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언어 정보
{{언어 정보
|이름     = 포르투갈어
|이름=포르투갈어
|원어이름 = Português
|계통색=인도유럽어
|그림    = [[파일:Map of the portuguese language in the world.svg]]
|자기이름=Português
|그림설명 = 진한 녹색은 모국어, 녹색은 공용어
|IPA=[puɾtuˈɣeʃ], [poɾtuˈɡes], [poʁtuˈɡes]<br />[poɹtuˈɡes], [pohtuˈgejʃ], [pɔhtuˈgejs]
|창작    =
|지역=[[포르투갈]], [[브라질]], [[앙골라]] 등
|지역     = 본문 참고
|인구=제1언어 약 2억 1천만 명
|사용인구 = 약 2억 1천만 명
|순위=제1언어 인구수 랭킹 6위
|공용어  = [[포르투갈]], [[브라질]] 등 9개 나라
|어순=
|표준    = 리스보아 학술 아카데미 문학부
|문자=확장 [[로마자]]
|문자     = [[로마자]]
|계통1=[[인도유럽어족]]
|언어계통 = [[인도유럽어족]]
|계통2=[[이탈리아어파]]
: [[이탈리아어파]]
|계통3=[[로망스어군]]
:: [[로망스어군]]
|계통4=[[갈리아이베리아어]]
::: [[서부 로망스어군]]
|계통5=[[이베리아로망스어]]
:::: [[이베리아로망스어]]
|계통6=[[서이베리아어]]
::::: [[서이베리아어]]
|표준=
:::::: [[포르투갈어]]
|iso1=pt
|ISO-1    = pt
|iso2=por
|ISO-2    = por
|iso3=por
|ISO-3    = por
|지도=Map of the portuguese language in the world.svg
|비고    =  
|지도 설명=진한 녹색은 모국어, 녹색은 공용어
}}
}}
== 개요 ==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국어이자 [[마카오]]와 [[동티모르]]의 공용어. 포르투갈에서는 푸르투게슈라고 하고, 브라질에서는 포흐투게이스라고 한다.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국어이자 [[마카오]]와 [[동티모르]]의 공용어. 포르투갈에서는 푸르투게슈라고 하고, 브라질에서는 포흐투게이스라고 한다.
== 분류 ==
인도유럽어족-로망스어군-갈리아이베리아로망스어-서이베리아로망스어-갈리시아포르투갈어 에 속한다.


== 특징 ==
== 특징 ==
36번째 줄: 40번째 줄:
브라질에서 사용되는 포르투갈어로, 보통 브라질 포르투갈어라고 불린다. 사실상 브라질 인구 중 거의 전부가 브라질 포르투갈어 사용자나 다름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이 구대륙의 포르투갈어 사용자를 전부 다합친 숫자보다 많다. 그래서 중미든 남미든 스페인이 표준어의 주도권을 잡고잇는 스페인과는 달리 본국 포르투갈과 다른 독자적인 표준형을 정하여 사용하며 세계 각국에서도 포르투갈어 웹사이트를 만들 때는 포르투갈이 아닌 브라질을 기준으로 만든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멀쩡한 유럽 포르투갈인인 축구감독 모리뉴까지 브라질 포르투갈어 사투리로 무링요라고 썼을 정도.
브라질에서 사용되는 포르투갈어로, 보통 브라질 포르투갈어라고 불린다. 사실상 브라질 인구 중 거의 전부가 브라질 포르투갈어 사용자나 다름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이 구대륙의 포르투갈어 사용자를 전부 다합친 숫자보다 많다. 그래서 중미든 남미든 스페인이 표준어의 주도권을 잡고잇는 스페인과는 달리 본국 포르투갈과 다른 독자적인 표준형을 정하여 사용하며 세계 각국에서도 포르투갈어 웹사이트를 만들 때는 포르투갈이 아닌 브라질을 기준으로 만든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멀쩡한 유럽 포르투갈인인 축구감독 모리뉴까지 브라질 포르투갈어 사투리로 무링요라고 썼을 정도.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특징은 tu와 vós를 비롯하여 대명사와 동사를 막론하고 현실에서 2인칭형을 아예 쓰지 않는 것이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2인칭형 대신 3인칭 경어법을 사용하고 상대방은 você/vocês로 일괄하여 칭한다. 우리말에 비유하자면 '너/너희' 대신'귀하(당신)'라고 하는 것이다. 식민지 시절 주민들이 본국 포르투갈인 관리자를 상대로 tu를 쓸 일이 없었다보니 그렇게 된 것이라 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서이베리아 특유의 접근마찰음 대신 유성파열음을 사용하고 약화모음이 대부분 어말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어간파악은 유럽 포르투갈어보다 쉽다. 그러나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표준어의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는 문제가 있다. 일단 스페인어마냥 모음약화가 없는 북부나 남부 국경지대 방언같은 변방방언은 당연히 상용되지 않고, 엄밀히 말해서 법으로 규정된 표준발음도 상용되지 않는다. 법적 표준발음대로라면 호나우지뉴라고 해야겠지만 실제로는 호나우징유라고 하는 것이 그 예이다. 브라질에서 표준상용발음은 대도시 히우 지 자네이루(카리오카)와 사웅 파울루(파울리스타), 그리고 수도 브라질리아(브라질리엥시)를 포함하는 '중남부 도시권 방언'에 한정된다. 그리고 그 중남부 도시권 방언도 세세하게 들어가면 발음이 조금 씩 달라진다. 히우 지 자네이루에서는 어말s를 유럽마냥 /ʃ/이라고 읽는다던가, sti를 묶어서 /ʃi/ 로 읽는다던가 하는 식으로. 이 중에서 법적 표준에 가장 가까운 것은 파울리스타 방언이고 일반상식수준에서는 파울리스타 발음이 표준이라고 알려져있으나 실제로는 카리오카 발음과 브라질리엥시 발음의 통용률이 압도적이다. 다만 카리오카 발음은 s를 /ʃ/로 읽는게 '포르투가(유럽놈)'스럽다고 타 지역민에게 호불호가 갈리며 브라질리엥시는 브라질리아 자체가 신도시인 관계로 조금만 교외로 나가도 원래 시골인 카이피라 방언의 특성이 강해진다.
 
다만 문어체에 한해서는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는 tu는 물론 haver 완료나 유럽식 어순도 자주 쓰인다.
 
발음 면에서는 서이베리아 특유의 접근마찰음 대신 유성파열음을 사용하고 약화모음이 대부분 어말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어간파악은 유럽 포르투갈어보다 쉽다. 그러나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표준어의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는 문제가 있다. 일단 스페인어마냥 모음약화가 없는 북부나 남부 국경지대 방언같은 변방방언은 당연히 상용되지 않고, 엄밀히 말해서 법으로 규정된 표준발음도 상용되지 않는다. 법적 표준발음대로라면 호나우지뉴라고 해야겠지만 실제로는 호나우징유라고 하는 것이 그 예이다. 브라질에서 표준상용발음은 대도시 히우 지 자네이루(카리오카)와 사웅 파울루(파울리스타), 그리고 수도 브라질리아(브라질리엥시)를 포함하는 '중남부 도시권 방언'에 한정된다. 그리고 그 중남부 도시권 방언도 세세하게 들어가면 발음이 조금 씩 달라진다. 히우 지 자네이루에서는 어말s를 유럽마냥 /ʃ/이라고 읽는다던가, sti를 묶어서 /ʃi/ 로 읽는다던가 하는 식으로. 이 중에서 법적 표준에 가장 가까운 것은 파울리스타 방언이고 일반상식수준에서는 파울리스타 발음이 표준이라고 알려져있으나 실제로는 카리오카 발음과 브라질리엥시 발음의 통용률이 압도적이다. 다만 카리오카 발음은 s를 /ʃ/로 읽는게 '포르투가(유럽놈)'스럽다고 타 지역민에게 호불호가 갈리며 브라질리엥시는 브라질리아 자체가 신도시인 관계로 조금만 교외로 나가도 원래 시골인 카이피라 방언의 특성이 강해진다.


di를 지, ti를 치로 읽으며, 약화된 de,te도 마찬가지로 지, 치로 읽는다. d와 t뒤에 모음이 없어도 구개음화된다. 모음이 따르지 않는 종성 l은 반모음/w/로 읽고 외래어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레드벨벳은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헤ㅈ베ㅜ베ㅊ'가 된다.
di를 지, ti를 치로 읽으며, 약화된 de,te도 마찬가지로 지, 치로 읽는다. d와 t뒤에 모음이 없어도 구개음화된다. 모음이 따르지 않는 종성 l은 반모음/w/로 읽고 외래어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레드벨벳은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헤ㅈ베ㅜ베ㅊ'가 된다.


==== 브라질 중남부 도시권 포르투갈어====
==== 브라질 중남부 도시권 포르투갈어====
법으로 규정된 표준발음과 별개로 실제로 표준으로 상용되는 발음이다. 법적으로 규정된 브라질 표준발음은 어말모음 이외의 약화를 전혀 인정하지 않으나, 브라질 중남부 포르투갈어는 자음군 앞에 추가된 e가 약화되며 접두사 des와 비모음 en/em도 약화된다. homem의 법적 표준 발음은 오멩이나 실제로는 오밍이라고 읽는다. 또한 /ʀ/을 ㅎ에 가깝게 /ɦ/로 읽고, r 뒤에 모음이 따르지 않는 경우까지 /ɦ/로 읽으며, 어말에서는 묵음이 되어서 아예 철자를 생략하기도 한다.(묵음처리 하는 대신 독음 유지를 위해 앞의 모음에 강세표기가 붙는다.)
법으로 규정된 표준발음과 별개로 실제로 표준으로 상용되는 발음이다. 법적으로 규정된 브라질 표준발음은 어말모음 이외의 약화를 전혀 인정하지 않으나, 브라질 중남부 포르투갈어는 자음군 앞에 추가된 e가 약화되며 접두사/어미 비모음 en/em도 약화된다. homem의 법적 표준 발음은 오멩이나 실제로는 오밍이라고 읽는다. 또한 /ʀ/을 ㅎ에 가깝게 /ɦ/로 읽고, r 뒤에 모음이 따르지 않는 경우까지 /ɦ/로 읽으며, 어말에서는 묵음이 되어서 아예 철자를 생략하기도 한다.(묵음처리 하는 대신 독음 유지를 위해 앞의 모음에 강세표기가 붙는다.)


또한 법적 표준인 뉴를 응유, 냐를 응야로 읽는다. 겹모음 ei의 i와 겹모음 ou의 u를 종종 읽지 않는다. 흔히 강세 /a/e/o/u/와 어말s사이에는 /j/가  첨가된다.
또한 법적 표준인 뉴를 응유, 냐를 응야로 읽는다. 겹모음 ei의 i와 겹모음 ou의 u를 종종 읽지 않는다. 흔히 강세 /a/e/o/u/와 어말s사이에는 /j/가  첨가된다.


어간모음의 비강세약화는 없는 대신 어말모음의 약화가 강력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종종 생략되는 것 처럼 들린다. 이는 중부 방언의 특징이다.
어간모음의 비강세약화는 없는 대신 어말모음의 약화가 강력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종종 생략되는 것 처럼 들린다. 이는 중부 방언의 특징이다.
== 들어보기 ==
{{youtube|9pmI9Ad3NRk}}


{{각주}}
{{각주}}
[[분류:포르투갈어| ]]
[[분류:포르투갈어|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