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메아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4번째 줄: 84번째 줄: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2022년까지 메인 아나운서였던 목소리. 성우 [[구자형]]과 왠지 음색이 비슷하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성우 [[구자형]]과 왠지 음색이 비슷하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최준영''' 이라고 알려진 아나운서 겸 논설위원 겸 해설자. 2023년 기준 '해외동포 논단'과 지구촌 리포트, 위클리 매거진에 나온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최준영''' 또는 '''최준형'''이라고 알려진 아나운서 겸 논설위원 겸 해설자. 편집일 기준 '해외동포 논단'과 지구촌 리포트에 나온다.
* '''남성 해설자''' (이하 '''남3'''):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김진'''이라고 알려진 해설자. 언젠가부터 이 방송에는 나오지 않고 중파 방송으로 자리를 옮긴 듯하다.
* '''남성 해설자''' (이하 '''남3'''): '지구촌 리포트'에서 여1에 의해 '''김진'''이라고 알려진 해설자. 언젠가부터 이 방송에는 나오지 않고 중파 방송으로 자리를 옮긴 듯하다.
* '''남성 TTS''' (이하 '''남4'''): 2023년 9월 23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남성 TTS''' (이하 '''남4'''): 2023년 9월 23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남성 아나운서 3''' (이하 '''남5'''): 2024년 2월 4일 청취 시 존재 확인. 2024년경 들어서 갑툭튀한 목소리. 정황 상 [[자유FM]]의 남1과 거의 동일인인 듯하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지구촌 리포트'에서 자신을 '''윤수영'''이라고 소개했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2022년까지 메인 아나운서였던 목소리. '지구촌 리포트'에서 자신을 '''윤수영'''이라고 소개했다.
* '''여성 TTS 1''' (이하 '''여2'''): 일기예보 진행 및 프로그램명 고지 시 이외에는 안 나오는 목소리로, [[TTS]]이다. 실제 생목소리로 녹음하거나 과거에 미리 녹음해둔 음원을 짜집기한 오디오가 아닌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억양이나 문장 이음이 어색하다.
* '''여성 TTS 1''' (이하 '''여2'''): 일기예보 진행 및 프로그램명 고지 시 이외에는 안 나오는 목소리로, [[TTS]]이다. 실제 생목소리로 녹음하거나 과거에 미리 녹음해둔 음원을 짜집기한 오디오가 아닌 것이 티가 날 정도로 억양이나 문장 이음이 어색하다.
* '''여성 TTS 2''' (이하 '''여3'''): 2023년 9월 30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 '''여성 TTS 2''' (이하 '''여3'''): 2023년 9월 30일 청취 시 존재 확인. 여2보다 진보한 [[TTS]].
95번째 줄: 94번째 줄:
* '''여성 해설자''' (이하 '''여5'''): 여2의 목소리의 원본이 되는 아나운서. 숨소리나 억양의 차이가 있는 걸 보면 분명 사람인데, 여2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오니 대단히 낯설게 느껴진다.
* '''여성 해설자''' (이하 '''여5'''): 여2의 목소리의 원본이 되는 아나운서. 숨소리나 억양의 차이가 있는 걸 보면 분명 사람인데, 여2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오니 대단히 낯설게 느껴진다.


위의 출연진 중 몇몇은 [[자유코리아방송]], [[케이뉴스]] 등에서도 활동한다.{{출처 필요}}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위의 출연진 중 몇몇은{{출처 필요}} 중파 756㎑ 대북방송에서도 활동한다.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 인터벌 시그널 ===
=== 인터벌 시그널 ===
109번째 줄: 108번째 줄:
=== 오늘의 소식 ===
=== 오늘의 소식 ===
* 오프닝: 남1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남2, 여1, 여2 中 1인 → 여3 또는 여4 → 무작위
* 진행: 남1, 남2, 여1, 여2 中 1인 → 여3 또는 여4
* 배치: 매 짝수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배치: 매 짝수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115번째 줄: 114번째 줄:
원칙적으로는 매일 녹음하는 뉴스로, 아나운서 1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좔좔좔 읊는 방식인데, 마치 국내외에 특파원이 있어서 취재를 한 것처럼 해당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국가의 수도 또는 주요 도시의 이름을 호명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국제연합]]의 경우 '뉴욕' 또는 'UN본부'가 해당 도시가 된다. 만일 같은 도시에서 나오는 기사라면 '계속해서 [도시이름]'이라고 말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 철저히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 북한 측에 대한 견제와 전향 유도를 하는 데 치우쳐 있고, 이 때문에 누가 봐도 '아 이건 좀...' 싶을 정도의 극우 관련 소식도 한미일 공조나 한국의 이권 획득으로 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 컨텐츠 자체는 다른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 내 뉴스 컨텐츠들과 거의 100% 겹친다. (대체로 순서만 다른 정도)
원칙적으로는 매일 녹음하는 뉴스로, 아나운서 1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좔좔좔 읊는 방식인데, 마치 국내외에 특파원이 있어서 취재를 한 것처럼 해당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국가의 수도 또는 주요 도시의 이름을 호명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국제연합]]의 경우 '뉴욕' 또는 'UN본부'가 해당 도시가 된다. 만일 같은 도시에서 나오는 기사라면 '계속해서 [도시이름]'이라고 말한 후 기사를 읊는다.</ref> 철저히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에서 북한 측에 대한 견제와 전향 유도를 하는 데 치우쳐 있고, 이 때문에 누가 봐도 '아 이건 좀...' 싶을 정도의 극우 관련 소식도 한미일 공조나 한국의 이권 획득으로 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뉴스 컨텐츠 자체는 다른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 내 뉴스 컨텐츠들과 거의 100% 겹친다. (대체로 순서만 다른 정도)


2023년 여름 개편으로 없어졌다가 동년 10월 16일 부로 부활했다. 도시를 호명하는 방식은 제거되었고 프로그램 내 코너로 '이 시각 세계'가 생겼다. <del>하루에 한 번 녹음하면서 이 시각같은 소리 하네 ㅄ같은 방송...</del>
2023년 여름 개편으로 없어졌다가 동년 10월 16일 부로 부활했다. 도시를 호명하는 방식은 제거되었고 프로그램 내 코너로 '이 시각 세계'가 생겼다. <del>하루에 한 번 녹음하면서 이 시각같은 소리 하네 ...</del>


=== 해상날씨예보 ===
=== 해상날씨예보 ===
* 진행: 남1, 여1, 여2 中 1인 → 남4 또는 여3
* 진행: 남1, 여1, 여2 中 1인 → 남4 또는 여3
* 배치: 오늘의 소식 종료
* 배치: 인터벌 시그널
원칙적으로 '오늘의 소식'의 진행자와 다른 아나운서가 녹음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원칙적으로 '오늘의 소식'의 진행자와 다른 아나운서가 녹음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대북방송답게 동·서해 남부와 남해는 예보에 포함되지 않고 동·서해 중부와 북부 및 일부 외해에 대해서만 예보가 이뤄진다. 특이사항으로 대화퇴 (야마토 퇴)를 지칭할 때에는 항상 '''"독도와 일본 오키 섬 사이로 동해안의 황금어장인 대화퇴 해역"'''이라고 수식어를 붙여 부르며, 이는 그 다음으로 아무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러시아 연해주 해역'과 대조된다.
대북방송답게 동·서해 남부와 남해는 예보에 포함되지 않고 동·서해 중부와 북부 및 일부 외해에 대해서만 예보가 이뤄진다. 특이사항으로 대화퇴 (야마토 퇴)를 지칭할 때에는 항상 "독도와 일본 오키 섬 사이로 동해안의 황금어장인 대화퇴 해역"이라고 수식어를 붙여 부르며, 이는 그 다음으로 아무 수식어 없이 언급되는 '러시아 연해주 해역'과 대조된다.


2023년 여름 개편으로 개선된 TTS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가, 동년 10월 16일 '오늘의 소식'이 부활하면서 그 쪽이 끝난 뒤에 읊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원칙적으로 남4 목소리로 나오지만 아주 가끔 내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여3 목소리로 진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2023년 여름 개편으로 개선된 TTS 목소리만을 사용하여 매 시 정각 인터벌 시그널 후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가, 동년 10월 16일 '오늘의 소식'이 부활하면서 그 쪽이 끝난 뒤에 읊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원칙적으로 남4 목소리로 나오지만 아주 가끔 내부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여3 목소리로 진행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 날씨와 생활 ===
* 진행: 남4 또는 여3
* 배치: 해상날씨예보 종료 후
2023년 가을 개편으로 생겨난 방송 내용. 솔직히 대북방송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는 별 쓸모 없다.


=== 프로그램 ===
=== 프로그램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