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황혼 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번째 줄: 26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아메리카너구리'''(''Procyon lotor'')는 북아메리카 토착종으로, 북미 대륙 전역에서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포유류입니다. 회갈색의 털과 검은 고리무늬의 긴 꼬리, 뾰족한 코를 갖추고 있으며, 눈 주변에는 흔히 '가면'이라고 묘사되는 무늬가 그려져 있습니다. 또한, 앞발을 마치 손처럼 사용합니다. 아메리카너구리의 몸길이는 41~70cm이고, 꼬리 길이는 19~40cm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큰데, 수컷의 몸무게는 2.5~10.4kg이거 암컷의 몸무게는 1.8~7.5kg입니다. 또한 기후와 연중 시기에 따라, 그리고 아종별로 크기와 몸무게가 천차만별입니다.<br /><br />아메리카너구리는 멸종 위기종이 아닌 최소 관심종이지만, 사냥으로 인해 일부 아종이 멸종된 바 있습니다. 또한 북아메리카 토착종임에도 20세기 초에 의도적으로 타국에 방생한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 여러 아메리카너구리 개체군이 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제외하면 독일에 가장 많은 아메리카너구리가 살고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아메리카너구리'''(''Procyon lotor'')는 북아메리카 토착종으로, 북미 대륙 전역에서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포유류입니다. 회갈색의 털과 검은 고리무늬의 긴 꼬리, 뾰족한 코를 갖추고 있으며, 눈 주변에는 흔히 '가면'이라고 묘사되는 무늬가 그려져 있습니다. 또한, 앞발을 마치 손처럼 사용합니다. 아메리카너구리의 몸길이는 41~70cm이고, 꼬리 길이는 19~40cm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큰데, 수컷의 몸무게는 2.5~10.4kg이거 암컷의 몸무게는 1.8~7.5kg입니다. 또한 기후와 연중 시기에 따라, 그리고 아종별로 크기와 몸무게가 천차만별입니다.<br /><br />아메리카너구리는 멸종 위기종이 아닌 최소 관심종이지만, 사냥으로 인해 일부 아종이 멸종된 바 있습니다. 또한 북아메리카 토착종임에도 20세기 초에 의도적으로 타국에 방생한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 여러 아메리카너구리 개체군이 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제외하면 독일에 가장 많은 아메리카너구리가 살고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아메리카너구리는 먹이 및 식수 수급, 전반적인 개체 수 밀집도에 따라 홀로 생활하거나 결속력이 약한 성별 기반의 핵분열-융합 무리에서 살아갑니다.
<big>'''번식'''</big><br />번식기에 해당하는 1월에서 3월까지, 수컷은 자신의 생활 영역에서 벗어나 암컷을 찾으며, 가임기 암컷을 만난 뒤에는 구애 활동을 합니다. 또한 경쟁자 수컷에게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그렇기 때문에 덩치가 큰 수컷일수록 더 많은 암컷과 짝을 맺는 데 성공합니다. 교미는 1시간까지 지속되기도 하며, 함께 지내기로 한 암컷과 수컷은 며칠 동안 반복해서 교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암수 모드 한 번의 번식기 동안 여러 마리의 짝과 교미하기도 합니다.<br /><br />임신한 암컷은 60~75일 뒤에 3~44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경우에 따라 최대 7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갓 태어난 새끼는 생후 3주가 되어서야 앞을 보고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생후 7주부터 새끼들은 굴을 떠나 고체로 된 음식을 먹기 시작하며, 생후 16주에는 젖을 완전히 떼게 됩니다.<br /><br />새끼들이 어미와 지내는 동안, 어미는 새끼들에게 자신의 생활 영역에 있는 다양한 굴과 먹이 수급처를 보여 줍니다. 아메리카너구리의 새끼는 생후 6~8개월에 어미를 떠나며, 암컷의 경우 생후 10개월에, 그리고 수컷은 2살에 성적으로 성숙해집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47302E
| 배경색=#47302E
| 사회성 요구 상황=아메리카너구리는 먹이 및 식수 수급, 전반적인 개체 수 밀집도에 따라 홀로 생활하거나 결속력이 약한 성별 기반의 핵분열-융합 무리에서 살아갑니다.
| 번식=번식기에 해당하는 1월에서 3월까지, 수컷은 자신의 생활 영역에서 벗어나 암컷을 찾으며, 가임기 암컷을 만난 뒤에는 구애 활동을 합니다. 또한 경쟁자 수컷에게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그렇기 때문에 덩치가 큰 수컷일수록 더 많은 암컷과 짝을 맺는 데 성공합니다. 교미는 1시간까지 지속되기도 하며, 함께 지내기로 한 암컷과 수컷은 며칠 동안 반복해서 교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암수 모드 한 번의 번식기 동안 여러 마리의 짝과 교미하기도 합니다.<br /><br />임신한 암컷은 60~75일 뒤에 3~44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경우에 따라 최대 7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갓 태어난 새끼는 생후 3주가 되어서야 앞을 보고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생후 7주부터 새끼들은 굴을 떠나 고체로 된 음식을 먹기 시작하며, 생후 16주에는 젖을 완전히 떼게 됩니다.<br /><br />새끼들이 어미와 지내는 동안, 어미는 새끼들에게 자신의 생활 영역에 있는 다양한 굴과 먹이 수급처를 보여 줍니다. 아메리카너구리의 새끼는 생후 6~8개월에 어미를 떠나며, 암컷의 경우 생후 10개월에, 그리고 수컷은 2살에 성적으로 성숙해집니다.
| 무리 규모=2~5
| 무리 규모=2~5
| 수컷 수=2
| 수컷 수=2
40번째 줄: 42번째 줄:
|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이 상호 작용 가능
| 손님이 서식지에 들어갈 수 있는지=
| 평균 크기=코부터 엉덩이까지 56cm
| 평균 크기=코부터 엉덩이까지 56cm
| 기대 수명=14살
| 기대 수명=14살
71번째 줄: 73번째 줄:
| 동물명=붉은여우
| 동물명=붉은여우
| 학명=Vulpes vulpes
| 학명=Vulpes vulpes
| 그림=PlanetZoo Zoopedia Red Fox.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Fox.jpg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90번째 줄: 92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붉은여우'''(''Vulpes vulpes'')는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전역 및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중형 갯과 동물입니다. 붉은여우는 갈색 또는 검은색이 어우러진 두터운 빨간색 털을 지니고 있으며, 배 부분은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꼬리는 길고 덥수룩하며, 특유의 검은색 다리가 특징입니다. 수컷의 몸길이는 96~115cm에 달하는데, 그 중 32~38cm는 꼬리가 차지하고 있으며, 어깨높이는 35~50cm이고 몸무게는 4.3~7.6kg입니다. 암컷은 몸길이가 91~110cm이며, 그 중 꼬리 길이는 30~36cm로 수컷에 비해 덩치가 작고 가볍습니다. 또한 어깨높이는 33~47cm이며 몸무게는 3.4~6.1kg입니다.<br /><br />붉은여우는 개체 수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호주는 영국에서 유래되어 널리 퍼진 여우 사냥을 하기 위해 붉은여우를 도입했지만, 지금은 붉은여우를 침입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예전처럼 재미로 여우를 사냥하는 일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나, 여우를 사냥하고 모피를 취하는 행위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붉은여우는 가금류나 양과 같은 가축을 잡아먹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유해 동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붉은여우'''(''Vulpes vulpes'')는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전역 및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중형 갯과 동물입니다. 붉은여우는 갈색 또는 검은색이 어우러진 두터운 빨간색 털을 지니고 있으며, 배 부분은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꼬리는 길고 덥수룩하며, 특유의 검은색 다리가 특징입니다. 수컷의 몸길이는 96~115cm에 달하는데, 그 중 32~38cm는 꼬리가 차지하고 있으며, 어깨높이는 35~50cm이고 몸무게는 4.3~7.6kg입니다. 암컷은 몸길이가 91~110cm이며, 그 중 꼬리 길이는 30~36cm로 수컷에 비해 덩치가 작고 가볍습니다. 또한 어깨높이는 33~47cm이며 몸무게는 3.4~6.1kg입니다.<br /><br />붉은여우는 개체 수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호주는 영국에서 유래되어 널리 퍼진 여우 사냥을 하기 위해 붉은여우를 도입했지만, 지금은 붉은여우를 침입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예전처럼 재미로 여우를 사냥하는 일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나, 여우를 사냥하고 모피를 취하는 행위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붉은여우는 가금류나 양과 같은 가축을 잡아먹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유해 동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붉은여우는 가족과 무리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붉은여우 가족은 지배적인 짝과 올해 및 작년에 낳은 새끼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ig>'''번식'''</big><br />붉은여우는 한 쌍의 암수와 1~2세대의 새끼 여우들이 가족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이때 새끼들은 무리에 있는 동안에는 번식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붉은여우는 짝을 찾고 자신만의 무리를 형성하고 나면, 대개 일부일처를 유지합니다. 암컷은 봄에 발정기에 접어드는데, 암컷의 가임기 동안 암수는 여러 번에 걸쳐 짝짓기를 합니다.<br /><br />이후 49~58일간의 임신 기간을 거친 암컷은 보통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최대 15마리를 낳은 사례도 존재합니다. 암컷은 3~4주 동안 새끼들과 동굴에 머물며, 수컷과 함께 낳은 새끼들이 암컷을 돌봐줍니다. 이후부터 새끼들은 젖을 떼기 시작하며, 생후 7주가 되면 젖을 완전히 떼게 됩니다.<br /><br />붉은여우의 새끼는 생후 10개월쯤에 성적으로 성숙해지며 대개는 얼마 지나지 않아 가족을 떠나지만, 조금 더 무리에 머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젊은 여우들은 무리에 있는 동안 번식 행위를 하지 않으며, 새로 태어난 새끼들을 돌보는 것을 돕습니다. 젊은 독신 여우들은 번식기 동안 여러 마리의 짝과 교미하지만, 결국에는 정착할 상대를 선택하고 자신만의 가족을 꾸리게 됩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47302E
| 배경색=#47302E
| 사회성 요구 상황=붉은여우는 가족과 무리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붉은여우 가족은 지배적인 짝과 올해 및 작년에 낳은 새끼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번식=붉은여우는 한 쌍의 암수와 1~2세대의 새끼 여우들이 가족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이때 새끼들은 무리에 있는 동안에는 번식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붉은여우는 짝을 찾고 자신만의 무리를 형성하고 나면, 대개 일부일처를 유지합니다. 암컷은 봄에 발정기에 접어드는데, 암컷의 가임기 동안 암수는 여러 번에 걸쳐 짝짓기를 합니다.<br /><br />이후 49~58일간의 임신 기간을 거친 암컷은 보통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최대 15마리를 낳은 사례도 존재합니다. 암컷은 3~4주 동안 새끼들과 동굴에 머물며, 수컷과 함께 낳은 새끼들이 암컷을 돌봐줍니다. 이후부터 새끼들은 젖을 떼기 시작하며, 생후 7주가 되면 젖을 완전히 떼게 됩니다.<br /><br />붉은여우의 새끼는 생후 10개월쯤에 성적으로 성숙해지며 대개는 얼마 지나지 않아 가족을 떠나지만, 조금 더 무리에 머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젊은 여우들은 무리에 있는 동안 번식 행위를 하지 않으며, 새로 태어난 새끼들을 돌보는 것을 돕습니다. 젊은 독신 여우들은 번식기 동안 여러 마리의 짝과 교미하지만, 결국에는 정착할 상대를 선택하고 자신만의 가족을 꾸리게 됩니다.
| 무리 규모=1~14
| 무리 규모=1~14
| 수컷 수=13
| 수컷 수=13
104번째 줄: 108번째 줄:
|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이 다음으로부터 도망
| 손님이 서식지에 들어갈 수 있는지=아니요
| 평균 크기='''수컷''': 길이 105cm<br />'''암컷''': 길이 101cm
| 평균 크기='''수컷''': 길이 105cm<br />'''암컷''': 길이 101cm
| 기대 수명=12살
| 기대 수명=12살
134번째 줄: 138번째 줄:
| 동물명=줄무늬스컹크
| 동물명=줄무늬스컹크
| 학명=Mephitis mephitis
| 학명=Mephitis mephitis
| 그림=PlanetZoo Zoopedia Striped Skunk.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Skunk.jpg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153번째 줄: 157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줄무늬스컹크'''(''Mephitis mephitis'')는 북아메리카 전역과 캐나다 남부, 멕시코 북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형 포유류입니다. 땅딸막하고 다리는 짧지만, 다부진 몸과 덥수룩한 꼬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좁은 얼굴과 뾰족한 코, 작고 둥그런 귀가 특징입니다. 줄무늬스컹크는 검은색과 흰색의 두텁고 거친 털로 뒤덮여 있으며, 줄무늬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등에서 꼬리로 이어지는 두 줄의 검은색과 하얀색 털이 독특한 무늬를 이루고 있습니다. 수컷 스컹크의 몸길이는 38~46cm이며 꼬리는 33~41cm이고, 몸무게는 2~5.5kg입니다. 이보다 약간 작은 암컷은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가 34~41cm이며 꼬리는 30~37cm, 몸무게는 1.8~4.9kg입니다.<br /><br />줄무늬스컹크는 멸종 위기가 아닌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지난 수백 년 동안 사람들은 모피를 채취하거나 병해충과 유해 동물을 예방하거나 애완동물로 기르기 위해 줄무늬스컹크를 길들였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줄무늬스컹크'''(''Mephitis mephitis'')는 북아메리카 전역과 캐나다 남부, 멕시코 북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소형 포유류입니다. 땅딸막하고 다리는 짧지만, 다부진 몸과 덥수룩한 꼬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좁은 얼굴과 뾰족한 코, 작고 둥그런 귀가 특징입니다. 줄무늬스컹크는 검은색과 흰색의 두텁고 거친 털로 뒤덮여 있으며, 줄무늬라는 수식어에 걸맞게 등에서 꼬리로 이어지는 두 줄의 검은색과 하얀색 털이 독특한 무늬를 이루고 있습니다. 수컷 스컹크의 몸길이는 38~46cm이며 꼬리는 33~41cm이고, 몸무게는 2~5.5kg입니다. 이보다 약간 작은 암컷은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가 34~41cm이며 꼬리는 30~37cm, 몸무게는 1.8~4.9kg입니다.<br /><br />줄무늬스컹크는 멸종 위기가 아닌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지난 수백 년 동안 사람들은 모피를 채취하거나 병해충과 유해 동물을 예방하거나 애완동물로 기르기 위해 줄무늬스컹크를 길들였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줄무늬스컹크는 단독 생활을 하지만,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일시적으로 짝을 이루거나 하렘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big>'''번식'''</big><br />번식기인 2월부터 4월까지 수컷 줄무늬스컹크는 먼 곳을 이동해 암컷의 오줌 냄새로 암컷을 추적하며,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은 자발적으로 자신에게 다가오는 수컷이 자신과 교미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 뒤 수컷은 약 35일간 암컷의 곁에 머물며, 경쟁자로부터 암컷을 지킵니다. 번식기 동안 수컷은 여러 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진 하렘을 형성하고 보호합니다.<br /><br />암컷은 수컷이 더 이상 자신을 보호해주지 않으면, 자신의 굴로 돌아갑니다. 임신한 암컷은 59~77일 후 1~10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는데, 4~5마리를 출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새끼는 생후 6주까지 굴에서 머문 뒤 고체 음식을 먹고 어미를 따라 먹이를 찾아 나서기 시작합니다. 생후 10주가 되면 젖을 완전히 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어미로부터 독립합니다.<br /><br />줄무늬스컹크는 생후 10~12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47302E
| 배경색=#47302E
| 사회성 요구 상황=줄무늬스컹크는 단독 생활을 하지만,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일시적으로 짝을 이루거나 하렘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 번식=번식기인 2월부터 4월까지 수컷 줄무늬스컹크는 먼 곳을 이동해 암컷의 오줌 냄새로 암컷을 추적하며,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은 자발적으로 자신에게 다가오는 수컷이 자신과 교미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 뒤 수컷은 약 35일간 암컷의 곁에 머물며, 경쟁자로부터 암컷을 지킵니다. 번식기 동안 수컷은 여러 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진 하렘을 형성하고 보호합니다.<br /><br />암컷은 수컷이 더 이상 자신을 보호해주지 않으면, 자신의 굴로 돌아갑니다. 임신한 암컷은 59~77일 후 1~10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는데, 4~5마리를 출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새끼는 생후 6주까지 굴에서 머문 뒤 고체 음식을 먹고 어미를 따라 먹이를 찾아 나서기 시작합니다. 생후 10주가 되면 젖을 완전히 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어미로부터 독립합니다.<br /><br />줄무늬스컹크는 생후 10~12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 무리 규모=1~2
| 무리 규모=1~2
| 수컷 수=1
| 수컷 수=1
167번째 줄: 173번째 줄:
| 성체 대응 규칙='''단독 생활''': 성체가 된 자식은 모두 배척됨
| 성체 대응 규칙='''단독 생활''': 성체가 된 자식은 모두 배척됨
|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이 다음으로부터 도망
| 손님이 서식지에 들어갈 수 있는지=아니요
| 평균 크기='''수컷''': 코부터 엉덩이까지 42cm<br />'''암컷''': 코부터 엉덩이까지 37cm
| 평균 크기='''수컷''': 코부터 엉덩이까지 42cm<br />'''암컷''': 코부터 엉덩이까지 37cm
| 기대 수명=8살
| 기대 수명=8살
217번째 줄: 223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애기웜뱃'''(''Vombatus ursinus'')은 거친털웜뱃 또는 민코웜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주 남동부와 태즈메이니아의 관목 지대와 삼림 지대에 서식하는 유대류 동물입니다. 쭈그리고 앉아 있는 듯한 둥근 모양의 몸과 짧고 튼튼한 다리, 뭉뚝한 입이 특징입니다. 털은 거칠고 회갈색 빛을 띠며, 코에서 엉덩이까지의 길이는 90cm~115cm이고 몸무게는 22kg~39kg입니다. 수컷과 암컷은 외형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없습니다.<br /><br />애기웜뱃은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현재 개체 수가 안정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최소 관심종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장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유해 동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애기웜뱃'''(''Vombatus ursinus'')은 거친털웜뱃 또는 민코웜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주 남동부와 태즈메이니아의 관목 지대와 삼림 지대에 서식하는 유대류 동물입니다. 쭈그리고 앉아 있는 듯한 둥근 모양의 몸과 짧고 튼튼한 다리, 뭉뚝한 입이 특징입니다. 털은 거칠고 회갈색 빛을 띠며, 코에서 엉덩이까지의 길이는 90cm~115cm이고 몸무게는 22kg~39kg입니다. 수컷과 암컷은 외형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없습니다.<br /><br />애기웜뱃은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현재 개체 수가 안정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최소 관심종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장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유해 동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애기웜뱃은 사회적인 동물이 아니기에 홀로 생활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마리의 애기웜뱃이 하나의 땅굴을 나눠 쓰긴 하지만, 웬만해서는 서로를 피하려고 하며, 먹이 수급 장소를 침범 당할 때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big>'''번식'''</big><br />발정기에 접어든 암컷 애기웜뱃은 수컷을 유혹하기 위해 자신의 영역 근처에 배설물을 남깁니다. 수컷이 암컷을 찾아내고 나면 두 마리는 서로를 쫓아다니는데, 암컷이 수컷의 하반신을 깨문 뒤 도망치고 나면 수컷은 암컷을 따라가 깨물고, 그 다음 암컷을 옆이나 뒤로 눕힌 뒤 짝짓기를 시작합니다.<br /><br />짝짓기가 끝나고 27~31일 후 암컷은 강낭콩만 한 크기의 작은 새끼를 낳으며, 새끼는 어미의 털을 집고 기어올라 육아낭으로 들어갑니다. 애기웜뱃의 새끼는 생후 5개월까지 육아낭에서 어미의 모유를 먹고 자라며, 그 뒤에는 육아낭을 벗어나 고체로 된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br /><br />생후 20개월에 젖을 완전히 뗀 새끼는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발정기에 접어들 어미를 떠나게 됩니다. 어린 애기웜뱃은 2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47302E
| 배경색=#47302E
| 사회성 요구 상황=애기웜뱃은 사회적인 동물이 아니기에 홀로 생활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마리의 애기웜뱃이 하나의 땅굴을 나눠 쓰긴 하지만, 웬만해서는 서로를 피하려고 하며, 먹이 수급 장소를 침범 당할 때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 번식=발정기에 접어든 암컷 애기웜뱃은 수컷을 유혹하기 위해 자신의 영역 근처에 배설물을 남깁니다. 수컷이 암컷을 찾아내고 나면 두 마리는 서로를 쫓아다니는데, 암컷이 수컷의 하반신을 깨문 뒤 도망치고 나면 수컷은 암컷을 따라가 깨물고, 그 다음 암컷을 옆이나 뒤로 눕힌 뒤 짝짓기를 시작합니다.<br /><br />짝짓기가 끝나고 27~31일 후 암컷은 강낭콩만 한 크기의 작은 새끼를 낳으며, 새끼는 어미의 털을 집고 기어올라 육아낭으로 들어갑니다. 애기웜뱃의 새끼는 생후 5개월까지 육아낭에서 어미의 모유를 먹고 자라며, 그 뒤에는 육아낭을 벗어나 고체로 된 음식을 먹기 시작합니다.<br /><br />생후 20개월에 젖을 완전히 뗀 새끼는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발정기에 접어들 어미를 떠나게 됩니다. 어린 애기웜뱃은 2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 무리 규모=1~2
| 무리 규모=1~2
| 수컷 수=1
| 수컷 수=1
231번째 줄: 239번째 줄:
| 성체 대응 규칙='''단독 생활''': 성체가 된 자식은 모두 배척됨
| 성체 대응 규칙='''단독 생활''': 성체가 된 자식은 모두 배척됨
|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이 다음으로부터 도망
| 손님이 서식지에 들어갈 수 있는지=아니요
| 평균 크기=길이 102cm
| 평균 크기=길이 102cm
| 기대 수명=21살
| 기대 수명=21살
260번째 줄: 268번째 줄:
| 동물명=이집트과일박쥐
| 동물명=이집트과일박쥐
| 학명=Rousettus aegyptiacus
| 학명=Rousettus aegyptiacus
| 그림=PlanetZoo Zoopedia Egyptian Fruit Bat.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Bat.jpg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273번째 줄: 281번째 줄:
| 생물 분류 속=루세트과일박쥐속
| 생물 분류 속=루세트과일박쥐속
}}
}}
<big>'''기초 정보'''</big><br />'''이집트과일박쥐'''(''Rousettus aegyptiacus'')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의 열대 우림과 낙엽 삼림 지대, 관목 지대에 서식하는 큰박쥐류입니다. 이집트과일박쥐는 노란색이나 주황색 또는 갈색의 털로 뒤덮여 있으며, 커다란 검회색 날개와 분홍빛을 띠는 손가락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끝이 뭉뚝한 기다란 코와 크고 둥그런 눈, 커다랗고 뾰족한 귀가 특징입니다. 평균적으로 이집트과일박쥐의 몸길이는 15cm이며, 날개의 길이는 약 60cm입니다. 몸무게는 80~170g 가량인데, 대개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약간 크고 무겁습니다.<br /><br />이집트과일박쥐는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상업용 과일 농장에서 과일을 훔쳐 먹은 박쥐는 농부들에게 독살당하거나 살해당하기도 합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이집트과일박쥐'''(''Rousettus aegyptiacus'')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이집트, 아라비아 반도의 열대 우림과 낙엽 삼림 지대, 관목 지대에 서식하는 큰박쥐류입니다. 이집트과일박쥐는 노란색이나 주황색 또는 갈색의 털로 뒤덮여 있으며, 커다란 검회색 날개와 분홍빛을 띠는 손가락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끝이 뭉뚝한 기다란 코와 크고 둥그런 눈, 커다랗고 뾰족한 귀가 특징입니다. 평균적으로 이집트과일박쥐의 몸길이는 15cm이며, 날개의 길이는 약 60cm입니다. 몸무게는 80~170g 가량인데, 대개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약간 크고 무겁습니다.<br /><br />이집트과일박쥐는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상업용 과일 농장에서 과일을 훔쳐 먹은 박쥐는 농부들에게 독살당하거나 살해당하기도 합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야생의 이집트과일박쥐는 커다란 군집을 이뤄 생활하며, 군집 내 위계질서는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번식기가 되면, 군집은 수컷과 암컷 집단으로 나뉘게 됩니다.
<big>'''번식'''</big><br />번식기가 시작되면, 이집트과일박쥐는 수컷과 암컷 독신 무리로 나뉘게 됩니다. 번식기는 4월부터 8월까지, 그리고 10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 계속됩니다. 수컷은 짝을 찾기 위해 자기 어미의 군집에 있는 암컷에게 접근하는데, 암컷과의 사이를 돈독히 하고 짝짓기를 허락 받을 확률을 높이고자 종종 암컷에게 과일을 선물하기도 합니다. 짝짓기는 나뭇가지나 이와 비슷한 물체에 매달려 이루어집니다.<br /><br />암컷은 3.5~4개월 동안의 임신 기간을 거친 뒤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경우에 따라 쌍둥이가 태어나기도 합니다. 갓 태어난 새끼는 어미에게 매달려 다니는데, 생후 6주부터는 스스로 횃대에 매달릴 수 있을 만큼 성장하기 때문에 어미가 먹이를 찾으러 나갔을 때는 혼자 매달려 지냅니다. 또한, 이때부터 젖을 때기 시작해 생후 10주가 됐을 때는 젖을 완전히 때게 되며, 이후에는 자신의 힘으로 날고 먹이를 찾아 나섭니다.<br /><br />이집트과일박쥐는 생후 9개월에 성체가 되며, 어미로부터 독립합니다. 또한, 생후 15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플래닛 주/동물/전시장/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전시장/상세 정보
| 배경색=#47302E
| 배경색=#47302E
288번째 줄: 302번째 줄:
| 출산 간격=8개월
| 출산 간격=8개월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 사회성 요구 상황=야생의 이집트과일박쥐는 커다란 군집을 이뤄 생활하며, 군집 내 위계질서는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번식기가 되면, 군집은 수컷과 암컷 집단으로 나뉘게 됩니다.
| 번식=번식기가 시작되면, 이집트과일박쥐는 수컷과 암컷 독신 무리로 나뉘게 됩니다. 번식기는 4월부터 8월까지, 그리고 10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 계속됩니다. 수컷은 짝을 찾기 위해 자기 어미의 군집에 있는 암컷에게 접근하는데, 암컷과의 사이를 돈독히 하고 짝짓기를 허락 받을 확률을 높이고자 종종 암컷에게 과일을 선물하기도 합니다. 짝짓기는 나뭇가지나 이와 비슷한 물체에 매달려 이루어집니다.<br /><br />암컷은 3.5~4개월 동안의 임신 기간을 거친 뒤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경우에 따라 쌍둥이가 태어나기도 합니다. 갓 태어난 새끼는 어미에게 매달려 다니는데, 생후 6주부터는 스스로 횃대에 매달릴 수 있을 만큼 성장하기 때문에 어미가 먹이를 찾으러 나갔을 때는 혼자 매달려 지냅니다. 또한, 이때부터 젖을 때기 시작해 생후 10주가 됐을 때는 젖을 완전히 때게 되며, 이후에는 자신의 힘으로 날고 먹이를 찾아 나섭니다.<br /><br />이집트과일박쥐는 생후 9개월에 성체가 되며, 어미로부터 독립합니다. 또한, 생후 15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 식단=과일
| 식단=과일
| 풍부화 레벨 1=꿀 급식기<br />박쥐 상자<br />물 그릇
| 풍부화 레벨 1=꿀 급식기<br />박쥐 상자<br />물 그릇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