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style="float: right;text-align: center;"
{{퍼온문서|한글날|14191430}}
|- style="background: #4188F1"
 
|[[파일:Libre hangeul white.png|200px]]
'''한글날'''
|-
 
| [[리브레 위키]] 한글날 로고
== 개요 ==
|}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0월 9일]]<ref name=hangeul>사실 [[훈민정음]] 반포일의 정확한 날짜는 모른다.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da_12809029&tabid=k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음력 9월 29일]]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고 되어 있는데,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 말문(末文)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세종 28년 [[9월]]’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1446년]] [[9월]] 상한(上澣)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는데,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므로, [[10월 9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1446년]] 당시 서양이 사용했던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1446년]] [[음력 9월 10일]]은 [[9월 30일]]이 된다. (더 자세한 것은 [http://astro.kasi.re.kr/Life/ConvertSolarLunarForm.aspx?MenuID=115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사이트] 혹은 [http://astro.kasi.re.kr/Community/QuestionViewForm.aspx?MenuID=1593&QuestionID=22978 천문참여관 질문상자] 를 참조하라.)</ref>을 "한글날"로, [[북한]]에서는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기념한다. 한글날이 대한민국에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지만<ref name=minum>'민음 한국사' 15세기-조선의 때 이른 절정 166쪽~168쪽</ref>, 북한에서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이를테면 김일성선집에 따르면 "조선글은 인민이 과학적인 글자를 만들었다"는 언급만 있을 뿐 세종대왕에 대한 명백한 언급은 없다. 이 날에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를 단다.
'''한글날'''[[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0월 9일]]<ref name=hangeul>사실 [[훈민정음]] 반포일의 정확한 날짜는 모른다.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da_12809029&tabid=k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음력 9월 29일]]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고 되어 있는데,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 말문(末文)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세종 28년 [[9월]]’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1446년]] [[9월]] 상한(上澣)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는데,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므로, [[10월 9일]]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1446년]] 당시 서양이 사용했던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1446년]] [[음력 9월 10일]]은 [[9월 30일]]이 된다. (더 자세한 것은 [http://astro.kasi.re.kr/Life/ConvertSolarLunarForm.aspx?MenuID=115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사이트] 혹은 [http://astro.kasi.re.kr/Community/QuestionViewForm.aspx?MenuID=1593&QuestionID=22978 천문참여관 질문상자] 를 참조하라.)</ref>을 "한글날"로, [[북한]]에서는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기념한다. 한글날이 대한민국에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지만<ref name=minum>'민음 한국사' 15세기-조선의 때 이른 절정 166쪽~168쪽</ref>, 북한에서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이를테면 김일성선집에 따르면 "조선글은 인민이 과학적인 글자를 만들었다"는 언급만 있을 뿐 세종대왕에 대한 명백한 언급은 없다. 이 날에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를 단다.


== 유래와 역사 ==
== 유래와 역사 ==
16번째 줄: 15번째 줄:
[[1940년]]에 [[훈민정음 해례본]]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르면 훈민정음은 [[9월]] 상순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는데, [[1446년#9월|1446년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그레고리력]]으로 계산하면 [[10월 9일]]이 된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0월 9일]]<ref name=hangeul></ref>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만들었다.
[[1940년]]에 [[훈민정음 해례본]]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르면 훈민정음은 [[9월]] 상순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는데, [[1446년#9월|1446년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그레고리력]]으로 계산하면 [[10월 9일]]이 된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0월 9일]]<ref name=hangeul></ref>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만들었다.


[[1991년]] [[공휴일]]이 지나치게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까닭으로 한글날은 [[국군의 날]]과 함께 공휴일에서 빠진다. 그 뒤로 [[한글 학회]] 등 한글 단체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다시 제정하자는 운동을 하였고 [[2013년]]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는 [[2005년]] [[10월 5일]] ‘한글날 국경일 지정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는 [[2005년]] [[11월 30일]] 법안심사 소위를 열어 한글날을 국경일로 높이는  내용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만든다. 이 개정안은 [[2005년]] [[12월 8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한다. 그러나 국경일 휴무 여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해놓아, 국경일 지정이 곧바로 공휴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ref>{{뉴스 인용|제목=<nowiki>[현장에서]</nowiki>15년 만에 이뤄낸 '국경일 한글날'|url=http://www.hani.co.kr/kisa/section-002001000/2005/12/002001000200512092016505.html|출판사=한겨레|저자=최인호|작성일자=2005-12-09}}</ref> 그래서 한글날은 국경일이면서 쉬지 않는 날이 되었다. 그런 까닭에 일부에서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1991년]] [[공휴일]]이 지나치게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까닭으로 한글날은 [[국군의 날]]과 함께 공휴일에서 빠진다. 그 뒤로 [[한글 학회]] 등 한글 단체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다시 제정하자는 운동을 하였고 [[2013년]]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는 [[2005년]] [[10월 5일]] ‘한글날 국경일 지정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는 [[2005년]] [[11월 30일]] 법안심사 소위를 열어 한글날을 국경일로 높이는  내용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만든다. 이 개정안은 [[2005년]] [[12월 8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한다. 그러나 국경일 휴무 여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해놓아, 국경일 지정이 곧바로 공휴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ref>{{뉴스 인용|제목=<nowiki>[현장에서]</nowiki>15년 만에 이뤄낸 '국경일 한글날'|url=http://www.hani.co.kr/kisa/section-002001000/2005/12/002001000200512092016505.html|출판사=한겨레|저자=최인호|작성일자=2005-12-09}}</ref> 그래서 한글날은 국경일이면서 쉬지 않는 날이 되었다. 그런 까닭에 일부에서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한글날의 기념일 주관 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2009년]]에 이어 다시 추진하였으며,<ref>{{웹 인용 |url = http://www.pandora.tv/video.ptv?c1=06&ch_userid=ktv2008&prgid=45492663&ref=na |제목 = 한글날 재지정 추진 |저자 = 한국정책방송공사|날짜 = 2012-05-15 |확인날짜 = 2012-05-15}}</ref> 정치권에서는 [[민주통합당|민주당]]이 어버이날과 함께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공휴일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고,<ref>{{웹 인용 |url =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38390000469154006 |제목 = 어버이날·한글날 공휴일 될까 |저자 = 광주일보 |날짜 = 2012-05-31 |확인날짜 = 2012-05-31 }}</ref>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등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한글날 공휴일 추진 범국민연합은 한글날을 앞두고 국민청원서를 제청하기도 하였다. <ref>{{웹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7&aid=0000201935 |제목 = 한글날 휴일 재지정 추진…가능성은?|저자 = 매일경제신문사 |날짜 = 2012-09-18|확인날짜 = 2012-09-18}}</ref> [[2012년]] [[11월 7일]]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관련 규정의 일부 개정안이 입법 예고되고, 법률 절차를 거쳐 [[2012년]] [[12월 24일]], 국무회의에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이 통과됨에 따라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ref>{{웹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920115 |제목 = 내년부터 한글날 쉰다…22년 만에 공휴일 재지정 |저자 = 연합뉴스 |날짜 = 2012-11-07 |확인날짜 = 2012-11-07}}</ref> <ref>{{웹 인용 |url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94407 |제목 = 한글날, 올해부터 법정공휴일...“달력 빨간날 아니어도 쉽니다”|저자 = 이투데이 |날짜 = 2013-09-23 |확인날짜 = 2013-09-23}}</ref>
한글날의 기념일 주관 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2009년]]에 이어 다시 추진하였으며,<ref>{{웹 인용 |url = http://www.pandora.tv/video.ptv?c1=06&ch_userid=ktv2008&prgid=45492663&ref=na |제목 = 한글날 재지정 추진 |저자 = 한국정책방송공사|날짜 = 2012-05-15 |확인날짜 = 2012-05-15}}</ref> 정치권에서는 [[민주통합당|민주당]]이 어버이날과 함께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공휴일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고,<ref>{{웹 인용 |url =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38390000469154006 |제목 = 어버이날·한글날 공휴일 될까 |저자 = 광주일보 |날짜 = 2012-05-31 |확인날짜 = 2012-05-31 }}</ref>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등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한글날 공휴일 추진 범국민연합은 한글날을 앞두고 국민청원서를 제청하기도 하였다. <ref>{{웹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7&aid=0000201935 |제목 = 한글날 휴일 재지정 추진…가능성은?|저자 = 매일경제신문사 |날짜 = 2012-09-18|확인날짜 = 2012-09-18}}</ref> [[2012년]] [[11월 7일]]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관련 규정의 일부 개정안이 입법 예고되고, 법률 절차를 거쳐 [[2012년]] [[12월 24일]], 국무회의에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이 통과됨에 따라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ref>{{웹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920115 |제목 = 내년부터 한글날 쉰다…22년 만에 공휴일 재지정 |저자 = 연합뉴스 |날짜 = 2012-11-07 |확인날짜 = 2012-11-07}}</ref> <ref>{{웹 인용 |url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794407 |제목 = 한글날, 올해부터 법정공휴일...“달력 빨간날 아니어도 쉽니다”|저자 = 이투데이 |날짜 = 2013-09-23 |확인날짜 = 2013-09-23}}</ref>
25번째 줄: 24번째 줄: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한글날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여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라고 되어 있다. 한글은 문자 체계이지만 한국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사람들 사이에도 한국어와 한글을 동일시하는 의식이 있기 때문에 [[국어 순화]]와 관련된 행사 같이 ‘한국어를 생각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2013년]] [[10월]] 현재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은 안전행정부가 담당하고 있다.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한글날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여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라고 되어 있다. 한글은 문자 체계이지만 한국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사람들 사이에도 한국어와 한글을 동일시하는 의식이 있기 때문에 [[국어 순화]]와 관련된 행사 같이 ‘한국어를 생각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2013년]] [[10월]] 현재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은 안전행정부가 담당하고 있다.


언론사도 한글, 한국어 사용 습관과 관련된 기사를 써서 기념한다. 하지만 한국어(또는 우리말)를 한글이라고 잘못 쓴 기사도 많으니 주의하자. (예: [http://www.nocutnews.co.kr/news/4485789 한글 자동차 이름…더 이상 볼 수 없나요?] → 우리말 자동차 이름...더 이상 볼 수 없나요?)
== 함께 보기 ==
 
1년 중에서 한글로 된 일부 [[포털 사이트]](네이버, 다음, 구글(대한민국 지역 한정) 등) 및 방송사 로고(한국방송, 문화방송, 교육방송)를 볼 수 있는 유일한 날이기도 하다. 하지만 딱 하루만 적용된다.
 
== 관련 문서 ==
* [[국립국어원]]
* [[국립국어원]]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36번째 줄: 31번째 줄:
* [[한국어]]
* [[한국어]]


== 외부 링크 ==
== 바깥 고리 ==
* [http://www.korean.go.kr/nkview/news/10/102.htm 한글날의 유래와 변천 - 새국어 소식 1998년 제3호]
* [http://www.korean.go.kr/nkview/news/10/102.htm 한글날의 유래와 변천 - 새국어 소식 1998년 제3호]


{{각주}}
== 주석 ==
<references/>


{{공휴일}}
[[분류:대한민국의 국경일]]
{{퍼온문서|한글날|14191430}}
[[분류:대한민국의 공휴일]]
[[분류:국경일]]
[[분류:공휴일]]
[[분류:한글]]
[[분류:한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