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프랑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화폐 정보
[[프랑스어]] : Franc Français (프랑 프랑수아)
|화폐이름 = 프랑스 (신) 프랑
 
|원어이름 = (Nouveau-) Franc Français (누보-) 프헝 프헝세<sup>[[프랑스어|fr]]</sup>
|그림    = BanquedeFrance.png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프랑스}}, {{나라|모나코}}<br />{{나라|안도라}}<ref>[[스페인 페세타]]와 공용함.</ref>
|비공식  = <s>{{나라|스위스}}</s>
|ISO      = FRF
|기호    = ₣<ref>정식 기호이긴 하나, 잘 쓰이지 않았다.</ref> / F, Fr(fr)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상팀 (Centime)
}}
|지폐    = 50₣, 100₣, 200₣, 500₣<br />(구권 : <small>5₣, 10₣,</small> 20₣)
|동전    = <small>1c</small>, 5c, 10c, 20c, ½₣, 1₣, 2₣, 5₣, 10₣, <small>20₣</small><ref>작게 표기한 것은 거의 쓰이지 않던 액면을 의미함.</ref>
|중앙은행 = 프랑스 은행 (Banque de France)
|인쇄처  =
|조폐국  = 파리 조폐국 (Monnaie de Paris)
|환율    = 204원/FRF<small> (2020.10.23 기준)</small>
|고정환율 = 6.55957fr/EUR
|이전화폐 = [[연합군 통화#AM 프랑 (프랑스)|연합군 프랑]] (1944~1947)<br />프랑스 구 프랑 (~1959)
|이후화폐 = [[유로]]
|비고    =
}}
[[영어]] : (New-) French Franc 뉴 프렌치 프랭
== 개요 ==
== 개요 ==
[[File:BanquedeFrance.png|400px|right]]
[[프랑스]]에서 사용하던 통화이자 [[프랑]]계 통화의 대표였던 것. 동시에 근대의 유럽을 주름잡던 [[기축통화]] 중 하나였으며, 그만큼 역사가 매우 길었다. [[코모로]]와 일부 서부/중부 [[아프리카]] 국가 및 일부 [[태평양]] [[제도]] 국가에서 프랑스 프랑 고정환율값을 가지고 있었고, 지금은 [[유로]]로 전환했기 때문에 따라가며 유로 고정환율을 채택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사용하던 통화이자 [[프랑]]계 통화의 대표였던 것. 동시에 근대의 유럽을 주름잡던 [[기축통화]] 중 하나였으며, 그만큼 역사가 매우 길었다. [[코모로]]와 일부 서부/중부 [[아프리카]] 국가 및 일부 [[태평양]] [[제도]] 국가에서 프랑스 프랑 고정환율값을 가지고 있었고, 지금은 [[유로]]로 전환했기 때문에 따라가며 유로 고정환율을 채택하고 있다.


자국에 은행 본사와 인쇄국과 주조국까지 갖춘 몇 안 되는 통화였으며, [[크고 아름다운]] 프랑스식 화폐 디자인을 고수한 주체이기도 하다. 정확히 2002년 2월 17일부터 통용이 중지되었고, 2012년 2월 17일부터 [[유로]] 교환도 종료되어 이젠 정말로 종잇조각이 되었다.
[[ISO 4217]]코드는 FRF, 기호는 ₣가 정식...인데 헷갈리기도 하고 쓰기도 귀찮으니 그냥 "F"로 표기하거나, 아예 깔끔하게 생략하는 편이었다.<ref>예로 50프랑이면 50F 혹은 50.-</ref> 보조단위는 상팀(Centime). 최종 [[인플레이션]]은 [[유로화]] 주도국답게 '''무려 0.2%'''. 자국에 은행 본사와 인쇄국, 주조국까지 갖춘 몇 안 되는 통화였으며, [[크고 아름다운]] 프랑스식 화폐 디자인을 고수한 주체이기도 하다. 유로와의 교환비는 6.55957프랑/EUR. 2012년 중순기준 한화로 약 21.5원/FRF.


== 누보 프랑스 프랑 (2기) ==
정확히 2002년 2월 17일부터 통용이 중지되었고, 2012년 2월 17일부터 [[유로]] 교환도 종료되어 이젠 정말로 종잇조각이 되었다.
=== 동전 ===
1958년 6월에 정권을 잡은 샤를 드골의 지시로 프랑화 화폐개혁(1:100)에 동전을 포함하도록 계획하였고, 1960년 1월 1일부로 배포되었다. 당초에는 구 프랑과의 구분을 위해 '누보 프랑(새 프랑)'이라 하였으나 1963년부터 '누보'라는 표현을 제외하였다. 2001년까지 발행된 모든 종류가 중간 탈락(회수)없이 법적 유통화 지위를 가졌으며, 2002년 유로화 도입과 함께 일괄적으로 효력이 정지되었다.


액면은 모두 13종<ref>2상팀 동전은 1959/1960/1961년 세 번의 시험품만 만들어보기만 했을 뿐, 시중으로 발행하지는 않았다. 총 발행량이 1만장도 채 되는 않는 것으로 추정되나, 시중에 돌아다니기는 하고 있어서 희귀품 취급을 받는다.</ref>이며, 시대별로는 구분하지 않고, 바꿀 사유가 생기면 적당할 때 개별적으로 개정을 거치며 전환시켰기에 규격이 통일되어있지 않다.
== 누보(새) 프랑스 프랑 (2기) ==
=== 4차 (1993 ~ 2001, 최종) ===
1993년 50프랑화를 시작으로 풀린 권종이다. 풀린 수량에 비하자면 유통기간이 짧은 편인데 최고액권인 500프랑의 경우 굉장히 오랜 기간 장수한 기존의 파스칼 본보다 잔존수량이 적을 정도다. 메인 인물도안의 앞뒷판 맞춤 전통이 깨졌으나 조그만 그림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원래 계획상으로는 100프랑권의 인물로 에펠이 들어가고, 200프랑권에 뤼미에르 형제가 들어갔다. 그렇게 계획하고 배포를 위해 초판본 인쇄까지 모두 마친 상태에서 발표하자 뤼미에르 형제의 국가상징성 비판<ref>기회주의자였던 뤼미에르 일가가 나치 치하의 괴뢰정부 아래서 빌빌거렸던 점이 꼬리잡혔다.</ref>이 화제가 되어버려 뭇매를 맞자, 은행측이 눈물을 머금고 모조리 갈아버려야만 했던 [[흑역사]]가 있었다. 그래서 에펠은 200프랑으로 밀려 올라가고 [[폴 세잔|세잔]]이 얼떨결에 남은 자리를 받았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액면
! style="text-align: center;" |  
! 발행 이력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Français Nouveau Franc 4th Series
|-
| style="text-align: center;" | 1c
| 1959 (시험판, 동화/큰크기), 1960 (시험판, 동화/작은크기), 1961 (피에포르화<ref>두께가 일반적인 동전보다 몇 배 가량 두꺼운 것을 가리킨다.</ref>, 에러권종), 1961~1979 (정식 발행), 1980~2001 ([[민트세트|민트]]용으로만 발행)
|-
| style="text-align: center;" | 5c
| 1959 (시험판, 동화), 1960 (예비견본), 1961~1964 (백동화, 3.4g/φ19mm), 1966~2001 (황동화, 2g/φ17mm)
|-
| style="text-align: center;" | 10c
|
|-
| style="text-align: center;" | 20c
|
|-
| style="text-align: center;" | 50c<br />½fr
|
|-
| style="text-align: center;" | 1fr
|
|-
| style="text-align: center;" | 2fr
|
|-
|-
| style="text-align: center;" | 5fr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 style="text-align: center;" | 인물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도안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도안
|-
|-
| style="text-align: center;" | 10fr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401.jpg|섬네일]]
|  
| style="text-align: center;" | 50Fr
(€7.62)
| style="text-align: center;"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Antoine de Saint-Exupéry)
| style="text-align: center;" | [[어린왕자]], 유럽-아프리카 지도, 비행기 (Latécoère 28)
| style="text-align: center;" | 사막 위를 활공하는 비행기 (Breguet 14)
|-
|-
| style="text-align: center;" | 20fr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402.jpg|섬네일]]
|  
| style="text-align: center;" | 100Fr
(€15.24)
| style="text-align: center;" | [[폴 세잔]] (Paul Cézanne)
| style="text-align: center;" | 카드놀이 하는 사람들(Les Joueurs de cartes, [[오르세 미술관]]), 에스타크의 바다(La mer à l'Estaque, 파리 피카소 미술관), 세잔의 옛 거주지 중 하나
| style="text-align: center;" | 사과와 비스킷이 있는 정물 (Pommes et Biscuits, 코냐크제이 박물관)
|-
|-
| style="text-align: center;" | 50fr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403.jpg|섬네일]]
|  
| style="text-align: center;" | 200Fr
(€30.49)
| style="text-align: center;" | 귀스타브 에펠 (Gustave Eiffel)
| style="text-align: center;" | [[에펠탑]]과 에펠탑의 트러스 구조를 다방면에서 바라본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에펠탑 아래로 보이는 [[사요 궁]] (파리 만국박람회 당시)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fr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404.jpg|섬네일]]
|  
| style="text-align: center;" | 500Fr
(€76.22)
| style="text-align: center;" |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Marie Curie & Pierre Curie)
| style="text-align: center;" | [[마차]](...)<ref>피에르 퀴리가 사망한 이유는 마차에 의한 교통사고이다. <s>고인능욕</s></ref> & 방사선 전자기파의 3종 (알파선/베타선/감마선)
| style="text-align: center;" | 퀴리 부부의 실험실 및 보어의 원자모형
|}
|}
* 헤라클레스가 들어간 프랑화 동전은 모두 순도 900‰의 '''은화(銀貨)'''로, 5fr/10fr/50fr 세 종류가 발행되었다.<ref>단, 1996년에 발행된 5fr 기념동전은 백동화이다.</ref> 그 중 50fr화는 1974년부터 1980년까지 총 5139만 6천장을 발행했는데, 당시는 동일액면의 지폐가 있기도 하였고, 때문에 무겁다는 이유로 시중에서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 허나 명색이 은화이고, 그러다보니 수집가의 수요제법 있어서 21세기가 된 현재는 '''중국산 가품'''이 상당수 유통되고 있다.
* 초창기 발행한 50프랑에는 생텍쥐베리의 철자에 Saint-'''Éxupéry'''(=생''''''쥐페리)라는 오타가 있었다.
 
=== 3 ~ 4차 (19?? ~ 1993 ~ 2001) ===
1993년 50Fr권을 시작으로 풀린 권종이다. 풀린 수량에 비하자면 유통기간이 짧은 편인데 최고액권인 500Fr의 경우 굉장히 오랜 기간 장수한 기존의 파스칼 판본보다 잔존수량이 적을 정도다. 메인 인물도안의 앞뒷판 맞춤 전통이 깨졌으나 조그만 그림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원래 계획상으로는 100Fr권의 인물로 에펠이 들어가고, 200Fr권에 [[뤼미에르]] 형제가 들어갈 예정이었다. 배포에 앞서 초판본 인쇄까지 모두 마친 상태에서 발행 계획을 발표하자 뤼미에르 형제의 국가상징성 비판<ref>기회주의자였던 뤼미에르 일가가 나치 치하의 괴뢰정부 아래서 빌빌거렸던 점이 꼬리잡혔다.</ref>이 화제가 되어버려 뭇매를 맞았고, 끝내 은행 측이 눈물을 머금고 모조리 갈아버려야만 했던 [[흑역사]]가 있었다.<ref>몰론 그 와중에도 약간 유출된 분량이 있으며, 2020년대의 감정가가 약 천만원대로 알려져 있다.</ref> 그렇게 뤼미에르가 삭제된 대신 에펠이 200Fr으로 밀려 올라갔고, 후보로 있던 [[폴 세잔|세잔]]이 얼떨결에 남은 자리를 받았다.


=== 3차 (장수기)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Français Nouveau Franc 4th Series (Finale)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Français Nouveau Franc 3r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9E5FF;" | [[어린왕자]], [[유럽]]-[[아프리카]] 지도, 비행기 (Latécoère 28)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 [[플레잉 카드|카드놀이]] 하는 사람들 & 에스타크의 바다<ref>《Les Joueurs de cartes》, [[오르세 미술관]] 소장 & 《La mer à l'Estaque》, 파리 피카소 미술관 소장</ref>, 세잔의 거주지<small> (중 하나)</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인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9EC;" | [[에펠탑]]과 에펠탑의 [[트러스]] 구조를 다방면에서 바라본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도안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EFBC9;" | <s>[[마차]](...)</s><ref>피에르 퀴리가 사망한 이유는 마차에 의한 교통사고이다. <s>고인능욕</s></ref>리틀 퀴리<ref>세계 1차대전 당시 의료용으로 쓰는 방사성 물질을 운반하기 위해 마리가 고안한 엑스레이(X-ray) 자동차.</ref> & [[방사선]] 전자기파 3종 (α선/β선/γ선)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도안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2%;" | [[파일:franc401.jpg]]<br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br />50Fr (=€7.62)<br />[[파일:FRF4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3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파일:franc402.jpg]]<br />[[폴 세잔]]<br />100Fr (=€15.24)<br />[[파일:FRF4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10Fr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6%;" | [[파일:franc403.jpg]]<br />[[귀스타브 에펠]]<ref>아무래도 좋은 트리비아지만, 에펠은 일본 제국의 훈장을 받은 적이 있다. 에펠탑 전망대의 전시실에 자료가 걸려있다.</ref><br />200Fr (=€30.49)<br />
| style="text-align: center;" | 루이 엑토르 베를리오즈 (Louis Hector Berlioz)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8%;" | [[파일:franc404.jpg]]<br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br />500Fr (=€76.22)<br />[[파일:FRF4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관현악단
| style="text-align: center;" | 마을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9E5FF;" | [[사막]] 위를 활공하는 비행기<ref>Breguet 14</re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3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 [[사과]]와 [[비스킷]]이 있는 정물<ref>Pommes et Biscuits, 코냐크제이 박물관 소장</ref>
| style="text-align: center;" | 20Fr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9EC;" | 에펠탑 아래 사이로 보이는 [[사요 궁]]<ref>1889년 파리 [[만국박람회]] 당시의 사진을 사용</ref>
| style="text-align: center;" | 클로드 아실 드뷔시 (Claude Achille Debussy)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EFBC9;" | 퀴리 부부의 실험실 및 [[닐스 보어|보어]]의 [[원자모형]]<ref>해당 실험실은 파리 시립 공업물리화학 고등전문대학 (ESPCI Paris = École supérieure de physique et de chimie industrielles de la ville de Paris)에 위치하고 있고, 원자모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8주기 원소]]를 그린 것으로 보인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드뷔시의 작품, '바다'
|}
| style="text-align: center;" | 마을
* 초창기 발행한 50Fr에는 생텍쥐베리의 철자에 Saint-'''Éxupéry'''(=생'''엑'''쥐페리)라는 오타가 있었다.
* 구권(아래) 중에서 20Fr 권종은 신권(위)이 나온 이후에도 같이 통용되었다.
{| class="wikitable"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Français Nouveau Franc 3rd Series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Fr [[루이 엑토르 베를리오즈]]<br />(Louis Hector Berlioz)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20Fr [[클로드 아실 드뷔시]]<br />(Claude Achille Debussy)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0Fr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br />(Maurice Quentin de La Tou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3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3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303.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관현악단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3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드뷔시의 작품, '바다'를 이미지화 시킨 그림<ref>드뷔시는 작곡가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50Fr
| style="text-align: center;" | 모리스 캉탱 드 라 투르 (Maurice Quentin de La Tour)
| style="text-align: center;" | [[베르사유 궁전]]
| style="text-align: center;" | [[베르사유 궁전]]
|-
| style="text-align: center;" |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켕탱 시청
| style="text-align: center;" | 켕탱 시청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Fr [[외젠 들라크루아]]<br />(Eugène Delacroix)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304.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200Fr 샤를 드 [[몽테스키외]]<br />(Charles de Montesquieu)
| style="text-align: center;" | 100Fr
| style="text-align: center;" | 500Fr [[블레즈 파스칼]]<br />(Blaise Pascal)
| style="text-align: center;" | [[외젠 들라크루아]] (Eugène Delacroix)
| style="text-align: center;" |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 style="text-align: center;" | 들라크루아의 생가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3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305.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3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0Fr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F3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샤를 드 [[몽테스키외]] (Charles de Montesquieu)
| style="text-align: center;" | 정의의 여신을 형상화 한 이미지
| style="text-align: center;" | 라브레드의 성
|-
|-
| style="text-align: center;" |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정의의 여신을 형상화 한 이미지
| style="text-align: center;" | 500Fr
| style="text-align: center;" | 블레즈 파스칼 (Blaise Pascal)
| style="text-align: center;" | 생자크 교회(St. Jacques.) <ref>[[랭스]]에 있는 프랑스 고딕 양식 교회 중 하나.</ref>
| style="text-align: center;" | 생자크 교회(St. Jacques.) <ref>[[랭스]]에 있는 프랑스 고딕 양식 교회 중 하나.</ref>
|-
| style="text-align: center;" | 들라크루아의 생가
| style="text-align: center;" | 라브레드의 성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과 구도만 다른 그림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과 구도만 다른 그림
|}
|}


=== 1 ~ 2차 (누보 프랑) ===
=== 2차 (변혁기 종료) ===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고, 비율은 1:100이었다. 구권 프랑과 구분하기 위해 이 당시에는 NF로 표기하였다. 큰 변화는 없고, 대략 0을 2개 지운 수준이다. 인물과 도안 모두 앞뒷면 맞춤이 될 정도로 비슷한 좌우대칭으로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
 
화폐개혁을 하면서 신 고액권으로 몰리에르 500프랑권이 추가<ref>[[조르주 클레망소]](Georges Clemenceau)가 고려된 적도 있다.</ref>되었으나, 애당초 발행 당시 가치로는 2022년 현 시점 기준의 체감상으로 100만원에 가까운 고액권이었는데, 때문에 얼마 풀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을 멈췄고, 이후 파스칼 500프랑화로 교체크리까지 먹은 덕에, 현 시점에도 굉장한 희귀템 취급을 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프랑스 2기 프랑 1차 & 2차 발행분
! style="text-align: center;"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Français Nouveau Franc 2nd Series
! ◀ 500NF (€76.22, 1차 발행)<br />[[몰리에르]]=장 밥티스트 포클랭<br />(Jean Baptiste Poquelin)<br />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2%;" | 5NF (€0.76)<br />루이 [[파스퇴르]] (Louis Pasteur)
| style="text-align: center;" | 인물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3%;" | 10NF (€1.52)<br />[[볼테르]] (Voltaire)<ref>볼테르는 일종의 예명이고, 본명은 프랑수아 마리 아루에 (François-Marie Arouet)</ref>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도안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50NF (€7.62)<br />장 바티스트 라신 (Jean-Baptiste Racine)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도안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100NF (€15.24)<br />[[피에르 코르네유]] (Pierre Corneille)
|-
|-
| style="text-align: center;" | 2e<br />NEU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2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201.jpg]]<br />파스퇴르 연구소 & 약학 실험도구와 환자를 치료하는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5Fr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202.jpg]]<br />[[튈르리 궁]] & 샤틀레 부인의 저택
(€0.76)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F203.jpg]]<br />포트 루아얄 드 샹 수도원 & 라 페르테 밀롱
| style="text-align: center;" | 루이 [[파스퇴르]] (Louis Pasteur)
| style="text-align: center;" | <br />[[베르사유 궁전]] 내 오페라 극장
| style="text-align: center;" | 파스퇴르 연구소
| style="text-align: center;" | 약학 실험도구와 환자를 치료하는 모습
|-
|-
| style="text-align: center;" | ▲<br />1er<br />NEU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2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1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10Fr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1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프랑수아 마리 아루에 (=[[볼테르]], Voltaire)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franc1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튈르리 궁]]
| style="text-align: center;" | [[파리]] [[개선문]]<br />[[파일:franc1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샤틀레 부인의 저택
|-
|-
| style="text-align: center;" | ▲<br />dernier<br />VIEUX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Fr
| style="text-align: center;" | 장 바티스트 라신 (Jean-Baptiste Racine)
| style="text-align: center;" | 포트 루아얄 드 샹 수도원
| style="text-align: center;" | 라 페르테 밀롱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Fr
| style="text-align: center;" | 피에르 코르네유 (Pierre Corneille)
| style="text-align: center;" | 베르사유 궁전 내 오페라 극장
| style="text-align: center;" | ???
|}
=== 1차 ([[디노미네이션]] 직후) ===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고, 비율은 1:100이었다. 구권 프랑과 구분하기 위해 이 당시에는 NF로 표기하였다. 도안도 직전판을 그대로 가져다가 0을 2개 지운 것이 전부. 다만 500프랑권이 하나 더 추가되었으나 금세 다른 것으로 교체크리를 먹어 굉장히 희귀해졌다.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Français Nouveau Franc 1st Series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인물
| style="text-align: center;" | 도안<ref>1차 권종은 인물과 도안 모두 앞뒷면 맞춤이 될 정도로 비슷한 좌우대칭으로 그려져 있다.</ref>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1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5Fr
| style="text-align: center;" | [[빅토르 위고]] (Victor Hugo)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1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10Fr
| style="text-align: center;" |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Armand Jean du Plessis Duc de Richelieu)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1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빅토르 위고]] (Victor Hugo)<br />5<small>00</small>F = 5NF
| style="text-align: center;" | 50Fr
! style="text-align: center; | [[리슐리외]] (Richelieu)<ref>본명은 아르망 장 드 플레시 (Armand Jean du Plessis), 그리고 직위명이 리슐리외-프롱사크 추기경 공작 (Cardinal et duc de Richelieu, et de Fronsac)인데 줄여서 리슐리외인 것.</ref><br />1,0<small>00</small>F = 10NF
| style="text-align: center;" | [[앙리 4세]] (Henri IV)
! style="text-align: center; | [[앙리 4세]] (Henri IV)<br />5,0<small>00</small>F = 50NF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Napoléon Bonaparte)<br />10,0<small>00</small>F = 100NF
|-
|-
! colspan="5" | 프랑스 1기 프랑 최종 발행분
| style="text-align: center;" | [[File:franc104.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100Fr
| style="text-align: center;"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Napoléon Bonaparte)
| style="text-align: center;" | [[파리]] [[개선문]]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Fr
| style="text-align: center;" | 장 바티스트 포클랭 (=[[몰리에르]], Molière, Jean Baptiste Poquelin)
| style="text-align: center;" |  
|}
|}


== 누보 프랑 이전의 통화 ==
== AM 프랑 (1944 ~ 1945) ==
=== AM 프랑 (1944 ~ 1945) ===
Allied Military Franc의 준말로, 속칭 "깃발 티켓 (Billet Drapeau)"이라 한다. 말 그대로 독일에게 점령 당한 프랑스를 다시 연합군 정부(A.M. Government)가 점령함에 따라 기존의 [[제국 마르크]] 대신 쓰도록 발행한 통화이다. 그러나 [[샤를 드 골]]이 이를 못마땅하게 생각해서 "아무런 이점도 없는 '''위폐'''"라 주장하며 기존의 프랑화를 다시 쓰도록 권장하였고, 그러다 보니 널리 퍼지지 못한 통화가 되었다.
* [[연합군 통화#AM 프랑 (프랑스)]] 항목 참조.
 
== 프랑스 프랑 (1기) ==
=== 프랑스 프랑 (1기) ===
France Franc. 프랑스어로 읽으면 "펑스 펑(프헝)"이 된다. 시민혁명으로 왕족을 갈아엎은 직후 국민회의를 통해 1795년, 10진법 통화로서 도입되었다.
시민혁명으로 왕족을 갈아엎은 직후 국민회의를 통해 1795년, 10진법 통화로서 도입되었다.


=== 리브르 투르누아 ===
== 리브르 투르누아 ==
Livre Tournois. 1360년 장 2세에 의해 도입되어 1641년까지 쓰인 것으로, 프랑스 프랑의 전신이다. 이 통화의 별칭이 "프랑"이었는데, 그때 나라가 "프랑크 왕국(Francorum Rex)"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
Livre Tournois. 1360년 장 2세에 의해 도입되어 1641년까지 쓰인 것으로, 프랑스 프랑의 전신이다. 이 통화의 별칭이 "프랑"이었는데, 그때 나라가 "프랑크 왕국(Francorum Rex)"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


209번째 줄: 198번째 줄:
*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 프랑]] (現,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 프랑]] (現,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프랑]] (現, CFA 프랑/서아프리카)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프랑]] (現, CFA 프랑/서아프리카)
* [[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트]] (인도차이나 은행(Banque de l'Indochine) 발행.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트]] (인도차이나 은행(Banque de l'Indochine) 발행.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 [[알제리 프랑]] ([[알제리]])
* [[알제리 프랑]] ([[알제리]])
* [[모로코 프랑]] ([[모로코]])
* [[모로코 프랑]] ([[모로코]])
217번째 줄: 206번째 줄:


{{각주}}
{{각주}}
{{유럽의 화폐}}
{{화폐}}


[[분류:프랑스의 경제]]
[[분류:프랑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