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레 태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재위기간||1428년 ~ 1433년
|재위기간||1428년 ~ 1433년
|-
|-
|시호||통천계운성덕신공예문영무관명용지홍의지명대효고황제<br />(統天啓運聖德神功睿文英武寬明勇智弘義至明大孝高皇帝)
|시호||통천계운성덕신공예문영무관명용지홍의지명대효고황제<br>(統天啓運聖德神功睿文英武寬明勇智弘義至明大孝高皇帝)
|-
|-
|묘호||태조(太祖)
|묘호||태조(太祖)
40번째 줄: 40번째 줄:
여리는 명의 통치에 맞서 식민지가 된 대월을 해방하기 위해 각 지방의 호걸들을 끌어모아 독립전쟁을 준비하고 있었다. 1418년 2월<ref> [[영락제|영락]] 16년.</ref> 여리는 봉기를 일으켜 스스로를 평정왕(平定王)이라 칭한다. 여리 외에도 봉기군이 여럿 있었으나 오래지 않아 명군에게 격파당했다.
여리는 명의 통치에 맞서 식민지가 된 대월을 해방하기 위해 각 지방의 호걸들을 끌어모아 독립전쟁을 준비하고 있었다. 1418년 2월<ref> [[영락제|영락]] 16년.</ref> 여리는 봉기를 일으켜 스스로를 평정왕(平定王)이라 칭한다. 여리 외에도 봉기군이 여럿 있었으나 오래지 않아 명군에게 격파당했다.


명은 여리가 봉기를 일으키자 마기(馬騏)를 파견하여 정벌을 시도했다. 그러자 여리는 명군을 낙수(洛水)로 유인해 미리 대기하고 있던 복병들로 명군을 물리친다. 이후 여리는 영산(靈山)으로 이동하다가 명군의 추격을 받아 자신의 세력 사람들 일부분이 명의 포로로 붙잡힌다.
명은 여리가 봉기를 일으키자 마기(馬騏)를 파견하여 정벌을 시도했다. 그러자 여리는 명군을 낙수(洛水)로 유인해 미리 대기하고 있던 복병들로 명군을 물리친다. 이후 여리는 영산(靈山)으로 이동하다가 명군의 추격을 받아 자신의 세력 사람들 일부분이 명의 포로로 붙잡힌다.  


여리는 잔병을 이끌며 영산에 주둔하였고 1419년부터 24년까지 약 5년간 영산, 남산을 주요 거점으로 삼아 여러번 잔병을 이끌고 명군과 교전을 벌였으며 이 때 여리는 개국공신이 되는 [[응우옌짜이]]의 귀순을 받는다.
여리는 잔병을 이끌며 영산에 주둔하였고 1419년부터 24년까지 약 5년간 영산, 남산을 주요 거점으로 삼아 여러번 잔병을 이끌고 명군과 교전을 벌였으며 이 때 여리는 개국공신이 되는 [[응우옌짜이]]의 귀순을 받는다.


1425년 ([[홍희제|홍희]] 원년) 행군 기간에 여리는 연도(沿道)에 있던 백성들의 지지를 받고 엄격한 규칙을 바탕으로 여리 세력이 행차하는 곳 마다 성을 포위, 힘을 합쳐 백성들의 호응이 이어졌다. 명군이 점령했던 지역들은 여리가 다시 수복하였다. 명군의 주력이 예안성(乂安城)에만 집중되어 있고 다른곳은 방어가 약하다는 점을 알아채고 여리는 시선을 돌려 신평(新平), 순화(順化)를 공략한다.
1425년 ([[홍희제|홍희]] 원년) 행군 기간에 여리는 연도(沿道)에 있던 백성들의 지지를 받고 엄격한 규칙을 바탕으로 여리 세력이 행차하는 곳 마다 성을 포위, 힘을 합쳐 백성들의 호응이 이어졌다. 명군이 점령했던 지역들은 여리가 다시 수복하였다. 명군의 주력이 예안성(乂安城)에만 집중되어 있고 다른곳은 방어가 약하다는 점을 알아채고 여리는 시선을 돌려 신평(新平), 순화(順化)를 공략한다.  


당시 여리 세력은 베트남 중부를 점령하고 동도(東都)로 출병하여 [[똣동-쭉동 전투|1426년 10월과 11월 사이]]([[선덕제|선덕]] 원년) 명군과의 전투에서 명군을 가로막아 명군의 세력이 몇 개의 포위된 도시에만 세력권이 한정되게 만들었다. [[응우옌짜이]], [[찐카]], [[쩐응우옌한]], [[레삿]], [[팜반싸오]], 딘리엣, [[레응언]]등 휘하 참모, 장수들과 함께 계속 항전해 끝내 명나라에게 승리하고, 명나라 군대를 베트남에서 몰아냈다.
당시 여리 세력은 베트남 중부를 점령하고 동도(東都)로 출병하여 [[똣동-쭉동 전투|1426년 10월과 11월 사이]]([[선덕제|선덕]] 원년) 명군과의 전투에서 명군을 가로막아 명군의 세력이 몇 개의 포위된 도시에만 세력권이 한정되게 만들었다. [[응우옌짜이]], [[찐카]], [[쩐응우옌한]], [[레삿]], [[팜반싸오]], 딘리엣, [[레응언]]등 휘하 참모, 장수들과 함께 계속 항전해 끝내 명나라에게 승리하고, 명나라 군대를 베트남에서 몰아냈다.  


==== 명군을 격파하다 ====
==== 명군을 격파하다 ====
여리의 세력이 날로 커져가는 가운데, [[명나라]]의 [[왕통]]이 기습하여 만 여명이 참살당하는 손해를 입는다. 하지만 몇일 뒤 사방에서 반격하여 여리는 창강과 양강을 점령하고 왕통에게 화친을 제안한다. 왕통은 [[선덕제]]에게 서신을 전달했고 당시 명군은 대대적인 피해를 감안해 왕통은 급히 화친 요구를 받아들이고 양측이 철군하기로 약속한다.
여리의 세력이 날로 커져가는 가운데, [[명나라]]의 [[왕통]]이 기습하여 만 여명이 참살당하는 손해를 입는다. 하지만 몇일 뒤 사방에서 반격하여 여리는 창강과 양강을 점령하고 왕통에게 화친을 제안한다. 왕통은 [[선덕제]]에게 서신을 전달했고 당시 명군은 대대적인 피해를 감안해 왕통은 급히 화친 요구를 받아들이고 양측이 철군하기로 약속한다.  


전쟁이 크게 가라앉은 후 1427년(선덕 2년) 11월 여리는 사절을 보내 [[진고(대월)|쩐까오]]를 안남왕 책봉을 요구한다. 진고가 안남왕에 정식 책봉되면서 중국의 복속기가 드디어 끝나게 되었다.
전쟁이 크게 가라앉은 후 1427년(선덕 2년) 11월 여리는 사절을 보내 [[진고(대월)|쩐까오]]를 안남왕 책봉을 요구한다. 진고가 안남왕에 정식 책봉되면서 중국의 복속기가 드디어 끝나게 되었다.  


여리가 명군과 오랫동안 장기전을 벌이며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용병술<ref> 군사를 부리는 기술.</ref>과 베트남 북부의 자연환경에 해박했기 때문이다. 여리는 명의 복병을 치고 공격을 피하며 매번 나란히 대진하였고 명군의 숫자가 여리 세력보다 많았지만 동시에 행군이 멀어 최적의 상태에서 전투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했다.
여리가 명군과 오랫동안 장기전을 벌이며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용병술<ref> 군사를 부리는 기술.</ref>과 베트남 북부의 자연환경에 해박했기 때문이다. 여리는 명의 복병을 치고 공격을 피하며 매번 나란히 대진하였고 명군의 숫자가 여리 세력보다 많았지만 동시에 행군이 멀어 최적의 상태에서 전투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했다.  


==== 군헌 10조 ====
==== 군헌 10조 ====
여리는 부하들의 규율과 통합을 중시했고 빈틈없이 그 점을 관리했다. 그는 일찍히 '군헌 10조'를 반포하기도 했다.
여리는 부하들의 규율과 통합을 중시했고 빈틈없이 그 점을 관리했다. 그는 일찍히 '군헌 10조'를 반포하기도 했다.
* 1. 시끄럽게 한 자.
* 1. 시끄럽게 한 자.
* 2. 함부로 말해서 분위기를 뒤흔든 자.
* 2. 함부로 말해서 분위기를 뒤흔든 자.
67번째 줄: 68번째 줄:
* 9. 사리사욕으로 남의 공과를 뒤바꾼 자.
* 9. 사리사욕으로 남의 공과를 뒤바꾼 자.
* 10. 여러 사람과 화합하지 못하고 간악하여 도둑질을 일삼은 자.
* 10. 여러 사람과 화합하지 못하고 간악하여 도둑질을 일삼은 자.
* 위 열가지에 해당하는 자는 참수한다.
 
* 위 열가지에 해당하는 자는 참수한다.  


또한, 여리는 모든 문무관들에게 말했다.
또한, 여리는 모든 문무관들에게 말했다.
89번째 줄: 91번째 줄:
여리는 재건 대월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여러 개혁정책들을 펼쳤다. 교육에 관해선 경성에 국자감을 설치하고 지방 각 부로에 학당을 설치해 유학을 가르쳤으며 [[과거 시험]]을 개최하였고 종교별로 시험 제도도 만들었다. 율령의 경우엔 당대의 형벌을 참고하여 태질, 장형, 징역, 유배, 사형으로 구분했으며 자수한 경우 감형하는 경우도 생각하였다. 또한 공이 없는 자가 토지를 점유하고, 개국 전쟁에 참여했던 병사는 경작할 토지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균전제|균전법]]을 제정해 빈부의 불균형을 완화시켰다.
여리는 재건 대월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여러 개혁정책들을 펼쳤다. 교육에 관해선 경성에 국자감을 설치하고 지방 각 부로에 학당을 설치해 유학을 가르쳤으며 [[과거 시험]]을 개최하였고 종교별로 시험 제도도 만들었다. 율령의 경우엔 당대의 형벌을 참고하여 태질, 장형, 징역, 유배, 사형으로 구분했으며 자수한 경우 감형하는 경우도 생각하였다. 또한 공이 없는 자가 토지를 점유하고, 개국 전쟁에 참여했던 병사는 경작할 토지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균전제|균전법]]을 제정해 빈부의 불균형을 완화시켰다.


군사의 경우 항명전쟁이 끝난 뒤 당시 25만명에서 10만명으로 인원을 줄이고 나머지는 [[귀농]]시켰다. 또 전 군을 다섯으로 나누었으며 한 명이 귀농하고 넷이 근무하는 등의 교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자신의 통치기간에도 봉기가 일어나자 친정하여 정벌했다.
군사의 경우 항명전쟁이 끝난 뒤 당시 25만명에서 10만명으로 인원을 줄이고 나머지는 [[귀농]]시켰다. 또 전 군을 다섯으로 나누었으며 한 명이 귀농하고 넷이 근무하는 등의 교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자신의 통치기간에도 봉기가 일어나자 친정하여 정벌했다.  


==== 외교관계 ====
==== 외교관계 ====
98번째 줄: 100번째 줄:
==== 사용 칭호 ====
==== 사용 칭호 ====
여리가 생전에 쓰던 호칭은 5개가 있었고 총 호칭들은 다음과 같다.
여리가 생전에 쓰던 호칭은 5개가 있었고 총 호칭들은 다음과 같다.
* 평정왕(平定王) - 항명운동때 사용한 자칭 왕호.
 
* 대월 [[황제]](皇帝) - 재건 [[대월]]의 황제로 즉위.
* 평정왕(平定王) - 항명운동때 사용한 자칭 왕호.  
* 순천승운예문영무대왕(順天承運睿文英武大王) - [[존호]].
* 대월 [[황제]](皇帝) - 재건 [[대월]]의 황제로 즉위.  
* 남산동주(藍山洞主) - [[아호]].
* 순천승운예문영무대왕(順天承運睿文英武大王) - [[존호]].  
* 안남국왕(安南國王) - [[중국]]([[명나라]])에서 봉해준 작호.
* 남산동주(藍山洞主) - [[아호]].  
* 안남국왕(安南國王) - [[중국]]([[명나라]])에서 봉해준 작호.  


==== 사망 ====
==== 사망 ====
109번째 줄: 112번째 줄:
== 평가 ==
== 평가 ==
=== 당대 신하들의 평가 ===
=== 당대 신하들의 평가 ===
당대의 신하들 역시 강대국이자 주군국인 [[명나라]]를 이기고 독립에 가까워지는 상황에서 한 입에 이렇게 말했다.
당대의 신하들 역시 강대국이자 주군국인 [[명나라]]를 이기고 독립에 가까워지는 상황에서 한 입에 이렇게 말했다.  


{{인용문|「明淫刑虐政,久失民心,帝反其道而用之,以仁易暴,以治易亂,此所以成功之速也。」
{{인용문|「明淫刑虐政,久失民心,帝反其道而用之,以仁易暴,以治易亂,此所以成功之速也。」
123번째 줄: 126번째 줄:


{{인용문|帝承祖父之業,時遭大亂,而志益堅,晦跡山林,以稼穡為業,由其憤強賊之陵暴,尤留心於韜畧之書,罄竭家貲,厚待賓客。及戊戌年起集義兵,經營天下,前後凡數十戰,皆設伏出奇,避實擊虛,以寡敵眾,以弱敵強。及明人出降,戒戢軍士,秋毫無犯,兩國自是通好,南北無事。忙禮、哀牢,俱入版圖;占城、闍槃,航海修貢。帝宵衣旰食,凡十年而天下大治。
{{인용문|帝承祖父之業,時遭大亂,而志益堅,晦跡山林,以稼穡為業,由其憤強賊之陵暴,尤留心於韜畧之書,罄竭家貲,厚待賓客。及戊戌年起集義兵,經營天下,前後凡數十戰,皆設伏出奇,避實擊虛,以寡敵眾,以弱敵強。及明人出降,戒戢軍士,秋毫無犯,兩國自是通好,南北無事。忙禮、哀牢,俱入版圖;占城、闍槃,航海修貢。帝宵衣旰食,凡十年而天下大治。
조상 대부터 내려온 가문의 세력을 도맡다가 변을 당하셨지만, 뜻<ref>항명운동.</ref>이 깊어 산림에 은거하고 명의 부조리에 분개하여 귀순해 오는 자에게 자비를 베풀었다.
조상 대부터 내려온 가문의 세력을 도맡다가 변을 당하셨지만, 뜻<ref>항명운동.</ref>이 깊어 산림에 은거하고 명의 부조리에 분개하여 귀순해 오는 자에게 자비를 베풀었다.  
 
의병을 모아 혁명을 계획하고,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 복병을 두고 적은 수로, 많은 적을 격파하고, 약한 군대로, 강한 군대를 쳤다. 그렇게 명군이 항복하여 독립에 성공했다. [[참파|점성]]국 등이 조공했고 무릇 10년만에 천하가 태평하였다.|}}
의병을 모아 혁명을 계획하고,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 복병을 두고 적은 수로, 많은 적을 격파하고, 약한 군대로, 강한 군대를 쳤다. 그렇게 명군이 항복하여 독립에 성공했다. [[참파|점성]]국 등이 조공했고 무릇 10년만에 천하가 태평하였다.|}}


131번째 줄: 133번째 줄:


=== 근-현대 사학자들의 평 ===
=== 근-현대 사학자들의 평 ===
여리에 대한 [[쩐통킴|진중김]]의 평은 [[구국영웅]]이다. 그러나 가혹한 형벌 제도를 비판했고 질투심과 견제로 공신들을 죽인 [[토사구팽]]은 문제있다고 평했다.
여리에 대한 [[쩐통킴|진중김]]의 평은 [[구국영웅]]이다. 그러나 가혹한 형벌 제도를 비판했고 질투심과 견제로 공신들을 죽인 [[토사구팽]]은 문제있다고 평했다.  


또한 [[베트콩]] 학자들은 그를  항명운동을 위해 모든걸 바친 강직하고 정의로운 애국자로 평했으며 중국의 일부 학자들도 위협 세력이 되는 호족을 거느린 점과 명과의 대등한 외교관계를 세운것을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일부 학자는 토지, 식량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 점을 아쉽다 평가했고 이러한 문제는 후여조 최고의 명군 [[성종(후여)|성종]]대에 이르러 해결된다.
또한 [[베트콩]] 학자들은 그를  항명운동을 위해 모든걸 바친 강직하고 정의로운 애국자로 평했으며 중국의 일부 학자들도 위협 세력이 되는 호족을 거느린 점과 명과의 대등한 외교관계를 세운것을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일부 학자는 토지, 식량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 점을 아쉽다 평가했고 이러한 문제는 후여조 최고의 명군 [[성종(후여)|성종]]대에 이르러 해결된다.
== 후대에 미친 영향 ==
== 후대에 미친 영향 ==
=== 하노이 환검호 전설 ===
=== 하노이 환검호 전설 ===
[[하노이]]에 있는 호안키엠 호수(還劍湖, 환검호)의 이름 유래와 관련된 전설이 있는데, 레 러이가 한창 명나라에 맞서 전쟁 중일 때 호수에서 [[양쯔강대왕자라|황금 거북이]]가 입에 [[용왕]]이 준 검<ref> 이름은 뚜언띠엔(Thuận Thiên, 順天; '''순천''')이다.</ref>을 물고 나타나서 그에게 주었고, 레 러이는 이 검으로 명나라와의 전쟁에 이기고 자신이 대월의 황제가 되었으며, 그 뒤에 다시 호수에서 만난 거북에게 용왕의 검을 돌려주었다고 한다.
[[하노이]]에 있는 호안키엠 호수(還劍湖, 환검호)의 이름 유래와 관련된 전설이 있는데, 레 러이가 한창 명나라에 맞서 전쟁 중일 때 호수에서 [[양쯔강대왕자라|황금 거북이]]가 입에 [[용왕]]이 준 검<ref> 이름은 뚜언띠엔(Thuận Thiên, 順天; '''순천''')이다.</ref>을 물고 나타나서 그에게 주었고, 레 러이는 이 검으로 명나라와의 전쟁에 이기고 자신이 대월의 황제가 되었으며, 그 뒤에 다시 호수에서 만난 거북에게 용왕의 검을 돌려주었다고 한다.  


[[2000년]]에 환검호에서 하연덕(何廷德)이란 학자가 새로운 자라 종을 발견했는데 이 자라를 환검자라라 칭했으며 종소명을 'Rafetus leloii'라 칭했는데 종소명의 leloii는 태조의 휘에서 따온 것이다.
[[2000년]]에 환검호에서 하연덕(何廷德)이란 학자가 새로운 자라 종을 발견했는데 이 자라를 환검자라라 칭했으며 종소명을 'Rafetus leloii'라 칭했는데 종소명의 leloii는 태조의 휘에서 따온 것이다.
167번째 줄: 169번째 줄:


== 둘러보기 ==
== 둘러보기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 colspan="5" style= | '''역대 [[초여조]] 황제'''
! colspan="5" style= | '''역대 [[초여조]] 황제'''
|-
|-
| 후진조 3대 진고
| rowspan="2" style= | 후진조 3대 진고
| ←
| rowspan="2" | ←
| '''1대 태조 여리'''
| rowspan="2" style= | '''1대 태조 여리'''
| →
| rowspan="2" | →
| 2대 [[여태종|태종]] 여원룡
| rowspan="2" style= | 2대 [[여태종|태종]] 여원룡
|-
|}
|}
{{각주}}
[[분류:베트남의 군주]]
[[분류:베트남의 군주]]
[[분류:동아시아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