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폭염'''(暴炎, Intense heat)<ref>한국식 한자. 중국어로는 혹열(酷热)을 쓰고, 일본어로는 혹서(酷暑)나 맹서(猛暑)를 쓴다.</ref>은 기온이 30도 이상인 더위를 이르는 말이다. 계절적으로 한[[여름]] 시기에 절정을 이루는데 [[한국]]을 포함한 북반구에는 초복과 말복사이인 7월~8월 중순, 남반구는 12월~1월 중순에 해당한다. [[지구온난화]]로 폭염의 정도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온도 외에도 높은 습도가 영향을 끼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불볕 더위'''로 단어를 순화할 것을 권장하였다.
'''폭염'''(暴炎, Intense heat)<ref>한국식 한자. 중국어로는 혹열(酷热), 일본어로는 혹서(酷暑)라는 단어를 쓴다.</ref>은 기온이 30도 이상인 더위를 이르는 말이다. 계절적으로 한[[여름]] 시기에 절정을 이루는데 [[한국]]을 포함한 북반구에는 초복과 말복사이인 7월~8월 중순, 남반구는 12월~1월 중순에 해당한다. [[지구온난화]]로 폭염의 정도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온도 외에도 높은 습도가 영향을 끼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불볕 더위'''로 단어를 순화할 것을 권장하였다.


== 동아시아의 폭염 ==
== 동아시아의 폭염 ==
13번째 줄: 13번째 줄:
폭염이 찾아올 경우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한다. 1년 내내 더운 [[열대 기후]] 지역보다는 [[온대 기후]]와 [[냉대 기후]] 지역에서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많다.
폭염이 찾아올 경우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한다. 1년 내내 더운 [[열대 기후]] 지역보다는 [[온대 기후]]와 [[냉대 기후]] 지역에서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많다.


주요한 피해로는 온열 질환, 가뭄, 산불 등이 있다. 가뭄과 산불은 겨울이나 봄에 더욱 많이 일어나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폭염과 함께 건조한 기후가 찾아올 경우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이상기후와 맞물리면서 폭염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 이 경우 밤에 지구가 충분히 열을 식히지 못한채로 아침 해를 맞이하게 돼 날이 지날수록 계속 땅이 뜨거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주요한 피해로는 온열 질환, 가뭄, 산불 등이 있다. 온열 질환에는 열사병, 일사병 등이 해당한다. 가뭄과 산불은 겨울이나 봄에 더욱 많이 일어나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폭염과 함께 건조한 기후가 찾아올 경우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 온열 질환 ([[일사병]], [[열사병]] 등)
 
* 열팽창으로 인한 시설 파손 (교량, 철도 등)
피해 예방 방법으로는 [[에어컨]] 가동 등이 있는데, 누진세 등으로 인하여 전기를 똑같이 많이 써도 상업 건물보다 주택에 전기료가 많이 부과되기 때문에 에어컨만으로 온열 질환을 예방하기는 쉽지 않다.
* 축열로 인한 피해 (열섬 현상, 상수도 가열 등)


== 역사상 폭염 ==
== 역사상 폭염 ==
{{youtube|NeEy1S0kdQI|||center}}
{{youtube|NeEy1S0kdQI|||center}}
* [[1994년]] 여름 [[대한민국]]  
* [[1994년]] 여름 [[대한민국]] : 이때가 대한민국 최악의 폭염이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폭염이 심했다. 보통 폭염은 7~8월이 절정이지만 이때에는 [[엘리뇨]]의 영향으로 6월부터 이미 30도를 넘나들기 시작했다. 1994년 7월 24일에는 [[서울]]의 기온이 38.4도까지 올라갔으며, 밤에도 28도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다. [[대구]]는 39.4도를 두 번이나 기록하였다. [[아스팔트]]가 녹아내리고 그 위에 계란을 깨뜨리니 계란이 익어버린다는 이야기도 이 당시 나왔던 이야기들이다.
*: 이때가 대한민국 최악의 폭염이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폭염이 심했다. 보통 폭염은 7~8월이 절정이지만 이때에는 [[엘리뇨]]의 영향으로 6월부터 이미 30도를 넘나들기 시작했다. 1994년 7월 24일에는 [[서울]]의 기온이 38.4도까지 올라갔으며, 밤에도 28도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다. [[대구]]는 39.4도를 두 번이나 기록하였다. [[아스팔트]]가 녹아내리고 그 위에 계란을 깨뜨리니 계란이 익어버린다는 이야기도 이 당시 나왔던 이야기들이다.
* [[2016년]] 여름 [[대한민국]] : 언론에서 1994년 여름과 비교할만큼 더우며 연일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가 뜨고 있다. 이전에도 [[전기요금 누진제|누진세 개편]]에 대한 이야기가 있어왔지만 폭염 때문에 에어컨을 트느라 전기요금 폭탄을 맞은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누진세 개편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 [[2016년]] 여름 [[대한민국]]  
* [[2018년]] 여름 [[대한민국]] : [[2018년 동아시아 폭염]] 문서와 같이 진정한 <s>[[헬게이트|지옥맛을]]</s> 더위를 느끼게 하는 폭염이 등장하여, 1994년도의 폭염 기록을 갈아치워버렸다. 단적으로, 시원하다고 느껴지는 지역에서도 37~38도의 고온이 측정되었고, 아예 더운 곳의 경우 42~46도의 기온이 측정되는 등 이전 폭염과 다른 스케일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폭염을 국가 지정 재난으로 선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언론에서 1994년 여름과 비교할만큼 더우며 연일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가 뜨고 있다. 이전에도 [[전기요금 누진제|누진세 개편]]에 대한 이야기가 있어왔지만 폭염 때문에 에어컨을 트느라 전기요금 폭탄을 맞은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누진세 개편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 [[2018년]] 여름 [[대한민국]]  
*: [[2018년 동아시아 폭염]] 문서와 같이 진정한 <s>[[헬게이트|지옥맛을]]</s> 더위를 느끼게 하는 폭염이 등장하여, 1994년도의 폭염 기록을 갈아치워버렸다. 단적으로, 시원하다고 느껴지는 지역에서도 37~38도의 고온이 측정되었고, 아예 더운 곳의 경우 42~46도의 기온이 측정되는 등 이전 폭염과 다른 스케일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폭염을 국가 지정 재난으로 선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반도 폭염 발생 주요 원인==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 : 북태평양 고기압은 한여름 폭염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덥고 습한 무더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북태평양 고기압은 기본적으로 고온다습한 성질을 가지는 해양성 기단인만큼 그 영향권에 들어서는 지역의 경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통상 북태평양 고기압의 경계선을 500hPa영역 일기도에서의 5880gpm선을 그 경계로 하는데, 이 선 가장자리 구역은 대기불안정으로 잦은 소나기가 발생하지만 이 선 안쪽에 들어오는 지역의 경우는 그 불안정성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상당히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만일 그 고기압의 중심부가 한반도 남쪽이나 남동쪽에 자리하고 하층에서의 기류가 몬순골 형성에 의한 남서풍 계열의 제트류가 한반도쪽으로 유입될 경우 여기에 실려온 대량의 수증기에 의해 매우 높은 습도로 인해 체감온도(습구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불쾌지수]] 또한 함께 높아지는 끈적끈적하고 더운 날씨로 이어지게 된다.
*[[열돔 현상]]에 의한 폭염
*중국 대륙 내부 열고기압
*[[푄]] 현상에 의한 고온현상


==관련 문서==
==관련 문서==
38번째 줄: 28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기상현상]]
[[분류:기상현상]]
[[분류:여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