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Lang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추가로, 제 제안을 반영한다면 '틀:llang' 또한 작동을 위해 언어별로 분할해야 합니다.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1년 10월 3일 (일) 05:52 (KST)
추가로, 제 제안을 반영한다면 '틀:llang' 또한 작동을 위해 언어별로 분할해야 합니다.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1년 10월 3일 (일) 05:52 (KST)


:{{찬성}}합니다. 일본어 폰트나 중국어는 웹폰트 때문에 일부 글자의 폰트가 제대로 출력이 되지 않아(雨는 대만 중국어 표기로 <nowiki>{{lang|zh-tw|雨|font=auto}}</nowiki>인데 한국어 전용 웹폰트가 적용되어 雨로 출력.) 글꼴을 일일이 지정해주고 있었는데 언어별로 폰트 기본값 설정할 수 있어서 편리할 것 같습니다.
:{{찬성}}합니다. 일본어 폰트나 중국어는 웹폰트 때문에 일부 글자의 폰트가 제대로 출력이 되지 않아(雨는 대만 중국어 표기로 {{lang|zh-tw|雨|font=auto}}인데 한국어 전용 웹폰트가 적용되어 雨로 출력.) 글꼴을 일일이 지정해주고 있었는데 언어별로 폰트 기본값 설정할 수 있어서 편리할 것 같습니다.
:{{의견}} 가칭 {{틀|틀:언어명-영어}}(기존 llang)은  {{틀|틀:언어-영어}}(기존 lang)을 포함시켜서 제작하면 될것 같습니다.
:{{의견}} 가칭 {{틀|틀:언어명-영어}}(기존 llang)은  {{틀|틀:언어-영어}}(기존 lang)을 포함시켜서 제작하면 될것 같습니다.
: --{{사용자:Cerulean/서명하기/}} 2021년 10월 3일 (일) 09:19 (KST)
: --{{사용자:Cerulean/서명하기/}} 2021년 10월 3일 (일) 09:19 (KST)
21번째 줄: 21번째 줄:
: 틀:llang의 번역 명칭은 틀:제목이나 틀:이름으로 생각하신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는 건 그 틀이 최상단에서 다른 언어로된 제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는 뜻이기도 하고요. 저는 그 용도 이외에도 사용하고 있고 아래의 사용례도 보면 그렇게 번역하는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틀:제목이나 틀:이름처럼 그렇게 짓는건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사용자:Cerulean/서명하기/}} 2021년 10월 5일 (화) 08:52 (KST)
: 틀:llang의 번역 명칭은 틀:제목이나 틀:이름으로 생각하신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는 건 그 틀이 최상단에서 다른 언어로된 제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는 뜻이기도 하고요. 저는 그 용도 이외에도 사용하고 있고 아래의 사용례도 보면 그렇게 번역하는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틀:제목이나 틀:이름처럼 그렇게 짓는건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사용자:Cerulean/서명하기/}} 2021년 10월 5일 (화) 08:52 (KST)
----
----
<small>[[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正體字, <nowiki>{{zh|order=t|t=正體字|p=Zhèngtǐzì}}</nowiki>, <small>주음 부호:</small> <nowiki>{{lang|zh-tw|ㄓㄥˋㄊㄧˇㄗˋ}}</nowiki>)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에서만 전통 한자가 너무 복잡하며, 이제는 간략 한자로 모두 대체되었다는 의미에서 '''번체자'''(繁體字, <nowiki>{{zh|s=繁体字|t=繁體字|p=Fántǐzì}}</nowiki>)로 지칭한다.
<small>[[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正體字, {{zh|order=t|t=正體字|p=Zhèngtǐzì}}, <small>주음 부호:</small> {{lang|zh-tw|ㄓㄥˋㄊㄧˇㄗˋ}})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에서만 전통 한자가 너무 복잡하며, 이제는 간략 한자로 모두 대체되었다는 의미에서 '''번체자'''(繁體字, {{zh|s=繁体字|t=繁體字|p=Fántǐzì}})로 지칭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용한자]]'''(<nowiki>{{ja|o=當用漢字|当用漢字}}</nowiki>/도요칸지) 또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nowiki>{{ja|o=舊字體|旧字体}}</nowiki>/규지타이)라고 부른다.</small>
한편 [[일본]]에서는 '''[[당용한자]]'''({{ja|o=當用漢字|当用漢字}}/도요칸지) 또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ja|o=舊字體|旧字体}}/규지타이)라고 부른다.</small>
----
----
:: {{의견}} 분류명 ([[:분류: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에 착안해 [[틀:언어표기]] (lang), [[틀:언어이름표기]] (llang) 등과 같이 정하는 건 어떨까 합니다. 사용처가 다르다는 의견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1년 10월 5일 (화) 14:46 (KST)
:: {{의견}} 분류명 ([[:분류: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에 착안해 [[틀:언어표기]] (lang), [[틀:언어이름표기]] (llang) 등과 같이 정하는 건 어떨까 합니다. 사용처가 다르다는 의견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1년 10월 5일 (화) 14:46 (KST)
31번째 줄: 31번째 줄:
:::::: 마찬가지로 간혹 일본어 간체자 폰트가 깨질 때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처럼 사용하는 분이 많은지는 모르겠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1년 10월 5일 (화) 18:09 (KST)
:::::: 마찬가지로 간혹 일본어 간체자 폰트가 깨질 때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처럼 사용하는 분이 많은지는 모르겠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1년 10월 5일 (화) 18:09 (KST)
::::::: 두 분 다 예시를 볼 수 있을까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1년 10월 5일 (화) 18:10 (KST)
::::::: 두 분 다 예시를 볼 수 있을까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1년 10월 5일 (화) 18:10 (KST)
:::::::: "雨는 대만 중국어 표기로 <nowiki>{{lang|zh-tw|雨|font=auto}}</nowiki>인데 한국어 전용 웹폰트가 적용되어 雨로 출력." 이렇게 사용하곤 합니다.{{사용자:Cerulean/서명하기/}} 2021년 10월 5일 (화) 18:14 (KST)
:::::::: "雨는 대만 중국어 표기로 {{lang|zh-tw|雨|font=auto}}인데 한국어 전용 웹폰트가 적용되어 雨로 출력." 이렇게 사용하곤 합니다.{{사용자:Cerulean/서명하기/}} 2021년 10월 5일 (화) 18:14 (KST)


그렇다면 그냥 lang, llang으로 유지하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1년 10월 5일 (화) 18:30 (KST)
그렇다면 그냥 lang, llang으로 유지하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1년 10월 5일 (화) 18:30 (KST)
60번째 줄: 60번째 줄:


== 틀:lang-(언어) 개칭 ==
== 틀:lang-(언어) 개칭 ==
{{완료된 토론 시작}}
{{틀|lang-(언어)}}를 {{틀|(언어)}}로의 개칭을 제안합니다. 작성상 편리함이 있을 것 같습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2월 27일 (일) 11:33 (KST)
{{틀|lang-(언어)}}를 {{틀|(언어)}}로의 개칭을 제안합니다. 작성상 편리함이 있을 것 같습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2월 27일 (일) 11:33 (KST)
: {{틀|본명}} 등 표기 틀과의 통일성을 위해서 llang을 (언어)로 하는 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 사용자토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틀|한국 한자}}에 대한 의견을 여기에 남깁니다.
: {{틀|본명}} 등 표기 틀과의 통일성을 위해서 llang을 (언어)로 하는 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 사용자토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틀|한국 한자}}에 대한 의견을 여기에 남깁니다.
130번째 줄: 129번째 줄:
:: {{동의}} 맞습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4일 (금) 19:29 (KST)
:: {{동의}} 맞습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4일 (금) 19:29 (KST)
:: {{질문}} 특수 문자를 뒤로 옮겨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2년 3월 4일 (금) 19:32 (KST)
:: {{질문}} 특수 문자를 뒤로 옮겨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2년 3월 4일 (금) 19:32 (KST)
::: 그렇습니다. --[[사용자:Text-Justify|<span style="color: #606060; font-weight: 300; font-family: Helvetica Neue, Helvetica;">Text-Justify</span>]] ([[사용자토론:Text-Justify|메시지]]) 2022년 3월 4일 (금) 19:33 (KST)
:::: 특수문자가 있으면 자동완성이 안 되나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2년 3월 5일 (토) 18:08 (KST)
:::: 특수문자 자체는 관련이 없지만 앞부분에 붙으면 '틀:한국어'와 같이 검색창에 입력했을 때 자동완성으로 함께 표시가 안 되는 단점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용자:Text-Justify|<span style="color: #606060; font-weight: 300; font-family: Helvetica Neue, Helvetica;">Text-Justify</span>]] ([[사용자토론:Text-Justify|메시지]]) 2022년 3월 5일 (토) 22:02 (KST)
::::: 자동완성을 사용할 때 오인하거나 잘못 누를 경우를 생각하면 앞에 있는 게 나을 것 같기도 한데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2년 3월 5일 (토) 22:53 (KST)
::::: 차이가 있는 복수의 자동완성이 (특히 틀에서) 같은 대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해 확인 없이 사용할 일은 특수한 경우로 생각하고, 누르더라도 설명을 거치게 되므로 일부러 앞쪽에 붙이는 것은 고려 대상이 아닌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용자:Text-Justify|<span style="color: #606060; font-weight: 300; font-family: Helvetica Neue, Helvetica;">Text-Justify</span>]] ([[사용자토론:Text-Justify|메시지]])
: 그리고 기호를 붙이는 경우는 원기호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자칫 무엇을 더한다는 의미인지(+)처럼 혼동될 가능성을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용자:Text-Justify|<span style="color: #606060; font-weight: 300; font-family: Helvetica Neue, Helvetica;">Text-Justify</span>]] ([[사용자토론:Text-Justify|메시지]]) 2022년 3월 6일 (일) 23:49 (KST)
:: {{의견}} 읽고보니 그것도 맞는 것 같습니다. 하이픈이나 역슬래시, 따옴표 같이 그 뜻이 잘 연상되지 않는 기호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6일 (일) 23:57 (KST)
HTML 및 올바른 표기를 지정하는 '원문자 표기와 같게' 역할에 착안해서<code><nowiki>{{한국어=}}</nowiki></code>도 제안해 봅니다. --[[사용자:Text-Justify|<span style="color: #606060; font-weight: 300; font-family: Helvetica Neue, Helvetica;">Text-Justify</span>]] ([[사용자토론:Text-Justify|메시지]]) 2022년 3월 7일 (월) 00:02 (KST)
{{의견}} 틀의 사용처를 가장 잘 나타내는 이름은 <code>{{틀|한국어 지정}}</code>이라고 생각합니다. {{틀|취소선}} - {{틀|ㅊ}}와 같이 틀의 이름은 <code>{{틀|한국어 지정}}</code>으로 하고 특수 문자 등을 사용하는 짧은 이름은 넘겨주기로 남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2년 3월 7일 (월) 00:33 (KST)
: {{찬성}}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1일 (금) 16:11 (KST)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cerulean)
# <code><nowiki>{{l한국어}}</nowiki></code>(cerulean)
# <code><nowiki>{{한국어 표기}}</nowiki></code>(<ref>원래 llang-(언어명)을 위한 안이었으나 제가 lang-(언어명)의 새 이름으로 새로 제안합니다.</ref> cerulean)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Liebesfreud)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Pika)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Pika)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Pika)
# <code><nowiki>{{ㅍ한국어}}</nowiki></code>(cerulean)
# <code><nowiki>{{한국어 지정}}</nowiki></code>(Text-Justify)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Text-Justify)
#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cerulean)
틀 이름은 <code><nowiki>{{한국어 지정}}</nowiki></code> 이렇게 지으면 좋겠습니다.[[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2일 (토) 09:07 (KST)
: 조금 여유를 두었으니 논의를 진행했으면 합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3일 (일) 16:32 (KST)
:: 반대 의견 없다면 틀 이름은 <code><nowiki>{{한국어 지정}}</nowiki></code> 이렇게 바꾸고 축약형 넘겨주기는 <code><nowiki>{{한국어=}}</nowiki></code>로 하는 걸로 가죠.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5일 (화) 00:39 (KST)
::: 좋습니다.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2년 3월 16일 (수) 06:23 (KST)
:::: 무단으로 진행하기에는 좀 그랬습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6일 (수) 09:41 (KST)
<code><nowiki>{{한국어 지정}}</nowiki></code>로 바꾸고 보니 약간 비직관적인 것 같습니다. <code><nowiki>{{한국어 표기}}</nowiki></code>도 제안합니다. 어차피 축약형 넘겨주기를 생성하니까 이름이 길어도 되고 충분한 길이는 직관적인 작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중에서만 결정하고 토론을 끝내볼까합니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6일 (수) 10:43 (KST)
: 어차피 짧은 넘겨주기만 쓸 것 같은데 틀 이름이 비직관적이어도 상관없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그냥 언어명=으로 해도 될지도요.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2년 3월 17일 (목) 21:58 (KST)
:: Liebesfreud님은 <code><nowiki>{{한국어 지정}}</nowiki></code>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하시네요. Text-Justify, Liebesfreud님도 PIKA님 의견에 동의하실지 안하실지 모르니까 기다려 봅시다. Liebesfreud님은 넘겨주기를 만들자고 하셨고요. 저는 굳이 넘겨주기를 만드는건 파편화를 유발시킬 수도 있을 것도 같습니다. 아니면 아예 쓰지 않는 틀 이름은 버리는게 나을 수도요.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7일 (목) 22:06 (KST)
[[틀:가사]]에서 <code>언어1</code>, <code>언어2</code> 변수를 쓰는 경우 텍스트가 깨지는 문제가 있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사:Liebesfreud|Liebesfreud]] <small>([[특:기여/Liebesfreud|기여]]∙[[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2년 3월 18일 (금) 18:46 (KST)
: 수정했습니다. 등호를 넣어서 문제 생긴 것이 아니라 봇이 틀을 건드린 것 같습니다. 혹시 문제 있다면 알려주세요.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8일 (금) 19:04 (KST)
그냥 PIKA님 의견대로 언어명=으로 해도 lang-언어명보다는 직관적으로 느껴집니다. 그렇게 합시다.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8일 (금) 23:36 (KST)
더 이상의 찬반 의견이 없어 토론 종료해도 될 것으로 판단되어 넘겨주기 없이 <code><nowiki>틀:언어명=</nowiki></code>만을 생성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9일 (토) 20:39 (KST)
{{완료된 토론 끝}}
: 틀의 이름을 변경한 후 생긴 오류나 기타사항이 있으면 여기에 적어주세요. [[사:Cerulean|{{색|g=linear-gradient(24deg, #0850a5, #71ffeb);|'''CAERULEUM'''}}]] [[사토:Cerulean|<small>토론</small>]] [[특수:기여/Cerulean|<small>기여</small>]] 2022년 3월 19일 (토) 20:34 (KST)
{{토론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