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곶등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등대]][[분류:경상북도 기념물]]
[[분류:등대]][[분류:경상북도 기념물]]
[[분류:등대문화재]]
[[분류:등대문화재]]
{{등대 정보
{{등대
|등대이름 = 호미곶등대
|명칭=호미곶등대
|원어이름 =  
|그림=
|그림    = [[파일:Homigot Lighthouse from New Millennium Memorial Hall.jpg|150px]]
|그림설명=
|번호=1342 / M4406
|위치=[[경상북도]] [[포항시시]] [[호미곶면]] 대보리
|경위도=36°04′40.4″N</br>129°34′04.1″E
|인접항구=[[대보항]]
|등고=31m
|높이= 26.4m
|점등일자= {{날짜/출력|1908-12-20}}
|광파표지/광달거리=12초 1백섬광 / 27해리(48km)
|명호=106~347
|음파표지/음달거리=Air Siren 60초 1회 / 5해리(No.4316)
|전파표지/통달거리/주파수=DGPS(위성항법정보국) / 100해리(No.4204)
|관할기관= [[해양수산부]] 포항지방해양수산청
}}
{{문화재
|명칭 = 호미곶등대
|한자 = 虎尾串燈臺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번호    = 1342 / M4406
|종목 = [[경상북도 기념물]] 제39호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시]] [[호미곶면]] 대보리
|분류 =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근대교통·통신시설/ 해운
|경위도  = 36°04′40.4″N 129°34′04.1″E
|수량= 등대 1기
|등고    = 31m
|면적 = 13,527㎡
|높이    = 26.4m
|날짜 = {{날짜/출력|1982-8-4}}
|관할기관 = [[해양수산부]] 포항지방해양수산청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면]] 대보리
|점등일자 = [[1908년]] [[12월 20일]]
|시대 = [[대한제국]]
|광파표지 = 12초 1백섬광 / 27해리(48km) / 명호: 106~347º
|소유 =
|음파표지 = Air Siren 60초 1회 / 5해리(No.4316)
|관리 = 포항지방해양수산청
|전파표지 = DGPS(위성항법정보국) / 100해리(No.4204)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경상북도 기념물]] 제39호
|지정일  = [[1982년]] [[8월 4일]]
|해제일  =  
}}
}}
}}
==개요==
[[대한민국]] 육지의 최동단인 [[호미곶]]에 위치한 [[등대]]로 높이가 26m를 넘어서는 상당히 높은 편에 달하는 등대임에도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건축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래쪽은 8각형이며, 둘레는 아래쪽이 24m, 윗부분이 17m인 위쪽이 좁은 6층 규모의 등탑으로 각 층의 천장마다 당시 건립주체였던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이 조각되어 있다.
[[대한민국]] 육지의 최동단인 [[호미곶]]에 위치한 [[등대]]로 높이가 26m를 넘어서는 상당히 높은 편에 달하는 등대임에도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건축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래쪽은 8각형이며, 둘레는 아래쪽이 24m, 윗부분이 17m인 위쪽이 좁은 6층 규모의 등탑으로 각 층의 천장마다 당시 건립주체였던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이 조각되어 있다.


29번째 줄: 39번째 줄:


==건립배경==
==건립배경==
이 등대는 1901년 일본이 대륙침탈의 기반을 다지는 도중 일본수산실업 전문대학교 실습선이 지금의 대보항 앞바다에서 항해중 태풍을 만나 [[교석초|암초]]에 부딛혀서 승무원과 학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일본은 이 사고의 원인이 한국 연안의 해안시설 미비로 발생하였다고 주장하면서 [[대한제국]]에 손해배상을 요구하게 되었다. 당시 힘이 없던 대한제국은 어쩔 수 없이 등대를 건립하게 되었으며, 1908년 4월 13일에 착공, 같은 해 11월 19일에 준공, 다음달인 12월 20일에 점등을 하여 등대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당시 설계는 [[프랑스]] 사람이 맡았으며, 건축은 중국인 기술자가 하였다고 한다.
이 등대는 1901년 일본이 대륙침탈의 기반을 다지는 도중 일본수산실업 전문대학교 실습선이 지금의 대보항 앞바다에서 항해중에 [[교석초|암초]]에 부딛혀서 승무원과 학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일본은 이 사고의 원인이 한국 연안의 해안시설 미비로 발생하였다고 주장하면서 [[대한제국]]에 손해배상을 요구하게 되었다. {{ㅊ|애초에 지들이 남의 나라 영해를 침탈한게 문제인건 생각 안하나?}} 당시 힘이 없던 대한제국은 어쩔 수 없이 등대를 건립하게 되었으며, 1908년 4월 13일에 착공, 같은 해 11월 19일에 준공, 다음달인 12월 20일에 점등을 하여 등대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당시 설계는 [[프랑스]] 사람이 맡았으며, 건축은 중국인 기술자가 하였다고 한다.


여담으로 당시 등대 건설 공사를 할 인근 주민들은 호랑이 꼬리에 불을 놓게 되는 격이라고 하면서 이 등대의 건립을 상당히 꺼림칙하게 여겼다고 한다.
여담으로 당시 등대 건설 공사를 할 인근 주민들은 호랑이 꼬리에 불을 놓게 되는 격이라고 하면서 이 등대의 건립을 상당히 꺼림칙하게 여겼다고 한다.


==명칭 변천사==
==명칭 변천사==
43번째 줄: 53번째 줄:
*매년 1월 1일이면 전국 각지에서 해맞이를 하기 위해 사람들이 이 등대 부근으로 바글바글 모여든다. 치여죽을 수 있으니 참조하자.
*매년 1월 1일이면 전국 각지에서 해맞이를 하기 위해 사람들이 이 등대 부근으로 바글바글 모여든다. 치여죽을 수 있으니 참조하자.
*이 등대 바로 옆에는 대한민국 유일의 [[등대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등대덕후가 되고 싶다면 한번쯤 방문해 보도록 하자.
*이 등대 바로 옆에는 대한민국 유일의 [[등대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등대덕후가 되고 싶다면 한번쯤 방문해 보도록 하자.
*건립 당시의 명칭은 동외곶등대였으며 이 곶의 지명이 장기갑으로 바뀌면서 1934년에 장기갑등대로 바귀게 되었고, 이후 1995년 장기곶등대로, 이후 해당 지명이 호미곶으로 바뀜에 따라 2002년 2월부터는 현재의 명칭인 호미곶등대로 바뀌게 되었다. 참고로 지명의 유래는 한반도를 호랑이에 비유했을 때 호랑의 꼬리가 되는 지점이 바로 이 동네에 해당된다 하여서 유래한 것이다.


<gallery>
<gallery>
50번째 줄: 61번째 줄: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_유인등대}}
{{대한민국의_유인등대}}
{{포항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리브레 맵스 마커|36.07788888888890|129.56780555555600|10|호미곶등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