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애니메이션
|영상물이름  = 토가이누의 피
|구분 = TVA
|원어이름    = {{일본어=|咎狗の血}}
|장르 = 보이즈 러브, 액션, 하드보일드
|배경색      =  
|제목 = 토가이누의 피
|글자색      =  
|제목/원어 = {{루비|咎狗の血|とがいぬのち}}
|그림         = [[파일:Togainu no Chi (anime) logo.webp|200px]]<br />[[파일:Togainu animation.jpg|300px]]
|제목/영어 = Blood Of The Reprimanded Dog
|그림설명    = 키 비주얼
|제목/기타 = Togainu no chi
|방송채널    = [[마이니치 방송]]
|로고 =  
|제작사       = [[A-1 Pictures]]
|그림 = [[파일:Togainu animation.jpg]]
|감독        =  
|화수 = 12화
|제작         =
|전작 =
|작가        = [[타카하시 나츠코]]<br />와타나베 다이스케<br />스가와라 유키에<br />우라조노 메구미
|후속작 =
|장르        = 보이즈 러브, 액션, 하드보일드
<!-- 방영 정보: 현지 -->
|나라        = {{나라|일본}}
|현지국가 = 일본
|언어        = [[일본어]]
|방영일자 = 2010년 10월 7일 ~ 2010년 12월 23일
|방영일      = 2010년 10월 7일 ~ 2010년 12월 23일
|최속방송 = 마이니치 방송
|방영시각    =  
|방영시각 =
|시즌수      =  
|개봉일자 =
|화수        = 전 12화
|상영시간 =
|시간        =  
|방영사이트 =
|시리즈      = [[토가이누의 피]]
|공식사이트 = [http://www.togainu.tv/ 공식 사이트]
|다음작품    =  
<!-- 방영 정보: 한국 -->
|웹사이트    = [http://www.togainu.tv/ 공식 사이트]
|한국방영일자 = 2010년 10월 7일 ~ 2010년 12월 23일
|캐릭터원안  = [[타타나 카나]]
|한국최속방송 = 애니플러스
|캐릭터디자인 = 콘노 나오유키
|한국방영시각 =
|연출        = 콘노 나오유키<br />치바 다이스케,
|한국개봉일자 =
|미술        =  
|한국상영시간 =
|촬영감독     =  
|한국방영사이트 =
|음악        = 이즈카 마사아키
|한국공식사이트 =
|번역방송채널 = [[애니플러스]]
<!-- 제작 정보 -->
|번역방영일  = 2010년 10월 7일 ~ 2010년 12월 23일
|원작 = [[니트로플러스 키랄]]<br/>[[후치이 카부라]]
|번역방영시각 =  
|총감독 = [[콘노 나오유키]]
|비고        =  
|감독 =  
|시리즈 구성 = [[타카하시 나츠코]]
|음악 = 이즈카 마사아키
|제작사 = [[A-1 Pictures]]
|제작위원회 = 토가이누의 피 제작위원회
<!-- 세부 제작 정보 -->
|각본 = [[타카하시 나츠코]]<br/>와타나베 다이스케<br/>스가와라 유키에<br/>우라조노 메구미
|연출 = 콘노 나오유키<br/>치바 다이스케,  
|캐릭터 원안 = [[타타나 카나]]
|캐릭터 디자인 = 콘노 나오유키
|메카닉디자인 =  
|배경 =  
|작화감독 = 콘노 나오유키<br/>야나세 유지<br/>이시가미 코미<br/>사카마키 사다히코<br/>쿠사카 타케시<br/>코바야시 토시미츠<br/>타카하시 아츠코<br/>소부 유코<br/>나카자와 유이치<br/>타카노리 요코<br/>
|미술감독 =  
|색채설계 =  
|음향감독 =  
|음악 = 이즈카 마사아키
|음악제작 =  
|촬영감독 =  
|편집 =  
|특수효과 =  
|3D감독 =  
|기획 =  
|프로듀스 =  
}}
}}
{{넘겨주기 있음|토가이누 애니판}}


《'''토가이누의 피'''》({{루비|咎狗|とがいぬ}}の{{루비|血|ち}}, ''Blood Of The Reprimanded Dog'')는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창설 5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동일 회사 [[BL 게임]] 《[[토가이누의 피]]》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이다. 2010년 4분기에 첫 방영하였다. PV는 2010년 도쿄 아니메 페어와 키랄 나이트 이벤트에서 선공개 되었다. [[니트로플러스]]는 원작사로서의 위치에 있었으며, 3D 관련으로 제작에 관여를 했다.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창설 5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동일 회사 [[BL 게임]] 《[[토가이누의 피]]》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이다. 2010년 4분기에 첫 방영하였다. PV는 2010년 도쿄 아니메 페어와 키랄 나이트 이벤트에서 선공개 되었다. [[니트로플러스]]는 원작사로서의 위치에 있었으며, 3D 관련으로 제작에 관여를 했다.


== 상세 ==
== 상세 ==
50번째 줄: 74번째 줄:
=== 엔딩 ===
=== 엔딩 ===
대부분 니트로플러스와 관련되었거나 토가이누에 참여한 전적이 있는 아티스트들([[이토 카나코]], [[키무라 세이지]], [[와타나베 카즈히로]], [[커리큘러 머신]], [[VERTUEUX]] 등)이 애니메이션 주제곡 담당으로 참여했다.
대부분 니트로플러스와 관련되었거나 토가이누에 참여한 전적이 있는 아티스트들([[이토 카나코]], [[키무라 세이지]], [[와타나베 카즈히로]], [[커리큘러 머신]], [[VERTUEUX]] 등)이 애니메이션 주제곡 담당으로 참여했다.
* '''[[No moral]]'''
* '''[[No moral]]'''
* '''[[bright lights]]'''
* '''[[bright lights]]'''
71번째 줄: 96번째 줄:
|-
|-
| 1
| 1
| 허몽(허황된 꿈)/LOST<br />
| 허몽(허황된 꿈)/LOST<br/>
虚夢/LOST
虚夢/LOST
| 2010년 10월 7일
| 2010년 10월 7일
77번째 줄: 102번째 줄:
|-
|-
| 2
| 2
| 死街/toshima<br />
| 死街/toshima<br/>
사가(죽음의 거리)/toshima
사가(죽음의 거리)/toshima
| 2010년 10월 14일
| 2010년 10월 14일
|-
|-
| 3
| 3
| 狂争/igra<br />
| 狂争/igra<br/>
투쟁/igra
투쟁/igra
| 2010년 10월 21일
| 2010년 10월 21일
88번째 줄: 113번째 줄:
|-
|-
| 4
| 4
| 休刑/ease<br />
| 休刑/ease<br/>
휴형/ease
휴형/ease
| 2010년 10월 28일
| 2010년 10월 28일
94번째 줄: 119번째 줄:
|-
|-
| 5
| 5
| 決蔑/crack<br />
| 決蔑/crack<br/>
결멸/crack
결멸/crack
| 2010년 11월 4일
| 2010년 11월 4일
100번째 줄: 125번째 줄:
|-
|-
| 6
| 6
| 怨鎖/desire<br />
| 怨鎖/desire<br/>
원쇄(원망의 쇠사슬)/desire
원쇄(원망의 쇠사슬)/desire
| 2010년 11월 11일
| 2010년 11월 11일
106번째 줄: 131번째 줄:
|-
|-
| 7
| 7
| 因念/sever<br />
| 因念/sever<br/>
인념/sever
인념/sever
| 2010년 11월 18일
| 2010년 11월 18일
112번째 줄: 137번째 줄:
|-
|-
| 8
| 8
| 酷白/rein<br />
| 酷白/rein<br/>
혼백/rein
혼백/rein
| 2010년 11월 25일
| 2010년 11월 25일
| 스가와라 유키에<br />타카하시 나츠코
| 스가와라 유키에<br/>타카하시 나츠코
|-
|-
| 9
| 9
| 薬束/bond<br />
| 薬束/bond<br/>
약속/bond
약속/bond
| 2010년 12월 2일
| 2010년 12월 2일
124번째 줄: 149번째 줄:
|-
|-
| 10
| 10
| 結脈/il re<br />
| 結脈/il re<br/>
결맥/il re
결맥/il re
| 2010년 12월 9일
| 2010년 12월 9일
130번째 줄: 155번째 줄:
|-
|-
| 11
| 11
| 増悪/convict<br />
| 増悪/convict<br/>
증오/convict
증오/convict
| 2010년 12월 16일
| 2010년 12월 16일
|-
|-
| 12
| 12
| 同至/beginning<br />
| 同至/beginning<br/>
동지/beginning
동지/beginning
| 2010년 12월 23일
| 2010년 12월 23일
141번째 줄: 166번째 줄:


== '''비판 및 문제점''' ==
== '''비판 및 문제점''' ==
{{본문|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비판}}
{{본문|토가이누의 피/애니메이션/비판}}
{{ㅊ|이 항목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다.}} 농담 아니고 '''토가이누의 피와 관련된 미디어 믹스 및 BL 게임 파생작 중 최악의 졸작'''으로 유명하다.
{{ㅊ|이 항목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다.}} 농담아니고 '''토가이누의 피와 관련된 미디어 믹스 및 BL 게임 파생작 중 최악의 졸작'''으로 유명하다.


== DVD판 ==
== DVD판 ==
[[파일:Togainu dvdbox jk01.jpg|가운데]]
[[파일:Togainu dvdbox jk01.jpg|가운데]]
[[파일:Togainu dvdbox jk02.jpg|섬네일|오른쪽|DVD 박스 구성물]]
[[파일:Togainu dvdbox jk02.jpg|섬네일|오른쪽|DVD 박스 구성물]]
원래 다른 애니메이션 DVD처럼 단권 발매를 하려고 했고 총 6권 발매 예정이였다.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이 너무 큰 나머지 DVD 예약률이 한없이 낮아 계속 미루어지더니 결국 단권 DVD 발매는 취소되었고 종영 뒤 작화들을 대거 수정 및 특전들을 넣은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커버 일러스트는 [[타타나 카나]]가 아닌 [[야마다 우이로]]가 그렸다.
원래 다른 애니메이션 DVD처럼 단권 발매를 하려고 했고 총 6권 발매 예정이였다.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이 너무 큰 나머지 DVD 예약률이 한없이 낮아 계속 미루어지더니 결국 단권 DVD 발매는 취소되었고 종영 뒤 작화들을 대거 수정 및 특전들을 넣은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커버 일러스트는 [[타타나 카나]]가 아닌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렸다.


하지만 이 DVD 박스도 평가와 판매량은 매우 안좋았다. 작화 수정은 클로즈업 샷만 수정했을 뿐 지적을 받은 동화와 몇몇 심각한 작화 붕괴는 수정되지도 않았으며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못해 낱장이 떨어지지 않나 팬들이 정말로 원한 아키라가 각 공략 캐릭터와 이어지는 별도의 엔딩 및 팬서비스는 없었다. 덕분에 웬만한 여성향 애니메이션들은 [[블루레이]] 열풍이 불자 블루레이 이식판이 나왔는데 토가이누 애니판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으며 가격도 원가는 27,000엔(약 27만 원)인데 얼마 지나지지 않아 5,200엔(약 5만 2천 원)으로 떨이할인이 되었으며 중고 거래 가격도 신품 기준으로 6,255엔(약 6만 2천원)이다. 한국 수입사 [[애니플러스]]에서도 유튜브 공식 채널에 무료로 공개했지만 조회수와 덧글조차 없었고 후일 나온 애니메이션판 《[[DRAMAtical Murder (애니메이션)|]DRAMAtical Murder]]》은 재방송 및 VOD 서비스까지 했는데 토가이누 애니판만큼은 재방송 및 VOD 서비스조차 하지 않는 공식 흑역사로 낙인 찍혔다.
하지만 이 DVD 박스도 평가와 판매량은 매우 안좋았다. 작화 수정은 클로즈업 샷만 수정했을 뿐 지적을 받은 동화와 몇몇 심각한 작화 붕괴는 수정되지도 않았으며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못해 낱장이 떨어지지 않나 스토리 보강 또한 없었다. 웬만한 여성향 애니메이션들은 [[블루레이]] 열풍이 불자 블루레이 이식판이 나왔는데 토가이누 애니판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으며 가격도 원가는 27,000엔(약 27만원)인데 얼마안되 5,200엔(약 5만 2천원)으로 떨이할인이 되었으며 중고 거래 가격도 신품 기준으로 6,255엔(약 6만 2천원)이다. 한국 수입사 [[애니플러스]]에서도 유튜브 공식 채널에 무료로 공개했지만 조회수와 덧글 조차 없었는데 즉 완전히 흑역사로 자리매김했다.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토가이누의 피 애니판이 종영된 뒤 후속 애니메이션으로 그 유명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방영되었다. 마마마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지만 메인 각본가 우로부치 겐이 니트로플러스 소속이며<ref>《[[토가이누의 피]]》 문서에도 서술된 것처럼 우로부치 겐은 토가이누의 '''감독 및 각본 감수 담당'''으로 개발에 참여했었다.</ref>, 마마마에도 GL요소가 다분할 수 있었던 만큼 성격이 비슷했는데, 완전히 정반대의 성과를 냈다.
* 토가이누의 피 애니판이 종영된 뒤 후속 애니메이션으로 그 유명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방영되었다. 마마마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지만 메인 각본가 우로부치 겐이 니트로플러스 소속이며<ref>《[[토가이누의 피]]》 문서에도 서술된 것처럼 우로부치 겐은 토가이누의 '''감독 및 각본 감수 담당'''으로 개발에 참여했었다.</ref>, 마마마에도 GL요소가 다분할 수 있었던 만큼 성격이 비슷했는데, 완전히 정반대의 성과를 냈다.
* 캐릭터 원안 담당(쿠라하나 치나츠)이 같고 같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만들어진 《[[노래의☆왕자님♪ 시리즈]]》의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인 《[[노래의☆왕자님♪ 진심 LOVE 1000%]]》 애니메이션은 수려한 작화와 작화진을 갈아넣다시피한 엔딩 영상으로 한일 여덕들에게 화제를 불러일으켜 오와콘이 될뻔한 시리즈를 되살려냈다.
* 캐릭터 원안 담당(쿠라하나 치나츠)이 같고 같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만들어진 《[[노래의☆왕자님♪ 시리즈]]》의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인 《[[노래의☆왕자님♪ 진심 LOVE 1000%]]》 애니메이션은 수려한 작화와 작화진을 갈아넣다시피한 엔딩 영상으로 한일 여덕들에게 화제를 불러일으켜 오와콘이 될뻔한 시리즈를 되살려냈다.
* 각본가 [[타카하시 나츠코]]는 후일 [[캡콤]]의 대표 게임 프랜차이즈 [[전국 바사라 시리즈]]의 애니판 [[전국 바사라 Judge End]]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했는데 해당 애니메이션도 도를 넘은 원작파괴와 캐릭터 붕괴로 팬들이 검증 위키를 개설할 정도로 악명을 떨쳐 전국 바사라 시리즈를 [[오와콘]]으로 만들었다.
* 각본가 [[타카하시 나츠코]]는 후일 [[캡콤]]의 대표 게임 프랜차이즈 [[전국 바사라 시리즈]]의 애니판 [[전국 바사라 Judge End]]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했는데 해당 애니메이션도 도를 넘은 원작파괴와 캐릭터 붕괴로 팬들이 검증 위키를 개설할 정도로 악명을 떨쳐 전국 바사라 시리즈를 [[오와콘]]으로 만들었다.
* 감독 콘노 나오유키는 토가이누의 피 이후 이렇다할 감독작없이 연출만 맡다가 2017년에 [[센토루의 고민]]의 애니메이션판 감독을 맡게 되었다. 센토루의 고민은 그나마 웰메이드로 평가 받았으나, 광매체 판매량에서는 참패하였다.
* 감독 콘노 나오유키는 토가이누의 피 이후 이렇다할 감독작없이 연출만 맡다가 2017년에 [[센토루의 고민]]의 애니메이션판 감독을 맡게 되었다. 센토루의 고민은 그나마 웰메이드로 평가 받았으나, 광매체 판매량에서는 참패하였다.
** (현재 글이 삭제되어서 출처를 가져올 수 없으니 걸러보길 바람.) [[2ch]] 애니메이션 제작진의 사정이라는 스레드에서 콘노 나오유키의 근황이 알려졌었는데 토가이누 애니판 제작 당시 제작사와 트러블을 일으켜 감독직에서 짤려나다시피해서 참여를 못했다는 내용이 고발된적이 있었다. 또한 협력사인 픽쳐 매직<ref>픽쳐 매직은 본문에도 언급된 《[[강철 삼국지]]》의 제작사로 강철 삼국지가 저퀄리티 막장 스토리로 대차게 망하자 하청 전문 회사로 전락, 이후 2012년에 도산으로 문을 닫았다.</ref>의 스탭이 폭로 블로그를 개설해 콘노의 행적을 밝힌 적이 있었는데 내용에 따르면 콘노는 스토리 보드 제출 마감을 못지켰으면서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해당 블로그 글은 일방적으로 스탭측이 유리하게끔 서술되어서 신빙성은 낮은 편이다.
** (현재 글이 삭제되어서 출처를 가져올 수 없으니 걸러보길 바람.) [[2ch]] 애니메이션 제작진의 사정이라는 스레드에서 콘노 나오유키의 근황이 알려졌었는데 토가이누 애니판 제작 당시 제작사와 트러블을 일으켜 감독직에서 짤려나다시피해서 참여를 못했다는 내용이 고발된적이 있었다. 또한 협력사인 픽쳐 매직<ref>픽쳐 매직은 본문에도 언급된 《[[강철 삼국지]]》의 제작사로 강철 삼국지가 저퀄리티 막장 스토리로 대차게 망하자 하청 전문 회사로 전락, 이후 2012년에 도산으로 문을 닫았다.</ref>의 스탭이 폭로 블로그를 개설해 콘노의 행적을 밝힌 적이 있었는데 내용에 따르면 콘노는 스토리 보드 제출 마감을 못지켰으면서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해당 블로그 글은 일방적으로 스탭측이 유리하게끔 서술되어서 신빙성은 낮은 편이다.
* 방영내내 팬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다가 종영된 후 원작 게임과 비교하고 단점을 지적하는 위키가 개설되었다. 해당 위키는 작화 붕괴부터해서 성의없는 연출처리, 스토리상 모순점 등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https://www45.atwiki.jp/togainuanime/ 애니메이션 토가이누의 피 마토메 사이트]
* 방영내내 팬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다가 종영된 후 원작 게임과 비교하고 단점을 지적하는 위키가 개설되었다. 해당 위키는 작화 붕괴부터해서 성의없는 연출처리, 스토리상 모순점 등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https://www45.atwiki.jp/togainuanime/ 애니메이션 토가이누의 피 마토메 사이트]
** 해당 마토메 사이트에서는 토가이누를 [[OVA]]로 리메이크해달라는 서명 청원을 올렸었는데 서명 자체는 통과되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무산되었다. 뒷 소문에 따르면 스토리, 루트 문제로 특정 공략캐/커플링 팬덤이 서로 분쟁을 일으키는 바람에 무산되었다고.
** 해당 마토메 사이트에서는 토가이누를 [[OVA]]로 리메이크해달라는 서명 청원을 올렸었는데 서명 자체는 통과되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무산되었다. 뒷 소문에 따르면 스토리, 루트 문제로 특정 공략캐/커플링 팬덤이 서로 분쟁을 일으키는 바람에 무산되었다고.
* [http://otyatoga.blog111.fc2.com/blog-entry-2.html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1장][http://otyatoga.blog111.fc2.com/blog-entry-3.html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2장] 한 일본의 토가이누 팬이 쓴 칼럼. 1장은 토가이누의 피가 어떤 작품인지, 어떻게, 왜 성공했는지 분석하면서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행태를 비판하고 애니메이션 시장의 사정과 BL 장르 작품에 대한 외적 문제를 분석한 칼럼이나 일단 제작진 문제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이 아니다보니 걸러보는 것이 좋다.
* [http://otyatoga.blog111.fc2.com/blog-entry-2.html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1장][http://otyatoga.blog111.fc2.com/blog-entry-3.html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2장] 한 일본의 토가이누 팬이 쓴 칼럼. 1장은 토가이누의 피가 어떤 작품인지, 어떻게, 왜 성공했는지 분석하면서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행태를 비판하고 애니메이션 시장의 사정과 BL 장르 작품에 대한 외적 문제를 분석한 칼럼이나 일단 제작진 문제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이 아니다보니 걸러보는 것이 좋다.
* 키랄의 4번째 작품 《[[DRAMAtical Murder]]》의 애니판은 토가이누 애니판때문인지 원작자이기도 한 [[후치이 카부라]]가 직접 시리즈 구성 감수로 제작에 참여했는데 해당 애니판도 작화 면에서는 좋지 않았고 선정성 문제로 19금 및 몇몇 BL 요소는 많이 제거되었지만 토가이누 애니판 스토리보다 훨씬 좋다는 반응이 많았다. BL신 관련해서는 키랄 게임부터가 다른 BL 게임에 비해 달달한 연애 요소가 적었기에 어쩔 수 없는 부분.
* 키랄의 4번째 작품 《[[DRAMAtical Murder]]》의 애니판은 토가이누 애니판때문인지 원작자이기도 한 [[후치이 카부라]]가 직접 시리즈 구성 감수로 제작에 참여했는데 해당 애니판도 작화 면에서는 좋지 않았고 선정성 문제로 19금 및 몇몇 BL 요소는 많이 제거되었지만 토가이누 애니판 스토리보다 훨씬 좋다는 반응이 많았다. BL신 관련해서는 키랄 게임부터가 다른 BL 게임에 비해 달달한 연애 요소가 적었기에 어쩔 수 없는 부분.
* 방영 전 성우진이 교체된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원작 성우진들이 그대로 캐스팅되면서 일개 해프닝으로 끝났다. 사실 [[성우 교체]]는 해당 성우가 건강, 사망 문제로 활동을 중단했거나 작품이 오래되어서 [[리메이크]]를 하는게 아니라면 엔간해서는 거의 없는데 과거 에로게야 비용 및 인식 문제로 캐스팅까지 바뀌는 일이 있었지만 2000년대에 이르서서 에로게 인식이 나아져 에로게 출연 성우들도 애니판에는 전연령용 이름으로 바꾸고 그대로 캐스팅되는 일이 늘어났다. 특히 성우덕들이 많은 여성향 및 BL계 특성상 성우를 바꾸는 일은 더더욱 없으며 토가이누 성우진들은 애니화 이전에도 드라마 CD와 팬디스크, 각종 이벤트에 계속 출연했다. 참고로 니트로플러스는 성우 기용에 신경을 엄청 쓰는 회사다보니 자사 게임들의 애니판의 성우진들은 바뀐 적이 단 한번도 없다.<ref>그마저도 바뀐 것도 《팬텀 오브 인페르노》인데 팬텀도 초기작과 완전판만 성우가 없었고 DVD-PG/PS2/OVA/TVA판에 성우가 붙었다. 그마저도 TVA에서 성우진이 바뀐 건 게임이 나온지 10년이 넘어가 리메이크를 위해 바뀐 것이며, TVA판을 기반으로 리메이크된 게임은 TVA판 성우를 그대로 캐스팅했다. 똑같이 데몬베인도 애니판은 PC판/PS2판 성우진을 캐스팅, [[귀곡가]] 리메이크판도 사망한 성우를 제외하고 [[드라마 CD]] 성우들이 캐스팅된 케이스이다.</ref> 그리고 성우진 교체도 제작사가 다른 [[드라마 CD]] 원작이 아닌 이상 게임 원작은 애니화가 된다면 그대로 캐스팅된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엔간한 여성향 애니메이션의 작화 질이 남성향에 비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도 스폰서 문제도 있으나 이 성우진 비용도 한몫을 하고 있다.
* 방영 전 성우진이 교체된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원작 성우진들이 그대로 캐스팅되면서 일개 해프닝으로 끝났다. 사실 [[성우 교체]]는 해당 성우가 건강, 사망 문제로 활동을 중단했거나 작품이 오래되어서 [[리메이크]]를 하는게 아니라면 엔간해서는 거의 없는데 과거 에로게야 비용 및 인식 문제로 캐스팅까지 바뀌는 일이 있었지만 2000년대에 이르서서 에로게 인식이 나아져 에로게 출연 성우들도 애니판에는 전연령용 이름으로 바꾸고 그대로 캐스팅되는 일이 늘어났다. 특히 성우덕들이 많은 여성향 및 BL계 특성상 성우를 바꾸는 일은 더더욱 없으며 토가이누 성우진들은 애니화 이전에도 드라마 CD와 팬디스크, 각종 이벤트에 계속 출연했다. 참고로 니트로플러스는 성우 기용에 신경을 엄청 쓰는 회사다보니 자사 게임들의 애니판의 성우진들은 바뀐 적이 단 한번도 없다.<ref>그마저도 바뀐 것도 《팬텀 오브 인페르노》인데 팬텀도 초기작과 완전판만 성우가 없었고 DVD-PG/PS2/OVA/TVA판에 성우가 붙었다. 그마저도 TVA에서 성우진이 바뀐 건 게임이 나온지 10년이 넘어가 리메이크를 위해 바뀐 것이며, TVA판을 기반으로 리메이크된 게임은 TVA판 성우를 그대로 캐스팅했다. 똑같이 데몬베인도 애니판은 PC판/PS2판 성우진을 캐스팅, [[귀곡가]] 리메이크판도 사망한 성우를 제외하고 [[드라마 CD]] 성우들이 캐스팅된 케이스이다.</ref> 그리고 성우진 교체도 제작사가 다른 [[드라마 CD]] 원작이 아닌 이상 게임 원작은 애니화가 된다면 그대로 캐스팅된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엔간한 여성향 애니메이션의 작화 질이 남성향에 비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것도 스폰서 문제도 있으나 이 성우진 비용도 한몫을 하고 있다.


166번째 줄: 198번째 줄:
{{토가이누의 피}}
{{토가이누의 피}}
[[분류:토가이누의 피|미디어 믹스]]
[[분류:토가이누의 피|미디어 믹스]]
[[분류:성인 비디오 게임 원작 TV 애니메이션]]
[[분류:2010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분류:2010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분류:BL 애니메이션]]
[[분류:BL 애니메이션]]
[[분류:액션 애니메이션]]
[[분류:액션 애니메이션]]
[[분류:A-1 Pictures]]
[[분류:A-1 Pictures]]
[[분류:흑역사가 된 애니메이션‎]]
[[분류:망작 애니메이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