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훈민정음 (소프트웨어)||삼성전자의 워드프로세서}}
'''<ruby>訓民正音<rt>훈민정음</rt></ruby>'''  
'''訓民正音''', '''훈민{{첫가끝|ᄌ|ᅧᇰᅙᅳᆷ}}'''


== 개요 ==
== [[조선 세종]] 때 창제한 문자 체계 ==
[[조선]]시대 초기에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명칭인 한문을 번역하면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이다.
=== 개요 ===
[[조선]]시대 초기에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한글은 [[1443년]](세종 25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면서 조선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문자와 [[천지인]]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한글은 1443년(세종25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면서 조선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문자와 천지인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인용문|모음은 음양의 원리를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기본 모음 '[[]], [[]], [[]]'를 보면 'ㆍ'는 양(陽)인 하늘(天)을 본 떠 만들고, 'ㅡ'는 음(陰)인 땅(地)을 본 떠 만들었으며 'ㅣ'는 음과 양의 중간자인 인간(人)의 형상을 본 떠 만들었다.}}
{{인용문|''모음은 음양의 원리를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기본 모음'ㆍ · · ㅣ'를 보면 'ㆍ'는 양(陽)인 하늘(天)을 본 떠 만들고, 'ㅡ'는 음(陰)인 땅(地)을 본 떠 만들었으며 'ㅣ'는 음과 양의 중간자인 인간(人)의 형상을 본 떠 만들었다.''}}


오늘날 남아 있는 훈민정음의 판본 가운데 하나인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오늘날 남아있는 훈민정음의 판본 가운데 하나인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판본 ==
== [[삼성전자]]의 [[워드프로세서]] ==
훈민정음의 판본에는 크게 해례본(간송본, 상주본), 언해본이 있고, 그밖에 예의본이 있다. 실록본이 있는데, 이는 예의본에 속한다. 이 가운데 완전한 책의 형태를 지닌 것은 해례본이다.
위에서 이름을 딴 삼성전자의 워드프로세서. 과거 삼성전자의 브랜드PC 매직스테이션에 번들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아래아한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 밀려서 일반적으로는 거의 안 쓰고, 삼성전자 내부에서만 한동안 오래 썼다. 하지만 삼성전자에서도 결국 이걸 포기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로 갈아탔다.
훈민정음을 만들던 제작팀은 이후 넥스소프트로 분사해서 한컴오피스의 엑셀 호환 프로그램인 넥셀(현 한셀)을 만들다가, 결국 [[한글과컴퓨터]]로 흡수되었다.


=== 해례본 ===
[[분류:문자]]
*[[훈민정음 해례본]]을 참조.
 
=== 언해본 ===
*[[훈민정음 언해본]]을 참조.
 
=== 예의본 ===
해례(解例)와 예의(例義)가 모두 포함된 해례본과 달리 예의 부분만 들어 있는 것을 예의본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 예의본은 단행본이 아니라, 세종실록과 희방사판(喜方寺版) [[월인석보]]에 실린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이 책의 의의 ==
이 책은 한글의 창제 원리를 설명하고 있으며, 중세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책이다. 《해례본》에 포함되어 있는 있는 예의(例義)는 특히 창제 당시의 자체(字體)를 그대로 보이고 있어서 그 중 가장 높이 평가된다. 또한, 해례는 오랫동안 문제로 삼던 글자의 기원 등 여러 가지의 의문점을 밝혀 주고 있다.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간송본(국보 70호)과 [[2008년]] 상주에서 발견된 상주본 모두 한글 창제 원리를 풀이한 한문으로 된 해설서다. 훈민정음 창제 3년 뒤인 [[1446년]](세종 28년) 편찬됐다. 서울 간송미술관에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과 동일한 판본이지만 상주본은 간송본보다 보존 상태가 좋고 학자의 어문학적 견해가 많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예의본은 해례본이 발견되기 이전에 훈민정음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일차적 문헌이었다.
 
== 여담 ==
[[파일:Hunmin jeong-eum.jpg]]
 
여담으로 훈민정음의 책 제목은 솅종엉졩 훈민졍음 인데 중세국어식으로 발음하면 셔이종어져이 훈민졍음이 된다. 여기다 방점까지 반영해서 성조를 추가하면 중국어 느낌이 난다. 중세국어나 고대 한국어의 'ㅓㅣ'나 'ㅏㅣ'가 'ㅔ'나 'ㅐ' 단모음으로 변화한 것이다. '에'는 '어이', '애'는 '아이', 'ᄋퟄ'는 '이이', 'ᄋᆘ'는 '이아'로 읽으면 된다. 몽골어에서 볼 수 있는 이중모음이랑 비슷하다.
 
나랏말ᄊᆞ미도 '나'라스'말'ᄊᆞ'미'가 된다. 라스를 한 글자처럼 발음한다.
 
{{각주}}
{{퍼온문서|훈민정음}}
 
[[분류:훈민정음|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