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네이터 (영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9번째 줄: 59번째 줄:
지금은 유명하기 그지 없는 프랜차이즈이지만 처음 시작은 상당히 초라했다. 터미네이터를 창조한 카메론 감독이 무명이던 시절 유명 공포영화 [[피라냐]]의 후속작인 [[피라냐 2]]를 감독하게 되었는데, 의욕도 의지도 만땅이였던 카메론의 발을 잡았던 것은 자금 문제도 배우 문제도 장소 문제도 시간 문제도 소품 문제도 아닌 바로 스폰서 문제였다. 스폰서는 시시콜콜 카메론에게 영화들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만들 것을 요구해댔고 당연히 카메론은 이에 반발했지만 유명 감독도 스폰서에게 거스르는 게 힘든데 완벽한 무명인 카메론은 더더욱 스폰서를 거스를수는 없는 바, 결국 스폰서와의 줄다리기에 지칠대로 지친 카메론은 어느날 인근 싸구려 여관에서 앓아 눕게 되었다. 그러다 꿈에서 끔찍하게 생긴 기계 인간이 불속에서 일어나는 모습을 보고는 이 꿈이 나중에 자신의 운명을 바꿀것임을 직감하여 노트해두었는데 그게 바로 터미네이터의 초안이였다.
지금은 유명하기 그지 없는 프랜차이즈이지만 처음 시작은 상당히 초라했다. 터미네이터를 창조한 카메론 감독이 무명이던 시절 유명 공포영화 [[피라냐]]의 후속작인 [[피라냐 2]]를 감독하게 되었는데, 의욕도 의지도 만땅이였던 카메론의 발을 잡았던 것은 자금 문제도 배우 문제도 장소 문제도 시간 문제도 소품 문제도 아닌 바로 스폰서 문제였다. 스폰서는 시시콜콜 카메론에게 영화들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만들 것을 요구해댔고 당연히 카메론은 이에 반발했지만 유명 감독도 스폰서에게 거스르는 게 힘든데 완벽한 무명인 카메론은 더더욱 스폰서를 거스를수는 없는 바, 결국 스폰서와의 줄다리기에 지칠대로 지친 카메론은 어느날 인근 싸구려 여관에서 앓아 눕게 되었다. 그러다 꿈에서 끔찍하게 생긴 기계 인간이 불속에서 일어나는 모습을 보고는 이 꿈이 나중에 자신의 운명을 바꿀것임을 직감하여 노트해두었는데 그게 바로 터미네이터의 초안이였다.


이후 카메론 감독은 그 내용을 영화화 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거대 배급사들은 무명에 초짜인 그에게 별로 관심을 주지 않았고 결국 그와 계약이 된 것은 오라이언 픽처스(Orion Pictures)라는 중소 배급사였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난게 아니였으니 이번엔 배역이 말썽. 여러 배우들을 물색하였으나 내용이 당시로서는 생소하고 난해한 내용이였던데다가 특히 악역인 터미네이터는 대사가 전체 러닝타임을 통틀어 꼴랑 16줄이라 배우들마다 죄다 퇴짜를 놓는 통에 당시 영화 [[코난]]으로 그나마 인지도를 쌓은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가장 유명한 배우였고 나머지는 무명이나 신인들이였다. 이 때 제작사측은 흥행을 위해 그나마 유명한 슈워제네거를 인간 주인공으로, 그리고 그 다음으로 유명한 랜스 헨릭슨을 터미네이터 역으로 추천했으나<sup>{{색|blue|[출처 필요]}}</sup> , 결과적으로 슈워제네거가 악역인 T-800이 되었고<ref>슈워제네거가 T-800이 된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작용했는데, 우선 슈워제네거는 오스트리아 억양이 강해 대사를 구사하면 엉망진창이 되기 일쑤라 대사가 적은 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고, 더불어 슈워제네거 본인도 흔해빠진 인간 주인공 역할 보다는 '냉혹한 기계 암살자' 역할에 흥미가 동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T-800은 원래 지금의 T-1000처럼 자유자재로 의태하는 능력을 지닌 존재로 그려질 예정이였으나 배급사가 중소 배급사라 돈이 없어 그걸 재현할 능력이 안 되었기 때문에 계획을 수정해 '뭘 맞아도 끄떡없는 무적의 장갑차' 같은 쪽으로 컨셉이 수정되면서, 개중 가장 떡대가 좋았던 슈워제네거가 T-800 역에 최고로 안성맞춤이였다.</ref> 카일 리스 역은 무명이였던 마이클 빈에게 넘어갔다. 그리고 랜스 헨릭슨은 그냥 비중만 좀 있는 보조인 버코비치 형사 역으로 좌천(...).<ref>카메론 감독은 이 결정을 내리면서도 계속 마음에 걸렸는지 훗날 에일리언즈를 촬영할 때 랜스 헨릭슨을 조연이지만 비중 있는 [[비숍]] 역을 맡겼다.</ref>
이후 카메론 감독은 그 내용을 영화화 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거대 배급사들은 무명에 초짜인 그에게 별로 관심을 주지 않았고 결국 그와 계약이 된 것은 오라이언 픽처스(Orion Pictures)라는 중소 배급사였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난게 아니였으니 이번엔 배역이 말썽. 여러 배우들을 물색하였으나 내용이 당시로서는 생소하고 난해한 내용이였던데다가 특히 악역인 터미네이터는 대사가 전체 러닝타임을 통틀어 꼴랑 16줄이라 배우들마다 죄다 퇴짜를 놓는 통에 당시 영화 [[코난]]으로 그나마 인지도를 쌓은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가장 유명한 배우였고 나머지는 무명이나 신인들이였다. 이 때 제작사측은 흥행을 위해 그나마 유명한 슈워제네거를 인간 주인공으로, 그리고 그 다음으로 유명한 랜스 헨릭슨을 터미네이터 역으로 추천했으나, 결과적으로 슈워제네거가 악역인 T-800이 되었고<ref>슈워제네거가 T-800이 된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작용했는데, 우선 슈워제네거는 오스트리아 억양이 강해 대사를 구사하면 엉망진창이 되기 일쑤라 대사가 적은 역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고, 더불어 슈워제네거 본인도 흔해빠진 인간 주인공 역할 보다는 '냉혹한 기계 암살자' 역할에 흥미가 동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T-800은 원래 지금의 T-1000처럼 자유자재로 의태하는 능력을 지닌 존재로 그려질 예정이였으나 배급사가 중소 배급사라 돈이 없어 그걸 재현할 능력이 안 되었기 때문에 계획을 수정해 '뭘 맞아도 끄떡없는 무적의 장갑차' 같은 쪽으로 컨셉이 수정되면서, 개중 가장 떡대가 좋았던 슈워제네거가 T-800 역에 최고로 안성맞춤이였다.</ref> 카일 리스 역은 무명이였던 마이클 빈에게 넘어갔다. 그리고 랜스 헨릭슨은 그냥 비중만 좀 있는 보조인 버코비치 형사 역으로 좌천(...).<ref>카메론 감독은 이 결정을 내리면서도 계속 마음에 걸렸는지 훗날 에일리언즈를 촬영할 때 랜스 헨릭슨을 조연이지만 비중 있는 [[비숍]] 역을 맡겼다.</ref>
 
슈워제네거는 "I'll be back"에서 I'll이 발음하기 어려워서 대사를 "I will be back"으로 바꾸기를 원했다. 하지만 카메론은 이를 거절했고, 그 대신 여러 테이크를 찍어서 그 중에 대사가 잘 나온 걸 사용하기로 했다.<ref>[http://abcnews.go.com/GMA/video/arnold-schwarzenegger-interview-actors-trouble-ill-back-terminator-17364992 Schwarzenegger Says He Almost Ruined Famous 'Terminator Line']</ref>


참고로 터미네이터의 판권은 고작 1달러라는 어마무시한 저가로 제작되었다. 이는 카메론이 판권을 1달러에 넘기는 대신 영화를 100% 전면 자기 마음대로 촬영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기 때문인데, 이는 실제로 그나마 터미네이터 제작에 흥미를 보였던 몇몇 배급사들이 무명인 카메론을 믿지 못해 다른 이를 총감독으로 정하려 하자 앞서 피라냐 2에서 사공이 너무 많아 영화가 산으로 간 경험을 한 카메론이 이를 거부해서 결국 이렇게 협상이 된 것이다.
참고로 터미네이터의 판권은 고작 1달러라는 어마무시한 저가로 제작되었다. 이는 카메론이 판권을 1달러에 넘기는 대신 영화를 100% 전면 자기 마음대로 촬영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기 때문인데, 이는 실제로 그나마 터미네이터 제작에 흥미를 보였던 몇몇 배급사들이 무명인 카메론을 믿지 못해 다른 이를 총감독으로 정하려 하자 앞서 피라냐 2에서 사공이 너무 많아 영화가 산으로 간 경험을 한 카메론이 이를 거부해서 결국 이렇게 협상이 된 것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