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토마스와 친구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등장인물 정보
{{토마스
|인물이름 = 토마스
|이름=토마스
|원어이름 = Thomas
|영문=Thomas
|배경색  = blue
|그림=토마스.png
|글자색  = white
|그림설명=
|그림     = [[파일:토마스.png|400px]]
|번호=1
|그림설명 =  
|모델=LBSC E2 tank engine
|본명    = 탱크기관차 토마스 (Thomas the tank engine)
|제작=1915년 6월/9월, 1960년{{|평판 개수된 년도}}{{|원작에서 역장님의 집을 들이박아 원래의 곡선 평판에서 평평한 직선 평판으로 개수되었다.}}
|다른이름 = 증기기관차 토마스 (Thomas the steam engine)
|차륜배열=0-6-0T
|출생일  = [[1915년]]
|소도어 섬 도착일=1923년 초중반으로 추정{{|토마스 위키에서는 그림책 시리즈 기준으로 적어놨는지 제작년도와 같은 1915년으로 적혀 있다.}}
|출생지  =
|최고속력=50mph{{|토마스 위키에서의 서술에서는 70mph (시속 113km)로 서술되어 있다.}}
|사망일  =
|도색=파랑
|사망지  =
|종족    = [[증기기관차]] (LBSC E2 tank engine)
|성별    = 남성
|국적    = [[영국]], [[소도어 섬]]
|직업    = 화물 옮기기 및 객차 운수, 입환
|종교    =
|신체    =
|배우자  =
|가족    =
|소속    = [[스팀 팀]]<br /> [[노스 웨스턴 철도]]
|색상    = [[파란색]]
|하위 틀  =
|작품    = [[토마스와 친구들]]
|배우    =
|성우    = {{국기그림|영국}} [[벤 스몰]](2009년~2015년) <br /> {{국기그림|영국}} [[존 하슬러]](2015년~2021년) <br /> {{국기그림|미국}} [[마틴 셔먼]](2009년~2015년) <br /> {{국기그림|미국}} [[조세프 메이]](2015년~2021년) <br /> {{국기그림|대한민국}} [[신용우]](2009년~2021년)
|창작자  = [[윌버트 오드리]]
|등장    =
|퇴장    =
|비고    =  
}}
}}
{{인용문|Cinders and Ashes!{{ㅈ|토마스가 놀랄 때 사용하는 감탄사. 토마스 뿐만 아니라 일부 기관차들도 이 말을 쓰곤 한다. 'cinders'는 뜬숯, 혹은 나무나 석탄이 타고 남은 재를 뜻하고 ash 역시 재를 뜻하나 좀 더 넓은 범위의 재(화산재, 담뱃재 포함)를 뜻한다. 한국어로는 딱히 번역되지 않았다. 다 쓰고 남은 잿더미를 말하는 것으로 봐서 기관차 입장으로 치환된 영어 욕설 "Shit"일 수 있다. (...)}}}}
{{인용문|Cinders and Ashes!{{ㅈ|토마스가 놀랄 때 사용하는 감탄사. 토마스 뿐만 아니라 일부 기관차들도 이 말을 쓰곤 한다. 'cinders'는 뜬숯, 혹은 나무나 석탄이 타고 남은 재를 뜻하고 ash 역시 재를 뜻하나 좀 더 넓은 범위의 재(화산재, 담뱃재 포함)를 뜻한다. 한국어로는 딱히 번역되지 않았다. 다 쓰고 남은 잿더미를 말하는 것으로 봐서 기관차 입장으로 치환된 영어 욕설 "Shit"일 수 있다. (...)}}}}
40번째 줄: 21번째 줄:


약간의 건망증(특히 무언가에 열중할 때)과 참을성이 적은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경주하는 것을 좋아하는 모습도 종종 나타난다. 실제로 에피소드들을 보면 토마스가 주로 치는 사고들이 이렇게 자신이 너무 업되어서 주변 상황을 안살피고 자기 멋대로 행동하는 것에 기인한 것이 가장 많다. 경주 대상으로는 자신과 급이 비슷한 [[제임스 (토마스와 친구들)|제임스]]나 [[퍼시 (토마스와 친구들)|퍼시]]가 그 상대가 되는 듯.
약간의 건망증(특히 무언가에 열중할 때)과 참을성이 적은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경주하는 것을 좋아하는 모습도 종종 나타난다. 실제로 에피소드들을 보면 토마스가 주로 치는 사고들이 이렇게 자신이 너무 업되어서 주변 상황을 안살피고 자기 멋대로 행동하는 것에 기인한 것이 가장 많다. 경주 대상으로는 자신과 급이 비슷한 [[제임스 (토마스와 친구들)|제임스]]나 [[퍼시 (토마스와 친구들)|퍼시]]가 그 상대가 되는 듯.
상상력이 아주 풍부한 기관차다. 그런데 상상을 과하게 하다가 거기에 몰입해서 사고를 낸다. 작중에서 토마스가 급발진 하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상상력이다. 마술사가 공연하러 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감동받아서 자신도 마술차(?)가 되는 상상을 하다가 명령을 잘 못 듣는다든지,{{ㅈ|시즌 11 수리수리 마수리(Smoke and mirrors)}} 기관차들의 특성상 철길만 따라가야 하는 답답함 때문에 어디든 날아갈 수 있는 비행기가 되는 상상을 하거나,{{ㅈ|시즌 19 The Other Side of the Mountain}} 세계 최고의 오페라 가수가 되어 인기를 끄는 상상을 하기도 한다.{{ㅈ|시즌 23 너무 시끄러워, 토마스!(Too loud, Thomas!)}}
다른 기관차들보다 머리도 좋다는 묘사가 많이 된다. 혼자서 다른 각도에서 생각할 줄도 알고,{{ㅈ|[[Marvellous Machinery]]에서는 다른 기관차들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상이 어떻게 바뀔지 상상하는데, 토마스는 자신들이 하는 일자리가 사라지고 나중에는 자신들마저 미래의 기술로 대체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경각심을 가지게 되었고 전기로 움직이는 기관차들에게 텃세를 부리기도 했다.}} 어떠한 것이 방치가 되면 나중에 어떤 사고가 일어날 지 대충 예상하는데다{{ㅈ|초창기에는 자만심이 가득하고 경력이 없어 지식이 부족해 많이 사고내긴 했다.}} 사고가 일어나면 무엇부터 해야 하는지 알아서 척척 해내고, [[퍼시 (토마스와 친구들)|퍼시]]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그 개념을 차근차근 설명해주기도 한다. 참고로 대다수 기관차들이 어려워하는 단어도 토마스는 이미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른 기관차들은 '대표'라는 단어를 몰라서 '대추' 라고 잘못 알아듣고 잘못 말했는데 토마스는 확실하게 대표라고 대답한다.
물론 머리가 좋아서 교활한 짓을 하기도 한다. 시즌 1 토마스와 고든(Down to mine)에서는 예전부터 들어가고 싶었던 동굴 앞으로 갈 기회가 주어지자 아침부터 계획을 짜놓았고 사람들을 놀래키면서까지 계획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지만 동굴 앞의 지반이 약해 무너져서 떨어지기도 했고 시즌 11 Hide and peep에서는 숨은 퍼시를 꾀어내기 위해 거짓말로 사장님이 오셨다면서 외치기도 하고, 극장판으로까지 가자면 우정의 대모험에서는 제철소로 강제로 끌려가서 소도어 섬으로 탈출하려는데 번개 소리가 날 때 마다 철창 문을 열려고 시도하면서 자신의 숨기려 했다. 위치를 계산해서 빅 월드 빅 어드벤처에서는 생선 열차를 빅커스타운으로 옮기는 일을 하기 싫다고 마침 같은 곳으로 가던 [[고든 (토마스와 친구들)|고든]]의 맨 뒷부분에 몰래 연결시켜서 도망가기도 했다.


토마스는 [[버티 (토마스와 친구들)|버티]]에게 라이벌 의식을 가장 강하게 갖고 있다. 둘이 만나기만 하면 경주를 시작하는데 경주 초반에는 버티가 이기나 후반에는 {{ㅊ|주인공이라서}} 토마스가 이기는 양상을 띠는 모양이다.{{ㅈ|실제로 생각해봐도 버스 보다는 기차가 빠르지만, 철도가 없는 곳 까지도 돌아다닐 수 있는 버스의 기동성을 생각해보면 토마스는 철도만 따라가야 해서 불리하긴 하다. }}
토마스는 [[버티 (토마스와 친구들)|버티]]에게 라이벌 의식을 가장 강하게 갖고 있다. 둘이 만나기만 하면 경주를 시작하는데 경주 초반에는 버티가 이기나 후반에는 {{ㅊ|주인공이라서}} 토마스가 이기는 양상을 띠는 모양이다.{{ㅈ|실제로 생각해봐도 버스 보다는 기차가 빠르지만, 철도가 없는 곳 까지도 돌아다닐 수 있는 버스의 기동성을 생각해보면 토마스는 철도만 따라가야 해서 불리하긴 하다. }}


작중에서 좋아하는 걸로 묘사되는 건 [[애니와 클라라벨]]{{ㅈ|근데 이게 조금 집착 수준이다. [[얀데레]] 까지는 아닌데 다른 기관차들이 애니와 클라라벨을 대신 끌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엄청나게 싫어한다. 다만 애니와 클라라벨도 자신들을 끌어주는 기관차가 토마스가 아니면, 애니와 클라라벨이 다른 기관차에게 끌리는 걸 토마스가 봤을 때 정도는 아닌데 많이 싫어한다. 비슷하게 고든도 자신의 급행열차를 다른 기관차가 끌면 정말 싫어하는데 이를 보아 그냥 객차라는 것은 기관차들의 소유물 취급 정도로 보인다.}}, [[버티 (토마스와 친구들)|버티]]와 경주하기, 세계 여행하기, [[고든 (토마스와 친구들)|고든]] 등 큰 기관차들에게 장난치기를 좋아하는 걸로 묘사가 된다. 자신의 지선 경로에 버티가 지나가는 경로가 겹치는데, 운행 도중 버티를 만나면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경주에 돌입하{{ㅊ|고 승객들이 위태로워지}}며 그걸 즐긴다. 특히 세계 여행하기는 아예 주제로 만들어져서 공식에서도 주기적으로 토마스의 소원을 이뤄주기도 한다. 극장판 [[빅 월드 빅 어드벤처]]부터 시작해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nvriPiyJF9V49T9kYUlXLBL-L4ybp7Yh 토마스 월드 투어] 시리즈까지 토마스가 전 세계로 여행을 떠나는 작품들이 매우 많다. 이는 토마스가 [[입환]]용 기관차로 자주 사용되어서 좁은 곳에서 지내니 답답함을 자주 느꼈기 때문.<ref>다만 그림책이나 토마스와 친구들 초창기 설정을 미는 팬들은 '[[소도어 섬]]을 벗어나는 기관차들은 마법이 풀려 얼굴이 사라지고 평범한 기관차가 된다' 라는 설정을 밀면서, 토마스는 자유를 찾으려 하지만 마법 때문에 소도어 섬에 갇혀지내는 실정이라는 내용의 잔혹동화로 만들 때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hQEYxX7wws 예시]</ref>
작중에서 좋아하는 걸로 묘사되는 건 [[애니와 클라라벨]]{{ㅈ|근데 이게 조금 집착 수준이다. [[얀데레]] 까지는 아닌데 다른 기관차들이 애니와 클라라벨을 대신 끌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엄청나게 싫어한다. 다만 애니와 클라라벨도 자신들을 끌어주는 기관차가 토마스가 아니면, 애니와 클라라벨이 다른 기관차에게 끌리는 걸 토마스가 봤을 때 정도는 아닌데 많이 싫어한다. 비슷하게 고든도 자신의 급행열차를 다른 기관차가 끌면 정말 싫어하는데 이를 보아 그냥 객차라는 것은 기관차들의 소유물 취급 정도로 보인다.}}, [[버티 (토마스와 친구들)|버티]]와 경주하기, 세계 여행하기를 좋아하는 걸로 묘사가 된다.


반대로 [[물고기]]를 [[트라우마]] 급으로 싫어한다. 그 이유는 시즌 1 12화에 있는데, 토마스가 차체 안에 물을 채워야 하지만 급수기가 고장나버려 급수받지 못했고 지나가는 길목에 있는 강물을 양동이로 퍼 올려 임시적으로 물을 채웠는데 거기 안에 들어있던 작은 물고기들이 토마스의 보일러를 막아버려 증기를 출력하지 못했고, 압력이 세져서 토마스의 조종실에서도 증기가 샐 정도였다. 이때 토마스가 "터질 듯 아팠다" 라고 표현 한 것으로 보아 굉장히 고통스러웠던 듯. 그 후 토마스의 보일러 안에 있는 물고기를 낚시로 낚은 이후 토팜 햇이 "기관차들에게는 낚시는 적합하지 않단다"라고 한 후, 토마스가 "낚시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라고 대답했고 그 이후 생선 비린내를 맡기만 해도 몸서리치면서 싫어한다.
반대로 [[물고기]]를 [[트라우마]] 급으로 싫어한다. 그 이유는 시즌 1 12화에 있는데, 토마스가 차체 안에 물을 채워야 하지만 급수기가 고장나버려 급수받지 못했고 지나가는 길목에 있는 강물을 양동이로 퍼 올려 임시적으로 물을 채웠는데 거기 안에 들어있던 작은 물고기들이 토마스의 보일러를 막아버려 증기를 출력하지 못했고, 압력이 세져서 토마스의 조종실에서도 증기가 샐 정도였다. 이때 토마스가 "터질 듯 아팠다" 라고 표현 한 것으로 보아 굉장히 고통스러웠던 듯. 그 후 토마스의 보일러 안에 있는 물고기를 낚시로 낚은 이후 토팜 햇이 "기관차들에게는 낚시는 적합하지 않단다"라고 한 후, 토마스가 "낚시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라고 대답했고 그 이후 생선 비린내를 맡기만 해도 몸서리치면서 싫어한다.
토마스는 작중에서 극심한 [[음치]]다. 시즌 23 "너무 시끄러워, 토마스!(Too Loud, Thomas!)" 에서는 [[로렌조 (토마스와 친구들)|로렌조]]가 오페라를 하는 게 너무 멋있어서 로렌조에게 오페라 하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했는데, 정작 해보니까 너무 어렵고 음정도 못잡으면서 막 따라하다가 [[성대결절|성대가 나갔다.]] 근데 다른 뮤지컬이나 극장판의 노래 부르는 때가 오면, [[존 하슬러|토마스를 연기한]] [[조세프 메이|사람]]도 성우다보니 토마스도 작중에서 노래를 엄청 잘 부르게 되는데 그냥 토마스가 음치연기를 하는 거 같기도. 마치 발연기를 연기하는 전문배우 같은 연출(?)이거나 단편적으로 넘어가는 설정인 듯 하다.


=== 인성질 ===
=== 인성질 ===
78번째 줄: 51번째 줄:
* 『[[모험의 시작]]』(The Adventure Begins)에서 보면 처음 [[소도어 섬]]에 도착할 당시 토마스의 번호는 70번{{ㅈ|토마스 탄생 70주년을 의미한다.}}이었고 도색도 녹색이었다. 거기다 옆면에는 대놓고 원 모델인 L.B.S.C.{{ㅈ|London, Brighton and South Coast Railway}}가 떡하니 박혀있기까지 했었다. 물론 곧 파란색 도색과 1번으로 재도색을 한다.
* 『[[모험의 시작]]』(The Adventure Begins)에서 보면 처음 [[소도어 섬]]에 도착할 당시 토마스의 번호는 70번{{ㅈ|토마스 탄생 70주년을 의미한다.}}이었고 도색도 녹색이었다. 거기다 옆면에는 대놓고 원 모델인 L.B.S.C.{{ㅈ|London, Brighton and South Coast Railway}}가 떡하니 박혀있기까지 했었다. 물론 곧 파란색 도색과 1번으로 재도색을 한다.
*원작 철도 시리즈에서 토마스는 1960년에 파파카{{ㅈ|토마스의 지선 이름으로, 영어판에서는 "파쿠하"라고 부르지만 한글판에서는 "파파카"라고 나왔다.}}{{ㅈ|중앙교육연구원 번역판에서는 팔콸이라고 나온다}} 역장님의 집을 들이박은 후 원래의 곡선 평판에서 평평한 직선 평판으로 개수되었다. 모형 시리즈에서는 평판이 개수되지 않는다.
*원작 철도 시리즈에서 토마스는 1960년에 파파카{{ㅈ|토마스의 지선 이름으로, 영어판에서는 "파쿠하"라고 부르지만 한글판에서는 "파파카"라고 나왔다.}}{{ㅈ|중앙교육연구원 번역판에서는 팔콸이라고 나온다}} 역장님의 집을 들이박은 후 원래의 곡선 평판에서 평평한 직선 평판으로 개수되었다. 모형 시리즈에서는 평판이 개수되지 않는다.
* [[지속가능발전목표]] 공식 어린이 홍보대사로 나왔다. {{ㅊ|목표를 안 지키면 잡아먹을거야}} 영상을 전부 보려면 [[토마스와 친구들#교육용 클립 영상]] 항목을 보자. 단 토마스를 홍보대사로 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도 많았는데 이는 [[지속가능발전목표#기타|지속가능발전목표의 기타 문단]]을 참조하자.
* 1999년 [[토마스와 친구들]] 공식사이트의 언급에서는 '토마스'는 [[이름]]이고 '탱크기관차'(the tank engine)가 '''[[성씨]]'''라고 한다. 따라서 토마스의 풀네임은 '토마스 더 탱크 엔진'이다. 실제로 화가 나면 그 사람의 이름 전부를 부르듯 작중 내내 토마스나 다른 기관차들이 정말 심할 정도로 사고를 쳐서 [[토팜 햇]]이 머리 끝까지 화날 때 똑같이 저런 호칭까지 다 부른다. 이를 보아 이런 이름들은 별명이 아니라 성씨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근데 이렇게 따지면 토마스가 큰 기관차를 괴롭히는 게 일종의 가족력같은건지 토마스와 비슷한 성씨(?)를 가지고 있는 [[빌과 벤]](the tank engine twin) 역시 커다란 기관차들을 자주 놀린다. 알게모르게 공식적으로 편입된 설정인 듯 하다. 이름인 [[토마스]]는 토마스가 만들어진 증기기관차 작업장에서 지어준 이름이라고 한다. [https://web.archive.org/web/19980117100256/http://www.thomasthetankengine.com/notice/faq.htm 아카이브된 자료]


== 밈으로 등극하다 ==
== 밈으로 등극하다 ==
{{유튜브|g2ns69Fs9c8}}
[[토마스와 친구들]]의 등장인물들의 [[불쾌한 골짜기|모델 시절 모습이 무섭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의외로 토마스와 친구들이 공포물로 각색되는 것이 많았다. 그런데 그 중에 주인공인 토마스가 제일 기억에 남았고, 프로그램 이름부터 이 캐릭터의 이름이 등장하니 토마스를 대표로 내세워 '''괴물'''로 [[탱킹|등장시키는 게 많아졌다.]]{{ㅊ|Thomas the Tanking engine}} 대표적인 작품은 Tom coben의 '''[https://www.youtube.com/watch?v=oUPzbvm7eRc&list=PLKzAsAjSb75pk2ODV0yGVDemHuMy-xnYk&index=1 Thomas the nightmare engine]''' 시리즈. 여기의 토마스는 [[거미]]처럼 생긴 괴물로 등장하며, '[[쉘롭]]{{ㅈ|[[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거미 몬스터이다.}}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고 사람을 잡아먹는다. 이 시리즈에서는 [[토팜 햇]]이 두번이나 잡아먹혔다. [[방탄소년단]]과 합성해서 [https://www.youtube.com/watch?v=IprMkSjlRwY 공포영화 트레일러 마냥 고퀄로 만들어놓은 것]도 있다.
 
[[토마스와 친구들]]의 등장인물들의 [[불쾌한 골짜기|모델 시절 모습이 무섭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의외로 토마스와 친구들이 공포물로 각색되는 것이 많았다. 그런데 그 중에 주인공인 토마스가 제일 기억에 남았고, 프로그램 이름부터 이 캐릭터의 이름이 등장하니 토마스를 대표로 내세워 '''괴물'''로 [[탱킹|등장시키는 게 많아졌다.]]{{ㅊ|Thomas the Tanking engine}} 대표적인 작품은 Tom coben의 '''[https://www.youtube.com/watch?v=oUPzbvm7eRc&list=PLKzAsAjSb75pk2ODV0yGVDemHuMy-xnYk&index=1 Thomas the nightmare engine]''' 시리즈. 여기의 토마스는 [[거미]]처럼 생긴 괴물로 등장하며, '[[쉘롭]]{{ㅈ|[[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거미 몬스터이다.}}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고 사람을 잡아먹는다. 이 시리즈에서는 [[토팜 햇]]이 세 번이나 잡아먹혔다. [[방탄소년단]]과 합성해서 [https://www.youtube.com/watch?v=IprMkSjlRwY 공포영화 트레일러 마냥 고퀄로 만들어놓은 것]도 있다.
 
공포물 아니면 사람을 치어죽이는 것에 환장한 악마의 기관차(...) 같은 포지션으로 나오는 경우가 잦다. 외국에서 '밈 유니버스'라는 것을 만들 때 다른 밈들과 콜라보레이션 할 때 토마스가 이런 식으로 자주 나온다. 아니면 다른 밈 캐릭터들을 이곳저곳 바래다주는 기관차라든가... 여러 게임에서 모딩을 통해서 하나의 몬스터 같은걸로도 등장하기도 한다.


토마스가 밈 세계관 등장인물로서 가장 많은 조회수를 얻은 영상은 [https://www.youtube.com/watch?v=b8HO6hba9ZE We like to party]이다.
공포물 아니면 사람을 치어죽이는 것에 환장한 악마의 기관차(...) 같은 포지션으로 나오는 경우가 잦다. 외국에서 '밈 유니버스'라는 것을 만들 때 다른 밈들과 콜라보레이션 할 때 토마스가 이런 식으로 자주 나온다. 아니면 다른 캐릭터들을 이곳저곳 바래다주는 기관차라든가...


[https://www.youtube.com/watch?v=fkB3F4-NI8A 토마스의 테마곡] 역시 랩 커버 영상에 자주 사용된다. 사실 일부 테마곡은 리듬이 랩하기에 적당한 구조이며 적당한 속도이기 때문에 [[스폰지밥]] 배경음과 함께 애용하는 듯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qxi2KKDODYM 이런 영상도 나올 지경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T0j3w2V1OJA 이 영상에서 사용된 음악]은 클래식 시리즈에서 기관차들이 사고치기 전에 나오는 음악인데, 주로 기관차들의 속도가 붙었을 때 사용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fkB3F4-NI8A 토마스의 테마곡] 역시 랩 커버 영상에 자주 사용된다. 사실 일부 테마곡은 리듬이 랩하기에 적당한 구조이며 적당한 속도이기 때문에 [[스폰지밥]] 배경음과 함께 애용하는 듯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qxi2KKDODYM 이런 영상도 나올 지경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T0j3w2V1OJA 이 영상에서 사용된 음악]은 클래식 시리즈에서 기관차들이 사고치기 전에 나오는 음악인데, 주로 기관차들의 속도가 붙었을 때 사용하였다.
95번째 줄: 62번째 줄:


{{주석}}
{{주석}}
{{토마스와 친구들}}
{{토마스와 친구들}}
{{퍼온문서|Thomas||참조|토마스 더 탱크 엔진 위키|http://ttte.wikia.com/wiki/Thomas}}
{{퍼온문서|Thomas||참조|토마스 더 탱크 엔진 위키|http://ttte.wikia.com/wiki/Thomas}}
 
[[분류:토마스와 친구들]]
[[분류:토마스와 친구들의 등장인물]]
[[분류:인터넷 밈/애니메이션]]
[[분류:인터넷 밈/음악]]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