이라고만 말할 뿐, 자신들이 '해외동포총연합'인지, 송출중인 방송의 이름이 'VOH 희망의 메아리'인지조차도 말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타 방송과의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당시 자칭했던 이름을 쓰는 것일 뿐이다.


== 편성 ==
== 편성 ==
32번째 줄: 32번째 줄:
2023년 2월 청취 기준으로, 매시 정각부터 2시간 단위의 (거의) 고정된 편성 틀 안에서 미리 녹음된 프로그램을 한 번 갈아끼워 4시간 단위로 뻥튀기시킨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또한 [[인민의 소리]]와 달리 남한 말씨 그대로 방송하기 때문에, 케이블TV 방송사마냥 타 제작자의 프로그램들을 그대로 들고 와서 재생하는 것들도 많다.
2023년 2월 청취 기준으로, 매시 정각부터 2시간 단위의 (거의) 고정된 편성 틀 안에서 미리 녹음된 프로그램을 한 번 갈아끼워 4시간 단위로 뻥튀기시킨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또한 [[인민의 소리]]와 달리 남한 말씨 그대로 방송하기 때문에, 케이블TV 방송사마냥 타 제작자의 프로그램들을 그대로 들고 와서 재생하는 것들도 많다.


2023년 3분기 즈음부터 4시간 단위에서 3시간 단위로 반복간격이 변경되었으며, 새로 생긴 프로그램도 있긴 하지만 많은 기존 프로그램들이 (특히 [[유튜브]]에서 끌어다 온 것들은 하나 빼고 전부 다) 숙청당했고, 선전선동 멘트도 바뀌었다. 이 때부터 1시간 당 약 1초씩 밀리기 시작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매일 자정에는 음악방송시간을 강제로 자르면서 정각에 진행하도록 한다는 것...
2023년 3분기 즈음부터 4시간 단위에서 3시간 단위로 반복간격이 변경되었으며, 새로 생긴 프로그램도 있긴 하지만 많은 기존 프로그램들이 (특히 [[유튜브]]에서 끌어다 온 것들은 <!-- 평일 기준 -->전부 다) 숙청당했고, 선전선동 멘트도 바뀌었다.
 
2023년 10월 16일부터 4시간 단위 반복 편성으로 환원되었다. 그러다가 뭐가 마음에 안 든 것인지 11월 경부터 또 편성이 살짝 꼬이기 시작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84번째 줄: 82번째 줄: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2022년까지 메인 아나운서였던 목소리. 성우 [[구자형]]과 왠지 음색이 비슷하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성우 [[구자형]]과 왠지 음색이 비슷하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최준영''' 이라고 알려진 아나운서 겸 논설위원 겸 해설자. 2023년 기준 '해외동포 논단'과 지구촌 리포트, 위클리 매거진에 나온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최준영''' 또는 '''최준형'''이라고 알려진 아나운서. 편집일 기준 '해외동포 논단'과 지구촌 리포트에 나온다.
* '''남성 해설자''' (이하 '''남3'''):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김진'''이라고 알려진 해설자. 언젠가부터 이 방송에는 나오지 않고 중파 방송으로 자리를 옮긴 듯하다.
* '''남성 해설자''' (이하 '''남3'''):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김진'''이라고 알려진 해설자.
* '''남성 TTS''' (이하 '''남4'''): 2023년 9월 23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남성 TTS''' (이하 '''남4'''): 2023년 9월 23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남성 아나운서 3''' (이하 '''남5'''): 2024년 2월 4일 청취 시 존재 확인. 2024년경 들어서 갑툭튀한 목소리. 정황 상 [[자유FM]]의 남1과 거의 동일인인 듯하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지구촌 리포트'에서 자신을 '''윤수영'''이라고 소개했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2022년까지 메인 아나운서였던 목소리. '지구촌 리포트'에서 자신을 '''윤수영'''이라고 소개했다.
* '''여성 TTS 1''' (이하 '''여2'''): 일기예보 진행 및 프로그램명 고지 시 이외에는 안 나오는 목소리로, [[TTS]]이다. 실제 생목소리로 녹음하거나 과거에 미리 녹음해둔 음원을 짜집기한 오디오가 아닌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억양이나 문장 이음이 어색하다.
* '''여성 TTS 1''' (이하 '''여2'''): 일기예보 진행 및 프로그램명 고지 시 이외에는 안 나오는 목소리로, [[TTS]]이다. 실제 생목소리로 녹음하거나 과거에 미리 녹음해둔 음원을 짜집기한 오디오가 아닌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억양이나 문장 이음이 어색하다.
* '''여성 TTS 2''' (이하 '''여3'''): 2023년 9월 30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여성 TTS 2''' (이하 '''여3'''): 2023년 9월 30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여성 아나운서 2''' (이하 '''여4'''): 2023년 10월 16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사람인 건 맞지만 가짜가 판치는 국가정보원 단파방송답게(?) 사람인지 TTS인지, 사람이라면 생목소리인지 변조된 목소리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연스러움과 어색함이 공존하는 목소리.
* '''여성 해설자''' (이하 '''여5'''): 여2의 목소리의 원본이 되는 아나운서. 숨소리나 억양의 차이가 있는 걸 보면 분명 사람인데, 여2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오니 대단히 낯설게 느껴진다.


위의 출연진 중 몇몇은 [[자유코리아방송]], [[케이뉴스]] 등에서도 활동한다.{{출처 필요}}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위의 출연진 중 몇몇은{{출처 필요}} 중파 756㎑ 대북방송에서도 활동한다.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 인터벌 시그널 ===
=== 인터벌 시그널 ===
{{인용문|꿈과 희망을 드리는 희망의 메아리 방송입니다. V O H.|여성 아나운서 1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1).wav|#]]) 또는 여성 TTS 1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2).wav|#]])<ref>'V'를 한글 발음처럼 'Bㅢ'라고 읽는다.</ref> 또는 여성 아나운서 2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3).wav|#]])‎ 또는 남성 TTS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dent (Variation 4).wav|#]])<ref>VOH 부분의 억양이 사람의 억양이 아니다.</ref>}}
<!-- {{인용문|꿈과 희망을 전하는 희망의 메아리 방송입니다. V O H.|여성 TTS 2}} -->
<!-- TODO: 그래서 여2는 여5랑 합칩니까 맙니까? 0시에 여1 맞아요? 여4라고 했는데 알고보니 TTS였을 확률은? -->
시간대별로 낭독자가 다르다. 여1은 매 0시 (1·2부), 여2는 매 1시 (3·4부), 여4는 매 2시 (5·6부), 남4는 매 3시 (7·8부).


==== <del>購 인터벌 시그널 ('세계를 듣는 방송')</del> ====
==== <del>購 인터벌 시그널 ('세계를 듣는 방송')</del> ====
{{인용문|(🛳️~) 세계를 듣는 방송|남성 아나운서 1<br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nterval signal.wav|#]])}}
{{인용문|(🛳️~) 세계를 듣는 방송|남성 아나운서 1<del> 또는 여성 아나운서 1</del><br />([[commons:File:VOH Echo Of Hope Interval signal.wav|#]])}}


사실 '''세계를 듣는 방송'''은 프로그램명이고 '오늘의 소식'·'세계사의 교훈'·'세계와 만나는 시간'은 각각 이 프로그램의 1~3부격 코너로 보는 게 옳으나, 시간을 정해놓고 재생한다는 점에서 인터벌 시그널의 역할도 겸한다. <s>항목 수를 늘리기 위한 꼼수성 서술이라서 나눈 것이라 카더라</s> 특히 매 짝수 시마다는 정각에 송출하기 때문에, 사실상 매 짝수 시마다의 시보 역할도 겸한다.
사실 '''세계를 듣는 방송'''은 프로그램명이고 '오늘의 소식'·'세계사의 교훈'·'세계와 만나는 시간'은 각각 이 프로그램의 1~3부격 코너로 보는 게 옳으나, 시간을 정해놓고 재생한다는 점에서 인터벌 시그널의 역할도 겸한다. <s>항목 수를 늘리기 위한 꼼수성 서술이라서 나눈 것이라 카더라</s> 특히 매 짝수 시마다는 정각에 송출하기 때문에, 사실상 매 짝수 시마다의 시보 역할도 겸한다.
109번째 줄: 102번째 줄:
=== 오늘의 소식 ===
=== 오늘의 소식 ===
* 오프닝: 남1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남2, 여1, 여2 中 1인 → 여3 또는 여4 → 무작위
* 진행: 남1, 남2, 여1, 여2 中 1인 → 여3
* 배치: 매 짝수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배치: 매 짝수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115번째 줄: 108번째 줄:
원칙적으로는 매일 녹음하는 뉴스로, 아나운서 1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좔좔좔 읊는 방식인데, 마치 국내외에 특파원이 있어서 취재를 한 것처럼 해당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국가의 수도 또는 주요 도시의 이름을 호명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국제연합]]의 경우 '뉴욕' 또는 'UN본부'가 해당 도시가 된다. 만일 같은 도시에서 나오는 기사라면 '계속해서 [도시이름]'이라고 말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 철저히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 북한 측에 대한 견제와 전향 유도를 하는 데 치우쳐 있고, 이 때문에 누가 봐도 '아 이건 좀...' 싶을 정도의 극우 관련 소식도 한미일 공조나 한국의 이권 획득으로 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 컨텐츠 자체는 다른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 내 뉴스 컨텐츠들과 거의 100% 겹친다. (대체로 순서만 다른 정도)
원칙적으로는 매일 녹음하는 뉴스로, 아나운서 1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좔좔좔 읊는 방식인데, 마치 국내외에 특파원이 있어서 취재를 한 것처럼 해당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국가의 수도 또는 주요 도시의 이름을 호명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국제연합]]의 경우 '뉴욕' 또는 'UN본부'가 해당 도시가 된다. 만일 같은 도시에서 나오는 기사라면 '계속해서 [도시이름]'이라고 말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 철저히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 북한 측에 대한 견제와 전향 유도를 하는 데 치우쳐 있고, 이 때문에 누가 봐도 '아 이건 좀...' 싶을 정도의 극우 관련 소식도 한미일 공조나 한국의 이권 획득으로 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 컨텐츠 자체는 다른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 내 뉴스 컨텐츠들과 거의 100% 겹친다. (대체로 순서만 다른 정도)


2023년 여름 개편으로 없어졌다가 동년 10월 16일 부로 부활했다. 도시를 호명하는 방식은 제거되었고 프로그램 내 코너로 '이 시각 세계'가 생겼다. <del>하루에 한 번 녹음하면서 이 시각같은 소리 하네 ㅄ같은 방송...</del>
2023년 여름 개편으로 없어졌다가 동년 10월 16일 부로 부활했다. 도시를 호명하는 방식은 제거되었고 프로그램 내 코너로 '이시각 세계'가 생겼으나, 대신 진행은 TTS들만 하는 것같다.


=== 해상날씨예보 ===
=== 해상날씨예보 ===
* 진행: 남1, 여1, 여2 中 1인 → 남4 또는 여3
* 진행: 남1, 여1, 여2 中 1인 → 남4 또는 여3
* 배치: 오늘의 소식 종료
* 배치: 인터벌 시그널
원칙적으로 '오늘의 소식'의 진행자와 다른 아나운서가 녹음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원칙적으로 '오늘의 소식'의 진행자와 다른 아나운서가 녹음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대북방송답게 동·서해 남부와 남해는 예보에 포함되지 않고 동·서해 중부와 북부 및 일부 외해에 대해서만 예보가 이뤄진다. 특이사항으로 대화퇴 (야마토 퇴)를 지칭할 때에는 항상 '''"독도와 일본 오키 섬 사이로 동해안의 황금어장인 대화퇴 해역"'''이라고 수식어를 붙여 부르며, 이는 그 다음으로 아무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러시아 연해주 해역'과 대조된다.
대북방송답게 동·서해 남부와 남해는 예보에 포함되지 않고 동·서해 중부와 북부 및 일부 외해에 대해서만 예보가 이뤄진다. 특이사항으로 대화퇴 (야마토 퇴)를 지칭할 때에는 항상 "독도와 일본 오키 섬 사이로 동해안의 황금어장인 대화퇴 해역"이라고 수식어를 붙여 부르며, 이는 그 다음으로 아무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러시아 연해주 해역'과 대조된다.


2023년 여름 개편으로 개선된 TTS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가, 동년 10월 16일 '오늘의 소식'이 부활하면서 그 쪽이 끝난 뒤에 읊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원칙적으로 남4 목소리로 나오지만 아주 가끔 내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여3 목소리로 진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2023년 여름 개편으로 개선된 TTS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가, 동년 10월 16일 '오늘의 소식'이 부활하면서 그 쪽이 끝난 뒤에 읊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원칙적으로 남4 목소리로 나오지만 아주 가끔 내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여3 목소리로 진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 날씨와 생활 ===
* 진행: 남4 또는 여3
* 배치: 해상날씨예보 종료 후
2023년 가을 개편으로 생겨난 방송 내용. 솔직히 대북방송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는 별 쓸모 없다.


=== 프로그램 ===
=== 프로그램 ===
==== 해외동포 논단 ====
==== 해외동포 논단 ====
* 오프닝: 남2
* 오프닝: 남2
* 진행: 남2
* 진행: 남2
* 배치: 1부 → 매 시간 2회? → 7부, 1부
* 배치: 매 시간 2회?
4시간 간격이던 시절에는 이 프로그램 방송 후에는 항상 타 방송사의 공익광고 (코로나19 방역수칙)가 나왔으나, 2023년 여름 3시간 간격으로 개편된 뒤에는 월드팝스 종료 후에 공익광고 (집중호우 피해 예방)가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2023년 10월 재개편 전후로는 마무리를 조금 급하게 하게 되었다.
4시간 간격이던 시절에는 이 프로그램 방송 후에는 항상 타 방송사의 공익광고 (코로나19 방역수칙)가 나왔으나, 3시간 간격으로 개편된 뒤에는 월드팝스 종료 후에 공익광고 (집중호우 피해 예방)가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 세계사의 교훈 ====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 배치: 6부 종료 후 → 2부
프로그램의 길이 상 앞의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5분 남짓한 자투리 시간을 소모하기 위한 토막 프로그램. 2023년 개편 시 인터벌 시그널과 이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분리되면서 배치 시간대가 변경되었고, 동시에 해외동포 논단이 부수 질서에서 벗어난 까닭에 정식 부수로 간주하여 2부로 기재하였다. 직접 진행하는 프로그램들 중에는 유일하게 경어체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세계사]]에서 발생한 역사적 일화를 소개하면서 북한 집권층을 겨누는 논평 (혹은 촌평)을 섞는 방식인데, 언젠가부터 북한은 기본이고 중국까지 때리는 내용으로 확장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다른 코너 및 프로그램들도 중국을 때리면서 겸사겸사 북한을 비방하고 절망감을 심어주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 안녕하십니까 동포 여러분 (舊 세계와 만나는 시간 / 해외 노동자 여러분) ====
==== 세계와 만나는 시간 ====
* 오프닝: 남1 → 남1 또는 여4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 남1 또는 여4
* 진행: 남1
* 배치: 3부 → 1부 → 2부
* 배치: 3부 → 1부
배치는 항상 3부...였다가, 2023년 여름 개편 시 인터벌 시그널과 이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분리되며 1부로 변경되었고, 동년 10월 16일 개편으로 2부로 재변경되었다. 방송내용 면에서는 '지구촌 리포트'의 것들 중 북한 관련 내용만 가져와 거의 그대로 재탕하는 수준이었다. 2023년 추석 연휴에는 사람이 없어서(...) 여2의 TTS로 재생했다.
배치는 항상 3부...였다가, 2023년 개편 시 인터벌 시그널과 이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분리되며 1부로 변경되었다. 방송내용 면에서는 '지구촌 리포트'의 것들 중 북한 관련 내용만 가져와 거의 그대로 재탕하는 수준이다. 2023년 추석 연휴에는 사람이 없어서(...) 여2의 TTS로 재생했다.


==== 라디오 법수첩 ====
==== <del>왕초보 영어 (※)</del> ====
* 오프닝: 여4
* 오프닝: 없음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진행: 여4
* 배치: 2부 (평일)
* 배치: 3부 → ?
* 원본: 왕초보영어 ([[EBS English|EBSe]])
{{인용문|억울하면 법대로 해! 법!}}
북한 내에서 일어나는 각종 부조리를 당하게 될 때 북한의 법<ref>일반적인 민법이나 형법 같은 것은 물론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까지도 들고 온다.</ref>을 들먹이며 자승자박시키는 방어법을 다소 코믹하게 알려주는 프로그램.


==== 날조된 왕조국가 북한을 파헤치다 ====
==== <del>글로벌 코리언 (※)</del> ====
* 오프닝: 여1
* 오프닝: 없음
* 진행: 여1 + 남2
* 배치: 4부
* 배치: 4부
지구촌 리포트를 껍데기만 바꾼 특집 프로그램.
* 원본: 글로벌 코리안 ([[KBS 월드라디오]])
클로징 시의 대본이 원본과 다르다. 정확히는 매 회마다 임수민 아나운서의 멘트 중 KBS 월드라디오와 관련된 부분을 절묘하게 제거했다.


==== 북한은 지금 ====
==== 지구촌 리포트 ====
* 오프닝: 남4
* 오프닝: 여1 또는 여3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음악 미상)
* 진행: 남4 → 남4 + 여5
* 진행: 여1 + 남3 또는 여1 + 남2 또는 여1 단독 또는 여3 단독
* 배치: ? → 5부
* 배치: 5부 (평일)
<s>대충 개독교에 미친 윤씨와 극우에 미친 김씨가 교양있게 펼치는 알쓸신잡방송</s> 음악 재생이 프로그램 분량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 여1 (윤수영)과 함께 [[극우]]로 유명한 시사평론가 [[김진]]이 함께 출연했었다.


분명 TTS로 소리를 내지만 대본 담당자가 뻥이든 진심이든 자신의 경험과 생각까지 읽게 한다... 언젠가부터 '시사평론가 김윤정'이라는 사람이 들러리로 나와 반응만 해주는 2인 방송 체제가 되었다.<ref>실제 본인의 목소리는 아니지만 아나운서 김윤정일 가능성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gA6ERRv8bM '회사'에 다닌다고 자인]하였으므로...</ref>
==== <del>글로벌 헤드라인 (※)</del> ====
 
* 오프닝: 여2
==== 해외탈북민 정착기 ====
* 배치: 6부
* 오프닝: 여1?
* 원본: EBS 모닝스페셜 ([[EBS FM]])
* 진행: 여1?
* 배치: 4부, 5부 → 6부
 
기존에 KBS 월드라디오에서 슈킹해오던 '글로벌 코리언'을 대체하는 프로그램으로, 자체제작을 통해<del>물론 해당 탈북자의 육성같은 것은 다른 매체들 (특히 VOA)이 진행한 것을 따온다. 코렁탕집 양반들이 대놓고 비밀공작 방송에 송출할 거니까 인터뷰좀 하자고 할 리는 없으니까…</ref> 이전에 비해 남한 이외의 자유세계에 정착한 탈북자들만 소개하는 쪽으로 방향을 더 명확히 했다.


==== 월드팝스 ====
==== 월드팝스 ====
* 오프닝: 남1 (+ 음악: Brian Hyland - <Sealed With a Kiss>)
* 오프닝: 남1 (+ 음악: Brian Hyland - <Sealed With a Kiss>)
* 진행: 남1
* 진행: 남1
* 배치: 7부 → ? → 8부
* 배치: 7부
하나의 주제를 정하여 국내외의 여러 노래들을 틀고 남1 혼자 떠들기를 반복하는 프로그램. <s>안타깝게도 사연 접수는 안 받아준다</s> 물론 대북방송답게 멘트 중간중간에 북한군이 불쌍하다거나 탈북을 종용하는 등의 내용이 섞이기도 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고 그냥 남1이 하고싶은 이야기만 하다 끝나는 경우도 있다. 유튜브에 업로드 시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으로 열람이 차단당하게끔 하는 원흉이다.<ref>다르게 생각하면 이건 DXing 후 업로더가 수신보고와 내용 공유를 하는 것에서 겪는 문제 이상으로 심각한 것인데, 설사 운 좋게 전세계 차단이 안 되더라도 반드시 최소 한 곡은 [[러시아]]에서 차단되도록 선곡하기 때문이다. 이 방송에서 원하는 주 청취 대상이 중국이나 '''러시아'''로 파견된 북한 사람들임을 감안했을 때, 정작 목표 청취 대상들은 업로더가 매 번마다 오디오 편집기로 수록곡들을 죄다 삭제해주지 않으면 심리전의 성과 혹은 그 성과의 증거물이라고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온라인으로 더 확장될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s>사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이북의 [[통일의 메아리]]처럼 그럴 듯한 가짜 웹사이트 만들고 거기에다가 무료로 오디오 파일 올리면 된다. 더 간단한 방법으로는 대놓고 '우리 이런 비밀공작방송 한다'라고 국내외 (특히 중국대륙과 러시아)의 대형 커뮤니티들에 바이럴 풀면 된다(...)</s></ref>
하나의 주제를 정하여 국내외의 여러 노래들을 틀고 남1 혼자 떠들기를 반복하는 프로그램. <s>안타깝게도 사연 접수는 안 받아준다</s> 물론 대북방송답게 멘트 중간중간에 북한군이 불쌍하다거나 탈북을 종용하는 등의 내용이 섞이기도 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고 그냥 남1이 하고싶은 이야기만 하다 끝나는 경우도 있다.
 
==== <del>베스트셀러 오디오북 (※)</del> ====
* 오프닝: 남1
* 배치: 8부
* 원본: KBS 오디오북 - 최고의 클립 ([[KBS 제3라디오]])


2023년 10월 개편으로 남1이 진행하는 유일한 프로그램이 되었다. <del>혹시 아나? 미리 잔뜩 녹음만 해놓고 다른 곳으로 튄 것일 지도...</del>
==== 위클리 매거진 ====
* 오프닝: 남2
* 진행: 남2
* 배치: 5부 (토요일) → 3부 (토요일)
문자메시지 수신 효과음이 나온 뒤<ref>과거 피처폰의 문자메시지 수신음으로 유명한 '뻐꾹뻐꾹' 소리를 오랫동안 쓰다가, 2023년 10월 14일 DX시 조금은 시대가 진보한(...) 잔잔한 '띠리링' 소리로 바뀌었다.</ref> 남2가 소식을 읽어주고 가르치려 들다가 음악을 재생하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의 프로그램.
 
==== 종교의 시간 (※) ====
* 오프닝: 여1 → 여3?
* 배치: 5부 (일요일) → 3부 (일요일)
* 원본: 매 회 다름
2023년 2월 26일 DX시 수신. 해당 DX시 수신된 내용은 '불교 편'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https://www.youtube.com/watch?v=r2Hb1peDdvc 1486회])이었고, 동년 3월 5일 DX시 수신된 내용은 '기독교(개신교) 편' (유기성목사 강해설교 [https://www.youtube.com/watch?v=5BeWurj1b0U 고린도전서 1:1-9])이었다. <!-- 3/5 방송 시 '기독교 개신교 편'이라고 읽었으나, 문장의 매끄러움을 위하여 임의로 괄호 추가함. --> 2023년 시간표 개편 이후로도 외부에서 슈킹해오는 프로그램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 <del>영어 원서 읽기 (※)</del> ====
* 오프닝: 없음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배치: 2부 (주말)
* 원본: [https://www.youtube.com/@literstella/ 리터스텔라] ([[유튜브]] 채널)
2023년 2월 26일 DX시 수신. 해당 DX시 수신된 내용은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https://www.youtube.com/watch?v=d6dD1P360Ow p.198-200 부분]이었으며, 동년 3월 5일 DX시 수신한 내용은 [https://www.youtube.com/watch?v=LEzwPhH5W5I 같은 책 p.204-206 부분]이었다. 원본 영상에서 약 12분 가량의 분량을 자른 뒤 인트로 음악<ref>원본 영상에는 없는 음악이다.</ref>을 재탕하여 아웃트로로 송출하는 등의 편집을 거쳤다.


==== 선전선동 ====
==== 선전선동 ====
224번째 줄: 233번째 줄:
  (음악 fade out)
  (음악 fade out)


북한 39호실 간부 여러분, (음악이 재생된다) 알고계십니까?
2014년 39호실 산하 조선대성은행 수석대표 윤태영, 김정은 비자금 500만달러와 함께 조용히 망명―
2014년 39호실 산하 대흥총국선박무역회사 사장 리정호, 거액의 자금과 함께 대한민국 망명, 2016년 미국으로 이주―
2015년 39호실 산하 대성지도국 유럽지국총국장 김명철<ref>[[동아일보]]에 따르면 '현지 사용 명칭'이라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60820/79870175/8888577]</ref> 거액의 자금과 함께 이탈리아 망명―
이들 외에도 매년 상당수의 39호실 간부들이 조용히 망명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왜 망명의 길을 택했을까요? 리정호씨가 말합니다.
리정호: 그 때 제가 함께 알고 지내던 여러 명의 고위급 간부들도 끔찍하게 고사총으로 처형됐고, 또 우리 자식들이 알고 있던 (어,) 친구들도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갔습니다. 우리는 그런 광경을 목격하면서 강한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그런 비극적인 상황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았습니다.<ref>[https://www.voakorea.com/embed/player/0/3918348.html 리정호 전 북한 39호실 고위관리 "망명을 결심한 이유"]</ref>
그런데 압도적인 숫자의 간부들이 왜 망명지로 대한민국을 택하고 있을까요?
대한민국은 탈북 간부들의 신변안전을 보장합니다.
또한 대한민국은 탈북 간부들이 원하면 익명의 조용한 삶을 보장합니다.
또 하나, 대한민국은 탈북 간부들 개인계좌에 이체돼 있는 김정은 비자금을 간부 개인 소유로 인정합니다.
39호실 간부 여러분, 고난의 천 리가 가면 고난의 만 리가 옵니다.
그러니, 여러분의 삶에서 결정적 전환을 이뤄야 하지 않겠습니까?
(음악이 종료된다)
(북소리)
세계는 왜 북한을 실패국가라고 부르는가? <지표로 알아보는 북한의 실상> 첫 번째: 정치 분야 편
(암울한 음악으로 확대된다)
[[영국]]의 이코노미 인텔리전스 유닛<ref>원래는 '[https://www.eiu.com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이다.</ref>이 매년 발표하는 민주주의 지수 ― 2023년 발표된 보고서에서 [[노르웨이]]는 10점 만점에 9.81점으로 1위,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로 분류. 북한은 10점 만점에 1.08점, 총 167개국 가운데 165위, [[권위주의]] 체제로 분류. 북한보다 낮은 나라는 내전을 치른 [[아프가니스탄|아프카니스탄]],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미얀마]], 단 두 나라 뿐!
[[독일]] [[베를린]] 소재, 국제투명성기구가 국가적 [[부패]]를 억제하기 위해 매년 발표하는 부패인식지수 ― 점수가 낮을 수록 부패한 국가 ― 2023년 보고서에서 [[덴마크]]는 100점 만점에 90점으로 1위, 매우 청렴한 국가로 분류. 북한은 100점 만점에 17점으로 180개국 중 공동 172위, 완전히 부패한 국가로 분류. 북한은 부패를 견제할 법치제도 기반이 없으며 오히려 부패에 저항하는 주민들을 억압하고 있다고 지적!
이것은 지표로 알 수 있는 실패국가 북한의 모습입니다. 그러나, 실패보다 더 나쁜 건 정권의 은폐입니다.
최고권위의 [[사전]] 출판사 웹스터는 2023년을 특정하는 단어로 '진짜'를 선정했습니다.<ref>[https://www.merriam-webster.com/wordplay/word-of-the-year Word of the Year 2023]에서 'authentic'을 선정하였다. 2023년 12월 13일 확인.</ref> 북한처럼 진실, 진짜를 숨기는 나라, 그러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ref>그러나 선정 이유는 이 선전선동 문구와는 달리 기술 발전 등으로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authentic이 무엇이냐에 대해 정의하기 어려우며 논란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ref>
무엇을 들을 것입니까? 여러분의 미래는 여러분의 귀에 달려있습니다.
(음악이 종료된다)
==== 위클리 매거진 ====
* 오프닝: 남2
* 진행: 남2
* 배치: 5부 (토요일) → 3부 (토요일) → 4부 (토요일)
문자메시지 수신 효과음이 나온 뒤<ref>과거 피처폰의 문자메시지 수신음으로 유명한 '뻐꾹뻐꾹' 소리를 오랫동안 쓰다가, 2023년 10월 14일 DX시 조금은 시대가 진보한(...) 잔잔한 '띠리링' 소리로 바뀌었다.</ref> 남2가 소식을 읽어주고 가르치려 들다가 음악을 재생하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의 프로그램.
==== 종교의 시간 (※) ====
* 오프닝: 여1 → 여3?
* 배치: 5부 (일요일) → 3부 (일요일) → 4부 (일요일)
* 원본: 매 회 다름
2023년 2월 26일 DX시 수신. 해당 DX시 수신된 내용은 '불교 편'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https://www.youtube.com/watch?v=r2Hb1peDdvc 1486회])이었고, 동년 3월 5일 DX시 수신된 내용은 '기독교(개신교) 편' (유기성목사 강해설교 [https://www.youtube.com/watch?v=5BeWurj1b0U 고린도전서 1:1-9])이었다. <!-- 3/5 방송 시 '기독교 개신교 편'이라고 읽었으나, 문장의 매끄러움을 위하여 임의로 괄호 추가함. --> 2023년 시간표 개편 이후로도 외부에서 슈킹해오는 프로그램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 종영 / 일회성 프로그램 ===
편집일 현재 아래 리스트에서 '세계사의 교훈'과 특집 다큐멘터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2023년 여름 KBS 수신료 파동과 맞물린 개편 때 종영된 프로그램이다.
==== <del>세계사의 교훈</del> ====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 배치: 6부 종료 후 → 2부 → ?
프로그램의 길이 상 앞의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5분 남짓한 자투리 시간을 소모하기 위한 토막 프로그램. 2023년 개편 시 인터벌 시그널과 이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분리되면서 배치 시간대가 변경되었고, 동시에 해외동포 논단이 부수 질서에서 벗어난 까닭에 정식 부수로 간주하여 2부로 기재하였다. 직접 진행하는 프로그램들 중에는 유일하게 경어체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세계사]]에서 발생한 역사적 일화를 소개하면서 북한 집권층을 겨누는 논평 (혹은 촌평)을 섞는 방식인데, 언젠가부터 북한은 기본이고 중국까지 때리는 내용으로 확장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다른 코너 및 프로그램들도 중국을 때리면서 겸사겸사 북한을 비방하고 절망감을 심어주는(!)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 <del>왕초보 영어 (※)</del> ====
* 오프닝: 없음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배치: 2부 (평일)
* 원본: 왕초보영어 ([[EBS English|EBSe]])
==== <del>운세 (※)</del> ====
==== <del>운세 (※)</del> ====
* 오프닝: 없음
* 오프닝: 없음
277번째 줄: 238번째 줄:
* 원본: [https://www.youtube.com/c/%EC%A0%90%EC%B0%8D%EB%8A%94%EC%97%AC%EC%9E%90%EB%82%98%EB%B9%84%EC%8C%A4 행운멘토나비쌤] ([[유튜브]] 채널)
* 원본: [https://www.youtube.com/c/%EC%A0%90%EC%B0%8D%EB%8A%94%EC%97%AC%EC%9E%90%EB%82%98%EB%B9%84%EC%8C%A4 행운멘토나비쌤] ([[유튜브]] 채널)
'혹시 이 유튜버가 정부기관이나 언론사와 계약을 맺었나?' 싶을 정도로 매일마다 부지런히 갱신되는 띠별 운세. 정작 북한은 12간지에 대해 무지하거나 관심없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에서 내용을 잘못 잡은 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s>듣다보면 나비쌤의 이상한 억양에 소름이 끼친다</s>
'혹시 이 유튜버가 정부기관이나 언론사와 계약을 맺었나?' 싶을 정도로 매일마다 부지런히 갱신되는 띠별 운세. 정작 북한은 12간지에 대해 무지하거나 관심없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에서 내용을 잘못 잡은 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s>듣다보면 나비쌤의 이상한 억양에 소름이 끼친다</s>
==== <del>글로벌 코리언 (※)</del> ====
 
* 오프닝: 없음
==== 해외탈북민 정착기 ====
* 배치: 4부
* 오프닝: 여1?
* 원본: 글로벌 코리안 ([[KBS 월드라디오]])
* 진행: 여1?
클로징 시의 대본이 원본과 다르다. 정확히는 매 회마다 임수민 아나운서의 멘트 중 KBS 월드라디오와 관련된 부분을 절묘하게 제거했다.
* 배치: 4부, 5부
==== <del>글로벌 헤드라인 (※)</del> ====
 
* 오프닝: 여2
* 배치: 6부
* 원본: EBS 모닝스페셜 ([[EBS FM]])
==== <del>베스트셀러 오디오북 (※)</del> ====
* 오프닝: 남1
* 배치: 8부
* 원본: KBS 오디오북 - 최고의 클립 ([[KBS 제3라디오]])
==== <del>영어 원서 읽기 (※)</del> ====
* 오프닝: 없음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배치: 2부 (주말)
* 원본: [https://www.youtube.com/@literstella/ 리터스텔라] ([[유튜브]] 채널)
2023년 2월 26일 DX시 수신. 해당 DX시 수신된 내용은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https://www.youtube.com/watch?v=d6dD1P360Ow p.198-200 부분]이었으며, 동년 3월 5일 DX시 수신한 내용은 [https://www.youtube.com/watch?v=LEzwPhH5W5I 같은 책 p.204-206 부분]이었다. 원본 영상에서 약 12분 가량의 분량을 자른 뒤 인트로 음악<ref>원본 영상에는 없는 음악이다.</ref>을 재탕하여 아웃트로로 송출하는 등의 편집을 거쳤다.
==== <del>특집 다큐멘터리 <그리운 내 고향></del> ====
==== <del>특집 다큐멘터리 <그리운 내 고향></del> ====
* 오프닝: 여2
* 오프닝: 여2
<del>죄다 쉬어서 진행할 사람이 없는</del>추석 연휴 한정으로 방송하였다.
<del>죄다 쉬어서 진행할 사람이 없는</del>추석 연휴 한정으로 방송하였다.
==== <del>지구촌 리포트</del> (잠정 중단?) ====
* 오프닝: 여1 또는 여3 (프로그램명 읽어주지 않음 + 음악 미상)
* 진행: 여1 + 남3 → 여1 + 남2 또는 여1 단독 또는 여3 단독
* 배치: 5부 (평일) → 4부
<s>대충 개독교에 미친 윤씨와 극우에 미친 김씨가 교양있게 펼치던 알쓸신잡방송</s> 음악 재생이 프로그램 분량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 한동안 여1 (윤수영)과 함께 [[극우]]로 유명한 시사평론가 [[김진]]이 함께 출연했었다.


=== 음악방송시간 ===
=== 음악방송시간 ===
북한 방송들의 남는 시간 떼우기와 거의 동일한 역할. 별도의 시작 및 끝 안내 없이 정해진 플레이리스트를 무한반복한다.
별도의 시작 및 끝 안내 없이 정해진 플레이리스트를 무한반복한다. 시간대가 항상 8부 종료 후부터 다음 정각 이전까지의 말미 5분 내외로 고정되고, 정말 가끔 유튜브 불펌 프로그램 종료 후 시간이 너무 많이 남을 때 재생한다는 점만 빼면 북한 방송들의 남는 시간 떼우기와 거의 동일한 역할. 인민의 소리와는 달리 가사가 없는 노래 (그것이 원곡이든 가사가 있는 다른 곡의 커버곡이든 상관 없이)만 나온다.
 
2023년 여름 개편 전까지는 시간대가 항상 8부 종료 후부터 다음 정각 이전까지의 말미 5분 내외로 고정되고, 정말 가끔 유튜브 불펌 프로그램 종료 후 시간이 너무 많이 남을 때 재생하였으며, 자매방송인 인민의 소리와는 달리 가사가 없는 노래 (그것이 원곡이든 가사가 있는 다른 곡의 커버곡이든 상관 없이)만 나왔다. 이후 담당자가 인사이동이라도 한 건지 매 시간마다 정각까지 시간이 좀 남을 경우 재생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가사가 있는 국산 가요가 압도적으로 더 많아져서 기존의 무가사 반주는 1주일에 한 번 들을까 말까 할 정도로 없어졌다.


== 방송 예시 ==
== 방송 예시 ==
* {{YouTube|deFHqGXgL6E||||2023년 2월 17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deFHqGXgL6E||||2023년 2월 17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WHABVNzpkmI||||2023년 10월 2일 방송.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WHABVNzpkmI||||2023년 10월 2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음악이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YouTube|glxXBU1fYgM||||2023년 10월 16일 방송 중 일부.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라 러시아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 {{YouTube|q0rH7fjwD4g||||2023년 10월 21일 방송.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라 러시아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 {{YouTube|A0VDVpmcbvE||||2023년 10월 22일~23일 방송. 소니 뮤직의 저작권 주장에 따라 러시아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 {{YouTube|YIysjNoE11U||||2024년 2월 4일 방송. [[비틀즈]]와 UFM의 저작권 주장에 따른 자동 차단을 회피하기 위해 'Hey Jude'가 삭제되고 검열음으로 대체되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대북방송]]
* [[대북방송]]
** [[인민의 소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문화어]]를 상당 부분 차용한 북한 말씨를 사용.
** [[인민의 소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문화어]]를 상당 부분 차용한 북한 말씨를 사용.
** [[자유FM]]: 초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FM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케이뉴스]]: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위키백과:뉴스 선전|뉴스 선전]]에 특화.
* [[프로파간다]]
* [[프로파간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