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유라시아 동물 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번째 줄: 24번째 줄:
}}
}}


<big>'''기초 정보'''</big><br />'''유럽들소'''(''Bison bonasus'')는 비젠드라고도 불리며 폴란드, 러시아,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를 비롯한 동부 유럽의 숲과 초원에 서식하는 대형 유제류입니다. 유럽들소는 거대한 머리와 어깨 혹, 옆쪽의 1/4 부분이 모두 덥수룩한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뒤폭의 1/4 부분은 털도 덜 두툼하여 굵기도 얇습니다. 암수 모두 머리 쪽을 향해 말린 뿔이 달려 있으머 나머지 외형도 동일하지만 수컷의 크기가 암컷보다 5% 정도 더 큽니다. 수컷 유럽들소의 키는 어깨높이에서 1.8~2.1m이며 몸길이는 2.8~3.3m, 몸무게는 615~920kg입니다. 암컷의 경우 키는 어깨높이에서 1.7~2m, 몸길이는 2.4~2.9m 사이이며 몸무게는 450~635kg입니다.<br /><br />현재 유럽들소는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유럽들소는 20세기 초에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야생에서 멸종했습니다.사육 및 관리 상태에서 있던 60마리만이 살아남은 개체수의 전부였습니다. 각지에서 보호 활동이 진행되었고, 사육되던 개체의 번식과 종 재도입 프로그램을 통해 유럽들소는 멸종의 위기를 벗어났습니다. 하지만 농업 개발로 인한 삼림 벌채와 서식지 파괴, 근친 교배와 가축과의 이종 교배 문제가 여천히 유럽들소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유립의 많은 지역에서는 세심한 관리를 통해 많은 유럽들소가 재도입 되었으며, 이후에도 추가 재도입 계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유럽들소'''(''Bison bonasus'')는 비젠드라고도 불리며 폴란드, 러시아,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술로배키아를 비롯한 동부 유럽의 숲과 초원에 서식하는 대칭 유세류입니다. 유럽들소는 거대한 머리와 어깨 혹, 옆쪽의 1/4 부분이 모두 덥수룩한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뒤폭의 1/4 부분은 털도 덜 두툼하여 굵기도 얇습니다. 암수 모두 머리 쪽을 향해 말린 뿔이 달려 있으머 나머지 외형도 동일하지만 수컷의 크기가 암컷보다 5% 정도 더 큽니다. 수컷 유럽들소의 키는 어깨높이에서 1.8~2.1m이며 몸길이는 2.8~3.3m, 몸무게는 615~920kg입니다. 암컷의 경우 키는 어깨높이에서 1.7~2m, 몸길이는 2.4~2.9m 사이이며 몸무게는 450~635kg입니다.<br /><br />현재 유럽들소는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유럽들소는 20세기 초에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야생에서 멸종했습니다.사육 및 관리 상태에서 있던 60마리만이 살아남은 개체수의 전부였습니다. 각지에서 보호 활동이 진행되었고, 사육되던 개체의 번식과 종 재도입 프로그램을 통해 유럽들소는 멸종의 위기를 벗어났습니다. 하지만 농업 개발로 인한 삼림 벌채와 서식지 파괴, 근친 교배와 가축과의 이종 교배 문제가 여천히 유럽들소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유립의 많은 지역에서는 세심한 관리를 통해 많은 유럽들소가 재도입 되었으며, 이후에도 추가 재도입 계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89번째 줄: 89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타킨'''(''Budorcas taxicolor'')은 티베트, 부탄, 인도 북부, 미안마, 중국의 산간 지역에 서식하는 몸집이 큰 양족 동물입니다, 타킨은 소를 닮은 두꺼운 체형이며 덮수록한 털로 뒤덮여 있습니다. 종 4종의 아종이 존재하머 털색과
<big>'''기초 정보'''</big><br />'''타킨'''(''Budorcas taxicolor'')은 티베트, 부탄, 인도 북부, 미안마, 중국의 산간 지역에 서식하는 몸집이 큰 양족 동물입니다, 타킨은 소를 닮은 두꺼운 체형이며 덮수록한 털로 뒤덮여 있습니다. 종 4종의 아종이 존재하머 털색과
크기로 구분됩니다. 다리는 보통 검은색에 가까울만큼 짙은 색이며 전반적인 털 색은 뒤섞인 검은색과 갈색, 회색이 섞인 노란색, 금빛까지 다양합니다.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크지만 암수 모두 최대 64cm 길이의 뿔 한 쌍을 지니고 있습니다. 수컷 타킨의 몸길이는 1.6~2.2m이며 키는 어깨높이에서 97~140cm로, 몸무게는 300~350kg입니다. 암컷의 몸길이는 1.6~1.95m, 키는 어깨높이에서 95~125cm로, 몸무게는 240~280kg입니다.<br /><br />타킨은 취약종으로 분류됩니다. 심지어 아종인 부탄타킨과 미슈미타킨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됩니다. 타킨은 남획, 삼림 벌채와 도로 건설 및 농업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관광 산업으로 인한 피해, 가축을 통해 퍼지는 질병에 위협받고 있습니다. 타킨은 부탄, 인도, 중국에서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중국의 경우 타킨과 타킨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14개의 보호 구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크기로 구분됩니다. 다리는 보통 검은색에 가까울만큼 짙은 색이어 전반적인 털 색은 뒤섞인 검은색과 갈색, 회색이 섞인 노란색, 금빛까지 다양합니다.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크지만 암수 모두 최대 64cm 길이의 뿔 한 쌍을 지니고 있습니다. 수컷 타킨의 몸길이는 1.6~2.2m이며 키는 어깨높이에서 97~140cm로, 몸무게는 300~350kg입니다. 암컷의 몸길이는 1.6~1.95m, 키는 어깨높이에서 95~125cm로, 몸무게는 240~280kg입니다.<br /><br />타킨은 취약종으로 분류됩니다. 심지어 아종인 부탄타킨과 미슈미타킨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됩니다. 타킨은 남획, 삼림 벌채와 도로 건설 및 농업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관광 산업으로 인한 피해, 가축을 통해 퍼지는 질병에 위협받고 있습니다. 타킨은 부탄, 인도, 중국에서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중국의 경우 타킨과 타킨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14개의 보호 구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555D59
| 배경색=#555D59
| 사회성 요구 상황=타킨은 거의 1년 내내 혼성 가족 무리를 이루어 생활합니다. 수컷은 여러 무리를 옮겨 다니며, 보통은 홀로 생활하는 기간이 더 긴 경우도 있습니다. 여름 동안에는 여러 무리가 모여 개체수가 300마리에 달하는 큰 무리를 형성합니다.
| 사회성 요구 상황=타킨은 거의 1년 내내 혼성 가족 무리를 이루어 생활합니다. 수컷은 여러 무리를 옮겨 다니며, 보통은 홀로 생활하는 기간이 더 긴 경우도 있습니다. 여름 동안에는 여러 무리가 모여 개체수가 300마리에 달하는 큰 무리를 형성합니다.
| 번식=번식기는 늦여름에 시작됩니다. 수컷 타킨은 암컷 타킨들을 모아 무리를 형성하고 경쟁자 수컷으로부터 이 무리를 지킵니다. 타킨은 울음소리를 내고, 고개를 털며 넘새를 남기는 등의 구애 행동을 보입니다. 수컷 타킨은 경쟁자 수컷을 공격적으로 대하며, 뿔을 부딪치고 박치기하며 싸우곤 합니다. 수컷은 하램 내 암컷의 소변으로 암컷이 가임기인지를 학인하고, 짝짓기할 준비가 된 암컷과 여러 번 짝짓기합니다.<br /><br />암컷 타킨은 200~220일의 임신 기간을 거치며, 새끼를 낳을 때가 되면 초목이 더 무성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새끼는 태어난 뒤 일주일 동안 어미의 젖만을 먹고, 그 후에는 어린 싹과 풀을 먹기 시작합니다. 새끼는 2달쯤에 완전히 젖을 땝니다.<br /><br />어린 타킨은 2.5살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암컷은 자신이 태어난 무리에 머무르며, 수컷은 태어난 무리를 떠나 다른 어린 수컷들로 이루어진 독신 무리에 합류합니다. 암컷은 4.5살, 수컷의 경우 5.5살이면 번식에 성공합니다.
| 번식=번식기는 늦여름에 시작됩니다. 수컷 타킨은 암컷 타킨들을 모아 무리를 형성하고 경쟁자 수컷으로부터 이 무리를 지킵니다. 타킨은 울음소리를 내고, 고개를 털며 넘새를 남기는 등의 구애 행동을 보입니다. 수컷 타킨은 경쟁자 수컷을 공격적으로 대하며, 뿔을 부딪치고 박치기하며 싸우곤 합니다. 수컷은 하램 내 암컷의 소변으로 암컷이 가임기인지를 학인하고, 짝짓기할 준비가 된 암컷과 여러 번 짝짓기합니다.<br /><br />암컷 타킨은 200~220일의 임신 기간을 거치며, 새끼를 낳을 때가 되면 초목이 더 무성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새찌는 태어난 뒤 일주일 동안 어미의 젖만을 먹고, 그 후에는 어린 싹과 풀을 먹기 시작합니다. 새끼는 2달쯤에 완전히 젖을 땝니다.<br /><br />어린 타킨은 2.5살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암컷은 자신이 태어난 무리에 머무르며, 수컷은 태어난 무리를 떠나 다른 어린 수컷들로 이루어진 독신 무리에 합류합니다. 암컷은 4.5살, 수컷의 경우 5.5살이면 번식에 성공합니다.
| 무리 규모=2~20
| 무리 규모=2~20
| 수컷 수=1
| 수컷 수=1
174번째 줄: 174번째 줄:
| 불임 나이=사망 시
| 불임 나이=사망 시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2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2
| 임신/부화 기간=5개월
| 임신/부화 기간=
| 출산 간격=12개월
| 출산 간격=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
| 식단 1등급=건초
| 식단 1등급=건초
| 식단 2등급=초식동물 사료
| 식단 2등급=초식동물 사료
| 식단 3등급=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
| 식단 3등급=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
| 서식지 풍부화=손잡이 공, 허브 냄새 마커,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 서식지 풍부화=손잡이 공, 허브 냄새 마커,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 먹이 풍부화=소형 통 급식기, 그레이징 공 급식기, 매달린 그레이저 급식기, {{색|#483D8B|'''허수아비 급식기'''}}
| 먹이 풍부화=소형 통 급식기,
| 토막 지식 1=사이가산양은 최고 80km/h로 달릴 수 있습니다.
| 토막 지식 1=사이가산양은 최고 80km/h로 달릴 수 있습니다.
| 토막 지식 2=사이가산양은 여름과 겨울 사이에 10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합니다.
| 토막 지식 2=사이가산양은 여름과 겨울 사이에 10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합니다.
221번째 줄: 221번째 줄:
| 사회성 요구 상황=암컷 멧돼지는 무리 생활을 합니다. 무리는 번식하지 않는 암컷, 어미와 그 자식들로 구성되며 나이 든 우두머리 암컷이 무리를 이끕니다. 다 자란 수컷 멧돼지는 1년의 대부분을 홀로 생활하며 번식기 동안에만 암컷 무리와 합류합니다. 어리고 젊은 수컷 멧돼지들은 독신 무리에서 생활합니다.
| 사회성 요구 상황=암컷 멧돼지는 무리 생활을 합니다. 무리는 번식하지 않는 암컷, 어미와 그 자식들로 구성되며 나이 든 우두머리 암컷이 무리를 이끕니다. 다 자란 수컷 멧돼지는 1년의 대부분을 홀로 생활하며 번식기 동안에만 암컷 무리와 합류합니다. 어리고 젊은 수컷 멧돼지들은 독신 무리에서 생활합니다.
| 번식=멧돼지의 번식기는 11월부터 1월까지입니다. 이 기간에 수컷 멧돼지에게는 경쟁자 수컷과 싸울 때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피하 지방이 발달합니다. 암컷 무리를 발견한 수컷 멧돼지는 어리거나 번식를 할 수 없는 암컷들을 쫓아내고 발정기인 암컷을 모아 무리들 이룹니다. 이 과정에서 경쟁자 수컷이 나타나면 공격적으로 싸웁니다. 무리를 이루는데 성공한 수컷 멧돼지는 무리 내 가임기의 암컷과 짝짓기하며, 번식기 동안 보통 5~10마리의 암컷과 짝짓기합니다. 그 후에는 다시 무리를 떠나 홀로 생활합니다.<br /><br />암컷 멧돼지는 108~120일의 임신 기간을 거칩니다. 출산할 시기가 오면 암컷은 풀로 둥지를 만들고 그 안에서 보통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간혹
| 번식=멧돼지의 번식기는 11월부터 1월까지입니다. 이 기간에 수컷 멧돼지에게는 경쟁자 수컷과 싸울 때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피하 지방이 발달합니다. 암컷 무리를 발견한 수컷 멧돼지는 어리거나 번식를 할 수 없는 암컷들을 쫓아내고 발정기인 암컷을 모아 무리들 이룹니다. 이 과정에서 경쟁자 수컷이 나타나면 공격적으로 싸웁니다. 무리를 이루는데 성공한 수컷 멧돼지는 무리 내 가임기의 암컷과 짝짓기하며, 번식기 동안 보통 5~10마리의 암컷과 짝짓기합니다. 그 후에는 다시 무리를 떠나 홀로 생활합니다.<br /><br />암컷 멧돼지는 108~120일의 임신 기간을 거칩니다. 출산할 시기가 오면 암컷은 풀로 둥지를 만들고 그 안에서 보통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간혹
12마리까지 낳는 경우도 관찰되었습니다. 암컷은 10일 동안 둥지에 머무르며 새끼에게 젖을 먹입니다. 그 후 새끼를 데리고 둥지들 떠나 무리에 합류하며, 새끼 멧돼지들은 계속 어미 결에서 지냅니다. 수컷 새끼 멧돼지는 8~15개월에 이르면 무리를 떠나 다른 어린 수컷들과 함께 독신 무리를 형성하며, 암컷 새끼 멧돼지는 태어난 무리에 그대로 머무르거나 무리를 빠져나와 다른 곳에서 새로운 무리를 이룹니다.<br /><br />멧돼지는 1살에 이르면 성적으로 성숙합니다. 하지만 암컷 멧돼지는 최소한 18개월 이후는 되어야 번식하며, 수컷 멧돼지는 최소한 4살에 이르러 자신의 무리를 만들고 다른 수컷들로부터 무리를 지킬 정도의 힘이 생긴 뒤에야 번식에 성공합니다. 멧돼지는 암수가 모두 5~6살이 될 때까지 계속 성장합니다.
12마리까지 낳는 경우도 관찰되었습니다. 암컷은 10일 동안 둥지에 머무르며 새끼에게 젖을 먹입니다. 그 후 새끼를 데리고 둥지들 떠나 무리에 합류하며, 새끼 멧돼지들은 계속 어미 결에서 지냅니다. 수컷 새끼 멧돼지는 8~15개월에 이르면 무리를 떠나 다른 어린 수컷들과 함께 독신 무리를 형성하며, 암컷 새끼 멧돼지는 태어난 무리에 그대로 머무르거나 무리를 빠져나와 다른 곳에서 새로운 무리를 이룹니다.
| 무리 규모=3~30
| 무리 규모=3~30
| 수컷 수=1
| 수컷 수=1
237번째 줄: 237번째 줄:
| 성적 성숙 나이=1살
| 성적 성숙 나이=1살
| 불임 나이=12살
| 불임 나이=12살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2~5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
| 임신/부화 기간=3개월
| 임신/부화 기간=
| 출산 간격=12개월
| 출산 간격=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아주 쉬움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
| 식단 1등급=건초
| 식단 1등급=건초
| 식단 2등급=과일과 나뭇잎, 싹
| 식단 2등급=과일과 나뭇잎, 싹
| 식단 3등급=뿌리채소
| 식단 3등급=뿌리채소
| 서식지 풍부화=종이 상자, 허브 냄새 마커, 진흙탕, 선물 상자,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스프링클러, 풍경등
| 서식지 풍부화=종이 상자, 허브 냄새 마커, 진흙탕, 선물 상자,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 먹이 풍부화=대형 통 급식기, 먹이 상자, 과일 꼬챙이 나무, {{색|#904F1C|'''수박 급식기'''}}
| 먹이 풍부화=
| 토막 지식 1=새끼 멧돼지가 성장하기도 전에 어미 멧돼지가 죽는 경우, 남겨진 새끼는 어미 멧돼지가 속한 무리의 다른 암컷 멧돼지들이 보살핍니다.
| 토막 지식 1=새끼 멧돼지가 성장하기도 전에 어미 멧돼지가 죽는 경우, 남겨진 새끼는 어미 멧돼지가 속한 무리의 다른 암컷 멧돼지들이 보살핍니다.
| 토막 지식 2=멧돼지는 땅 속 25cm 깊이에 묻혀 있는 작은 식용 뿌리와 덩이줄기의 냄새도 맡을 수 있습니다.
| 토막 지식 2=멧돼지는 땅 속 25cm 깊이에 묻혀 있는 작은 식용 뿌리와 덩이줄기의 냄새도 맡을 수 있습니다.
286번째 줄: 286번째 줄:
| 사회성 요구 상황=울버린은 새끼를 기르는 어미를 제외하면 홀로 생활합니다.
| 사회성 요구 상황=울버린은 새끼를 기르는 어미를 제외하면 홀로 생활합니다.
| 번식=울버린은 영역 본능을 지닙니다. 수컷의 생활 영역은 넓고, 여러 암컷이 한 수컷의 영역 내에서 살아가기도 합니다, 수컷 울버린은 가끔 영역 내의 암컷을 방문하며 평생 이 관계를 이어가기도 합니다. 암컷의 가임기는 2년에 한 번 찾아오며 6월에서 8월 사이입니다. 수컷은 암컷의 냄새로 해당 암컷의 가임기가 다가오는지 확인하며, 암컷이 교미에 응할 때까지 그 곁에서 지냅니다. 울버린은 짝짓기로 배란을 유도하며, 배아는 짝짓기 후 6개월까지 착상하지 않습니다. 암컷은 생활 영역이 여러 수컷의 영역과 겹치면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새끼들의 아비는 보통 한 개체입니다.<br /><br />울버린의 임신 기간은 뒤늦은 착상 기간까지 포함해 120~272일
| 번식=울버린은 영역 본능을 지닙니다. 수컷의 생활 영역은 넓고, 여러 암컷이 한 수컷의 영역 내에서 살아가기도 합니다, 수컷 울버린은 가끔 영역 내의 암컷을 방문하며 평생 이 관계를 이어가기도 합니다. 암컷의 가임기는 2년에 한 번 찾아오며 6월에서 8월 사이입니다. 수컷은 암컷의 냄새로 해당 암컷의 가임기가 다가오는지 확인하며, 암컷이 교미에 응할 때까지 그 곁에서 지냅니다. 울버린은 짝짓기로 배란을 유도하며, 배아는 짝짓기 후 6개월까지 착상하지 않습니다. 암컷은 생활 영역이 여러 수컷의 영역과 겹치면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새끼들의 아비는 보통 한 개체입니다.<br /><br />울버린의 임신 기간은 뒤늦은 착상 기간까지 포함해 120~272일
사이입니다. 암컷은 출산이 다가오면 눈 속에 굴을 파고 안에 먹이를 저장해둡니다. 울버린은 1~5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보통 3마리를 낳습니다. 암컷은 굴에 저장해 둔 음식을 먹으며 9~10주 동안 굴 속에서 새끼를 보살피고 젖을 먹입니다. 이 동안 새끼들의 아비이자 영역의 주인인 수컷이 굴 속의 암컷과 새끼를 보러 오기도 합니다. 이 기간 후에 새끼들은 어미를 따라 굴 밖으로 나가기 시작합니다. 새끼는 3살이면 완전히 젖을 땝니다. 5~7살 사이에는 혼자서 먹이를 찾아다니기 시작하며 어미를 떠나 완전히 독립합니다. 그중 몇몇은 아비를 따라 이동하다가 각자의 영역을 찾아 정착합니다.<br /><br />울버린은 2~3살에 성적으로 성숙합니다.
사이입니다. 암컷은 출산이 다가오면 눈 속에 굴을 파고 안에 먹이를 저장해둡니다. 울버린은 1~5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보통 3마리를 낳습니다. 암컷은 굴에 저장해 둔 음식을 먹으며 9~10주 동안 굴 속에서 새끼를 보살피고 젖을 먹입니다. 이 동안 새끼들의 아비이자 영역의 주인인 수컷이 굴 속의 암컷과 새끼를 보러 오기도 합니다. 이 기간 후에 새끼들은 어미를 따라 굴 밖으로 나가기 시작합니다. 새끼는 3살이면 완전히 젖을 땝니다. 5~7살 사이에는 혼자서 먹이를 찾아다니기 시작하며 어미를 떠나 완전히 독립합니다. 그중 몇몇은 아비를 따라 이동하다가 각자의 영역을 찾아 정착합니다.
| 무리 규모=1~2
| 무리 규모=1~2
| 수컷 수=1
| 수컷 수=1
303번째 줄: 303번째 줄:
| 불임 나이=사망 시
| 불임 나이=사망 시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5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5
| 임신/부화 기간=5개월
| 임신/부화 기간=
| 출산 간격=24개월
| 출산 간격=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어려움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
| 식단 1등급=가공육
| 식단 1등급=가공육
| 식단 2등급=온전한 사체와 뼈
| 식단 2등급=온전한 사체와 뼈
| 식단 3등급=칼슘 보충제
| 식단 3등급=칼슘 보충제
| 서식지 풍부화=피 냄새 마커, 문지르기 패드, 문지르기 패드, {{색|#C8852C|'''밧줄'''}}, {{색|#b22222|'''골동품 공'''}}, 소형 공, 소형 눈덩이, 화려한 소형 공, 소형 호박 공, {{색|#0B6DB7|'''러버 덕'''}}, 종이 상자, 선물 상자, 사냥감 냄새 나는 자루
| 서식지 풍부화=피 냄새 마커, 문지르기 패드, 문지르기 패드, {{색|#C8852C|'''밧줄'''}}, {{색|#b22222|'''골동품 공'''}}, 소형 공, 소형 얼음 공,
| 먹이 풍부화=대나무 급식기, 피나타 얼룩말, {{색|#904F1C|'''피나타 가지뿔영양'''}}, 얼음 피 호박, {{색|#904F1C|'''스키틀급식기'''}}, 개 공
| 먹이 풍부화=
| 토막 지식 1=울버린의 라틴어 이름 ''Gulo gulo''는 '대식가'라는 뜻입니다.
| 토막 지식 1=울버린의 라틴어 이름 ''Gulo gulo''는 '대식가'라는 뜻입니다.
| 토막 지식 2=울버린은 후각이 무척 뛰어나며 눈 속 6m 깊이에 파묻혀 있는 먹이의 냄새도 맡을 수 있습니다.
| 토막 지식 2=울버린은 후각이 무척 뛰어나며 눈 속 6m 깊이에 파묻혀 있는 먹이의 냄새도 맡을 수 있습니다.
344번째 줄: 344번째 줄:
}}
}}


<big>'''기초 정보'''</big><br />'''느림보곰'''(''Melursus ursinus'')은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부탄, 네팔의 열대 우림과 초원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곰입니다. 검고 덮수룩한 털과 밝은 회색 주둥이를 지니며 가슴 윗부분을 가로지르는 회백색의 초승달 무늬가 있습니다. 넓적한 머리에 주둥이는 길쭉하고 귀에는 털이 북슬북슬합니다. 암수는 외형이 동일하나 수컷의 덩치가 암컷보다 10~20% 더 큽니다. 수컷의 몸길이는 1.4~1.9m이며 키는 어깨높이에서 60~90cm, 몸무게는 80~145kg입니다.<br /><br />느림보곰은 취약종으로 분류됩니다. 느림보곰을 위험하는 주된 요인은 벌목과 농경지 전환으로 인한 서식지 상실입니다. 느림보곰의 주 먹이 수급처인 흰개미집 집의 파괴도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또한 느림보곰의 신체 부위가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밀렵꾼에게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있으며, 포획당해 '춤추는 곰' 쇼에 강제로 동원되기도 합니다. 느림보곰 서식지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불잡한 느림보곰을 구출하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느림보곰의 서식지 근처에서 거주하는 이들에게는 느림보곰의 역사 및 느림보곰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big>'''기초 정보'''</big><br />'''느림보곰'''(''Melursus ursinus'')은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부탄, 네팔의 열대 우림과 초원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곰입니다. 검고 덮수룩한 털과 밝은 회색 주둥이를 지니며 가슴 윗부분을 가로지르는 회백색의 초승달 무늬가 있습니다. 넓적한 머리에 주둥이는 길쭉하고 귀에는 털이 북슬북슬합니다. 암수는 외형이 동일하나 수컷의 덩치가 암컷보다 10~20% 더 큽니다. 수컷의 몸길이는 1.4~1.9m이며 키는 어깨높이에서 60~90cm, 몸무게는 80~145kg입니다.<br /><br />느림보곰은 취약종으로 분류됩니다. 느림보곰을 위험하는 주된 요인은 벌목과 농경지 전환으로 인한 서식지 상실입니다. 느림보곰의 주 먹이 수듭처인 흰개미집 집의 파괴도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또한 느림보곰의 신체 부위가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밀렵꾼에게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있으며, 포획당해 '춤추는 곰' 쇼에 강제로 동원되기도 합니다. 느림보곰 서식지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불잡한 느림보곰을 구출하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느림보곰의 서식지 근처에서 거주하는 이들에게는 느림보곰의 역사 및 느림보곰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366번째 줄: 366번째 줄:
| 불임 나이=사망 시
| 불임 나이=사망 시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3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3
| 임신/부화 기간=6개월
| 임신/부화 기간=
| 출산 간격=24개월
| 출산 간격=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
| 식단 1등급=잎과 견과류, 고기
| 식단 1등급=잎과 견과류, 고기
| 식단 2등급=과일과 채소
| 식단 2등급=과일과 채소
| 식단 3등급=곤충
| 식단 3등급=곤충
| 서식지 풍부화=얼음 블록, 실패, 원통형 실감개, 종이 상자, 소방 호스 공, 허브 냄새 마커, 선물 상자, 사냥감 냄새 나는 자루,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타이어, 대형 공, 대형 눈덩이, {{색|#C8852C|'''물웅덩이'''}}, {{색|#904F1C|'''비버 웅덩이'''}}
| 서식지 풍부화=얼음 블록, 실패, 원통형 실감개, 종이 상자, 소방 호스 공, 허브 냄새 마커, 선물 상자,  
| 먹이 풍부화=나무형 분산 급식기, 냉동 과일 블록, 나무 먹이통, 대나무 급식기, 냉동 물고기 블록, {{색|#89236A|'''벽걸이형 장난감'''}}
| 먹이 풍부화=
| 토막 지식 1=느림보곰의 가슴에 있는 초승달은 호랑이의 공격을 막기 위한 위협용 무늬로 추정됩니다.
| 토막 지식 1=느림보곰의 가슴에 있는 초승달은 호랑이의 공격을 막기 위한 위협용 무늬로 추정됩니다.
| 토막 지식 2=느림보곰 어미는 새끼를 낳은 뒤 3~8주 동안 굴 밖으로 나가지 않습니다.
| 토막 지식 2=느림보곰 어미는 새끼를 낳은 뒤 3~8주 동안 굴 밖으로 나가지 않습니다.
413번째 줄: 413번째 줄:
| 배경색=#555D59
| 배경색=#555D59
| 사회성 요구 상황=혹고니는 일부일처제도 생활하며 이동 중에 대규모 집단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몇몇 짝은 영역 본능을 보이며 자신의 영역에 들어온 다른 혹고니를 배척하기도 합니다. 아직 성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어린 혹고니는 번식기에 이르러 짝을 찾기 전까지 다른 어린 개체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합니다.
| 사회성 요구 상황=혹고니는 일부일처제도 생활하며 이동 중에 대규모 집단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몇몇 짝은 영역 본능을 보이며 자신의 영역에 들어온 다른 혹고니를 배척하기도 합니다. 아직 성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어린 혹고니는 번식기에 이르러 짝을 찾기 전까지 다른 어린 개체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합니다.
| 번식=봄이 되어 번식기가 찾아오면 짝이 없는 혹고니들은 짝을 찾아다닙니다. 수컷과 암컷 혹고니는 서로에게 다가가 구애 행동을 시작합니다. 이때는 날개를 부풀리고 머리를 숙이며 깃털을 고르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서로가 마음에 들면 혹고니들은 움직임을 맞추어 춤을 추며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젊은 수컷과 암컷은 다음 해가 오기 전까지 짝짓기하지 않은 채 번식기를 함께 보내기도 합니다. 짝짓기는 물에 반쯤 잠긴 상태에서 진행되며, 짝짓기 전에 먼저 머리를 상대의 등에 올리거나 목으로 상대의 목을 휘감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br /><br />맺어진 짝은 근처의 식물로 통지를 짓거나 다른 장소를 택해 둥지를 만듭니다. 둥지는 솟아오른 큰 문덕 형태로, 가운데에 알를 보호하는 구덩이가 파여 있습니다. 암컷은 짝짓기 후 약 한 달이 지나면 5~12개의 알을 낳는데, 보통은 5~7개의 알을 낳습니다. 수컷과 암컷이 교대로 알을 품어 부화시키며 알은 대락 5주 후에 부화합니다. 새끼 혹고니는 부화한 직후 바로 둥지들 떠나 부모 중 한 개체을 따라다납니다. 새끼는 깃털이 다 자랄 때까지 부모와 60일을 함께 지내며, 그 후에는 부모가 새끼들 쫓아내 독립시킵니다. 독립한 새끼는 번식하지 않는 다른 어린 혹고니들과 무리를 이룹니다. 이 무리는 주로 2살이거나 그보다 더 어린 혹고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린 혹고니들은 짝을 찾으러 다니기 전까지 비슷한 아니의 혹고니들과 가까이 붙어서 지냅니다.<br /><br />혹고니는 3살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연속적 일부일처제 형태로 짝을 이루는데, 번식가마다 다른 짝과 맺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여러 번식기를 거치면서도 같은 상대와 짝을 이루는 혹고니도 있습니다. 가끔 짝을 하나 더 찾는 경우도 있어, 한 배에서 나온 새끼 혹고니들의 아비가 서로 다르기도 합니다.
| 번식=봄이 되어 번식기가 찾아오면 짝이 없는 혹고니들은 짝을 찾아다닙니다. 수컷과 암컷 혹고니는 서로에게 다가가 구애 행동을 시작합니다. 이때는 날개를 부풀리고 머리를 숙이며 깃털을 고르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서로가 마음에 들면 혹고니들은 움직임을 맞추어 춤을 추며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젊은 수컷과 암컷은 다음 해가 오기 전까지 짝짓기하지 않은 채 번식기를 함께 보내기도 합니다. 짝짓기는 물에 반쯤 잠긴 상태에서 진행되며, 짝짓기 전에 먼저 머리를 상대의 등에 올리거나 목으로 상대의 목을 휘감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br /><br />맺어진 짝은 근처의 식물로 통지를 짓거나 다른 장소를 택해 둥지를 만듭니다. 둥지는 솟아오른 큰 문덕 형태로, 가운데에 알를 보호하는 구덩이가 파여 있습니다. 암컷은 짝짓기 후 약 한 달이 지나면 5~12개의 알을 낳는데, 보통은 5~7개의 알을 낳습니다. 수컷과 암컷이 교대로 알을 품어 부화시키며 알은 대락 5주 후에 부화합니다. 새끼 혹고니는 부화한 직후 바로 둥지들 떠나 부모 중 한 개체을 따라다납니다. 새끼는 깃털이 다 자랄 때까지 부모와 60일을 함께 지내며, 그 후에는 부모가 새끼들 쫓아내
| 무리 규모=2~50
| 무리 규모=2~50
| 수컷 수=25
| 수컷 수=25
430번째 줄: 430번째 줄:
| 불임 나이=사망 시
| 불임 나이=사망 시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3~5
| 짝짓기 1회당 출산 수=3~5
| 임신/부화 기간=1개월
| 임신/부화 기간=
| 출산 간격=11개월
| 출산 간격=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아주 쉬움
|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
| 식단 1등급=새 사료
| 식단 1등급=새 사료
| 식단 2등급=씨앗
| 식단 2등급=씨앗
| 식단 3등급=뿌리채소
| 식단 3등급=뿌리채소
| 서식지 풍부화=거울 모빌, {{색|#C8852C|'''물웅덩이'''}}, 물 분사기 바위, 물 분사기, {{색|#b22222|'''골동품 공'''}}
| 서식지 풍부화=거울 모빌, {{색|#C8852C|'''물웅덩이'''}}, 물 분사기 바위, 물 분사기, {{색|#b22222|'''골동품 공'''}}
| 먹이 풍부화=먹이 웅덩이, 저속 급식기, 과일 꼬챙이 나무
| 먹이 풍부화=먹이 웅덩이,  
| 토막 지식 1=혹고니는 일부일처제로 생활하지만, 맺어진 짝과 평생을 함꼐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평생 여러 상대와 짝을 이루기도 합니다.
| 토막 지식 1=혹고니는 일부일처제로 생활하지만, 맺어진 짝과 평생을 함꼐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평생 여러 상대와 짝을 이루기도 합니다.
| 토막 지식 2=혹고니는 날아다니는 새 정에서도 가장 무거운 무게를 자랑합니다. 특히 덩치가 큰 수컷의 경우 몸무게가 23kg으로, 날아다니는 새 중에서 가장 거대한 개체로 기록될 정도입니다.
| 토막 지식 2=혹고니는 날아다니는 새 정에서도 가장 무거운 무게를 자랑합니다. 특히 덩치가 큰 수컷의 경우 몸무게가 23kg으로, 날아다니는 새 중에서 가장 거대한 개체로 기록될 정도입니다.
500번째 줄: 500번째 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https://planetzoo.fandom.com/wiki/Planet_Zoo_Wiki Planet Zoo Wiki]
* [https://planetzoo.fandom.com/wiki/Planet_Zoo_Wiki Planet Zoo Wiki]
* [https://blog.naver.com/dsgoo1023 DR.GBS의 각종 여러 가지 취미생활]
* [https://blog.naver.com/dsgoo1023 DR.GBS의 각종 여러가지 취미생활]
* [https://blog.naver.com/ljmoon12345 Abyss 세제곱 / 플래닛 주 프랜차이즈 모드 공략]
* [https://blog.naver.com/ljmoon12345 Abyss 세제곱 / 플래닛 주 프랜차이즈 모드 공략]
* [https://blog.naver.com/jason475/223295609879 게임 <플래닛 주> '유라시아 동물 팩'으로 추가되는 동물들에 대해]
* [https://blog.naver.com/jason475/223295609879 게임 <플래닛 주> '유라시아 동물 팩'으로 추가되는 동물들에 대해]
[[분류:플래닛 주|동물19]]
[[분류:플래닛 주|동물19]]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