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건조 동물 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 동물명=단봉낙타
| 동물명=단봉낙타
| 학명=Camelus dromedarius
| 학명=Camelus dromedarius
| 그림=PlanetZoo Zoopedia Dromedary Camel.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Dromedary.jpg
| 멸종위기등급=가축화
| 멸종위기등급=가축화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대륙=아프리카, 아시아
| 대륙=아프리카, 아시아
| 지역=<small>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이집트, 모리타니, 말리, 니제르,<br />차드, 수단, 에리트레아,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기니,<br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 가나,<br />토고, 베냉, 나이지리아, 남수단, 에티오피아, 지부티, 케냐,<br />소말리아, 이스라엘,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br />아랍 에미리트 연합,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레바논,<br />시리아, 이라크, 터키,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타자키스탄,<br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small>
| 지역=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이집트, 모리타니, 말리, 니제르,<br />차드, 수단, 에리트레아,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기니,<br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 가나,<br />토고, 베냉, 나이지리아, 남수단, 에티오피아, 지부티, 케냐,<br />소말리아, 이스라엘,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br />아랍 에미리트 연합,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레바논,<br />시리아, 이라크, 터키,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타자키스탄,<br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생물군계=사막, 초원, 온대
| 생물군계=사막, 초원, 온대
| 울타리 강도=3등급, 1.25m 이상
| 울타리 강도=3등급, 1.25m 이상
25번째 줄: 25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단봉낙타(''Camelus dromedarius'')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서아시아에 서식하는 낙타과 동물입니다. 유럽과 호주로 유입된 사례도 존재합니다. 색상은 연갈색이거나 황갈색, 아니면 크림색이지만, 어두운 색이나 얼룩무늬를 가진 경우도 있습니다. 등에는 혹이 하나 있고, 긴 다리와 긴 목을 지녔습니다. 또한 돔 형태의 머리와 작고 둥근 귀, 속눈썹이 긴 커다란 눈, 크고 도드라진 입술이 특징입니다. 수컷은 몸길이 2.50~3.40m, 어깨높이 1.80~2m, 몸무게는 400~600kg로 암컷보다 크고 무겁습니다. 암컷은 어깨높이가 1.70~1.90m, 몸길이 2.20~3m, 몸무게는 300~540kg입니다.<br /><br />단봉낙타는 가축화된 종인 까닭에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개체수도 안정적입니다. 이렇게 단봉낙타는 타고난 힘과 지구력 덕분에 수천 년간 인간에게 도움을 주며 물품 수송에 필수적인 역할을 맡아왔습니다. 농사 분야에서는 발을 갈 때에도 쓰이며, 우유와 고기는 귀중한 식랑이 되기도 합니다.
<big>'''기초 정보'''</big><br />단봉낙타(''Camelus dromedarius'')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서아시아에 서식하는 낙타과 동물입니다. 유럽과 호주로 유입된 사례도 존재합니다. 색상은 연갈색이거나 황갈색, 아니면 크림색이지만, 어두운 색이나 얼룩무늬를 가진 경우도 있습니다. 등에는 혹이 하나 있고, 긴 다리와 긴 목을 지녔습니다. 또한 돔 형태의 머리와 작고 둥근 귀, 속눈썹이 긴 커다란 눈, 크고 도드라진 입술이 특징입니다. 수컷은 몸길이 2.50~3.40m, 어깨높이 1.80~2m, 몸무게는 400~600kg로 암컷보다 크고 무겁습니다. 암컷은 어깨높이가 1.70~1.90m, 몸길이 2.20~3m, 몸무게는 300~540kg입니다.<br /><br />단봉낙타는 가축화된 종인 까닭에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개체수도 안정적입니다. 이렇게 단봉낙타는 타고난 힘과 지구력 덕분에 수천 년간 인간에게 도움을 주며 물품 수송에 필수적인 역할을 맡아왔습니다. 농사 분야에서는 발을 갈 때에도 쓰이며, 우유와 고기는 귀중한 식랑이 되기도 합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번식'''</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번식=(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무리 규모=2~13
| 무리 규모=2~13
| 수컷 수=1
| 수컷 수=1
89번째 줄: 91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아닥스(''Addax nasomaculatus'')는 사하라 사막 외딴 지역에 사는 영양 종입니다. 역사적으로는 북아프리카 전역에 서식했지만, 지금은 니제르와 차드 지역에서만 발견됩니다. 아닥스는 크림색, 흰색, 또는 연한 갈색 색상을 지니며, 얼굴과 입을 덮는 갈색 무늬가 있습니다. 양쪽 성별 모두 어둡고 꼬불꼬불한 뿔을 가지고 있어 나사뿔영양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아닥스는 몸길이가 1.20~1.30m까지 성장합니다. 수컷은 어깨높이가 1.05~1.15m, 몸무게는 100~125kg으로 보통 암컷보다 키가 크고 무겁습니다. 수컷의 뿔은 70~85cm 길이로 암컷에 비해 더 길고 두꺼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암컷 아닥스는 어깨높이 0.95~1.10m, 몸무게 60~90kg, 뿔 길이는 55~80cm입니다.<br /><br />현재 아닥스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현재 야생에 살아있는 개체 역시 100마리도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닥스가 이렇게 멸종 위기에 내몰린 이유는 남획의 영향이 큽니다. 몸집이 크고 이동 속도가 느린 관계로 식량이나 값진 가죽을 노린 사낭감이 되기 좋기 때문입니다. 헌재의 활동 범위가 석유 시추 지역 가까이 있어 서식지가 더 파괴되고 있기도 합니다. 아닥스 보존 활동은 아닥스를 재방생하거나 새로운 아닥스 무리를 관찰하는 번식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번식 프로그램은 아닥스의 야생 개체수를 늘리고, 밀렵과 차량 사고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아닥스(''Addax nasomaculatus'')는 사하라 사막 외딴 지역에 사는 영양 종입니다. 역사적으로는 북아프리카 전역에 서식했지만, 지금은 니제르와 차드 지역에서만 발견됩니다. 아닥스는 크림색, 흰색, 또는 연한 갈색 색상을 지니며, 얼굴과 입을 덮는 갈색 무늬가 있습니다. 양쪽 성별 모두 어둡고 꼬불꼬불한 뿔을 가지고 있어 나사뿔영양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아닥스는 몸길이가 1.20~1.30m까지 성장합니다. 수컷은 어깨높이가 1.05~1.15m, 몸무게는 100~125kg으로 보통 암컷보다 키가 크고 무겁습니다. 수컷의 뿔은 70~85cm 길이로 암컷에 비해 더 길고 두꺼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암컷 아닥스는 어깨높이 0.95~1.10m, 몸무게 60~90kg, 뿔 길이는 55~80cm입니다.<br /><br />현재 아닥스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현재 야생에 살아있는 개체 역시 100마리도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닥스가 이렇게 멸종 위기에 내몰린 이유는 남획의 영향이 큽니다. 몸집이 크고 이동 속도가 느린 관계로 식량이나 값진 가죽을 노린 사낭감이 되기 좋기 때문입니다. 헌재의 활동 범위가 석유 시추 지역 가까이 있어 서식지가 더 파괴되고 있기도 합니다. 아닥스 보존 활동은 아닥스를 재방생하거나 새로운 아닥스 무리를 관찰하는 번식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번식 프로그램은 아닥스의 야생 개체수를 늘리고, 밀렵과 차량 사고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아닥스는 10~25마리 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무리의 구조는 다양한데, 여러 나이대의 암수 개체들, 지배적인 수컷 한 마리와 혈연관계 없는 암컷 여럿, 그리고 새끼들로 이루어진 하렘, 단일 성별 독신 무리가 있습니다.<br /><br />사육 상태의 아닥스는 보통 하렘 무리로 관리됩니다.
<big>'''번식'''</big><br />아닥스는 아생 무리의 규모가 작고 방생된 경우가 많아 자연 상태의 번식 습성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포획된 개체들의 번식이나 다른 가까운 관계의 영양 종을 관찰한 결과에 기초합니다.<br /><br />아닥스 수컷은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컷은 영역을 배회하는 암컷을 모두 하렘에 편입시키려 합니다. 아닥스는 1년 내내 번식하지만, 출산이 가장 잦은 시기는 겨울과 봄입니다. 지배적인 수컷은 그룹에 있는 암컷 모두의 소변 냄새를 맡아 발정기인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암컷이 자신을 받아들이면 짝짓기를 시도합니다.<br /><br />임신 기간은 8.5~9개월이며, 이후 암컷은 한 마리, 가끔은 쌍둥이로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는 5~9개월이 되면 젖을 떼며 이맘때쯤 어미도 다시 임신이 가능해집니다.<br /><br />2살이 된 아닥스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해집니다. 이때 어미 무리를 떠나 제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아닥스는 10~25마리 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무리의 구조는 다양한데, 여러 나이대의 암수 개체들, 지배적인 수컷 한 마리와 혈연관계 없는 암컷 여럿, 그리고 새끼들로 이루어진 하렘, 단일 성별 독신 무리가 있습니다.<br /><br />사육 상태의 아닥스는 보통 하렘 무리로 관리됩니다.
| 번식=아닥스는 아생 무리의 규모가 작고 방생된 경우가 많아 자연 상태의 번식 습성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포획된 개체들의 번식이나 다른 가까운 관계의 영양 종을 관찰한 결과에 기초합니다.<br /><br />아닥스 수컷은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컷은 영역을 배회하는 암컷을 모두 하렘에 편입시키려 합니다. 아닥스는 1년 내내 번식하지만, 출산이 가장 잦은 시기는 겨울과 봄입니다. 지배적인 수컷은 그룹에 있는 암컷 모두의 소변 냄새를 맡아 발정기인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암컷이 자신을 받아들이면 짝짓기를 시도합니다.<br /><br />임신 기간은 8.5~9개월이며, 이후 암컷은 한 마리, 가끔은 쌍둥이로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는 5~9개월이 되면 젖을 떼며 이맘때쯤 어미도 다시 임신이 가능해집니다.<br /><br />2살이 된 아닥스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해집니다. 이때 어미 무리를 떠나 제
| 무리 규모=2~25
| 무리 규모=2~25
| 수컷 수=1
| 수컷 수=1
153번째 줄: 157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다마가젤(''Nanger Dama'')은 사하라 사막과 사헬 지역에 사는 유제류 동물입니다. 배와 다리, 엉덩이, 얼굴에는 짧은 흰색 털이 있고, 등과 어깨, 목의 털은 적갈색입니다. 머리에는 크고 도드라진 귀와 검은색 비틀린 뿔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뿔은 암수 모두 있지만 암것의 뿔이 훨씬 짧은 편입니다. 수컷의 뿔 길이는 25~35cm이며, 암컷의 뿔은 평균적으로 수컷보다 절반 정도 짧은 길이입니다. 다마가젤의 키는 어깨높이에서 95~105cm, 몸길이는 140~168cm이며 암컷이 약간 더 작습니다. 수컷 가젤의 몸무게는 35~75kg이며, 암컷은 35~40kg으로 훨씬 가법습니다.<br /><br />다마가젤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며, 야생에서는 이미 하나의 아종이 멸종한 상태입니다. 다마가젤도 사막에 서식하는 다른 동물들처럼 적은 양의 수분으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했지만, 다른 사막 동물에 비하면 물이 더 많이 필요한 편입니다. 수분은 주로 먹이를 통해 보충하기 때문에 예상 강수량과 기후의 변화는 다마가젤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다마가젤에게는 기후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에 의한 자연 서식지 훼손과 파편화도 큰 문제입니다. 인간의 이러한 행위로 인해 다마가젤의 이주 경로가 교란되고 수분 공급도 더욱 어러워졌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다마가젤은 사냥이나 수렵으로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은 동물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현재 다마가젤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보호 사육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목표는 다마가젤을 본래 서식지나 자연 보호 구역에 재도입하는 것입니다.
<big>'''기초 정보'''</big><br />다마가젤(''Nanger Dama'')은 사하라 사막과 사헬 지역에 사는 유제류 동물입니다. 배와 다리, 엉덩이, 얼굴에는 짧은 흰색 털이 있고, 등과 어깨, 목의 털은 적갈색입니다. 머리에는 크고 도드라진 귀와 검은색 비틀린 뿔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뿔은 암수 모두 있지만 암것의 뿔이 훨씬 짧은 편입니다. 수컷의 뿔 길이는 25~35cm이며, 암컷의 뿔은 평균적으로 수컷보다 절반 정도 짧은 길이입니다. 다마가젤의 키는 어깨높이에서 95~105cm, 몸길이는 140~168cm이며 암컷이 약간 더 작습니다. 수컷 가젤의 몸무게는 35~75kg이며, 암컷은 35~40kg으로 훨씬 가법습니다.<br /><br />다마가젤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며, 야생에서는 이미 하나의 아종이 멸종한 상태입니다. 다마가젤도 사막에 서식하는 다른 동물들처럼 적은 양의 수분으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진화했지만, 다른 사막 동물에 비하면 물이 더 많이 필요한 편입니다. 수분은 주로 먹이를 통해 보충하기 때문에 예상 강수량과 기후의 변화는 다마가젤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다마가젤에게는 기후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에 의한 자연 서식지 훼손과 파편화도 큰 문제입니다. 인간의 이러한 행위로 인해 다마가젤의 이주 경로가 교란되고 수분 공급도 더욱 어러워졌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다마가젤은 사냥이나 수렵으로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은 동물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현재 다마가젤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보호 사육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목표는 다마가젤을 본래 서식지나 자연 보호 구역에 재도입하는 것입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다마가젤은 지배적인 수컷이 이끄는 혼합 무리를 이뤄 생활합니다. 번식기에는 수컷들이 암컷을 다른 수컷들로부터 지키거나 무리에 끌어들입니다.
<big>'''번식'''</big><br />야생 다마가젤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립니다. 야생 다마가젤은 너무 작은 무리 형태 및 보호 사육 프로젝트로 재도입된 경우가 많아, 자연 그대로의 번식 습성은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아래의 정보는 사육 상태이거나 재도입된 가젤을 관찰한 결과입니다.<br /><br />번식기에 수컷은 경쟁자 수컷을 공격적으로 대하며, 암컷에 접근하지 못하게 무리를 멀리 이동시킵니다. 이들은 지배력을 과시하기 위해 껑충 뛰어오르거나 발을 차고, 콧김을 내뿜거나, 뿔을 자랑하기 위해 풀숲을 들이받습니다. 수컷은 무리 내 암컷의 소변 냄새를 맡아 발정기인지 확인하고, 암컷이 받아들이면 짝짓기를 시작합니다.<br /><br />암컷은 5.5~6개월의 임신 기간 후에 새끼 한 마리, 가끔은 쌍둥이를 낳습니다. 그리고 새끼는 생후 3-4개월에 젖을 땝니다.<br /><br />수컷 다마가젤이 성적으로 성숙하는 나이는 1살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뿔이 발달하고, 사회 집단에서 지배력 서열이 높아질수록 번식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암컷 다마가젤은 1.5살에 성적으로 성숙합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다마가젤은 지배적인 수컷이 이끄는 혼합 무리를 이뤄 생활합니다. 번식기에는 수컷들이 암컷을 다른 수컷들로부터 지키거나 무리에 끌어들입니다.
| 번식=야생 다마가젤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립니다. 야생 다마가젤은 너무 작은 무리 형태 및 보호 사육 프로젝트로 재도입된 경우가 많아, 자연 그대로의 번식 습성은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아래의 정보는 사육 상태이거나 재도입된 가젤을 관찰한 결과입니다.<br /><br />번식기에 수컷은 경쟁자 수컷을 공격적으로 대하며, 암컷에 접근하지 못하게 무리를 멀리 이동시킵니다. 이들은 지배력을 과시하기 위해 껑충 뛰어오르거나 발을 차고, 콧김을 내뿜거나, 뿔을 자랑하기 위해 풀숲을 들이받습니다. 수컷은 무리 내 암컷의 소변 냄새를 맡아 발정기인지 확인하고, 암컷이 받아들이면 짝짓기를 시작합니다.<br /><br />암컷은 5.5~6개월의 임신 기간 후에 새끼 한 마리, 가끔은 쌍둥이를 낳습니다. 그리고 새끼는 생후 3-4개월에 젖을 땝니다.<br /><br />수컷 다마가젤이 성적으로 성숙하는 나이는 1살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뿔이 발달하고, 사회 집단에서 지배력 서열이 높아질수록 번식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암컷 다마가젤은 1.5살에 성적으로 성숙합니다.
| 무리 규모=3~20
| 무리 규모=3~20
| 수컷 수=1
| 수컷 수=1
198번째 줄: 204번째 줄:
| 동물명=소말리아야생당나귀
| 동물명=소말리아야생당나귀
| 학명=Equus africanus somaliensis
| 학명=Equus africanus somaliensis
| 그림=PlanetZoo Zoopedia Somali Wild Ass.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Donkey.jpg
| 멸종위기등급=위급
| 멸종위기등급=위급
| 야생 개체 수=20 ~ 200
| 야생 개체 수=20 ~ 200
217번째 줄: 223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아종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somaliensis'')는 소말리아, 지부티, 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의 사막과 반사막에 서식하는 말과 동물입니다. 회색 털과 연한 색 배, 얇은 검은색 출무늬가 그려진 흰색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뻣뻣하고 끝이 검은 같기, 끝이 검은 귀, 꼬리 끝에 검은 털 다발이 있습니다. 주둥이는 하얗지만, 코와 입 주변은 검회색인 경우가 있습니다. 암수의 외형은 같습니다. 평균 키는 어깨높이에서 1.20~1.45m, 몸길이 2~2.40m, 몸무게는 225~335kg입니다.<br /><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남획과 잡종 발생으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될 정도로 개체 수가 감소했습니다. 비슷한 원인으로 인해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다른 아종인 누비아야생당나귀는 벌써 멸종된 것으로 추정 중인 상황입니다.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식량이나 전통 약재로 쓰여 사냥당하고, 남은 야생 개체는 가축 당나귀와 이종 교배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더해 인간의 개발로 인해 목초지와 식수원을 놓고 가축과 경쟁하는 처지까지 이르렀습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사낭이 불법이지만, 이런 규제가 당나귀의 전체 서식 범위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종 교배율이 높아 보호론자들이 종의 계보를 추적하고 보호 대책을 세우기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아생에 남은 개체는 고작 20~200마리 정도입니다. 전 세계에서 이와 비슷한 수의 소말리아야생당니귀가 종을 보존할 목적으로 억류 보존과 번식 프로그램에 수용되어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아종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somaliensis'')는 소말리아, 지부티, 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의 사막과 반사막에 서식하는 말과 동물입니다. 회색 털과 연한 색 배, 얇은 검은색 출무늬가 그려진 흰색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뻣뻣하고 끝이 검은 같기, 끝이 검은 귀, 꼬리 끝에 검은 털 다발이 있습니다. 주둥이는 하얗지만, 코와 입 주변은 검회색인 경우가 있습니다. 암수의 외형은 같습니다. 평균 키는 어깨높이에서 1.20~1.45m, 몸길이 2~2.40m, 몸무게는 225~335kg입니다.<br /><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남획과 잡종 발생으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될 정도로 개체 수가 감소했습니다. 비슷한 원인으로 인해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다른 아종인 누비아야생당나귀는 벌써 멸종된 것으로 추정 중인 상황입니다.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식량이나 전통 약재로 쓰여 사냥당하고, 남은 야생 개체는 가축 당나귀와 이종 교배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더해 인간의 개발로 인해 목초지와 식수원을 놓고 가축과 경쟁하는 처지까지 이르렀습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사낭이 불법이지만, 이런 규제가 당나귀의 전체 서식 범위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종 교배율이 높아 보호론자들이 종의 계보를 추적하고 보호 대책을 세우기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아생에 남은 개체는 고작 20~200마리 정도입니다. 전 세계에서 이와 비슷한 수의 소말리아야생당니귀가 종을 보존할 목적으로 억류 보존과 번식 프로그램에 수용되어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자원이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아생에서 홀로 또는 결속력 약한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무리에 속한 수컷은 암컷을 최대 10마리까지 보호하게 됩니다. 어미와 새끼의 경우를 제외하면 개체 간의 유대람은 강하지 않습니다.
<big>'''번식'''</big><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의 자연적인 번식 습성은 알려진 점이 많지 않습니다. 관측할 야생 개체가 별로 없고, 종 보존을 위해 인간이 번식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사육 상태 및 관리하에 이뤄진 번식을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br /><br />봄이 되어 번식기가 맞아오면, 독신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수컷은 울음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혹합니다. 이는 앞에 있는 젊은 암컷이 다른 수것의 무리에 있지 않은 경우 더 적극적으로 변합니다. 이미 암컷 무리를 이끄는 수컷은 외부 수컷에 맞서 무리를 지킵니다. 수컷은 무리의 모든 암컷을 살퍼보며 발정기인지 판별하고, 받아들이는 상대가 있으면 교미를 시작합니다.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 당나귀는 발을 차거나, 뒷다리를 벌리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입을 열어 준비되었음을 보여줍니다.<br /><br />임신 기간은 12개월이며, 이후 암컷은 새끼를 한 마리 낳습니다. 무리의 지배적인 수컷은 무리 속 어미와 새끼를 강하게 보호하며,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은 뭐든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새끼는 어미 근처에 가까이 붙어 4주간 젖만 섭취하며, 그 이후부터 고체 음식을 먹습니다. 생후 12~14개월이 되면 젖을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자원이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아생에서 홀로 또는 결속력 약한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무리에 속한 수컷은 암컷을 최대 10마리까지 보호하게 됩니다. 어미와 새끼의 경우를 제외하면 개체 간의 유대람은 강하지 않습니다.
| 번식=소말리아야생당나귀의 자연적인 번식 습성은 알려진 점이 많지 않습니다. 관측할 야생 개체가 별로 없고, 종 보존을 위해 인간이 번식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사육 상태 및 관리하에 이뤄진 번식을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br /><br />봄이 되어 번식기가 맞아오면, 독신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수컷은 울음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혹합니다. 이는 앞에 있는 젊은 암컷이 다른 수것의 무리에 있지 않은 경우 더 적극적으로 변합니다. 이미 암컷 무리를 이끄는 수컷은 외부 수컷에 맞서 무리를 지킵니다. 수컷은 무리의 모든 암컷을 살퍼보며 발정기인지 판별하고, 받아들이는 상대가 있으면 교미를 시작합니다.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 당나귀는 발을 차거나, 뒷다리를 벌리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입을 열어 준비되었음을 보여줍니다.<br /><br />임신 기간은 12개월이며, 이후 암컷은 새끼를 한 마리 낳습니다. 무리의 지배적인 수컷은 무리 속 어미와 새끼를 강하게 보호하며,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은 뭐든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새끼는 어미 근처에 가까이 붙어 4주간 젖만 섭취하며, 그 이후부터 고체 음식을 먹습니다. 생후 12~14개월이 되면 젖을
| 무리 규모=1~7
| 무리 규모=1~7
| 수컷 수=3
| 수컷 수=3
281번째 줄: 289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는 남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의 초원이나 관목지에 서식하는 대형 유제류입니다. 검은코뿔소는 얼굴에 뿔이 두 개 자라며, 앞쪽 뿔이 뒤쪽보다 훨씬 긴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두꺼운 회색 피부, 짧고 두툼한 다리, 작은 눈, 타원 모양 귀가 특징입니다. 검은코뿔소는 어깨높이가 1.40~1.80m, 몸길이 3m~3.75m, 몸무게 800~1,400kg에 달합니다. 암수의 크기는 비슷합니다.<br /><br />검은코뿔소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며, 이미 다수의 아종이 멸종한 상태입니다. 검은코뿔소의 생존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 중에 가장 큰 문제는 뿔을 위한 밀렵입니다. 서식지 대부분이 분쟁 구역에 있어 인간 활동으로 개체 수가 줄어들기도 하고, 이 종을 보존하기 위한 관련 규제나 법적 제도도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잎사귀만 섭취하는 식습관 때문에 다른 종과의 먹이 경쟁에도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무기물 부족과 질병에 민감한 특성상 사육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는 남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의 초원이나 관목지에 서식하는 대형 유제류입니다. 검은코뿔소는 얼굴에 뿔이 두 개 자라며, 앞쪽 뿔이 뒤쪽보다 훨씬 긴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두꺼운 회색 피부, 짧고 두툼한 다리, 작은 눈, 타원 모양 귀가 특징입니다. 검은코뿔소는 어깨높이가 1.40~1.80m, 몸길이 3m~3.75m, 몸무게 800~1,400kg에 달합니다. 암수의 크기는 비슷합니다.<br /><br />검은코뿔소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며, 이미 다수의 아종이 멸종한 상태입니다. 검은코뿔소의 생존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 중에 가장 큰 문제는 뿔을 위한 밀렵입니다. 서식지 대부분이 분쟁 구역에 있어 인간 활동으로 개체 수가 줄어들기도 하고, 이 종을 보존하기 위한 관련 규제나 법적 제도도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잎사귀만 섭취하는 식습관 때문에 다른 종과의 먹이 경쟁에도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무기물 부족과 질병에 민감한 특성상 사육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검은코뿔소는 어미와 새끼를 제외하면 보통 홀로 생활합니다. 서로 마주친 개체 간에는 가볍고 느슨한 유대감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big>'''번식'''</big><br />검은코뿔소는 암수가 모두 영역을 가지고 었으머, 이는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짝짓기는 1년 내내 이루어지지만, 출산은 보통 우기가 끝날 때쯤 이루어집니다. 수컷 검은코뿔소는 배설물을 통해 가임기 암컷을 찾아갑니다. 암수가 서로 만나면 수컷과 수컷이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기도 하고, 암컷이 원치 않는 수컷을 거부하는 등 다툼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짝짓기하기 전에 암수는 최대 2주간 함께 생활하게 댑니다.이 기간에 둘은 함께 먹고, 자고, 이동하어 유대감을 쌓습니다. 짝짓기는 수컷이 먼저 시도하고, 이패 암컷이 준비가 안 되어 었으면 공격적인 태도로 수컷에게 돌진해 짝짓기를 피합니다. 반대로 발정기에 있으면 짝짓기를 허락하게 됩니다. 교미는 20~40분쯤 진행되고, 이후 둘은 헤어집니다.<br /><br />검은코뿔소의 임신 기간은 15개월이며, 이후 새끼 한 마리를 낳습니다. 신생아 코뿔소는 약 한 달간 어미에게서만 양분을 공급받고, 그 후 어미의 젖에 더해 부드러운 풀을 뜯고 물을 마시기 시작합니다. 새끼는 생후 18개월이 되면 젖을 떼지만, 2~4살이 될 때까지 어미와 함께 지냅니다.<br /><br />2~4살이 된 검은코뿔소는 어미에게서 떨어져 자신만의 영역을 가집니다. 이 어린 코뿔소는 느슨한 유대감의 그룹이나 다른 청년기 개체와 함께하거나, 아니면 혼자서 돌아다니게 됩니다. 수것 검은코뿔소는 7~8살에 성적으로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검은코뿔소는 어미와 새끼를 제외하면 보통 홀로 생활합니다. 서로 마주친 개체 간에는 가볍고 느슨한 유대감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 번식=검은코뿔소는 암수가 모두 영역을 가지고 었으머, 이는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짝짓기는 1년 내내 이루어지지만, 출산은 보통 우기가 끝날 때쯤 이루어집니다. 수컷 검은코뿔소는 배설물을 통해 가임기 암컷을 찾아갑니다. 암수가 서로 만나면 수컷과 수컷이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기도 하고, 암컷이 원치 않는 수컷을 거부하는 등 다툼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짝짓기하기 전에 암수는 최대 2주간 함께 생활하게 댑니다.이 기간에 둘은 함께 먹고, 자고, 이동하어 유대감을 쌓습니다. 짝짓기는 수컷이 먼저 시도하고, 이패 암컷이 준비가 안 되어 었으면 공격적인 태도로 수컷에게 돌진해 짝짓기를 피합니다. 반대로 발정기에 있으면 짝짓기를 허락하게 됩니다. 교미는 20~40분쯤 진행되고, 이후 둘은 헤어집니다.<br /><br />검은코뿔소의 임신 기간은 15개월이며, 이후 새끼 한 마리를 낳습니다. 신생아 코뿔소는 약 한 달간 어미에게서만 양분을 공급받고, 그 후 어미의 젖에 더해 부드러운 풀을 뜯고 물을 마시기 시작합니다. 새끼는 생후 18개월이 되면 젖을 떼지만, 2~4살이 될 때까지 어미와 함께 지냅니다.<br /><br />2~4살이 된 검은코뿔소는 어미에게서 떨어져 자신만의 영역을 가집니다. 이 어린 코뿔소는 느슨한 유대감의 그룹이나 다른 청년기 개체와 함께하거나, 아니면 혼자서 돌아다니게 됩니다. 수것 검은코뿔소는 7~8살에 성적으로
| 무리 규모=1~3
| 무리 규모=1~3
| 수컷 수=1
| 수컷 수=1
329번째 줄: 339번째 줄: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대륙=아프리카, 아시아
| 대륙=아프리카, 아시아
| 지역=<small>모로코, 모리타니, 말리, 알제리, 니제르, 차드, 이집트,<br />이스라엘,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br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쿠웨이트, 시리아, 이라크, 이란,<br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br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small>
| 지역=모로코, 모리타니, 말리, 알제리, 니제르, 차드, 이집트,<br />이스라엘,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br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쿠웨이트, 시리아, 이라크, 이란,<br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br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 생물군계=사막
| 생물군계=사막
| 울타리 강도=2등급, 3m 이상, 등반 불가능
| 울타리 강도=2등급, 3m 이상, 등반 불가능
344번째 줄: 354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모래고양이(''Felis margarita'')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사는 작은 야생 고양이업니다. 모래색의 두꺼운 털이 있고, 등과 다리, 꼬리에는 검은색의 얇은 줄무늬가 있습니다. 얼굴은 동그란 형태에 검은색 출무늬가 그려져 있고, 커다란 귀와 노란 눈을 가졌습니다. 암수의 형태는 같으며, 어깨높이는 24~36cm, 몸길이는 39~52cm, 꼬리 길이는 23~31cm입니다. 수컷의 몸무게는 2.1~3.4kg, 암컷은 1.4~3.1kg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익간 무겁습니다.<br /><br />모래고양이는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과거에는 준위협종으로 분류된 적이 있습니다. 서식지에 포함된 여러 국가에서 보호종으로 취급되며, 전 세게적으로 여러 기관에서 보호 사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모래고양이(''Felis margarita'')는 북아프리카와 중동,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사는 작은 야생 고양이업니다. 모래색의 두꺼운 털이 있고, 등과 다리, 꼬리에는 검은색의 얇은 줄무늬가 있습니다. 얼굴은 동그란 형태에 검은색 출무늬가 그려져 있고, 커다란 귀와 노란 눈을 가졌습니다. 암수의 형태는 같으며, 어깨높이는 24~36cm, 몸길이는 39~52cm, 꼬리 길이는 23~31cm입니다. 수컷의 몸무게는 2.1~3.4kg, 암컷은 1.4~3.1kg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익간 무겁습니다.<br /><br />모래고양이는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과거에는 준위협종으로 분류된 적이 있습니다. 서식지에 포함된 여러 국가에서 보호종으로 취급되며, 전 세게적으로 여러 기관에서 보호 사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모래고양이는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며, 교미할 때나 어미가 새끼를 돌볼 때만 함께 지냅니다.
<big>'''번식'''</big><br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 모래고양이는 울음소리들 내며 냄새로 표시를 남겨 짝을 유혹합니다. 그리고 수컷은 이 냄새를 통해 암컷을 찾아냅니다. 모래고양이 암수가 만나면, 암컷은 몸을 웅크리고 꼬리를 옆으로 넘겨서 짝짓기할 의사를 보입니다. 그렇게 암컷이 짝짓기 자세를 취하면, 수컷이 암컷에게 올라타 위쪽 목덜미를 물어 교미로 이어집니다.<br /><br />모래고양이의 임신 기간은 59~67일로, 한 배에 새끼를 하나에서 8마리까지, 보통 4~5마리 정도를 낳습니다. 새끼들은 생후 첫 4주간 어미의 젖만 먹다가, 이후에는 어미가 게워낸 먹이를 먹기 시작합니다. 생후 2개월이 되면 완전히 젖을 떼고, 생후 6개월에 완전히 독립합니다.<br /><br />모래고양이는 생후 9~14개월에 성적으로 완전히 성숙합니다. 이후 어미를 떠나 자신만의 영역을 소유합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모래고양이는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며, 교미할 때나 어미가 새끼를 돌볼 때만 함께 지냅니다.
| 번식=발정기에 들어선 암컷 모래고양이는 울음소리들 내며 냄새로 표시를 남겨 짝을 유혹합니다. 그리고 수컷은 이 냄새를 통해 암컷을 찾아냅니다. 모래고양이 암수가 만나면, 암컷은 몸을 웅크리고 꼬리를 옆으로 넘겨서 짝짓기할 의사를 보입니다. 그렇게 암컷이 짝짓기 자세를 취하면, 수컷이 암컷에게 올라타 위쪽 목덜미를 물어 교미로 이어집니다.<br /><br />모래고양이의 임신 기간은 59~67일로, 한 배에 새끼를 하나에서 8마리까지, 보통 4~5마리 정도를 낳습니다. 새끼들은 생후 첫 4주간 어미의 젖만 먹다가, 이후에는 어미가 게워낸 먹이를 먹기 시작합니다. 생후 2개월이 되면 완전히 젖을 떼고, 생후 6개월에 완전히 독립합니다.<br /><br />모래고양이는 생후 9~14개월에 성적으로 완전히 성숙합니다. 이후 어미를 떠나 자신만의 영역을 소유합니다.
| 무리 규모=1~2
| 무리 규모=1~2
| 수컷 수=1
| 수컷 수=1
388번째 줄: 400번째 줄:
| 동물명=아프리카갈기호저
| 동물명=아프리카갈기호저
| 학명=Hystrix cristata
| 학명=Hystrix cristata
| 그림=PlanetZoo Zoopedia African Crested Porcupine.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Porcupine.jpg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대륙=아프리카, 유럽
| 대륙=아프리카, 유럽
| 지역=<small>이탈리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세네갈, 감비아,<br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br />부르키나파소, 가나, 토고, 베냉, 나이지리아, 카메룬, 차드,<br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수단, 에티오피아, 콩고민주공화국,<br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small>
| 지역=이탈리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세네갈, 감비아,<br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br />부르키나파소, 가나, 토고, 베냉, 나이지리아, 카메룬, 차드,<br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수단, 에티오피아, 콩고민주공화국,<br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 생물군계=사막, 초원
| 생물군계=사막, 초원
| 울타리 강도=1등급, 1m 이상
| 울타리 강도=1등급, 1m 이상
406번째 줄: 418번째 줄:
}}
}}


<big>'''기초 정보'''</big><br />아프리카갈기호저(''Hystrix cristata'')는 중앙 및 북부 아프리카의 반사막, 사바나, 산간 지역에 서식하며 이탈리아에서도 발견되는 설치류입니다. 거친 강모로 이루어진 털은 암갈색부터 검은색 사이의 색을 보여줍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목 가운데부터 등과 옆구리, 꼬리에까지 난 검고 하얀 가시입니다. 호저는 위협을 느낄 때 이 날카로운 가시를 곧게 세우곤 합니다. 아프리카갈기호저는 뭉뚝하고 둥그런 주둥이, 작은 눈, 동그란 귀를 지녔습니다. 몸통은 통통하며, 짧고 두꺼운 다리가 달렸습니다. 암수의 외형적 차이는 없어서 한눈에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몸길이는 60~83cm, 몸무게는 13-27kg까지 자랍니다.<br /><br />아프리카갈기호저는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며 생할 범위 전역에 넓게 분포해 있습니다. 이탈리아에서는 개체 수가 증가하고 활동 범위도 넓어지는 추세입니다.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관측되지만, 그래도 활동 범위 내에서는 비교적 흔히 발견되는 편입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번식'''</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아프리카갈기호저는 일부일처제를 따릅니다. 암수 한 쌍이 어러 번 출산으로 낳은 새끼들과 함께 지하 둥지와 땅굴을 지어 생활합니다.
| 번식=아프리카갈기호저의 짝짓기 습성은 사육 상태에서 관찰된 정보가 대부분입니다. 이로 인해 아생에서 어떤 습성을 보이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br /><br />아프리카갈기호저는 일부일처제를 고수하어, 성적으로 성숙하면 짝을 모아 나섭니다. 그렇게 수컷과 암컷이 만나면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며 강한 유대 관계를 형성합니다. 사육 상태의 아프리카갈기호저는 1년 내내 짝짓기를 하지만, 번식기는 보통 가을에서 봄 사이에 집중적으로 일어납니다. 짝짓기를 받아들이는 암컷은 짝이 올라탈 수 있게 가시를 납작하게 접고 꼬리를 듭니다. 암컷은 낮선 수컷이 다가오면 공격적으로 대합니다.<br /><br />암수가 함께 만든 복잡한 땅굴 속에는 암컷이 새끼를 낳고 기를 수 있게 풀을 깔아 둔 방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93~110일 정도의 임신 기간이 끝나게 되면 암컷은 이 땅굴 방으로 들어가 새끼를 낳습니다. 한 배에 태어나는 새끼는 1~4마리이며, 보통 2마리가 탄생합니다. 새끼들은 1주일이 지나면 처음 굴을 나가며, 생후 1달이 되기 전에 첫 고체 음식을 섭취하고, 3~4살이 되면 젖을 완전히 뗍니다. 그리고 양쪽 부모 모두 이러한 새끼를 집중적으로 돌봐줍니다.
| 무리 규모=1~6
| 무리 규모=1~6
| 수컷 수=5
| 수컷 수=5
436번째 줄: 450번째 줄:
| 서식지 풍부화={{색|#0B6DB7|'''러버 덕'''}}, 식물 장막, 스프링클러, 허브 냄새 마커, 소형 공, 소형 눈덩이, 화려한 소형 공
| 서식지 풍부화={{색|#0B6DB7|'''러버 덕'''}}, 식물 장막, 스프링클러, 허브 냄새 마커, 소형 공, 소형 눈덩이, 화려한 소형 공
| 먹이 풍부화=
| 먹이 풍부화=
| 토막 지식 1=아프리카갈기호저는 세상에서 가장 큰 호저입니다.
| 토막 지식 1=
| 토막 지식 2=아프리카갈기호저는 아주 느리게 이동하고, 위협이 있으면 달아나는 대신 가시부터 세웁니다.
| 토막 지식 2=
| 토막 지식 3=위협을 받은 아프리카갈기호저는 가시를 세우고 흔들어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내며, 동시에 발도 쿵쿵 구릅니다. 그래도 위협이 없어지지 않으면 돌아서 뒤로 돌진해서 가시로 공격합니다.
| 토막 지식 3=
| 토막 지식 4=아프리카갈기호저 암수는 모두 새끼를 극진하게 보살피는 훌륭한 부모입니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갈기호저는 다른 설치류에 비해 성체가 될 때까지 생존률이 높습니다.
| 토막 지식 4=
| 토막 지식 5=아프리카갈기호저의 가시는 속이 비고 날카로우며, 표면이 매끄럽습니다. 이 가시는 살점에 박히면 쉽게 떨어집니다. 아메리카호저와 다르게 가시에 걸리는 부분이 없어 비교적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토막 지식 5=
| 다른 종 간의 풍부화=아프리카갈기호저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 다른 종 간의 풍부화=아프리카갈기호저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
}}
451번째 줄: 465번째 줄:
| 동물명=사막뿔살무사
| 동물명=사막뿔살무사
| 학명=Cerastes cerastes
| 학명=Cerastes cerastes
| 그림=PlanetZoo Zoopedia Desert Horned Viper.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Horned Viper.jpg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멸종위기등급=관심대상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 야생 개체 수=알 수 없음
465번째 줄: 479번째 줄:
}}
}}


<big>'''기초 정보'''</big><br />사막뿔살무사(''Cerastes cerastes'')는 북아프리카나 중동의 사막 또는 반사막에 서식하는 독사입니다. 사하라뿔살무사라고도 불립니다. 사막뿔살무사의 몸은 모래색이며, 보통 배는 그보다 연한 색입니다. 비늘에 있는 악간 어두운 갈색 얼룩은 위장 능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머리는 크고 삼각형 모양이며, 그리고 가장 큰 특징으로 눈 위에 뾰족하게 돌출된 독특한 뿔이 있습니다. 이름이 사막뿔살무사인 이유도 이러한 외모 때문입니다. 암수의 외형은 같지만, 암컷 쪽이 악간 더 큰 경향이 있습니다. 몸길이는 30cm에서 60cm 범위에서 다양합니다.<br /><br />사막뿔살무사는 멸종 위기에 처하지 않아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개체들은 널리 퍼져 있으며, 안정적인 수를 유지합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big>'''번식'''</big><br />(주피디아 내용을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플래닛 주/동물/전시장/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전시장/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사막뿔살무사는 단독 생활을 합니다. 다른 개체와는 짝짓기할 때만 어울립니다.
| 번식=사막뿔살무사의 번식 행위는 모래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알려진 것이 거의 없습니다. 짝짓기는 4월에 발생하며, 이때 수컷과 암컷이 만나게 됩니다. 이들은 페로폰으로 서로를 찾는다고 추정됩니다. 교미는 3~4일 정도 진행되고, 이후에는 헤어집니다.<br /><br />암컷 사막뿔살무사는 짝짓기 후 얼마 되지 않아 돌 아래나 버려진 굴을 찾아 8~23개의 알을 낳습니다. 암컷은 알 옆에 남지 않으며, 어떠한 보살핌도 주지 않습니다. 알은 50~80일 후에 부화합니다.<br /><br />새끼들은 태어날 때부터 독립 생활을 하며 2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집니다.
| 무리 규모=1~4
| 무리 규모=1~4
| 지배력=없음
| 지배력=없음
487번째 줄: 503번째 줄:
| 풍부화 레벨 2=위장 지형 A<br />위장 지형 B<br />위장 지형 C
| 풍부화 레벨 2=위장 지형 A<br />위장 지형 B<br />위장 지형 C
| 풍부화 레벨 3=높은 일광욕 램프<br />중간 높이 일광욕 램프<br />낮은 일광욕 램프
| 풍부화 레벨 3=높은 일광욕 램프<br />중간 높이 일광욕 램프<br />낮은 일광욕 램프
| 토막 지식 1=사막뿔살무사의 독은 인간에게 부종과 출혈, 괴사, 메스꺼움과 구토를 유발하지만, 사망까지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토막 지식 1=
| 토막 지식 2=사막뿔살무사는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는 사이드와인딩이라는 방법을 사용해 모래 위에서 쉽고 빠르게 움직입니다.
| 토막 지식 2=
| 토막 지식 3=사막뿔살무사의 배에는 흩어지는 모래를 잡을 수 있도록 끝이 날카로운 비늘이 나게 진화했습니다.
| 토막 지식 3=
| 토막 지식 4=사막뿔살무사는 매복형 포식자입니다. 한 곳에 숨어 있다가 먹잇감이 지나가면 빠르게 튀어 올라 사냥합니다.
| 토막 지식 4=
| 토막 지식 5=사막뿔살무사의 뿔은 모래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한 비늘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뿔이 있는 사막뿔살무사는 50% 정도입니다.
| 토막 지식 5=
}}
}}
{{-}}
{{-}}
499번째 줄: 515번째 줄:
* [https://blog.naver.com/dsgoo1023 DR.GBS의 각종 여러가지 취미생활]
* [https://blog.naver.com/dsgoo1023 DR.GBS의 각종 여러가지 취미생활]
* [https://blog.naver.com/ljmoon12345 Abyss 세제곱 / 플래닛 주 프랜차이즈 모드 공략]
* [https://blog.naver.com/ljmoon12345 Abyss 세제곱 / 플래닛 주 프랜차이즈 모드 공략]
* [https://blog.naver.com/jason475/223133625675 게임 <플래닛 주> '건조 동물 팩'으로 추가되는 동물들에 대해]
[[분류:플래닛 주|동물17]]
[[분류:플래닛 주|동물17]]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