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개요==
|나라이름    = 폴란드 공화국
|원어이름    = Rzeczpospolita Polska
|존속연도    =  
|국기        = Flag of Poland.svg
|국기설명    =
|국장        = Herb Polski.svg
|국장설명    =
|지도        = Poland (orthographic projection).svg
|지도설명    =
|표어        =
|국가        = [[돔브로프스키의 마주르카]]
|수도        = [[바르샤바]]
|공용어      = [[폴란드어]]
|국어        =
|국교        =
|정부유형    = [[의원내각제]]<br />[[양원제]]<br />[[다당제]]
|군주        =
|수반 직책  = 대통령
|수반        = [[안제이 두다]]
|부수반 직책 = 총리
|부수반      = [[도날트 투스크]]
|입법부      = '''폴란드 의회'''<br />[[상원의회(폴란드)|상원]]<br />[[세임(폴란드)|세임]]<small>(하원)</small>
|인구        = 40,820,272
|인구밀도    = 약 123
|인구 연도  =
|면적        = 312,685
|면적 연도  =
|GDP PPP    =
|GDP PPP 1인 =
|GDP        =
|GDP 1인    =
|GDP 연도    =
|화폐        = [[폴란드 즈워티|즈워티]]
|시간대      =
|ISO        = 616, PL, POL
|국가도메인  = .pl
|국제전화    = 48
|이전나라    = {{깃발그림|Flag of Poland (1927–1980).svg}} [[폴란드 인민 공화국]]
|이후나라    =
|비고        =
}}
<del>[[폴란드공|우주에 갈수없다]] [[카더라]]</del>
<del>[[폴란드공|우주에 갈수없다]] [[카더라]]</del>


48번째 줄: 7번째 줄:


==역사==
==역사==
{{유튜브|76P2-TPnohU}}
쭉 보다보면 평행이론이나 다름 없을 정도로, 그것도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수많은 침략을 받았고 비슷한 시기에 나라가 강점당하기도 했다. 역사상으로도 공인된 가장 많은 침략을 당한 나라 중 하나이다. 근대 시대에는 나라가 5번이나 쪼개져 사라지기도 했다. 이때문에 미국에서는 [[아일랜드]], 폴란드, [[한국]]이 한 그룹 내에 묶여서 불릴 정도다. 그래도 그나마 폴란드는 셋 중에서 취급이 가장 나은 편인데, 적어도 다른 나라를 공격했던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다.<ref>사실 이들 중 가장 불행했던 것은 [[아일랜드]]다. 한국은 [[삼국시대]]의 [[고구려]]와 [[남북국시대]]의 [[발해]]가 지금은 [[중국]] 땅인 [[만주]] 지역을 영토로 삼았기 때문이다.</ref>


===고대===
===고대===
59번째 줄: 15번째 줄:


===현대===
===현대===
[[1918년]] 폴란드는 파리 강화 회의의 결과로 독립하게 된다. 볼셰비키와의 전쟁([[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통해 벨라루스와 서부 우크라이나 지역 상당수를 획득하며 동부 국경을 확정했다. 이후 독립과 구국의 영웅이었던 피우수트스키가 독재정치를 펼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리투아니아]],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소련]] 등 많은 이웃나라들과 충돌을 일으켰다.
[[1918년]] 폴란드는 파리 강화 회의의 결과로 독립하게 된다. 소련과의 전쟁([[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통해 벨라루스와 서부 우크라이나 지역 상당수를 획득하며 동부 국경을 확정했다. 이후 독립과 구국의 영웅이었던 피우수트스키가 독재정치를 펼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리투아니아]], [[체코슬로바키아]], [[독일]], [[소련]] 등 많은 이웃나라들과 충돌을 일으켰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폴란드의 상황은 극적으로 바뀐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히틀러]]는 [[1933년]] 폴란드에 불가침조약을 제의, 폴란드는 이를 수락하면서 양국간 평화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나 히틀러는 독폴 불가침조약으로 시간을 번 이후 호시탐탐 영토를 늘릴 생각을 하였고, [[오스트리아]]와 [[체코슬로바키아]]를 흡수하는데, 폴란드는 이 순간 동맹국 프랑스를 저버리고 체코슬로바키아 분할에 가담하여 자그마한 영토(톄신 지방)를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강탈하였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폴란드의 상황은 극적으로 바뀐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히틀러]]는 [[1933년]] 폴란드에 불가침조약을 제의, 폴란드는 이를 수락하면서 양국간 평화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나 히틀러는 독폴 불가침조약으로 시간을 번 이후 호시탐탐 영토를 늘릴 생각을 하였고, [[오스트리아]]와 [[체코슬로바키아]]를 흡수하는데, 폴란드는 이 순간 동맹국 프랑스를 저버리고 체코슬로바키아 분할에 가담하여 자그마한 영토(톄신 지방)를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강탈하였다.
65번째 줄: 21번째 줄:
그러나 작은 영토를 획득한 대가로 독일은 대놓고 단치히 회랑을 요구<s>가 아닌 협박</s>했고 폴란드는 이를 단호히 거절하였다. 이에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 시작되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독일군의 총공격에 폴란드군은 용감히 맞섰지만, 결국 독일과 밀약을 맺었던 소련이 참전하면서 1달만에 전 국토가 유린되고 정부는 영국으로 망명한다. 이후 폴란드 영토는 독일과 소련이 분할하였으며 수많은 폴란드인들이 침략자들에 의해 희생되었다. 특히 소련에 의해 폴란드 고위층 및 지식인이 집단학살당한 [[카틴 학살]]은 오늘날까지도 폴란드인의 공분을 사고 있다.
그러나 작은 영토를 획득한 대가로 독일은 대놓고 단치히 회랑을 요구<s>가 아닌 협박</s>했고 폴란드는 이를 단호히 거절하였다. 이에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 시작되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독일군의 총공격에 폴란드군은 용감히 맞섰지만, 결국 독일과 밀약을 맺었던 소련이 참전하면서 1달만에 전 국토가 유린되고 정부는 영국으로 망명한다. 이후 폴란드 영토는 독일과 소련이 분할하였으며 수많은 폴란드인들이 침략자들에 의해 희생되었다. 특히 소련에 의해 폴란드 고위층 및 지식인이 집단학살당한 [[카틴 학살]]은 오늘날까지도 폴란드인의 공분을 사고 있다.


이후 폴란드 영토는 [[1944년]] 소련군의 하계 대공세([[바그라티온 작전]])와 뒤이은 추가공세 속에 완전히 해방되었다. 그러나 불과 몇 년 전에 독일과 야합한 침략자인 소련으로부터의 해방이 진정한 해방일 리 없었다. 소련은 폴란드 자유주의 및 우파 진영을 철저히 탄압하고 영국의 망명 정부를 인정하지 않으며 사회주의 괴뢰 정권을 수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는 동부 영토를 소련에 빼앗기고 반대급부로 독일의 동부 영토를 획득했는데, 이 과정에서 수도 바르샤바가 국토의 중심부가 아닌 동쪽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그러다가 [[1956년]] 비에루트가 사망하면서 변화의 물결이 찾아왔고, 포즈난 항쟁과 고무우카의 집권기를 거치면서 소련의 영향력에서 상당히 벗어나기는 하였지만 고무우카는 후에 권위주의적인 지도자로 변모하면서 인민들의 지지를 잃게 되었고 [[1970년]]의 파업으로 기에레크에 의해 사실상 쫓겨나게 된다. 기에레크는 집권 후에 경제개방정책을 펼치면서 인민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차관을 들여보냈고, 그 차관이 후에 폴란드 사회주의 정부의 숨결을 끊어놓게 된다.
이후 폴란드 영토는 [[1944년]] 소련군의 하계 대공세([[바그라티온 작전]])와 뒤이은 추가공세 속에 완전히 해방되었다. 그러나 불과 몇 년 전에 독일과 야합한 침략자인 소련으로부터의 해방이 진정한 해방일 리 없었다. 소련은 폴란드 자유주의 및 우파 진영을 철저히 탄압하고 영국의 망명 정부를 인정하지 않으며 사회주의 괴뢰 정권을 수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폴란드는 동부 영토를 소련에 빼앗기고 반대급부로 독일의 동부 영토를 획득했눈데, 이 과정에서 수도 바르샤바가 국토의 중심부가 아닌 동쪽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그러다가 [[1956년]] 비에레투가 사망하면서 변화의 물결이 찾아왔고, 포즈난 항쟁과 고무우카의 집권기를 거치면서 소련의 영향력에서 상당히 벗어나기는 하였지만 고무우카는 후에 권위주의적인 지도자로 변모하면서 인민들의 지지를 잃게되었고 [[1970년]]의 파업으로 기에레크에 의해 사실쌍 쫓겨나게 된다. 기에레크는 집권후에 경제개방정책을 펼치면서 인민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차관을 들여보냈고, 그 차관이 후에 폴란드 사회주의 정부의 숨결을 끊어놓게 된다.


폴란드 사회주의 정부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후반기 오일쇼크가 닥쳐오면서부터이다. [[레흐 바웬사]]의 자유노조 운동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고, 동구권의 맹주 소련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폴란드에서도 마침내 민주선거를 통해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의 민주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후 폴란드는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며 빠르게 서구 세계에 편입되고 있다.
폴란드 사회주의 정부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후반기 오일쇼크가 닥쳐오면서부터이다. [[레흐 바웬사]]의 자유노조 운동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고, 동구권의 맹주 소련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폴란드에서도 마침내 민주선거를 통해 민주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후 폴란드는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며 빠르게 서구 세계에 편입되고 있다.


==지리==
==지리==
88번째 줄: 44번째 줄:


==사회==
==사회==
폴란드는 [[폴란드어]]를 사용한다. 독일이나 프랑스와 달리 폴란드의 각 방언은 거의 차이가 없으며 문제없이 대화할 수 있다.
폴란드는 [[폴란드어]]를 사용한다. 주류 민족은 폴란드인이며, 소수민족들도 약간 있다.
 
민족은 폴란드인이다. 유럽에서 보기드문 단일민족국가로 전 인구의 98%가 폴란드인이다. 소수민족은 우크라이나인, 독일인, 벨라루스인, 카슈브인, 실롱스크인이 있다. 원래는 다민족국가였으나 2차대전을 계기로 단일민족국가로 변했다.


==문화==
==문화==
112번째 줄: 66번째 줄:
*[[미로슬라프 클로제]]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 폴란드 오폴레 출신. 단 [[미로슬라프 클로제]]의 경우 폴란드 출신이긴 하지만 원래 독일계 혈통으로, 폴란드 공산화 이전부터 자리잡고 살던 독일계 주민들이 가족 단위로 독일로 돌아온 케이스.
*[[미로슬라프 클로제]]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 폴란드 오폴레 출신. 단 [[미로슬라프 클로제]]의 경우 폴란드 출신이긴 하지만 원래 독일계 혈통으로, 폴란드 공산화 이전부터 자리잡고 살던 독일계 주민들이 가족 단위로 독일로 돌아온 케이스.
*[[루카스 포돌스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 폴란드 글리비체 출신. 클로제와는 달리 혈통도 폴란드인, 모국어도 폴란드어다. 심지어 '''본인의 조국도 폴란드'''라고 생각하지만 프로 선수로서 갖는 소속 국가대표팀에 대한 충성심과 책임감으로 활약하고 있는 듯.
*[[루카스 포돌스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 폴란드 글리비체 출신. 클로제와는 달리 혈통도 폴란드인, 모국어도 폴란드어다. 심지어 '''본인의 조국도 폴란드'''라고 생각하지만 프로 선수로서 갖는 소속 국가대표팀에 대한 충성심과 책임감으로 활약하고 있는 듯.
남자 [[배구]]에서도 꽤 좋은 성적을 낸다. [[폴란드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74년, 2014년, 2018년에 [[FIVB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예술===
===예술===
123번째 줄: 75번째 줄:
{{각주}}
{{각주}}
{{유럽의 나라}}
{{유럽의 나라}}
{{OECD}}
{{NATO}}
[[분류:유럽의 나라]]
[[분류:유럽의 나라]]
[[분류:폴란드| ]]
[[분류:폴란드| ]]


{{리브레 맵스 마커|53.18186878820461|19.744150936982066|4|폴란드}}
{{리브레 맵스 마커|53.18186878820461|19.744150936982066|4|폴란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