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건조 동물 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8번째 줄: 198번째 줄:
| 동물명=소말리아야생당나귀
| 동물명=소말리아야생당나귀
| 학명=Equus africanus somaliensis
| 학명=Equus africanus somaliensis
| 그림=PlanetZoo Zoopedia Somali Wild Ass.jpg
| 그림=PlanetZoo Zoopedia Donkey.jpg
| 멸종위기등급=위급
| 멸종위기등급=위급
| 야생 개체 수=20 ~ 200
| 야생 개체 수=20 ~ 200
217번째 줄: 217번째 줄:


<big>'''기초 정보'''</big><br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아종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somaliensis'')는 소말리아, 지부티, 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의 사막과 반사막에 서식하는 말과 동물입니다. 회색 털과 연한 색 배, 얇은 검은색 출무늬가 그려진 흰색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뻣뻣하고 끝이 검은 같기, 끝이 검은 귀, 꼬리 끝에 검은 털 다발이 있습니다. 주둥이는 하얗지만, 코와 입 주변은 검회색인 경우가 있습니다. 암수의 외형은 같습니다. 평균 키는 어깨높이에서 1.20~1.45m, 몸길이 2~2.40m, 몸무게는 225~335kg입니다.<br /><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남획과 잡종 발생으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될 정도로 개체 수가 감소했습니다. 비슷한 원인으로 인해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다른 아종인 누비아야생당나귀는 벌써 멸종된 것으로 추정 중인 상황입니다.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식량이나 전통 약재로 쓰여 사냥당하고, 남은 야생 개체는 가축 당나귀와 이종 교배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더해 인간의 개발로 인해 목초지와 식수원을 놓고 가축과 경쟁하는 처지까지 이르렀습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사낭이 불법이지만, 이런 규제가 당나귀의 전체 서식 범위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종 교배율이 높아 보호론자들이 종의 계보를 추적하고 보호 대책을 세우기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아생에 남은 개체는 고작 20~200마리 정도입니다. 전 세계에서 이와 비슷한 수의 소말리아야생당니귀가 종을 보존할 목적으로 억류 보존과 번식 프로그램에 수용되어 있습니다.
<big>'''기초 정보'''</big><br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아종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somaliensis'')는 소말리아, 지부티, 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의 사막과 반사막에 서식하는 말과 동물입니다. 회색 털과 연한 색 배, 얇은 검은색 출무늬가 그려진 흰색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뻣뻣하고 끝이 검은 같기, 끝이 검은 귀, 꼬리 끝에 검은 털 다발이 있습니다. 주둥이는 하얗지만, 코와 입 주변은 검회색인 경우가 있습니다. 암수의 외형은 같습니다. 평균 키는 어깨높이에서 1.20~1.45m, 몸길이 2~2.40m, 몸무게는 225~335kg입니다.<br /><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남획과 잡종 발생으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될 정도로 개체 수가 감소했습니다. 비슷한 원인으로 인해 아프리카야생당나귀의 다른 아종인 누비아야생당나귀는 벌써 멸종된 것으로 추정 중인 상황입니다.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식량이나 전통 약재로 쓰여 사냥당하고, 남은 야생 개체는 가축 당나귀와 이종 교배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더해 인간의 개발로 인해 목초지와 식수원을 놓고 가축과 경쟁하는 처지까지 이르렀습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사낭이 불법이지만, 이런 규제가 당나귀의 전체 서식 범위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종 교배율이 높아 보호론자들이 종의 계보를 추적하고 보호 대책을 세우기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아생에 남은 개체는 고작 20~200마리 정도입니다. 전 세계에서 이와 비슷한 수의 소말리아야생당니귀가 종을 보존할 목적으로 억류 보존과 번식 프로그램에 수용되어 있습니다.
<big>'''사회성 요구 상황'''</big><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자원이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아생에서 홀로 또는 결속력 약한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무리에 속한 수컷은 암컷을 최대 10마리까지 보호하게 됩니다. 어미와 새끼의 경우를 제외하면 개체 간의 유대람은 강하지 않습니다.
<big>'''번식'''</big><br />소말리아야생당나귀의 자연적인 번식 습성은 알려진 점이 많지 않습니다. 관측할 야생 개체가 별로 없고, 종 보존을 위해 인간이 번식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사육 상태 및 관리하에 이뤄진 번식을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br /><br />봄이 되어 번식기가 맞아오면, 독신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수컷은 울음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혹합니다. 이는 앞에 있는 젊은 암컷이 다른 수것의 무리에 있지 않은 경우 더 적극적으로 변합니다. 이미 암컷 무리를 이끄는 수컷은 외부 수컷에 맞서 무리를 지킵니다. 수컷은 무리의 모든 암컷을 살퍼보며 발정기인지 판별하고, 받아들이는 상대가 있으면 교미를 시작합니다.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 당나귀는 발을 차거나, 뒷다리를 벌리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입을 열어 준비되었음을 보여줍니다.<br /><br />임신 기간은 12개월이며, 이후 암컷은 새끼를 한 마리 낳습니다. 무리의 지배적인 수컷은 무리 속 어미와 새끼를 강하게 보호하며,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은 뭐든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새끼는 어미 근처에 가까이 붙어 4주간 젖만 섭취하며, 그 이후부터 고체 음식을 먹습니다. 생후 12~14개월이 되면 젖을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E2B37D
| 배경색=#E2B37D
| 사회성 요구 상황=소말리아야생당나귀는 자원이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아생에서 홀로 또는 결속력 약한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무리에 속한 수컷은 암컷을 최대 10마리까지 보호하게 됩니다. 어미와 새끼의 경우를 제외하면 개체 간의 유대람은 강하지 않습니다.
| 번식=소말리아야생당나귀의 자연적인 번식 습성은 알려진 점이 많지 않습니다. 관측할 야생 개체가 별로 없고, 종 보존을 위해 인간이 번식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사육 상태 및 관리하에 이뤄진 번식을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br /><br />봄이 되어 번식기가 맞아오면, 독신인 소말리아야생당나귀 수컷은 울음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혹합니다. 이는 앞에 있는 젊은 암컷이 다른 수것의 무리에 있지 않은 경우 더 적극적으로 변합니다. 이미 암컷 무리를 이끄는 수컷은 외부 수컷에 맞서 무리를 지킵니다. 수컷은 무리의 모든 암컷을 살퍼보며 발정기인지 판별하고, 받아들이는 상대가 있으면 교미를 시작합니다.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 당나귀는 발을 차거나, 뒷다리를 벌리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입을 열어 준비되었음을 보여줍니다.<br /><br />임신 기간은 12개월이며, 이후 암컷은 새끼를 한 마리 낳습니다. 무리의 지배적인 수컷은 무리 속 어미와 새끼를 강하게 보호하며,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은 뭐든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새끼는 어미 근처에 가까이 붙어 4주간 젖만 섭취하며, 그 이후부터 고체 음식을 먹습니다. 생후 12~14개월이 되면 젖을
| 무리 규모=1~7
| 무리 규모=1~7
| 수컷 수=3
| 수컷 수=3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