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베이스피릿호 원유유출 사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태안반도 기름유출 사고|태안 기름유출 사고|태안반도 원유유출 사고}}
{{사건사고}}
{{사건 정보
{{사건 정보
|사건이름 = 허베이스피릿호 원유유출 사고
|사건 = 허베이스피릿호 원유유출 사고
|원어이름 =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날짜    = [[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15분
|누가 =
|장소    =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8km 해상
|언제 = [[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15분
|주최    =  
|어디서 =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8km 해상
|참가    =  
|무엇을 =  
|원인    =  
|어떻게 =
|목적    =  
|=
|결과    =
|인명 피해=  
|인명피해 =
|재산 피해= 원유 12,547톤 유출<br>피해지역 주민들의 직간접적 생계 피해
|재산피해 = 원유 12,547톤 유출<br />피해지역 주민들의 직간접적 생계 피해
|비고    =
}}
}}


31번째 줄: 33번째 줄:


==피해==
==피해==
원유 12,547톤이 유출되어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해상 203㎢, 해안 54㎢ 가량의 광범위한 오염이 발생했다. 오염수준을 조사한 결과, 파도의 영향을 받는 외해지역의 섬 해안가에서는 원유가 고착되어 [[아스팔트]]화 현상이 나타났고, 내륙 해안에서도 표면에 고착화된 [[타르]]가 대량으로 발견되었다. 해안선을 연한 지역의 바위나 자갈에는 [[탄소]] 함량이 높은 유분이 광범위하게 흡착되었다. 방제작업에 나선 인원들은 흡착된 타르와 유분기를 흡착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닦아내는 수고를 감내했다.
원유 12,547톤이 유출되어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해상 203㎢, 해안 54㎢ 가량의 광범위한 오염이 발생했다. 오염수준을 조사한 결과, 파도의 영향을 받는 외해지역의 섬 해안가에서는 원유가 고착되어 [[아스팔트]]화 현상이 나타났고, 내륙 해안에서도 표면에 고착화된 [[타르]]가 대량으로 발견되었다. 해안선을 연한 지역의 바위나 자갈에는 [[탄소]] 함량이 높은 유분이 광범위하게 흡착되었다. 방제작업에 나선 인원들은 흡착된 타르와 유분기를 흡착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닦아내는 수고를 감내했다.  


독한 기름냄새로 인해 오염지역 주민들이 두통, 메스꺼움, 시력이상, 호흡기 질환등을 호소하였으며, 원유가 증발하면서 해당지역의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해안가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거나 해안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상대로한 영업이 생계수단인데, 해양과 해안이 심각하게 오염되어 어로 활동은 물론, 관광객 급감으로 생계에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독한 기름냄새로 인해 오염지역 주민들이 두통, 메스꺼움, 시력이상, 호흡기 질환등을 호소하였으며, 원유가 증발하면서 해당지역의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해안가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거나 해안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상대로한 영업이 생계수단인데, 해양과 해안이 심각하게 오염되어 어로 활동은 물론, 관광객 급감으로 생계에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42번째 줄: 44번째 줄:
종합적으로 따져보면, 삼성중공업은 사고 당시 기상악화로 항행이 어려웠던 상황에서도 예인선을 동원하여 항행을 강행했고, 해양청의 충돌 가능성 경고를 수신하고도 이를 무시했으며, 사고 후 해양청의 경고 수신을 고의적으로 항해일지에서 삭제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는 명백한 인재이나 [[대법원]]은 사고를 낸 삼성중공업측에 겨우 56억원에 불과한 배상금을 책정하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3241802305&code=940301 논란]이 일었다.
종합적으로 따져보면, 삼성중공업은 사고 당시 기상악화로 항행이 어려웠던 상황에서도 예인선을 동원하여 항행을 강행했고, 해양청의 충돌 가능성 경고를 수신하고도 이를 무시했으며, 사고 후 해양청의 경고 수신을 고의적으로 항해일지에서 삭제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는 명백한 인재이나 [[대법원]]은 사고를 낸 삼성중공업측에 겨우 56억원에 불과한 배상금을 책정하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3241802305&code=940301 논란]이 일었다.


법적 책임과는 별개로 생업에 큰 타격을 입은 피해 주민들이 집단으로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약 11만명의 주민이 제기한 이 소송은 대한민국 법조계 사상 최대규모의 소송이었으며, [[2013년]] [[1월]] 관할 사법부인 서산지원은 피해액 사정재판<ref>사정재판은 정식재판처럼 법적인 효력을 발생시키는 성격이 아닌 일종의 예비 재판으로 소송을 제기한 피해 당사자의 적격 유무, 금액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 판단하는 과정이다.</ref>을 통해 주민직접피해액 4,138억원, 방제비용 및 해양복원사업비용 3,293억원으로 총 피해액을 7,341억 원으로 결정하였다. 여기서 산정된 피해액은 [[유류오염배상기구]](IOPC)가 산정한 1,824억원 보다는 4배 가량 증가했으나, 주민들이 소송을 제기한 액수인 4조 2271억원에 비해 6배 가량 적은 액수였다. 재판에서 판시한 금액중 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돌아가는 배상액은 4,138억원으로 이는 IOPC가 산정한 1,824억원중 직접피해액으로 채정된 800억원보다 5배 많은 액수이다. 이렇게 IOPC와 서산지원이 산정한 배상액이 차이가 큰 이유는 [[바지락]] 등 어업생물 폐사와 정부의 조업제한조치에 따른 손해 등을 서산지원 재판부에서는 인정하였으나, IOPC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법적 책임과는 별개로 생업에 큰 타격을 입은 피해 주민들이 집단으로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약 11만명의 주민이 제기한 이 소송은 대한민국 법조계 사상 최대규모의 소송이었으며, [[2013년]] [[1월]] 관할 사법부인 서산지원은 피해액 사정재판<ref>사정재판은 정식재판처럼 법적인 효력을 발생시키는 성격이 아닌 일종의 예비 재판으로 소송을 제기한 피해 당사자의 적격 유무, 금액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 판단하는 과정이다.</ref>을 통해 주민직접피해액 4,138억원, 방제비용 및 해양복원사업비용 3,293억원으로 총 피해액을 7,341억 원으로 결정하였다. 여기서 산정된 피해액은 [[유류오염배상기구]](IOPC)가 산정한 1,824억원 보다는 4배 가량 증가했으나, 주민들이 소송을 제기한 액수인 4조 2271억원에 비해 6배 가량 적은 액수였다. 재판에서 판시한 금액중 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돌아가는 배상액은 4,138억원으로 이는 IOPC가 산정한 1,824억원중 직접피해액으로 채정된 800억원보다 5배 많은 액수이다. 이렇게 IOPC와 서산지원이 산정한 배상액이 차이가 큰 이유는 [[바지락]] 등 어업생물 폐사와 정부의 조업제한조치에 따른 손해 등을 서산지원 재판부에서는 인정하였으나, IOPC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산지원이 책정한 손해배상금의 분담 구조는 삼성중공업이 대법원 판결로 56억원, 허베이스피릿호의 보험사에서 1,500억원, IOPC에서 최대 3,258억원이 가능하여 나머지 2,671억원 가량은 정부가 부담하는 구조였다. 사고 유발책임이 있는 삼성중공업은 고작 56억원을 내고 나머지 피해액은 국민세금으로 충당하는 정부자금이 투입된다는 이상한 논리가 적용되어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참고로 판결 이전 발생한 [[멕시코만 원유유출 사고]]와 관련하여 사고 책임이 있는 [[영국]]기업인 [[BP그룹]]은 미국 법무부가 제시한 과실을 모두 인정하고 약 55억 달러의 벌금을 받아들였다. 이와는 별개로 피해보상액으로 208억 달러에 달하는 거액을 출연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306523 사례]와 비교되어 배상액 규모를 놓고도 논란이 발생했다.
서산지원이 책정한 손해배상금의 분담 구조는 삼성중공업이 대법원 판결로 56억원, 허베이스피릿호의 보험사에서 1,500억원, IOPC에서 최대 3,258억원이 가능하여 나머지 2,671억원 가량은 정부가 부담하는 구조였다. 사고 유발책임이 있는 삼성중공업은 고작 56억원을 내고 나머지 피해액은 국민세금으로 충당하는 정부자금이 투입된다는 이상한 논리가 적용되어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참고로 판결 이전 발생한 [[멕시코만 원유유출 사고]]와 관련하여 사고 책임이 있는 [[영국]]기업인 [[BP그룹]]은 미국 법무부가 제시한 과실을 모두 인정하고 약 55억 달러의 벌금을 받아들였다. 이와는 별개로 피해보상액으로 208억 달러에 달하는 거액을 출연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306523 사례]와 비교되어 배상액 규모를 놓고도 논란이 발생했다.


보상을 받는 입장에서도 모두가 공평한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니었다. [[수산업협동조합|수협]]을 통해 수산물을 거래한 어민들은 증빙자료를 비교적 수월하게 제시할 수 있으나, 간접적 피해를 입은 횟집 등 관광업계 종사자들은 객관적인 피해규모 산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기름유출과 관광객 감소로 인한 매출감소를 인과적으로 증명하기가 난해하고, 서산지원 재판부역시 매출감소와 연관성은 인정하나, 객관적 자료 제출이 어렵기 때문에 손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또한 수협과 거래를 하지 않고 직접 해안가에서 채집한 어폐류를 시장이나 해변에서 관광객에게 직판한 사적매매의 경우도 증빙자료를 5년여가 흐른 판결시점에 제시<ref>이런 사적매매는 대부분 현금거래를 선호하기 때문에 영수증 발급 자체가 안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ref>하기가 어려워 손해배상이 어렵다.
보상을 받는 입장에서도 모두가 공평한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니었다. [[수산업협동조합|수협]]을 통해 수산물을 거래한 어민들은 증빙자료를 비교적 수월하게 제시할 수 있으나, 간접적 피해를 입은 횟집 등 관광업계 종사자들은 객관적인 피해규모 산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기름유출과 관광객 감소로 인한 매출감소를 인과적으로 증명하기가 난해하고, 서산지원 재판부역시 매출감소와 연관성은 인정하나, 객관적 자료 제출이 어렵기 때문에 손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또한 수협과 거래를 하지 않고 직접 해안가에서 채집한 어폐류를 시장이나 해변에서 관광객에게 직판한 사적매매의 경우도 증빙자료를 5년여가 흐른 판결시점에 제시<ref>이런 사적매매는 대부분 현금거래를 선호하기 때문에 영수증 발급 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ref>하기가 어려워 손해배상이 어렵다.  


[[2013년]] [[11월 22일]], [[삼성중공업]]측은 피해지역 발전기금 명목으로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411 3,600억원]을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비록 삼성측이 직원들을 상주시키며 지역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지원을 하고는 있다지만 배상금을 놓고 여전히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2013년]] [[11월 22일]], [[삼성중공업]]측은 피해지역 발전기금 명목으로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411 3,600억원]을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비록 삼성측이 직원들을 상주시키며 지역발전을 위해 여러가지 지원을 하고는 있다지만 배상금을 놓고 여전히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2015년]] [[6월]]부터 사고 발생 7년 6개월만에 IOPC에서 지급하는 보상금이 피해주민들에게 지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도 아무런 보상금을 받지 못하는 주민들은 태안군 지역만 따져봐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08&aid=0000009200 5,000여명]에 달하며 특히 상술한 증빙자료 제출이 어려운 맨손어업을 통한 사적매매, 객관적 인과관계 증명이 어려운 횟집등 관광업 종사자들이 대부분이다.
[[2015년]] [[6월]]부터 사고 발생 7년 6개월만에 IOPC에서 지급하는 보상금이 피해주민들에게 지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도 아무런 보상금을 받지 못하는 주민들은 태안군 지역만 따져봐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08&aid=0000009200 5,000여명]에 달하며 특히 상술한 증빙자료 제출이 어려운 맨손어업을 통한 사적매매, 객관적 인과관계 증명이 어려운 횟집등 관광업 종사자들이 대부분이다.  


[[2016년]] [[7월 18일]], 충남 천안을 지역구 [[국회의원]]인 [[박완주]] 의원은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했을 때 국가가 우선 피해지역 주민에게 피해배상을 추진해 생계를 안정시키도록 하는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91343 발의]하였다.
[[2016년]] [[7월 18일]], 충남 천안을 지역구 [[국회의원]]인 [[박완주]] 의원은 유류오염사고가 발생했을 때 국가가 우선 피해지역 주민에게 피해배상을 추진해 생계를 안정시키도록 하는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91343 발의]하였다.
66번째 줄: 68번째 줄:
  |}
  |}


* 사고로 극심한 오염을 겪은 피해지역은 사고 이후 2~3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생태계가 복원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아무런 이상없이 생태계가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558153 복구]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태안지역은 관광지의 명성을 되찾고 관련 업종이 활기를 띠고 있으며, 해당지역에서 채집된 어폐류도 식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
* 사고로 극심한 오염을 겪은 피해지역은 사고 이후 2~3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생태계가 복원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아무런 이상없이 생태계가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558153 복구]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태안지역은 관광지의 명성을 되찾고 관련 업종이 활기를 띄고 있으며, 해당지역에서 채집된 어폐류도 식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
 
* 사고 복구에 투입된 자원봉사자들 중에는 유명 [http://news.joins.com/article/2990075 연예인]이 다수 포함되었으며, 당시 일부 예능프로그램들은 아예 자원봉사하는 장면 자체를 에피소드로 편성하여 방송하기도 했다. 유명연예인들이 자원봉사하는 장면이 방영되자 전 국민적인 자원봉사 열풍이 불었다. 연예인들은 자원봉사 외에도 환경단체에 기부를 하는 방식으로 선행을 하기도 했다.
* 사고 복구에 투입된 자원봉사자들 중에는 유명 [http://news.joins.com/article/2990075 연예인]이 다수 포함되었으며, 당시 일부 예능프로그램들은 아예 자원봉사하는 장면 자체를 에피소드로 편성하여 방송하기도 했다. 유명연예인들이 자원봉사하는 장면이 방영되자 전 국민적인 자원봉사 열풍이 불었다. 연예인들은 자원봉사 외에도 환경단체에 기부를 하는 방식으로 선행을 하기도 했다.


{{각주}}
{{각주}}
[[분류:해양 사건사고]]
[[분류:해양 사건사고]]
[[분류:2007년 대한민국]]
[[분류:대한민국의 사건]]
[[분류:석유]]
[[분류:석유]]
{{리브레 맵스 마커|36.84610922079688|125.98709106445312|10|허베이스피릿호 원유유출 사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