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위키백과/문제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형 백과사전이자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들어선 대형 위키라는 의의가 있지만, [[2002년]] 만들어져 상당한 역사를 자랑함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각종 문제점이 산적해 있다.
위키형 백과사전이자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들어선 대형 위키라는 의의가 있지만, {{ #expr:{{현재년}}-2002}}년이나 되는 역사를 자랑함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각종 문제점이 산적해 있다.


== 부진? ==
== 부진? ==
일각에서는 한국어 위키백과가 다른 언어판 위키백과에 비해 힘을 쓰지 못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나무위키]]가 만들어진 다음해인 [[2016년]] 이후로 [[구글]]에서 임의 문서를 검색하면 최상단에 나오는 것은 대부분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_(%EC%9D%BC%EB%B0%98)/2016%EB%85%84_%EC%A0%9C15%EC%A3%BC#.EA.B5.AC.EA.B8.80_.EA.B2.80.EC.83.89.EC.9D.98_.ED.95.9C.EA.B5.AD.EC.96.B4_.EC.9C.84.ED.82.A4.EB.B0.B1.EA.B3.BC_.EC.9A.B0.EC.84.A0.EC.88.9C.EC.9C.84 나무위키인 상황]. 한국어 위키백과 내부에서도 [[:위키백과: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32주 |이런저런 이야기]]가 나오는 등,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국어 위키백과가 다른 언어판 위키백과에 비해 힘을 쓰지 못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나무위키]]가 만들어진 다음해인 [[2016년]] 기준으로 [[구글]]에서 임의 문서를 검색하면 최상단에 나오는 것은 대부분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_(%EC%9D%BC%EB%B0%98)/2016%EB%85%84_%EC%A0%9C15%EC%A3%BC#.EA.B5.AC.EA.B8.80_.EA.B2.80.EC.83.89.EC.9D.98_.ED.95.9C.EA.B5.AD.EC.96.B4_.EC.9C.84.ED.82.A4.EB.B0.B1.EA.B3.BC_.EC.9A.B0.EC.84.A0.EC.88.9C.EC.9C.84 나무위키인 상황]. 한국어 위키백과 내부에서도 [[:위키백과:위키백과:사랑방_(일반)/2016년_제32주 |이런저런 이야기]]가 나오는 등,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당시 독어독문과 겸임교수 [[진중권]][[2009년]] [[6월 11일]][[한겨레]]에 올린 기고문에서 서구에 비해 역사가 짧은 [[대한민국]]의 문자문화의 전통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서구는 [[16세기]]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 17세기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18~19세기의 [[계몽주의]]를 거치면서 [[철학]]이 고도로 발달하여 역사가 긴 문자문화의 전통 때문에 합리성을 기반으로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는 데 익숙한 데 반해,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전까지만 해도 [[문맹]]률이 높아서 논리성을 반영하는 것보다 소위 말하는 ‘포스’가 더 중시되는 구술 문화의 특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유독 위키백과가 힘을 못 쓰는 대신, 질문→답변의 1-2인칭 대화 구조로 이루어지는 [[네이버 지식in]]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ref>[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5147.html 위키피디아], 진중권과 정재승의 크로스, 한겨레21 제764호, 2009.06.11</ref> <del>그러나 문자문화의 전통이 한국보다 월등했다고 보기 어려운 비사야어와 와라이어, 베트남어 위키피디아도 항목 수가 100만이 넘는다</del>
이에 대해 [[진중권]] [[중앙대학교]] 독어독문과 교수는 [[2009년]] [[6월 11]]일에 [[한겨레]]에 올린 기고문에서 서구에 비해 역사가 짧은 [[대한민국]]의 문자문화의 전통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서구는 [[16세기]]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 17세기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18~19세기의 [[계몽주의]]를 거치면서 [[철학]]이 고도로 발달하여 역사가 긴 문자문화의 전통 때문에 합리성을 기반으로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는 데 익숙한 데 반해,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전까지만 해도 [[문맹]]률이 높아서 논리성을 반영하는 것보다 소위 말하는 ‘포스’가 더 중시되는 구술 문화의 특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유독 위키백과가 힘을 못 쓰는 대신, 질문→답변의 1-2인칭 대화 구조로 이루어지는 [[네이버 지식in]]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ref>[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5147.html 위키피디아], 진중권과 정재승의 크로스, 한겨레21 제764호, 2009.06.11</ref> <del>그러나 문자문화의 전통이 한국보다 월등했다고 보기 어려운 비사야어와 와라이어, 베트남어 위키피디아도 항목 수가 100만이 넘는다</del>


실제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부실한 내용이나 엄격한 서술 규정 때문에 상대적으로 규정이 다소 유연한 [[나무위키]]나 내용이 충실한 영어 위키백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참여하는 편집자를 줄이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 편집 진입장벽에 관한 이야기도 나오나, 다른 위키 대비 과하다 싶은 규칙들은 위키백과 고유의 특성([[위키]]형 백과사전의 특성에 기인한 [[출처 필요]] 등) 때문인 경우도 있다.
실제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부실한 내용이나 엄격한 서술 규정 때문에 상대적으로 규정이 다소 유연한 [[나무위키]]나 내용이 충실한 영어 위키백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참여하는 편집자를 줄이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 편집 진입장벽에 관한 이야기도 나오나, 다른 위키 대비 과하다 싶은 규칙들은 위키백과 고유의 특성([[위키]]형 백과사전의 특성에 기인한 [[출처 필요]] 등) 때문인 경우도 있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위키백과:사용자토론:Sohosanna#위키백과 완전히 떠나겠습니다]] : 다중계정으로 차단되었으나, 해당 사유가 엉뚱하게도 유니폴리로 나온 케이스. 위의 Hwarotbul사례와 달리 유니폴리몰이로 인해 위키 전역 차단까지 당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_(%EC%9D%BC%EB%B0%98)/2018%EB%85%84_%EC%A0%9C35%EC%A3%BC#%EB%B9%84%EA%B5%90%EC%A0%81_%EC%B5%9C%EA%B7%BC%EC%97%90_%EC%B0%A8%EB%8B%A8%EB%90%9C_%EB%AC%B4%EA%B8%B0%ED%95%9C_%EC%B0%A8%EB%8B%A8%EC%9E%90%EC%9D%98_%EC%B0%A8%EB%8B%A8%EC%9D%84_%ED%95%B4%EC%A0%9C%ED%95%98%EB%8A%94_%EA%B1%B4%EC%97%90_%EB%8C%80%ED%95%98%EC%97%AC|차단된지 2년 후에야 위키 전역 차단이 해제]되었다.
*[[위키백과:사용자토론:Sohosanna#위키백과 완전히 떠나겠습니다]] : 다중계정으로 차단되었으나, 해당 사유가 엉뚱하게도 유니폴리로 나온 케이스. 위의 Hwarotbul사례와 달리 유니폴리몰이로 인해 위키 전역 차단까지 당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_(%EC%9D%BC%EB%B0%98)/2018%EB%85%84_%EC%A0%9C35%EC%A3%BC#%EB%B9%84%EA%B5%90%EC%A0%81_%EC%B5%9C%EA%B7%BC%EC%97%90_%EC%B0%A8%EB%8B%A8%EB%90%9C_%EB%AC%B4%EA%B8%B0%ED%95%9C_%EC%B0%A8%EB%8B%A8%EC%9E%90%EC%9D%98_%EC%B0%A8%EB%8B%A8%EC%9D%84_%ED%95%B4%EC%A0%9C%ED%95%98%EB%8A%94_%EA%B1%B4%EC%97%90_%EB%8C%80%ED%95%98%EC%97%AC|차단된지 2년 후에야 위키 전역 차단이 해제]되었다.
*[[위키백과 반스타 사건]]: [[리브레 위키]] 전직 검사관 Zlzleking 외 여럿을 차단회피를 하는 다중계정으로 몰아간 사례
*[[위키백과 반스타 사건]]: [[리브레 위키]] 전직 검사관 Zlzleking 외 여럿을 차단회피를 하는 다중계정으로 몰아간 사례
*[[:위키백과: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33주|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33주]]: 위 사안에 대한 논의
*[[:위키백과:위키백과:사랑방_(일반)/2016년_제33주|위키백과:사랑방_(일반)/2016년_제33주]]: 위 사안에 대한 논의
 
== 지나친 [[영어 위키백과]] 신봉 ==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사대주의]] 마냥 모든 것의 기준을 영어 위키백과로 무리하게 삼으려는 경우가 있다. 아무리 영어 위키백과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고 해도 지나칠 정도로 영어 위키백과의 관점에서 기술하거나,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을 무시하고 정서가 맞지 않는데도 억지로 영어의 기준에 끼워맞추려고 하는 것이다. 영어 위키백과와 디자인이 같지 않다며 한국어판 틀 디자인이 더 가독성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틀 디자인을 영어판과 같이 수정하거나, 누가 봐도 [[혐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단인데도 영어 위키백과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존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아무리 저명성이 없는 것이더라도 영어 위키백과에 있으면 용서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지나치게 영어 위키백과를 우대하며 이를 기준으로 삼으려 하는 문제가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82%AD%EC%A0%9C_%ED%86%A0%EB%A1%A0/%EC%9E%85%EC%96%91%ED%95%98%EC%84%B8%EC%9A%94! 영어 위키백과를 기준으로 삼는 삭제토론 예시.] 참고가 아니라 심각할 정도로 영어 위키백과에 의지하고 있어서 식민지 취급을 받는 것은 덤이다.
 
더더욱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일부 개념없는 영어 위키백과 이용자들이 한국어 위키백과에 와서도 번역기를 한 문장이라도 돌리지 않고 영어만 쓰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서도 '한국어를 못해서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 없이 '너희들도 영어로 대답해야 한다'고 말하며 한국어 위키백과 이용자들도 스스로 영어로 대답하기도 한다.<ref>과거 한국어 [[위키뉴스]]에 대한 폐지 토론이 일었는데, 다른 언어판의 위키뉴스를 지속적으로 폐지시키는 것으로 유명한 사람이 올렸던 내용이었다. 다른 언어판의 사람들은 자국어로 대답해달라고 했지만 한국어판 위키백과에서는 오히려 영어를 사용하려는 시도를 보인다.</ref>
 
분류와 관련해서도 이러한 경향이 존재한다. 한 예로 인물이 있다면 그 사람의 특징을 맞는 분류에 따라 분류해야 하는데,{{ㅈ|예시로 박지성 문서는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와 '미드필더' 분류, '멘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선수' 분류, '서울특별시 출생' 등의 해당 인물의 특징이 있는 분류로 집어넣어야 한다.}} 해당 인물의 특징이 있는 분류가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어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만든다고 해도 그 분류가 영어 위키백과에 없으면 '''과잉 분류'''라고 하면서 모조리 삭제가 된다. [[레소토]]의 올림픽 체조 선수와 같은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나 해당 국가에서 처음 출전하는 선수가 있는데, 해당 선수의 문서가 만들어졌는데도 해당 선수와 관련된 분류가 없어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먼저 만들어놔도 영어판에 없으면 독자연구라며 존치되지 않고 삭제된다는 것이다.
 
정치인이나 사람에 대한 평가는 나라나 언어권마다 다른데, 그때문에 POV 정책에 어긋나게 될 수 있다. 문제는 [[윤봉길]] 의사가 영어 위키백과에서 테러리스트라고 분류되었다고 똑같이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테러리스트로 분류했던 사건이 있었다.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C%A4%EB%B4%89%EA%B8%B8&diff=200257&oldid=159273 #] 이는 수차례 지워졌다 생겨나길 반복했으며 영어 위키백과의 윤봉길 문서에서 테러리스트 분류가 사라지자 그거를 또 반영하여 분류를 영어 위키백과와 똑같이 만들어놓았다.
 
간혹 문서명에서도 지나친 영어 위키백과 기준이 보이기도 하는데 그 예시 중 하나가 중국어나 일본어 등 유럽 언어계통이 아닌 국가에서는 자신의 언어로 "가짜 유전자" 라는 의미로 문서가 만들어졌지만 한국어에서만 영어 독음으로 문서를 만들어놓은 [https://ko.wikipedia.org/wiki/%EC%8A%88%EB%8F%84%EC%A7%84 슈도진] 이라는 문서가 있다. 또한 문서에 욕설이 들어가는 경우, 다른 비영어권 국가들이 자기 나라의 욕설을 사용해서 각자의 색채로 다채롭게 자신의 언어로 문서명을 정하는 동안 (...)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영어 위키백과 기반으로 하여 영어 욕설을 번역하면서까지 문서명을 바꾸기도 한다.[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B%A1%A0:%EB%9F%AC%EC%8B%9C%EC%95%84_%EA%B5%B0%ED%95%A8,_%EA%B0%80%EC%84%9C_%EC%97%BF%EC%9D%B4%EB%82%98_%EC%B2%98%EB%A8%B9%EC%96%B4%EB%9D%BC 토론 예시]
 
이런 분위기는 여러 채팅방이나 사랑방 등지에서도 나타나는데 너무 지나치게 영어 위키백과의 기준에 맞춘 것 같다고 말하면 "한국어 특성상 학술적인 것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다", "영어권 사람들이나 일본 사람들이{{ㅈ|일본어 위키백과에서 번역해오는 사람들 중에 이런 사람들도 적지 않다. 다만 몇몇이 [[일뽕|진짜 이런 마인드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자존심이 얼마나 센데 우리가 맞춰줘야 마땅하다"{{ㅊ|??}} 등으로 과도하게 한국어와 한국 사람들을 하대하며 주장하곤 한다. 거기에 몇몇 부분을 한국어로 바꾸자는 발언을 한 사람을 [[나치즘]] 신봉자나 불경한 [[민족주의]]자로 몰아가는건 덤.
 
=== 미국과 일본의 시선에 편중된 정보 ===
위의 '지나친 영어 위키백과 신봉'과 이어지는 문제점이다. 하도 다른 언어판의 문서를 번역해오다 보니까 대부분의 글들이 미국과 일본의 시선에서 정리되어 있거나, 한국어 위키백과인데도 한국 보다 미국이랑 일본에 대한 정보가 더 알찬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5%8C%EC%B0%AC_%EA%B8%80 알찬 글] 목록에서도 일본 관련 문서 비율이 매우 높다. 이미 위에서도 말했듯 [[윤봉길]] 의사를 영어 위키백과에서 조치를 취할 때 까지 테러리스트 분류에 집어넣은 적도 있다. 2022년 8월 기준으로 과거 초등학생 유저들의 유입 영향으로 편중 현상이 서서히 나아지고 있긴 하지만 올드비 유저들의 텃세로 주춤하기도 한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