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위키 서비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회사 정보
|법인이름 = 팬덤
| 이름 = 위키아
|원어이름 = Fandom
| 영문 = Wikia
|로고     = [[파일:Fandom.svg|200px]]
| 로고 = Wikia Logo.svg
|그림    =  
| 크기 =  
|그림설명 =
| 형태 = [[주식회사]]
|법인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2004년]]
|주식코드 =
| 창립자 = [[지미 웨일스]], [[안젤라 비즐리]]
|분야    =  
| 이전 회사 =
|창립자   = [[지미 웨일스]], [[안젤라 비즐리]]
| 이후 회사 =  
|창립일  = [[2004년]]
| 해체 =  
|해산일  =  
| 시장 정보 =  
|이전회사 =  
| 상장일 =
|이후회사 =  
| 국가 = [[미국]]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장소 =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지사수  =  
| 사업 지역 = 전 세계
|인물     = 크레이그 팔머 (CEO)
| 인물 = 크레이그 팔머 (CEO)
|자본금   =  
| 산업 =
|매출액   =  
| 서비스 = 위키 호스팅
|영업이익 =  
| 대표 제품 =
|순이익   =  
| 자본금 =  
|자산총액 =  
| 매출액 =  
|주주     =  
| 영업 이익 =  
|모회사  =  
| 순이익 =  
|자회사   =  
| 자산 총액 =  
|종업원   =  
| 주주 =  
|웹사이트 = {{url|https://www.fandom.com}} (미국)<br />{{url|https://community.fandom.com/ko/wiki/대문}} (한국)
| 모기업 =  
|비고    =
| 주요 자회사 =  
}}{{웹사이트 정보
| 종업원 =  
|이름    = FANDOM
| 웹사이트 = [http://www.wikia.com/ www.wikia.com] (미국)<br />[http://ko.wikia.com/ ko.wikia.com] (한국)
|원어이름 =
|패비콘  = Fandom heart-logo.svg
|로고    = [[파일:Fandom.svg|150px]]
|그림    =
|그림설명 =
|URL      = https://www.fandom.com
|종류    = 위키 서비스
|운영    =
|제작    =
|언어    = 다국어
|시작일  =
|종료일  =
|회원가입 = 선택
|라이선스 = [[CC BY-SA 3.0]] Unported<ref>개별 설정이 안되어 있는 경우</ref>
|영리여부 = 영리
|작성언어 =
|비고    =
}}
}}
 
'''위키아'''(Wikia)는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 무료 호스팅 서비스다. [[위키백과]]와는 형제 관계지만 위키아 쪽은 영리 기업이다.
'''팬덤'''(Fandom)는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 사이트 무료 [[위키 호스팅|호스팅 서비스]]다. 위키아(Wikia)의 후신으로, 이를 운영하는 주체는 주식회사 팬덤(Fandom, Inc.)이다.
 
[[위키백과]]의 설립자인 [[지미 웨일스]]가 2004년에 위키시티즈(Wikicities)라는 이름으로 설립한 웹사이트이다. 다만 위키미디어 재단과는 달리 주식회사 팬덤에서 운영한다. 사명이 주식회사 위키아(Wikia Inc.)였을 때는 [[2016년]]부터 위키아 대신 팬덤 파워드 바이 위키아(Fandom Powered by Wikia)라는 명칭을 밀어주고 있었으며, 2018년에는 도메인 사이트도 "fandom.com"으로 변경했다. 2020년 말~2021년 초에는 미디어위키 1.19.24를 쓰던 위키들도 1.33.0으로 이주함과 동시에 UCP(통합 커뮤니티 플랫폼)을 적용받는다.
 
== 특징 ==
== 특징 ==
사이트 가입자에 한해 [[도메인]]을 할당받아 개별적으로 위키를 운영할 수 있는 호스팅 서비스. 다만 한 번 위키를 만들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폐쇄할 수 없다. 만약 폐쇄된다면 xml 덤프를 제공하는데, 설명에는 '운영자 전용'이라고 써 놓은 주제에 누구나 다운받을 수 있다. <s>버그는 아닌 거 같은데 </s>
사이트 가입자에 한해 [[도메인]]을 할당받아 개별적으로 위키를 운영할 수 있는 호스팅 서비스. 다만 한 번 위키를 만들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폐쇄할 수 없다. 만약 폐쇄된다면 xml 덤프를 제공하는데, 설명에는 '운영자 전용'이라고 써 놓은 주제에 누구나 다운받을 수 있다. <s>버그는 아닌 거 같은데 </s>


위키백과나 [[리브레 위키]], [[나무위키]]처럼 한 사이트에 분야를 막론하고 정보를 모은 [[백과사전]] 형식이 아니라, 분야별로 세분화되어 수만, 수십만 개의 개별적인 위키들이 따로 존재한다. 포털 역할을 하는 팬덤 중앙 커뮤니티가 존재하지만 사실상 개개의 위키는 별개의 사이트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를 테면 [http://ko.pokemon.fandom.com/wiki/%EB%8C%80%EB%AC%B8 포켓몬 위키](한국어), [http://typemoon.fandom.com/wiki/TYPE-MOON_Wiki TYPE-MOON 위키](영어), [http://ja.finalfantasy.fandom.com/wiki/Final_Fantasy_Wiki FINAL FANTASY WIKI](일본어) 등으로, 각 작품별·테마별로 위키들이 구축되어 있다.
위키백과나 [[리브레 위키]], [[나무위키]]처럼 한 사이트에 분야를 막론하고 정보를 모은 [[백과사전]] 형식이 아니라, 분야별로 세분화되어 수만, 수십만 개의 개별적인 위키들이 따로 존재한다. 포털 역할을 하는 위키아 중앙 커뮤니티가 존재하지만 사실상 개개의 위키는 별개의 사이트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를 테면 [http://ko.pokemon.wikia.com/wiki/%EB%8C%80%EB%AC%B8 포켓몬 위키](한국어), [http://typemoon.wikia.com/wiki/TYPE-MOON_Wiki TYPE-MOON 위키](영어), [http://ja.finalfantasy.wikia.com/wiki/Final_Fantasy_Wiki FINAL FANTASY WIKI](일본어) 등으로, 각 작품별·테마별로 위키들이 구축되어 있다.
 
위키가 많은 만큼 규칙도 다르다. 위키백과처럼 사담을 토론장에 쓰고, 문서에 공식에서 공지한 정보만을 기입하는 엄격한 원칙의 위키가 있다. 엄격한 종류로 [https://virtualyoutuber.fandom.com/wiki/Virtual_YouTuber_Wiki 버츄얼 유튜버 위키]가 있다.
 
라이선스는 개별 위키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CC BY-SA]] 3.0 Unported를 사용한다.<ref>{{웹 인용 |url=http://www.wikia.com/Licensing |제목=<nowiki>Licensing | FANDOM powered by Wikia</nowiki> |저자= FANDOM |날짜= |웹사이트= FANDOM |출판사= |확인날짜= }}</ref><ref>{{웹 인용 |url=http://ko.community.wikia.com/wiki/도움말:라이선스 |제목=<nowiki>도움말/라이선스 | 중앙 커뮤니티 | FANDOM powered by Wikia</nowiki> |저자= |날짜= |웹사이트= FANDOM |출판사= |확인날짜= }}</ref>
 
분류 항목에 섬네일이 표시되는지라 한 번 입문하면 사용하기 편해지는 구조다.
 
각 위키에서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최근 바뀜]]의 접근이 쉽지 않다. 메뉴로 없는 경우 [[URL]]에서 <code>.../wiki/특수:최근바뀜</code> 형태로 입력해 직접 들어가야 한다.<ref>[[미디어위키]] 기반이기 때문에 미디어위키에서 사용되는 [[특수 문서]] 등도 상당수 동일하다.</ref>


== 게임 분야 ==
== 게임 분야 ==
특히 서양 비디오 게임 쪽 테마에 관해서는 충실한 위키가 팬덤에 즐비하다. 웬만큼 유명한 게임이라면 팬덤에 양질의 위키가 존재하기 마련. 영어 팬덤의 게임 테마를 뒤적이면 [[양덕]]의 위엄을 제대로 알 수 있다.
특히 서양 비디오 게임 쪽 테마에 관해서는 충실한 위키가 위키아에 즐비하다. 웬만큼 유명한 게임이라면 위키아에 양질의 위키가 존재하기 마련. 영어 위키아의 게임 테마를 뒤적이면 [[양덕]]의 위엄을 제대로 알 수 있다.
 
== 팁 ==
처음 검색하면 내용이 적게 보인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FANDOM 검색 결과의 기본 설정이 'Community Central(중앙 커뮤니티)'의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Related Community의 '위키 더 보기(VIEW MORE WIKIS)'를 클릭한 후 검색창의 범위를 All Wikis로 바꾸면 만족스러운 많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검색 결과가 없으면 범위를 This Wiki에서 All Wikis로 바꾸지 못하므로 검색 결과가 있는 단어를 먼저 쓰고 All Wikis로 바꾼 다음 자신이 원하는 검색어로 바꾸면 된다.


== 사건사고==
== 사건사고==
2015년 8월 10일 몇몇 팬덤 기반 위키에 커스텀 자바스크립트를 악용함으로 인한 [http://community.wikia.com/wiki/Thread:890734 해킹 소란이 벌어져] 한 동안 모든 커스텀 자바스크립트가 해제 되었었다. 하지만 곧 다시 활성화된 동시에 읽기 전용으로 바뀌었다.<ref>아이러니하게도 Common.css, Wikia.css, Monobook.css, Wiki-navigation, Community-corner 및 [http://community.wikia.com/wiki/Help:System_messages/whitelist 기타 화이트리스트에 속한 문서들]을 제외하면 자바스크립트와 별 연관이 없던, 미디어위키 이름공간을 사용하는 모든 문서들 또한 읽기 전용으로 바뀌었다.</ref> 2015년 8월 14일에 [http://community.wikia.com/wiki/Thread:893491 올라온 공지]에 의하면 커스텀 자바스크립트에 한해 허가제로 돌아갈 것이라고 언급하다가 2015년 8월 17일, 곧 이번 주 내에 [http://community.wikia.com/wiki/Thread:893491#245 상위권에 속하는 위키들에 한해 다시 활성화시킬 예정이라 한다.]
{{사건사고}}
2015년 8월 10일 몇몇 위키아 기반 위키에 커스텀 자바스크립트를 악용함으로 인한 [http://community.wikia.com/wiki/Thread:890734 해킹 소란이 벌어져] 한 동안 모든 커스텀 자바스크립트가 해제 되었었다. 하지만 곧 다시 활성화된 동시에 읽기 전용으로 바뀌었다.<ref>아이러니하게도 Common.css, Wikia.css, Monobook.css, Wiki-navigation, Community-corner 및 [http://community.wikia.com/wiki/Help:System_messages/whitelist 기타 화이트리스트에 속한 문서들]을 제외하면 자바스크립트와 별 연관이 없던, 미디어위키 이름공간을 사용하는 모든 문서들 또한 읽기 전용으로 바뀌었다.</ref> 2015년 8월 14일에 [http://community.wikia.com/wiki/Thread:893491 올라온 공지]에 의하면 커스텀 자바스크립트에 한해 허가제로 돌아갈 것이라고 언급하다가 2015년 8월 17일, 곧 이번 주 내에 [http://community.wikia.com/wiki/Thread:893491#245 상위권에 속하는 위키들에 한해 다시 활성화시킬 예정이라 한다.]


== 주요 한국어 팬덤 사이트 목록 ==
== 주요 한국어 위키아 목록 ==
{{참고|팬덤 (위키 서비스)/한국어|분류:팬덤 (위키 서비스)}}
{{본문|위키아/한국어}}
[[:분류:위키아]]도 참고.


2018년 초까지 한국어 위키 중에서 문서수가 제일 많았던 제다이 위키는 한때 [[리브레 위키]]보다도 문서 숫자가 많았지만 사실상 Mkpaulo라는 1명의 유저가 위백의 문서를 펌질해서 채운 문서수가 절대다수이기에 영향력이나 정보의 유용성 등이 떨어지는 편이었다. 한때 문서수 2위였던 한국어 신화위키<ref>원래 신화위키는 영어 위키가 있으나([http://mythology.wikia.com/ #]) 한국어 위키는 도메인 이름만 같을 뿐 사실상 아무 관련도 없는 위키였다. </ref> 역시 Mkpaulo의 개인 위키였다. 결과적으로 초창기부터 통계적으로 문서 숫자 3위인 [[포켓몬 위키]]가 사실상 한국어 팬덤 하위 사이트 중 가장 큰 사이트였다.2018년 하반기에 제다이 위키와 신화 위키가 폐쇄되면서 포켓몬 위키가 명실상부한 한국어 위키 중 최대 규모의 위키가 되었다.
가장 문서수가 많은 제다이 위키는 [[리브레 위키]]보다도 문서 숫자가 많지만 사실상 Mkpaulo라는 1명의 유저가 위백의 문서를 펌질해서 채운 문서수가 절대다수이기에 영향력이나 정보의 유용성 등이 떨어지는 편이다. 2위인 신화 위키 역시 이름과는 달리 위의 제다이 위키랑 상태가 도긴개긴이기에 통계상으로는 문서 숫자 3위인 [[포켓몬 위키]]가 사실상 한국어 위키아 하위 사이트 중 가장 큰 사이트라고 보면 된다.  


영어권과는 달리 사실상 1인이 관리하는 위키가 은근히 많다. 그나마 여러 명이 기여하는 위키들도 사정은 그닥인데 위에서 가장 큰 규모라 설명한 포켓몬 위키조차 상주 인구가 10여명에 하루 편집 횟수도 평균 50회도 채 되지 않는다...
영어권과는 달리 사실상 1인이 관리하는 위키가 은근히 많다. 그나마 여러 명이 기여하는 위키들도 사정은 그닥인데 위에서 가장 큰 규모라 설명한 포켓몬 위키조차 상주 인구가 10여명에 하루 편집 횟수도 평균 50회도 채 되지 않는다...


== 주요 외국어 팬덤 사이트 목록 ==
== 주요 외국어 위키아 목록 ==
스타워즈 위키나 마블 코믹스 위키 같은 거대 위키는 문서수가 무려 10만에 육박한다. 게다가 편집 빈도도 나름 전성기 시절의 [[리브레 위키]]와 비슷할 정도로 활발한 편.
 
* [[Wookieepedia]]
스타워즈 위키나 마블 코믹스 위키 같은 거대위키는 문서수가 무려 10만에 육박한다. 게다가 편집 빈도도 나름 전성기 시절의 [[리브레 위키]]와 비슷할 정도로 활발한 편.  
 
* [[:wikia:c:starwars|Star Wars Wiki]]


== 산하 사이트 ==
== 바깥 고리 ==
* [[Gamepedia]]
* [http://ko.community.wikia.com/wiki/%EB%8C%80%EB%AC%B8 한국어 위키아 대문]
* <small>'''(영어)'''</small> [http://www.wikia.com/Wikia 영어 위키아]
*[https://twitter.com/wikia_ko 한국어 위키아 공식 트위터] (@wikia_ko)


== 관련 사이트 ==
* {{트위터|wikia_ko|한국어 위키아 공식 계정}} (@wikia_ko)


{{각주}}
{{각주}}
{{위키}}
{{위키위키}}
[[분류:팬덤 (위키 서비스)| ]]
[[분류:미국의 기업]]
[[분류:2004년 설립]]
[[분류:위키 호스팅 서비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