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츠네 미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미쿠|걸그룹 [[핑크판타지]]의 객원 멤버|미쿠 (핑크판타지)}}
[[분류:VOCALOID]]
{{등장인물 정보
[[파일:img_MIKU_us.png|섬네일|오른쪽|]]
|인물이름 = 하츠네 미쿠
== 개요 ==
|원어이름 = 初音ミク
[[일본]][[크립톤 퓨처 미디어]] 사에서 [[YAMAHA]] 사의 [[VOCALOID|VOCALOID2]] 엔진을 사용하여 개발한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이다. "캐릭터 보컬"의 첫 캐릭터이자, [[VOCALOID]] 엔진을 사용한 일곱 번째 보컬로이드이자, 두 번째로 [[VOCALOID|VOCALOID2]] 엔진을 사용한 보컬로이드이다. 발매 후에 추가된 'Append'와 영어가 추가된 새로운 [[VOCALOID|VOCALOID3]] 엔진을 사용한 업그레이드 판도 존재한다.
|배경색  = #67BCBA3E
|글자색  = #FFFFFF
|그림    = [[파일:Img MIKU us.png]]
|그림설명 =  
|본명    =  
|다른이름 =  
|출생일  = [[2007년]] [[8월 31일]] (16세, V3에서는 17)
|출생지  =
|사망일  =
|사망지  =
|종족    =
|성별    = 여자
|국적    =
|직업    =
|종교    =
|신체    = 158cm 42kg
|배우자  =
|가족    =
|소속    =
|색상    = [[청록색]]
|하위 틀  =
|작품    =
|배우    =
|성우    = [[후지타 사키]]
|창작자  = KEI (V2/2007)<br />Masaki Asai (V2 Append/2010)<br />Zain (V3 English/2013)<br />iXima (V3/2013)
|등장    =
|퇴장    =
|비고    =
}}


'''하츠네 미쿠'''(初音ミク)는 [[일본]][[크립톤 퓨처 미디어]]에서 [[YAMAHA]]의 [[VOCALOID|VOCALOID2]] 엔진을 사용하여 개발한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이다. "캐릭터 보컬"의 첫 캐릭터이자, [[VOCALOID]] 엔진을 사용한 일곱 번째 보컬로이드이자, 두 번째로 VOCALOID2 엔진을 사용한 보컬로이드이다. 발매 후에 추가된 'Append'와 영어가 추가된 새로운 [[VOCALOID|VOCALOID3]] 엔진을 사용한 업그레이드 판도 존재한다. 언어는 일본어, 영어, 중국어를 지원한다.
보컬로이드 시장을 단숨에 끌어올린, 가장 잘 알려진 보컬로이드이다. 동시에 파(YYY)의 여왕님이자 다들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동인계의 여왕님.


보컬로이드 시장을 단숨에 끌어올린, 가장 잘 알려진 보컬로이드이다. 동시에 파(YYY)의 여왕님이자 다들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동인계의 여왕님이다.
== 상세 ==
{| align="right" class="wikitable"
!colspan="2"|프로필
|-
|이름||하츠네 미쿠 (初音ミク)
|-
|성별||여자
|-
|나이||16 (V3에서는 17)
|-
|키||158cm
|-
|몸무게||48kg
|-
|성우||[[후지타 사키]]
|-
|일러스트레이터<ref>사실은 [[게임 원화가|원화가, 혹은 컨셉 디자이너]]가 맞는 표현 되시겠다.</ref>||[[KEI]] (V2/2007)<br/>[[Masaki Asai]] (V2 Append/2010)<br/>[[Zain]] (V3 English/2013)<br/>[[iXima]] (V3/2013)
|}
목소리는 성우 [[후지타 사키]]가 맡았다.


== 역사 ==
후속작인 하츠네 미쿠 Append가 {{날짜/출력|2010-4-30}}에 발매되었으며 후에 여러 가지가 개선된 [[VOCALOID|VOCALOID3]] 엔진을 채용한 하츠네 미쿠 V3가 {{날짜/출력|2013-9-26}}에 발매되었다.
후속작인 하츠네 미쿠 Append가 [[2010년]] [[4월 30일]]에 발매되었으며 후에 여러 가지가 개선된 [[VOCALOID|VOCALOID3]] 엔진을 채용한 하츠네 미쿠 V3가 [[2013년]] [[9월 26일]]에 발매되었다.


== 콘셉트 ==
=== 컨셉 ===
크립톤에서 발매 당시 가지고 있던 콘셉트 "노래를 잃어버린 미래 세계에서 온 안드로이드 디바"였고, '하츠네 미쿠가 발견되어 사람들이 노래의 훌륭함을 알아가는 이야기' 같은 디테일한 콘셉트였다. 그러나 후에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니코니코 동화]],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맡기는 게 어떻겠느냐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최소한의 프로필 정보만을 가지고 나오게 되었다. 또한, 초안에는 일본어와 영어, 두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려 하였지만 이 콘셉트는 후에 [[메구리네 루카]]의 콘셉트가 되었다.
크립톤에서 발매 당시 가지고 있던 컨셉은 "노래를 잃어버린 미래 세계에서 온 안드로이드 디바"였고, '하츠네 미쿠가 발견되어 사람들이 노래의 훌륭함을 알아가는 이야기' 같은 디테일한 컨셉이었다. 그러나 후에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니코동, 유튜브 유저들에게 맡기는 게 어떨까, 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최소한의 프로필 정보만을 가지고 나오게 되었다. 또한, 초안에는 일본어와 영어, 두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려 하였지만 이 컨셉은 후에 [[메구리네 루카]]의 컨셉이 되었다.


=== 이름의 어원 ===
=== 이름의 어원 ===
하츠네 미쿠의 이름은 '첫'을 뜻하는 '하츠(初)', 소리를 뜻하는 '네(音)', 그리고 미래를 뜻하는 '미쿠(ミク)'가 합쳐져 '미래에서 온 첫 소리'라는 의미가 되었다.
하츠네 미쿠의 이름은 '첫'을 뜻하는 '하츠(初)', 소리를 뜻하는 '네(音)', 그리고 미래를 뜻하는 '미쿠(ミク)'가 합쳐져 '미래에서 온 첫 소리'라는 의미가 되었다.


그리고 하츠네 미쿠의 코드 "CV01"은 "캐릭터 보컬 01"을 의미한다. "캐릭터 보이스 01"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하츠네 미쿠의 코드 "CV01"은 "캐릭터 보컬 01"을 의미한다고 한다.<ref>"캐릭터 보이스 01"이라고 하기도 한다. {{ㅊ|그게 그거잖아?!}}</ref>


== 권장 음역대 및 템포 ==
=== 외모 ===
{{숨기기|자신 있는 음역대|V2 : A3 ~ E5<br />Append Sweet :F3 ~ D5<br />Append Dark : D3 ~ B4<br />Append Soft : A3 ~ E5<br />Append Light : A3 ~ D5<br />Append Vivid : G3 ~ D5<br />Append Solid : D3 ~ C5<br />V3 Original : A2 ~ E4<br />V3 Sweet : F2 ~ D4<br />V3 Dark : D2 ~ B3<br />V3 Soft : A2 ~ E4<br />V3 Solid : D2 ~ C4<br />V3 Light : A2 ~ D4<br />V3 Vivid : G2 ~ D4<br />V4X Original : A2 ~ E4<br />V4X Soft : A2 ~ E4<br />V4X Solid :D2 ~ C4<br />V4X Dark : D2 ~ B3<br />V4X Sweet : F2 ~ D4}}
{| align="right" class="wikitable"
!colspan="1"|[[파일:Illu KEI Vocaloid Hatsune Miku-img2.jpg|300픽셀]]
|-
|align="center"|하츠네 미쿠 초기 기획안
|}


{{숨기기|자신 있는 템포|V2 : 70 ~ 150 BPM<br />Append Sweet : 55 ~ 155 BPM<br />Append Dark : 60 ~ 145 BPM<br />Append Soft : 70 ~ 150BPM<br />Append Light : 85 ~ 175BPM<br />Append Vivid : 95 ~ 180BPM<br />Append Solid : 65 ~ 160BPM<br />V3 Original : 70 ~ 150BPM<br />V3 Sweet : 55 ~ 155BPM<br />V3 Dark : 60 ~ 145BPM<br />V3 Soft : 70 ~ 150BPM<br />V3 Solid : 65 ~ 160BPM<br />V3 Light : 85 ~ 175BPM<br />V3 Vivid : 95 ~ 180BPM<br />V4X Original : 60 ~ 160 BPM<br />V4X Soft : 60 ~ 160 BPM<br />V4X Solid : 65 ~ 160 BPM<br />V4X Dark : 60 ~ 160 BPM<br />V4X Sweet : 55 ~ 155 BPM}}
[[KEI]]가 미쿠를 디자인 할 당시, 야마하의 신디사이저를 본딴 안드로이드를 그려달라고 주문받았다고 한다. 크립톤사는 [[KEI]]에게 디테일한 컨셉을 알려주었지만 크립톤사는 [[KEI]]에게 "[[VOCALOID|보컬로이드]]"가 무엇인지 설명하는데 애를 먹었다고…….<ref>당시 보컬로이드의 인지도를 생각해보면…….</ref> [[KEI]]는 후에 말하길, '노래하는 컴퓨터'를 어떻게 그려야 할지 몰랐고 "신디사이저"가 무엇인지도 몰랐다고 한다. 그렇게 초안을 끝내는데 한 달이 넘게 소요되었다고.<ref>인터뷰 자료. [http://bonet.info/interview/6900]</ref>


== 외모 ==
처음에는 다른 머리모양으로 그리고 있었지만 [[트윈테일]]을 시도해보았는데 다른 머리모양보다 잘어울린다고 생각해 초안에 정착되었다. 그리고 이 트윈테일은 미쿠의 디자인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되었다.<ref>{{날짜/출력|2012-06-22}}에는 21세기 최고의 트윈테일(…)이라고 각인시키기도 했다고……. 90년도에는 [[세일러 문]]이었다.</ref>
[[파일:Illu KEI Vocaloid Hatsune Miku-img2.jpg|섬네일|하츠네 미쿠 초기 기획안]]
[[KEI]]가 미쿠를 디자인할 당시, 야마하의 신디사이저를 본딴 안드로이드를 그려달라고 주문받았다고 한다. 크립톤은 [[KEI]]에게 디테일한 콘셉트를 알려주었지만 크립톤은 [[KEI]]에게 "[[VOCALOID|보컬로이드]]"가 무엇인지 설명하는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당시 보컬로이드의 인지도를 생각해보면 그럴 수 있다.


KEI는 후에 말하길, '노래하는 컴퓨터'를 어떻게 그려야 할지 몰랐고 "신디사이저"가 무엇인지도 몰랐다고 한다. 그렇게 초안을 끝내는데 한 달이 넘게 소요되었다.<ref>인터뷰 자료. [http://bonet.info/interview/6900]</ref>
미쿠의 치마에 있는 디지털 디자인은 신디사이저 프로그램의 색을 따왔고, 치마에 있는 막대는 신디사이저 프로그램의 막대를 상징한다. 미쿠의 디자인 일부는 야마하의 키보드 모델들, 특히 DX-100과 DX-7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미쿠의 양 트윈테일의 리본은 제자리에 떠 있을 수 있는 특수한 미래의 물질로 만들어졌다고 한다.<ref>[[KEI]]의 초안을 보면 미쿠의 머리카락과 리본은 물리적으로 닿아 있지 않다.</ref> [[KEI]]에 의하면 코스프레할 때 가장 구현하기 힘든 게 이 리본이라고…….


처음에는 다른 머리모양으로 그리고 있었지만 [[트윈테일]]을 시도해보았는데 다른 머리모양보다 잘 어울린다고 생각해 초안에 정착되었다. 그리고 이 트윈테일은 미쿠의 디자인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되었다. [[2012년]] [[6월 22일]]에는 21세기 최고의 트윈테일이라고 각인시키기도 했다. 1990년도에는 [[세일러 문]]이었다.


미쿠의 치마에 있는 디지털 디자인은 신디사이저 프로그램의 색을 따왔고, 치마에 있는 막대는 신디사이저 프로그램의 막대를 상징한다. 미쿠의 디자인 일부는 야마하의 키보드 모델들, 특히 DX-100과 DX-7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미쿠의 양 트윈테일의 리본은 제자리에 떠 있을 수 있는 특수한 미래의 물질로 만들어졌다. KEI의 초안을 보면 미쿠의 머리카락과 리본은 물리적으로 닿아 있지 않다. KEI에 의하면 코스프레할 때 가장 구현하기 힘든 게 이 리본이다.
미쿠를 포함한 수많은 [[밈|밈(Meme)]]이 생긴 뒤, 많은 사람들이 카이토의 아이스크림과 함께 [[대파]]와 미쿠를 연관짓기 시작했다. 보컬로이드 팬덤에서는 큰 토론이 일어났고, 파돌리기 송이 히트를 치면서 '미쿠의 아이템 = 파'라는 공식이 성립하게 되었다.
 
===파생 캐릭터===
미쿠를 포함한 수많은 [[인터넷 밈]]이 생긴 뒤, 많은 사람들이 [[KAITO]]의 아이스크림과 함께 [[대파]]와 미쿠를 연관짓기 시작했다. 보컬로이드 팬덤에서는 큰 토론이 일어났고, 파돌리기 송이 히트를 치면서 '미쿠의 아이템 = 파'라는 공식이 성립하게 되었다.
 
==파생 캐릭터==
*하츄네 미쿠
*하츄네 미쿠
*시테양요
*시테양요
*[[하츠네 미쿠오]]
*하츠네 미쿠오
*자츠네 미쿠
*자츠네 미쿠
*[[아키타 네루]]
*아키타 네루
*[[요와네 하쿠]]
*요와네 하쿠
*사쿠라 미쿠
*사쿠라 미쿠
*유키미쿠
*유키미쿠
77번째 줄: 63번째 줄:


==오리지널 곡 목록==
==오리지널 곡 목록==
==== # ====
* [[*헬로, 플래닛.]]
* [[1/6 -out of the gravity-]]
* [[1925]]
* [[39 (하츠네 미쿠)]]
=== ㄱ ===
* [[겉과 속의 러버즈]]<ref>표리 러버즈라고도 하며, 겉과 속이 다른 러버즈라고도 하지만 기실 겉과 속이 다른 러버즈는 잘못된 표현이다.</ref>
* [[겉과 속의 러버즈]]<ref>표리 러버즈라고도 하며, 겉과 속이 다른 러버즈라고도 하지만 기실 겉과 속이 다른 러버즈는 잘못된 표현이다.</ref>
* [[고스트 룰]]
* [[꼭두각시 피에로]]
* [[꼭두각시 피에로]]
=== ㄷ ===
* [[도레미파 론도]]
* [[도와줘 도라에몽]]
=== ㄹ ===
* [[로미오와 신데렐라]]
* [[로미오와 신데렐라]]
* [[롤링 걸]]
* [[롤링 걸]]
* [[리스키 게임]]
=== ㅁ ===
* [[마음 붕괴 서밋]]
* [[망상 스케치]]
* [[망상세]]
* [[망상세]]
* [[메카쿠시 코드]]
* [[Melt|멜트]]
* [[멜트]]
* [[미쿠미쿠하게 해줄게♪]]
* [[미쿠미쿠하게 해줄게♪]]
=== ㅂ ===
* [[바빌론 (하츠네 미쿠)]]
* [[반복되는 한 알]]
* [[반복되는 한 알]]
* [[반야심경 팝]]
* [[벚꽃 전선 이상없음]]
* [[벚꽃의 비]]
* [[벚꽃의 비]]
* [[비밀경찰]]
* [[비바해피]]
=== ㅅ ===
* [[사랑은 전쟁]]
* [[사랑의 말]]
* [[사리시노하라]]
* [[사이하테]]
* [[사이하테]]
* [[손가락 걸기]]
* [[심해소녀]]
* [[쇠사슬의 소녀]]
* [[스트리밍 하트]]
* [[스트리밍 하트]]
* [[슬로 모션 (하츠네 미쿠)]]
* [[어게어게 어게인]]
* [[심박수♯0822]]
* [[심해소녀]]
* [[썩은 외도와 초콜릿]]
=== ㅇ ===
* [[아이돌을 꽃피워라]]
* [[아이러니 (하츠네 미쿠)]]
* [[아지랑이 데이즈]]
* [[아지랑이 데이즈]]
* [[어게어게 어게인]]
* [[언해피 리플레인]]
* [[어떻게 된 거야!?]]
* [[언해피 리프레인]]
* [[엔비 캣워크]]
* [[여기는, 행복안심위원회입니다.]]
* [[연애재판]]
* [[영락의 끝]]
* [[영원히 행복해지는 방법, 찾았습니다.]]
* [[옛날 옛적의 오늘의 나]]
* [[오렌지 (하츠네 미쿠)]]
* [[온라인 게임 폐인 슈프레히코어]]
* [[원더랜드와 양의 노래]]
* [[월드 이즈 마인]]
* [[유메유메]]
* [[윤회 (하츠네 미쿠)]]
* [[응? 아아, 그래.]]
* [[이식보행]]
* [[이식보행]]
* [[이지 댄스]]
* [[이차원 드림 피버]]
* [[인조 에너미]]
* [[일렉트릭 엔젤]]
* [[일렉트릭 엔젤]]
=== ㅈ ===
* [[죄와 벌 (하츠네 미쿠)]]
* [[쥐었다가 펼쳐서 나찰과 송장]]
* [[집에 돌아가면 아내가 반드시 죽은 척을 하고 있습니다.]]
=== ㅊ ===
* [[처음 뵙겠습니다 지구인씨]]
* [[천본앵]]
* [[천본앵]]
* [[첫 사랑이 끝날 때]]
=== ㅋ ===
* [[캣 푸드]]
* [[쿠루미☆퐁치오]]
* [[쿠루미☆퐁치오]]
=== ㅌ ===
* [[타임머신 (하츠네 미쿠)]]
* [[토리노코시티]]
=== ㅍ ===
* [[파돌리기 송]]([[Ievan Polkka]])
* [[폿핏포]]
* [[폿핏포]]
=== ㅎ ===
* [[하로/하와유]]
* [[하얀 눈의 프린세스는]]
* [[하이센스 넌센스]]
* [[하이센스 넌센스]]
* [[하츠네 미쿠의 격창]]
* [[하츠네 미쿠의 소실]]
* [[하츠네 미쿠의 소실]]
* [[한 명 찾기 엔비]]
* [[한 명 찾기 엔비]]
* [[해골악단과 리리아]]
*[[해골악단과 리리아]]
* [[화장곡]]
* [[흔해빠진 세계정복]]
=== 영어 ===
* [[Calc.]]
* [[clock lock works]]
* [[glow]]
* [[LOL -lots of laugh-]]
* [[M/es]]
* [[Mrs.Pumpkin의 우스꽝스러운 꿈]]
* [[Nyanyanyanyanyanyanya!]]
* [[ODDS&ENDS]]
* [[ODDS&ENDS]]
* [[Paranoia (하츠네 미쿠)]]
* [[World is Mine]]
* [[SPiCa]]
* [[파돌리기 송]]([[Levon Polka]])
* [[WORLD'S END UMBRELLA]]
----
 
<references/>
==기타==
<br/>
* [[구글 번역]]에서 하츠네 미쿠를 [[이명박]]으로 번역한 적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때문에 하츠네 미쿠의 별명으로 이명박이 생겼으며, 반대로 이명박 별명으로 하츠네 미쿠가 생겼다.
<br/>
 
<br/>
{{각주}}
<br/>
[[분류:하츠네 미쿠| ]]
<br/>
[[분류:2007년 소프트웨어]]
<br/>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