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5번째 줄: 95번째 줄:
:현재도 많은 국가에서 운용중인 사항이다. 최대 사거리 140km에 이르며 세 가지 발사 플랫폼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몇몇 국가에선 독자적인 개조를 통해 지대함 미사일로 운용되고 있다.
:현재도 많은 국가에서 운용중인 사항이다. 최대 사거리 140km에 이르며 세 가지 발사 플랫폼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몇몇 국가에선 독자적인 개조를 통해 지대함 미사일로 운용되고 있다.
:공격 기능으론 팝업 기동 대신 시 스키밍(Sea skimming) 비행을 유지하며 고도를 더욱 낮춰 레이더를 회피한다.
:공격 기능으론 팝업 기동 대신 시 스키밍(Sea skimming) 비행을 유지하며 고도를 더욱 낮춰 레이더를 회피한다.
:B형은 영국 해군의 잠대함 사항만 해당되는 형식이다.
:B형은 영국 해군의 잠대함 사항만 해당되는 형식이다.


109번째 줄: 110번째 줄:


:2001년 처음 공개된 신형 하푼이며 사거리가 270km대(278km)로 증가해 블록1의 두배에 가까운 사거리를 확보했다. JDAM에 쓰였던 사양의 신형 관성유도장비와 블록1에는 없던 GPS유도기능이 추가되어 보다 정밀한 유도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런 유도장비의 발달로 대함미사일 임에도 해안의 표적을 타격할수 있어 연안에 전개된 위협 표적 파괴와 항구에 정박한 적함들을 공격하는데도 사용될수 있다.
:2001년 처음 공개된 신형 하푼이며 사거리가 270km대(278km)로 증가해 블록1의 두배에 가까운 사거리를 확보했다. JDAM에 쓰였던 사양의 신형 관성유도장비와 블록1에는 없던 GPS유도기능이 추가되어 보다 정밀한 유도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런 유도장비의 발달로 대함미사일 임에도 해안의 표적을 타격할수 있어 연안에 전개된 위협 표적 파괴와 항구에 정박한 적함들을 공격하는데도 사용될수 있다.
:갈수록 중요해지는 전자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대전자전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종말 유도시 전자전에 기만당할 확률을 대폭 줄였다.
:갈수록 중요해지는 전자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대전자전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종말 유도시 전자전에 기만당할 확률을 대폭 줄였다.


114번째 줄: 116번째 줄:


:미 연안전투함에서 운용될 대함미사일 도입 사업에 보잉이 제시한 발전형 하푼이다. 경쟁 상대인 노르웨이 NSM에 대항해 블록2를 기반으로 다양한 최신 기술들을 접목시켰다.
:미 연안전투함에서 운용될 대함미사일 도입 사업에 보잉이 제시한 발전형 하푼이다. 경쟁 상대인 노르웨이 NSM에 대항해 블록2를 기반으로 다양한 최신 기술들을 접목시켰다.
:관성유도만 있던 블록1과 달리 블록2에서 추가되었던 GPS 위성 항법장치가 유도 장비에 들어가 있고 데이터 링크 기능을 갖추고 있어 중간유도시 정확도가 향상된 편이다. 이 외에도 목표 재지정 기능이 있어 필요시 임무 변경이 용이하다.
:관성유도만 있던 블록1과 달리 블록2에서 추가되었던 GPS 위성 항법장치가 유도 장비에 들어가 있고 데이터 링크 기능을 갖추고 있어 중간유도시 정확도가 향상된 편이다. 이 외에도 목표 재지정 기능이 있어 필요시 임무 변경이 용이하다.
===파생형===
===파생형===
127번째 줄: 130번째 줄:


:전체 형상은 본판 하푼과 거의 유사하지만 탄두부가 더 길고 기수 부분에 열영상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전체 형상은 본판 하푼과 거의 유사하지만 탄두부가 더 길고 기수 부분에 열영상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종말 유도만 제외한다면 하푼과의 운용 방식이 거의 동일하기에 SLAM도 하푼이 사용하는 관성유도로 목표 근처까지 유도되고 종말단계에서만 미사일이 전송하는 열상 화면을 데이터 링크로 받아 전투기 조종사가 직접 목표를 지정한다.
:종말 유도만 제외한다면 하푼과의 운용 방식이 거의 동일하기에 SLAM도 하푼이 사용하는 관성유도로 목표 근처까지 유도되고 종말단계에서만 미사일이 전송하는 열상 화면을 데이터 링크로 받아 전투기 조종사가 직접 목표를 지정한다.
:몇몇 교체,추가된 유도 장비를 제하면 본판 하푼을 거의 활용했으며 공대함 사항만 존재한다.
:몇몇 교체,추가된 유도 장비를 제하면 본판 하푼을 거의 활용했으며 공대함 사항만 존재한다.


135번째 줄: 140번째 줄:


:사거리를 연장시켜 최대 300km의 사거리를 확보했다. 본판의 모습이 남아 있던 SLAM형과 달리 하푼의 모습이 사라진 이질적인 형태인데 열영상 센서의 모양과 주익이 변경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사거리를 연장시켜 최대 300km의 사거리를 확보했다. 본판의 모습이 남아 있던 SLAM형과 달리 하푼의 모습이 사라진 이질적인 형태인데 열영상 센서의 모양과 주익이 변경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사거리 증대를 위해 주익의 형상이 항공기의 날개와 유사한 2엽 형태를 하고 있으며 크기도 커져 마치 작은 비행기 같은 모양이 되었다.
:사거리 증대를 위해 주익의 형상이 항공기의 날개와 유사한 2엽 형태를 하고 있으며 크기도 커져 마치 작은 비행기 같은 모양이 되었다.
:유도 방식에 GPS 유도를 추가하여 관성유도의 오차를 보완할 수 있게 되어있으며 개량형인 K형의 경우 미리 목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 발사 후 완전 능동 방식으로 자체 유도된다.
:유도 방식에 GPS 유도를 추가하여 관성유도의 오차를 보완할 수 있게 되어있으며 개량형인 K형의 경우 미리 목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 발사 후 완전 능동 방식으로 자체 유도된다.
:그러나 지령 유도방식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조종사가 직접 목표를 지정하는게 가능하다.
:그러나 지령 유도방식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조종사가 직접 목표를 지정하는게 가능하다.
:탄두부는 진지화된 목표 격파를 위하여 티타늄 외피를 입힌 WDU-40 탄두를 탑재하여 관통력을 높혔다.
:탄두부는 진지화된 목표 격파를 위하여 티타늄 외피를 입힌 WDU-40 탄두를 탑재하여 관통력을 높혔다.
:미 해군의 주요 공대지 순항미사일이고 공대지 외에도 함상 발사형 역시 계획되었지만 실현화 되진 않았다. 지금은 생산이 중단되어 재고품만 운용중이나 최근 생산이 재개되면서 더 오랜 기간동안 운용될 예정이다.
:미 해군의 주요 공대지 순항미사일이고 공대지 외에도 함상 발사형 역시 계획되었지만 실현화 되진 않았다. 지금은 생산이 중단되어 재고품만 운용중이나 최근 생산이 재개되면서 더 오랜 기간동안 운용될 예정이다.
:우리 [[대한민국 공군]]도 2차 FX 사업 당시 H형을 F-15K 슬램이글과 패키지로 도입해 다년간 운용해 왔고 2017년부터 KEPD 350 타우러스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도입해 수량을 대체하고 있다.
:우리 [[대한민국 공군]]도 2차 FX 사업 당시 H형을 F-15K 슬램이글과 패키지로 도입해 다년간 운용해 왔고 2017년부터 KEPD 350 타우러스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도입해 수량을 대체하고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