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위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한국어 위키의 역사는 크게 다섯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 위키의 역사는 크게 넷으로 나눌 수 있다.
* 태동기: 2000년 11월 25일 [[노스모크]] 설립 ~ 2008년
* 태동기: 2000년 11월 25일 [[노스모크]] 설립 ~ 2008년
* 1차 3위키 시대: 2008년 ~ 2015년 4월 15일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 1차 3위키 시대: 2008년 ~ 2015년 4월 15일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 [[대위키시대]]: 2015년 4월 16일 ~ 2017년 9월 22일 [[나무위키 민선 폐지 사건]]
* [[대위키시대]]: 2015년 4월 16일 ~ 2017년 9월 22일 [[나무위키 민선 폐지 사건]]
* 2차 3위키 시대: 2017년 9월 23일 ~ 2023년 10월 5일
* 2차 3위키 시대: 2017년 9월 23일 이후
*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양강 체제: 2023년 10월 6일 [[디시위키]]의 신규 문서 작성과 편집 기능 종료 이후


=== 2008년까지의 태동기 ===
=== 2008년까지의 태동기 ===
19번째 줄: 18번째 줄:
2014년부터 백괴사전은 한 고등학교 교지에서 지역 비하적 내용이 인용된 것을 계기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362146 대구과학고 “‘전라도 비하’ 교지 전량 회수해 폐기하겠다” 사과],《서울신문》. 2013년 9월 17일 작성.</ref> 백괴사전의 주요 유머를 책임지던 지역 관련 문서가 삭제되면서 유저들이 많이 빠져나가며 몰락하기 시작했고, 엔하위키에서 이름을 바꾼 리그베다 위키는 성장세가 가속되며 한국어 위키백과와 리그베다 위키를 중심으로 한 발달이 자리잡았다.
2014년부터 백괴사전은 한 고등학교 교지에서 지역 비하적 내용이 인용된 것을 계기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362146 대구과학고 “‘전라도 비하’ 교지 전량 회수해 폐기하겠다” 사과],《서울신문》. 2013년 9월 17일 작성.</ref> 백괴사전의 주요 유머를 책임지던 지역 관련 문서가 삭제되면서 유저들이 많이 빠져나가며 몰락하기 시작했고, 엔하위키에서 이름을 바꾼 리그베다 위키는 성장세가 가속되며 한국어 위키백과와 리그베다 위키를 중심으로 한 발달이 자리잡았다.


2015년 초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가 일어나기 직전에는 한국어 위키백과와 리그베다 위키가 양강 구도를 굳히고 있었고, 백괴사전은 구스위키에게 3강의 자리를 위협받고 있었다.
=== 2015년 리그베다 위키 대란 이후 ===
 
===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혼란기 ===
{{참고|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대위키시대}}
{{참고|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대위키시대}}
2015년 4월 리그베다 위키에서 소유자 [[청동 (인물)|청동]]이 위키를 영리화하고, 이용약관에 저작권 기부 내용을 집어넣었다는 사실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많은 이용자들이 반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대해 청동이 제대로 해명을 하지 않자 4월 15일 이용자들은 자신이 리그베다 위키에 했던 기여를 철회하겠다고 선언하며 기여한 내역을 지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누군가가 사이트를 해킹해 리그베다 위키가 접속 불가능이 된 상태에서 4월 16일 [[리브레 위키]], 4월 17일 [[나무위키]]가, 4월 18일 [[오리위키]]가 탄생하였다.
2015년 4월 리그베다 위키에서 소유자 [[청동 (인물)|청동]]이 위키를 영리화하고, 이용약관에 저작권 기부 내용을 집어넣었다는 사실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많은 이용자들이 반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대해 청동이 제대로 해명을 하지 않자 4월 15일 이용자들은 자신이 리그베다 위키에 했던 기여를 철회하겠다고 선언하며 기여한 내역을 지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누군가가 사이트를 해킹해 리그베다 위키가 접속 불가능이 된 상태에서 4월 16일 [[리브레 위키]], 4월 17일 [[나무위키]]가, 4월 18일 [[오리위키]]가 탄생하였다.
43번째 줄: 40번째 줄:
이후로도 2019년 [[구스위키]]가 서비스를 종료하는 등 많은 소형 위키들이 문을 닫거나 비활성화 상태로 접어드는 일이 계속됐다. 2018년 [[백합 (장르)|백합]](GL) 창작물 정보에 특화된 [[백합온실]]이 만들어진 것과 같이 새로운 위키의 생성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지속적인 성장에는 실패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백괴사전]]은 2019년 사고로 인해 접속 불가능한 상태로 전락한 뒤 2021년 3월 31일 복구되며 약 1년 8개월 가까이의 공백기가 발생했으며, 2020년 1월 29일에는 한때 위키형 소셜 뉴스를 대표했던 [[위키트리]]가 위키기자 서비스를 종료하고 일반 인터넷 신문으로 전환했다. 2021년에는 일본의 만화·애니메이션 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룬 [[위키쨩]]이 운영을 종료했다.  
이후로도 2019년 [[구스위키]]가 서비스를 종료하는 등 많은 소형 위키들이 문을 닫거나 비활성화 상태로 접어드는 일이 계속됐다. 2018년 [[백합 (장르)|백합]](GL) 창작물 정보에 특화된 [[백합온실]]이 만들어진 것과 같이 새로운 위키의 생성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지속적인 성장에는 실패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백괴사전]]은 2019년 사고로 인해 접속 불가능한 상태로 전락한 뒤 2021년 3월 31일 복구되며 약 1년 8개월 가까이의 공백기가 발생했으며, 2020년 1월 29일에는 한때 위키형 소셜 뉴스를 대표했던 [[위키트리]]가 위키기자 서비스를 종료하고 일반 인터넷 신문으로 전환했다. 2021년에는 일본의 만화·애니메이션 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룬 [[위키쨩]]이 운영을 종료했다.  


2023년 10월 5일까지 한국어 위키는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 [[디시위키]]가 3강 체제를 이루며 [[리브레 위키]], [[제타위키]]를 비롯한 기타 군소 위키, 소수의 [[위키독]] 또는 [[팬덤 (위키 서비스)|팬덤]] 기반의 특화 위키가 지분을 갖는 '''2차 3위키 시대'''의 체제로 돌아가고 있었다. 다만 과거 [[한국어 위키백과]]와 [[엔하위키]], [[백괴사전]]의 3강 체제로 돌아가고 중소형 위키와 특화 위키가 거의 없던 1차 3위키 시대와는 달리 2차 3위키 시대에는 특화 위키의 등장과 차별화로 이용자 유입·흡수에 성공해 어느 정도의 지분을 가진 중소형 위키가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었다. 2022년 12월 31일에 [[위키독]]이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소수에 불과한 특화 위키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게 되었다.
이후 한국어 위키는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 [[디시위키]]가 3강 체제를 이루며 [[리브레 위키]], [[제타위키]]를 비롯한 기타 군소 위키, 소수의 [[위키독]] 또는 [[팬덤 (위키 서비스)|팬덤]] 기반의 특화 위키가 지분을 갖는 '''2차 3위키 시대'''의 체제로 돌아가고 있다. 다만 과거 [[한국어 위키백과]]와 [[엔하위키]], [[백괴사전]]의 3강 체제로 돌아가고 중소형 위키와 특화 위키가 거의 없던 1차 3위키 시대와는 달리 2차 3위키 시대에는 특화 위키의 등장과 차별화로 이용자 유입·흡수에 성공해 어느 정도의 지분을 가진 중소형 위키가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다. 대형 위키로의 이용자 고정과 함께 소수 특화 위키로의 분파로 추가적인 위키의 대규모 발달이 힘들어지며 이 체제는 적잖은 기간 동안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 2023년 이후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양강 체제 ===
2022년 이후 [[디시위키]]의 활동적인 사용자 수가 500명 이하로 떨어지는 등 디시위키의 쇠퇴가 계속되고 있어 2차 3위키 시대에서 확고한 양강구도인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와는 달리 [[디시위키]]3강 구도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022년 12월 31일에 [[위키독]]이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소수에 불과한 특화 위키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게 되었다.
2022년 이후 [[디시위키]]의 활동적인 사용자 수가 500명 이하로 떨어지는 등 디시위키의 쇠퇴가 계속되어 2차 3위키 시대에서 확고한 양강구도였던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와는 달리 [[디시위키]]는 2023년부터 3강 구도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결국 디시위키가 2023년 10월 6일부터 신규 문서 작성과 편집 기능을 종료하면서 한국어 위키는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양강 체제'''로 들어서게 되었다.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양강 체제에서는 1차 3위키 시대, 대위키시대, 2차 3위키 시대와는 달리 어느 정도의 활동성이 있는 [[유머 위키]]가 존재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백괴사전]]이 여전히 존속되고 있지만 기여가 활발했던 1차 3위키 시대와 비교하면 현재는 기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는 모습이며, [[디시위키]]는 신규 문서 작성과 편집 기능을 종료하게 되었다.


== 특징 ==
== 특징 ==
64번째 줄: 58번째 줄:
=== 영미권 위키에 비해 높은 익명 편집비율 ===
=== 영미권 위키에 비해 높은 익명 편집비율 ===
인터넷 환경이 익명성이 강한 일본의 분위기를 따르는 일본어 위키만큼은 아니어도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는 영미권 위키에 비해 익명 편집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익명  
인터넷 환경이 익명성이 강한 일본의 분위기를 따르는 일본어 위키만큼은 아니어도 한국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는 영미권 위키에 비해 익명 편집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익명  
편집 비중이 높은 이유는 필명 등록이 필수가 아닌 [[디시인사이드]], [[루리웹]]이나 아예 익명 공간을 제공하는 [[인스티즈]], [[더쿠]] 같은 대형 커뮤니티가 발달하는 이유와 비슷해 보인다.
편집 비중이 높은 이유는 필명 등록이 필수가 아닌 [[디시인사이드]], [[루리웹]]이나 아예 익명 커뮤니티인 [[인스티즈]] 같은 대형 커뮤니티가 발달하는 이유와 비슷해 보인다.


물론 [[리브레 위키]]를 비롯한 상대적으로 영세한 위키들은 헤비 편집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서 익명 편집비중이 낮지만 이는 한국어 위키만의 특성이 아니다.
물론 [[리브레 위키]]를 비롯한 상대적으로 영세한 위키들은 헤비 편집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서 익명 편집비중이 낮지만 이는 한국어 위키만의 특성이 아니다.
89번째 줄: 83번째 줄:


{{문서 가져옴|나무위키/문제점|840440|이 문단은}}
{{문서 가져옴|나무위키/문제점|840440|이 문단은}}
=== 다소 부족한 인문학 관련 서술 ===
한국어 위키는 위키의 상당수 이용자가 미성년자나 일반인 등이며, 대한민국의 특성 상 관련 전공자가 아닌 이상 논문 같은 자료에 접근하기 어려운 편이다. 이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상당수가 논문이 필요한 인문학 관련 내용에 대한 서술은 다소 부실해지는 문제가 있다.
지역적 특성 없이 적용되는 자연과학 및 공학 관련 내용은 풍부한 영미권 자료를 출처로 사용할 수 있고, 교통이나 게임/문화 같은 영역은 논문 같은 접근이 쉽지 않은 출처를 거의 사용하지 않기에 비교적 한국어 위키에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인문학 중에서도 그나마 한국사 분야는 시비가 명확한 부분도 있고 어느 정보 질 좋은 정보가 인터넷에서 존재하기에 위키에서 정보를 찾기 "비교적" 쉬운 편이다.
이와는 반대로 문학이나 철학, 순수예술쪽 분야는 미성년자나 일반인들 기준으로 다소 진입장벽이 있는 분야이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도 논문 이외에는 찾기 쉽지 않다. 전세계에서 기여자을 찾을 수 있는 영어 위키백과 같은 곳에 비하면 대한민국이나 한국어를 잘 모르는 사람의 기여를 기대하기 힘든 한국어 위키의 특성 상 이러한 양질의 인문학적 정보를 기여하는 사람을 찾기는 어렵다. 결과적으로 한국어 위키에서는 인문학 관련 서술이 다소 부실해지는 경향이 있다.


== 주요 위키 목록 ==
== 주요 위키 목록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