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일렉시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자동차 정보
{{자동차 정보
|차량이름 = 현대 일렉시티
|이름 =현대 일렉시티
|원어이름 =
|그림 =Eleccity.jpeg
|그림     = [[파일:Eleccity.jpeg|150px]]
|설명 =2017년 [[현대 트럭&버스 메가페어]]에 나온 일렉시티.
|그림설명 = 2017년 [[현대 트럭&버스 메가페어]]에 나온 일렉시티.
|차종 =버스
|다른이름 =  
|제조사 =[[현대자동차]]
|종류    = 대형 버스
|별칭 =
|차체종류 = [[도시형 버스]]<br />[[초저상버스]]
|생산년도 =2017년~
|구동구조 = 후륜
|조립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제조사   = [[현대자동차]]
|선행차량 =
|디자이너 =  
|후속차량 =
|조립    =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차체형식 =대형 초저상버스
|생산연도 = 2017년~
|구동방식 =후륜
|사용연도 =  
|차대 =
|생산량  =  
|엔진 =영구자석형 동기모터
|정원    = 1층 비굴절: 27+1+20(입석)<br />굴절: 47+1+28(입석)<br />2층: 11(1층)+1+59(2층)
|최고출력 =240kW (326마력)
|이전차량 =  
|최대토크 =
|이후차량 =  
|변속기 =
|관련차량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전장 =10,998mm
|연료    = 전기, 수소연료전지
|전폭 =2,490mm
|엔진     = 영구자석형 동기모터
|전고 =3,420mm
|최고출력 = 240kW (326마력)
|축간거리 =5,400mm
|최대토크 =  
|윤거전 =2,060mm
|변속기   =
|윤거후 =1,835mm
|배터리  =
|전비중량 =
|주무장  =
|연료 =전기, 수소
|보조무장 =
|관련차량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장갑    =
|설계자 =
|플랫폼  =  
|전장     = 1층 비굴절: 10,998mm<br />굴절: 18.235mm<br />2층: 12,990mm
|전폭     = 2,490mm
|전고     = 1층: 3,420mm<br />2층: 3,995mm
|축간거리 = 5,400mm
|무게    =  
|비고    =  
}}
}}
== 개요 ==
== 개요 ==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313675 관련기사]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313675 관련기사]


[[현대자동차]]에서 만드는 [[전기버스]], 수소연료전지버스.
[[현대자동차]]에서 만드는 [[전기버스]].  


2010년에 1세대 모델을 만든 적이 있다. 2017년 [[메가페어]]에서 일반에 공개했고 2017년 11월 16일부터 [[동남여객]], [[대진여객]]에서 [http://pr.hyundai.com/#/pages/news/PressReleaseView.aspx?cate=&page=3&idx=8450 첫 출고]를 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수소전기버스 모델을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183576 선보였다.]
2018년까지 [[굴절버스]] 모델을 [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2824145 개발할 예정]이다.
== 특징 ==
== 특징 ==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을 베이스로 했으나 천장을 높게 올리는 등 다른 디자인을 적용했다. 이 디자인은 수소버스 등 향후 나올 다른 친환경 버스에도 적용 예정.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을 베이스로 했으나 다른 디자인을 적용했다. 이 디자인은 수소버스 등 향후 나올 다른 친환경 버스에도 적용 예정.
*창문은 개폐창이 아니라 통유리를 적용했다.
*창문은 개폐창이 아니라 통유리를 적용했다.
*우리나라 [[초저상버스]] 중에서 최초로 [[중문 (차량)|중문]] 앞에도 2+2 좌석배열을 적용했다.
*나무무늬 바닥재를 적용.
*나무무늬 바닥재를 적용.
*[[휠체어석]]은 일반 승객좌석이 삭제되어 휠체어 공간만 있다. 그 영향으로 삭제된 좌석수를 보충하기 위해 앞부분도 2+2 배열이 적용되어 있다. [[입석]] 승객이 기댈 수 있게 힙 레스트가 있다.
*휠체어석에는 [[입석]] 승객이 기댈 수 있게 힙 레스트가 있다.
*[[하차벨]]이 기존의 풍뎅이 모양이 아나라 동그라미 모양으로 바뀌었다. 이 하차벨은 2018년형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에도 적용되었다.
*[[하차벨]]이 기존의 풍뎅이 모양이 아나라 동그라미 모양으로 바뀌었다.
*모터는 현대차가 국책 과제로 개발한 인휠모터를 썼으나 [https://www.etnews.com/20200904000129 결함 때문에] 2021년부터 ZF제 센트럴 모터로 바꾸었다.
== 제원 ==
== 제원 ==
*배터리 종류: 리튬 폴리머
*배터리 종류: 리튬 폴리머
*배터리 용량 : 256kWh, 128kWh(옵션)  
*배터리 용량 : 256kWh, 128kWh(옵션)  
*최대 주행거리 : 290km<ref>시속 60km로만 쭉 정속주행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http://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1365974 관련글]</ref>
*최대 주행거리 : 290km<ref>시속 60km로만 쭉 정속주행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http://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1365974 관련글]</ref>
 
*좌석수 : 27석
== 세부 차종 ==
{{현대자동차}}
=== 일렉시티 ===
11m급 1층 전기버스.
 
2010년에 1세대 모델을 만든 적이 있다. 2017년 [[메가페어]]에서 일반에 공개했고 2017년 11월 16일부터 [[동남여객]], [[대진여객]]에서 [http://pr.hyundai.com/#/pages/news/PressReleaseView.aspx?cate=&page=3&idx=8450 첫 출고]를 했다.
=== 일렉시티 FCEV ===
11m급 1층 수소연료전지 버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처음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183576 선보였다.] [[노선버스]] 첫 운행은 2018년 10월 22일부터 [[울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https://news.joins.com/article/23054873 이루어졌다].
 
=== 일렉시티 굴절버스 ===
[[굴절버스|굴절]] 1층 전기버스.
 
2017년에 [http://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2824145 개발]한다는 발표가 나왔고 2020년 1월 23일부터 [[세종특별자치시 BRT]]에 [http://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925396.html 첫 운행을 시작]했다.
 
=== 일렉시티 이층버스 ===
13m급 2층 전기버스.
 
최초의 국산 [[2층 버스]] 모델이다. 2017년 12월 27일부터 [https://www.kaia.re.kr/portal/landmark/readTskFinalView.do?tskId=138346&yearCnt=1&cate1=&cate2=&cate3=&year=&tskName=%EC%A0%84%EA%B8%B0&pageIndex=1&menuNo=200100 한국형 대용량 2층 전기버스 선행차량 개발]이라는 국책 과제로 개발했다. [[현대 유니시티]]를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782403&memberNo=963&vType=VERTICAL 베이스]로 개발했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411010006302 완성차 말고도 베어섀시로도 개발]했다고 한다. 최초로 [[광역급행버스 M6450]]에 도입돼서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3&sub=004&idx=57652 2021년 4월 26일부터] 운행하기 시작한다.
 
=== 일렉시티 타운 ===
중형 1층 전기버스.
 
현대자동차에서 최초로 출시한 중형저상버스다. 2019년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01563971 개발]한다는 발표가 나왔고 2021년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09335&search_pos=-396913&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8B%A8%EC%B6%95%ED%98%95&page=1 시운전하는 모습]이 나왔다. 2022년 12월 30일에 [[부일교통 (부천)|부일교통]]과 [[영광교통]]에서 최초로 출고했다.
 
{{각주}}
{{각주}}
{{현대자동차의 생산차량}}
[[분류:현대자동차]][[분류:버스 차종]]
[[분류:현대자동차의 차종]][[분류:버스 차종]]
[[분류:전기자동차]]
{{문서 가져옴|2층 버스|747519|일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