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니버터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허니버터칩.jpg|300픽셀|오른쪽]]
[[파일:허니버터칩.jpg|400픽셀|가운데]]
'''허니버터칩'''([[영어]]: Honey Butter Chip)은, [[해태제과]]에서 일본 Calbee의 제휴로 생산하는 감자칩이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며, 같은 회사에서 나온 자매급 제품으로 [[허니통통]]이 있다.


리듬게이머들의 경우 [[히나비타♪]]와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려하는 경우가 [https://twitter.com/musoyou_/status/584711376469274624 있다].<s>????</s>


==열풍에 잇따른 결과==
<s>이 문서는 품절되었습니다. 빠른 시일 내ㅇ...</s>
<s>이 문서는 품절되었습니다. 빠른 시일 내ㅇ...</s>


간만에 나온 달달한 감자칩이란 요상한 조합에 한동안 색다르다며 여러 인터넷 게시판에 오르내리며 한동안 [[네이버|초록 검색창]]에 허니버터칩이 자동완성으로 뜨기도 하는 등 열풍아닌 열풍이 불었다. 한동안 과자 뿐만 아니라 별에 별 음식에 '허니'라는 이름이 붙은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허니통통]]이나 [[수미칩]] 허니갈릭머스타드, [[오감자]] 허니밀크 같은 거...


이렇게 열풍이란 말이 어색하지 않을만큼 화두에 올랐으나 정작 맛은 호불호가 심각하게 갈렸다. 그러나 이게 또 맛을 보겠다며 사가는 사람이 한둘이 아닌지라 위에 서술한 것과 같이 수요가 공급에 못 미치는 사태를 부르고야 말았으니… <del>허니버터칩이 맛없다고 하는 사람은 허니버터칩을 먹어본 사람이다.</del> 기실 이것은 딱 느끼하게 느껴지기 쉬운 버터가 들어 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섣불리 해태가 대형 사이즈를 찍어내지 않는 이유라면 이유일까 ...


이쯤되면 공급을 늘려볼 만도 하지만 [[꼬꼬면]] 사례처럼 갑자기 일어난 붐에 힘입어 공장을 늘렸다가 순식간에 사그라들 경우 그 손해가 막심하기 때문에 [[해태]] 측에서도 섣불리 공급량을 늘리지 않고 있다.
== 개요 ==
'''허니버터칩'''([[영어]]: Honey Butter Chip)은, [[해태제과]]에서 일본 Calbee의 제휴로 생산하는 감자칩이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며, [[히나비타♪]]와 이름이 비슷해서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경우도 있다.
같은 회사에서 나온 자매급 제품으로 [[허니통통]]이 있다.
==열풍에 잇따른 결과==


결국 공급량을 늘리기로 했는데, 사실 이렇게 공급량을 늘리는 게 늦어진 이유는 일본 가루비측과 협의가 잘 안 되었다고... <ref>[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543006&cloc=olink|article|default 해태제과, 마침내 허니버터칩 공장 증설한다] (중앙일보)</ref> 그리고 라인 증설 완료는 '''[[2016년]]''' 예정.
간만에 나온 달달한 감자칩이란 요상한 조합에 한동안 색다르다며 여러 인터넷 계시판에 오르내리며 한동안 [http://librewiki.net/wiki/%EB%84%A4%EC%9D%B4%EB%B2%84| 초록 검색창]에 허니버터칩이 자동완성으로 뜨기도 하는 등 열풍아닌 열풍에 한동안 과자 뿐만 아니라 별에 별 음식에 '허니'라는 이름이 붙은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허니통통]]이나 [[허니갈릭머스타드]],[[허니밀크]] 같은거...


==식품 정보==
이렇게 열풍이란 말이 어색하지 않을만큼 화두에 올랐으나 정작 맛은 호불호가 심각하게 갈리는데 이게 또 맛을 보겠다며 사가는 사람이 한둘이 아닌지라 위에 서술한 것과 같이 수요가 공급에 못 미치는 사태를 부르고야 말았으니… <del>허니버터칩이 맛없다고 하는 사람은 허니버터칩을 먹어본 사람이다.</del> 기실 이것은 딱 느끼하게 느껴지기 쉬운 버터가 들어 있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 식품의 유형: 과자(유탕처리제품)
섣불리 해태가 대형 사이즈를 찍어내지 않는 이유라면 이유일까 ...
===영양성분===
※1회 제공량 1봉지(60g) 기준<br />
※ %는 1일 양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
* [[칼로리|열량]]: 345㎉
* [[탄수화물]] : 30g (9%)
* 당류: 2g
* [[단백질]] : 2g (4%)
* [[지방]] : 24g (47%)
* [[포화지방]] : 8g (53%)
* [[트랜스지방]] : 9g
* [[콜레스테롤]] : 0㎎ (0%)
* [[나트륨]] : 200㎎ (10%)
===원재료명 및 함량===
* [[감자]](국내산) : 85.8%
* [[식용유|혼합식용유]]
** 팜올레인유(말레이시아산) 59.98%
** 해바라기유(수입산) 40%
** 토코페롤(혼합형)
*복합조미식품
**허니버터맛시즈닝 : 6.0%
***결정과당
***[[설탕|백설탕]]
***[[소금|정제소금]]
***[[탈지분유]]
***[[버터]]혼합분말
***[[이스트]]익스트랙트파우다YE3(효모추출물)
***천연향신료(파슬리후레이크)
***아카시아꿀분말 : 아카시아꿀(국산) 0.01%
***고메버터(프랑스산) 0.01%
***합성감미료(수크랄로스)
* '''[[우유]], [[대두]], [[밀]] 함유'''
===제조원·판매원===
*제조원: [[해태제과|해태]]가루비㈜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문막공단길 154
*판매원: 해태제과식품㈜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72길 3 (남영동)


===기타 정보===
이쯤되면 공급을 늘려볼 만도 하지만 [[꼬꼬면]] 사례처럼 갑자기 일어난 붐에 힘입어 공장을 늘렸다가 순식간에 사그라들 경우 그 손해가 막심하기 때문에 [[해태]] 측에서도 섣불리 공급량을 늘리지 않고 있다.
*알레르기 관련 정보: [[계란]], [[땅콩]],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호두]], [[닭고기]], [[쇠고기]], [[오징어]], [[조개|조개류]]([[굴]], [[전복]], [[홍합]] 포함)를 사용한 제품과 같은 제조 시설에서 제조함.
*의외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곳 : 2015년 9월 기준으로 [[무궁화호]]에 딸려있는 카페객차에서 봉지당 1,500원에 판매중이다. 박스째로 객차에 실려 올라가니 열차가 출발하고 바로 카페칸으로 직행하면 구할 수 있다.


{{주석}}
결국 공급량을 늘리기로 했는데, 사실 이렇게 공급량을 늘리는게 늦어진 이유는 일본 가루비측과 협의가 잘 안 되었다고... <ref>[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543006&cloc=olink|article|default 해태제과, 마침내 허니버터칩 공장 증설한다] (중앙일보)</ref> 그리고 라인 증설 완료는 '''2016년''' 예정.
{{과자제품}}
[[분류:과자]]
[[분류:과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