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목적 ===
=== 목적 ===
{{인용문|이 규칙은 본 연맹과 각 대륙연맹, 각국 협회가 주최 및 주관하는 모든 대회를 통일된 규칙 아래 원활하고 공정하게 운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ref>원문: The purpose of the Competition Rules is to manage fairly and smoothly all matters pertaining to competitions of all levels to be promoted and/or organized by the WTF, Continental Unions and member National Associations, ensuring the application of standardized rules.</ref>}}
{{인용문|이 규칙은 본 연맹과 각 대륙연맹, 각국 협회가 주최 및 주관하는 모든 대회를 통일된 규칙 아래 원활하고 공정하게 운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ref>원문: The purpose of the Competition Rules is to manage fairly and smoothly all matters pertaining to competitions of all levels to be promoted and/or organized by the WTF, Continental Unions and member National Associations, ensuring the application of standardized rules.</ref>}}
[[태권도]] 규칙의 제 1헌장이자 존재의의.<br />태권도 경기를 전 세계적으로 통일성 있게 운영하기 위하여 경기 운영의 모든 사항이 본 규칙에 의거하여 결정, 진행되며, 후술할 규칙의 근본 취지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기는 태권도 경기로서 인정될 수 없다는 뜻이다.<ref name='taekwondorule'>http://www.worldtaekwondofederation.net/wp-content/uploads/2015/11/Competition_Rules_Tashkent_version_final_2010.pdf</ref>
[[태권도]] 규칙의 제 1헌장이자 존재의의.<br>태권도 경기를 전 세계적으로 통일성 있게 운영하기 위하여 경기 운영의 모든 사항이 본 규칙에 의거하여 결정, 진행되며, 후술할 규칙의 근본 취지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기는 태권도 경기로서 인정될 수 없다는 뜻이다.<ref name='taekwondorule'>http://www.worldtaekwondofederation.net/wp-content/uploads/2015/11/Competition_Rules_Tashkent_version_final_2010.pdf</ref>


=== 경기장 ===
=== 경기장 ===
[[파일:태권도 경기장 규격.jpg]]<br />
[[파일:태권도 경기장 규격.jpg]]<br>
당 연맹 주최대회 개최 시 경기장은 최소 3,000석 이상에 바닥 면적이 40m x 60m이어야 하며, 시청각 장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최소 높이는 10m이어야 하고 조명은 1500lux에서 1800lux 사이로서 천정에서 아래를 비추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당 연맹 주최 대회 시 경기장 내의 모든 준비는 기술대표의 최종 승인을 득한 후 대회 개시 2일 전까지 완료되어야 한다.
당 연맹 주최대회 개최 시 경기장은 최소 3,000석 이상에 바닥 면적이 40m x 60m이어야 하며, 시청각 장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최소 높이는 10m이어야 하고 조명은 1500lux에서 1800lux 사이로서 천정에서 아래를 비추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당 연맹 주최 대회 시 경기장 내의 모든 준비는 기술대표의 최종 승인을 득한 후 대회 개시 2일 전까지 완료되어야 한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공격이나 방어의 의사 없이 비틀거리고 있을 때 (When a contestant is staggered and shows no intention or ability to continue)
#공격이나 방어의 의사 없이 비틀거리고 있을 때 (When a contestant is staggered and shows no intention or ability to continue)
#강한 타격으로 인하여 주심이 경기를 지속할 수 없다고 인정했을 때 (When the referee judges that the contest cannot continue as the result of being struck by a legitimate technique)<ref name='taekwondorule' />
#강한 타격으로 인하여 주심이 경기를 지속할 수 없다고 인정했을 때 (When the referee judges that the contest cannot continue as the result of being struck by a legitimate technique)<ref name='taekwondorule' />
<br />
<br>
지금은 전자호구로 판단하지만 과거엔 [[유도]]와 마찬가지로 주부심의 시각과 청각으로 판별을 했는데, 호구를 강하게 때려서 소리가 나면서 맞은 상대가 땅바닥에 쓰러지거나, 혹은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비틀거리거나 정신을 못 차릴 때 득점이 된 것으로 판단했다. 그냥 넘어지면 득점된다고 하지 왜 규칙을 이렇게 복잡하게 지정했냐 하면 안 넘어지려고 억지로 버티는 경우도 있으니까(...) 참고로 택견의 룰도 이것과 비슷한 편인데 차이점이 있다면 택견은 이른바 는질러찬다고 해서 찬다기보다는 거의 발로 미는 느낌에 가깝게 차지만 태권도는 직접 큰 소리가 날 정도로 세게 찬다. 발로 차서 큰 소리가 나야 했기 때문에 다리를 접었다 차야 했으며 소리가 나고 안나고와 상대방이 '위험한 상태'에 빠지고 안빠지고의 판정이 굉장히 애매해서 판정 논란이 굉장히 많이 일어났던 룰이기도 하다.
지금은 전자호구로 판단하지만 과거엔 [[유도]]와 마찬가지로 주부심의 시각과 청각으로 판별을 했는데, 호구를 강하게 때려서 소리가 나면서 맞은 상대가 땅바닥에 쓰러지거나, 혹은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비틀거리거나 정신을 못 차릴 때 득점이 된 것으로 판단했다. 그냥 넘어지면 득점된다고 하지 왜 규칙을 이렇게 복잡하게 지정했냐 하면 안 넘어지려고 억지로 버티는 경우도 있으니까(...) 참고로 택견의 룰도 이것과 비슷한 편인데 차이점이 있다면 택견은 이른바 는질러찬다고 해서 찬다기보다는 거의 발로 미는 느낌에 가깝게 차지만 태권도는 직접 큰 소리가 날 정도로 세게 찬다. 발로 차서 큰 소리가 나야 했기 때문에 다리를 접었다 차야 했으며 소리가 나고 안나고와 상대방이 '위험한 상태'에 빠지고 안빠지고의 판정이 굉장히 애매해서 판정 논란이 굉장히 많이 일어났던 룰이기도 하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발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유연함과 도약력, 그리고 무엇보다 힘이다. 특히 남자들은 유연함이 약해서 태권도 발차기를 익힐 때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군대]]에서는 태권도를 기본 1단까지는 따게 된다. 그런데 이때 하체가 너무 뻣뻣해서 다리가 안 올라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때 옛날 군대에서는 굉장히 ㅎㄷㄷ한 방법을 썼는데 한쪽 다리를 벽에 걸쳐놓고 뒤에서 빡! 밀어서 두 다리 사이의 그 부분을 쫙 찢어버린다고(...) 이때 그 부분 다리[[근육]]이 찢어지는 소리가 크게 나는데 이러고 나면 한동안 걷지도 못한다 카더라.<ref>참고로 [[손담비]]가 실제로 이런 경험이 있다고 한다. 물론 태권도는 아니고 춤연습할때...그래서인지 손담비는 전체적인 움직임은 뻣뻣함 특유의 파워풀과 다리가 쫙 찢어지는 유연함을 모두 갖추고 있다.</ref> 이렇게 근육을 찢는 과정을 거치고 나면 다리가 진짜 자신의 머리에 닿을 정도로 높이 올라간다고 한다. 뭐 어릴 때부터 발차기 연습만 한 어린아이들이라면 이럴 필요는 없겠지만... 단 부상의 위험이 있으니 갑자기 하는 건 좋지 않다.
발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유연함과 도약력, 그리고 무엇보다 힘이다. 특히 남자들은 유연함이 약해서 태권도 발차기를 익힐 때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군대]]에서는 태권도를 기본 1단까지는 따게 된다. 그런데 이때 하체가 너무 뻣뻣해서 다리가 안 올라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때 옛날 군대에서는 굉장히 ㅎㄷㄷ한 방법을 썼는데 한쪽 다리를 벽에 걸쳐놓고 뒤에서 빡! 밀어서 두 다리 사이의 그 부분을 쫙 찢어버린다고(...) 이때 그 부분 다리[[근육]]이 찢어지는 소리가 크게 나는데 이러고 나면 한동안 걷지도 못한다 카더라.<ref>참고로 [[손담비]]가 실제로 이런 경험이 있다고 한다. 물론 태권도는 아니고 춤연습할때...그래서인지 손담비는 전체적인 움직임은 뻣뻣함 특유의 파워풀과 다리가 쫙 찢어지는 유연함을 모두 갖추고 있다.</ref> 이렇게 근육을 찢는 과정을 거치고 나면 다리가 진짜 자신의 머리에 닿을 정도로 높이 올라간다고 한다. 뭐 어릴 때부터 발차기 연습만 한 어린아이들이라면 이럴 필요는 없겠지만... 단 부상의 위험이 있으니 갑자기 하는 건 좋지 않다.
===== 앞차기 =====
===== 앞차기 =====
{{youtube|7QwXhbDnJQE}}<br />
{{youtube|7QwXhbDnJQE}}<br>
태권도의 가장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임에도 의외로 별로 안쓰이는 기술. 실제로 태권도 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경기에서 나오는 우리가 앞차기라 생각하는 발차기 기술들은 대부분 돌려차기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이상하게 찬 기술인 경우가 많다. 앞차기, 옆차기, 돌려차기를 구분하는 방법은 차는 발의 부위. 앞차기는 발바닥을 세운 발에서 발바닥 앞부분의 단단한 부분인 앞축으로 찬 것이다. 발등으로 찬 것은 돌려차기로 봐야 맞다.
태권도의 가장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임에도 의외로 별로 안쓰이는 기술. 실제로 태권도 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경기에서 나오는 우리가 앞차기라 생각하는 발차기 기술들은 대부분 돌려차기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이상하게 찬 기술인 경우가 많다. 앞차기, 옆차기, 돌려차기를 구분하는 방법은 차는 발의 부위. 앞차기는 발바닥을 세운 발에서 발바닥 앞부분의 단단한 부분인 앞축으로 찬 것이다. 발등으로 찬 것은 돌려차기로 봐야 맞다.
===== 옆차기 =====
===== 옆차기 =====
{{youtube|zON6DrWcUoM}}<br />
{{youtube|zON6DrWcUoM}}<br>
별로 안 세 보이는 기술인데도 의외로 경기에서 많이 쓰이는 기술.
별로 안 세 보이는 기술인데도 의외로 경기에서 많이 쓰이는 기술.


===== 돌려차기 =====
===== 돌려차기 =====
{{youtube|K4RIN7MZqM4}}<br />
{{youtube|K4RIN7MZqM4}}<br>
===== 몸돌려차기 =====
===== 몸돌려차기 =====
{{youtube|y7AyRnTxsMs}}<br />
{{youtube|y7AyRnTxsMs}}<br>
돌려차기와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른 기술이다. 돌려차기는 허리를 돌려서 발등으로 차는 기술이고, 몸돌려차기는 말 그대로 상체까지 돌리며 돌려차기의 반대방향으로 발차기를 날리며 발바닥의 다른 부위들로 차는 기술이다. 이때 몸을 돌리면서 어느 기술을 쓰느냐에 따라 몸돌려옆차기와 몸돌려후려차기로 나뉜다.
돌려차기와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른 기술이다. 돌려차기는 허리를 돌려서 발등으로 차는 기술이고, 몸돌려차기는 말 그대로 상체까지 돌리며 돌려차기의 반대방향으로 발차기를 날리며 발바닥의 다른 부위들로 차는 기술이다. 이때 몸을 돌리면서 어느 기술을 쓰느냐에 따라 몸돌려옆차기와 몸돌려후려차기로 나뉜다.
===== 찍어차기 =====  
===== 찍어차기 =====  
{{youtube|_xZVhlmpUXY}}<br />
{{youtube|_xZVhlmpUXY}}<br>
[https://www.youtube.com/watch?v=ImSHw5dw7Q0 수련법]
[https://www.youtube.com/watch?v=ImSHw5dw7Q0 수련법]
===== 뒤차기 =====
===== 뒤차기 =====
{{youtube|9y-egkqF6jw}}<br />
{{youtube|9y-egkqF6jw}}<br>
===== 뒤후려차기 =====
===== 뒤후려차기 =====
{{youtube|Dz1wvYc5A2A}}<br />사용하기에 따라 매우 위험할 수 있는, 명실상부 태권도 최강기술. 뒤돌려차기랑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뒤돌려차기는 말 그대로 돌려차기의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발날이나 발바닥으로 차는 데 반해, 뒤후려차기는 오히려 발날이나 발뒤꿈치로 상대방한테 후린다는 느낌으로 찬다.
{{youtube|Dz1wvYc5A2A}}<br>사용하기에 따라 매우 위험할 수 있는, 명실상부 태권도 최강기술. 뒤돌려차기랑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뒤돌려차기는 말 그대로 돌려차기의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발날이나 발바닥으로 차는 데 반해, 뒤후려차기는 오히려 발날이나 발뒤꿈치로 상대방한테 후린다는 느낌으로 찬다.


여담이지만 연속으로 뒤후려차기를 하는 것은 태권도 시범의 약방감초라 카더라. 실제 태권도 경기에서 나오면 진짜 화려하지만 이거 쓰고 나면 개어지러워서 한방 맞고 K.O.되기 딱 좋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UJdJRCpejxE</ref>
여담이지만 연속으로 뒤후려차기를 하는 것은 태권도 시범의 약방감초라 카더라. 실제 태권도 경기에서 나오면 진짜 화려하지만 이거 쓰고 나면 개어지러워서 한방 맞고 K.O.되기 딱 좋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UJdJRCpejxE</ref>
77번째 줄: 77번째 줄:
=== 응용기술 ===
=== 응용기술 ===
==== 날아차기 ====
==== 날아차기 ====
{{youtube|9goULN3sNRg}}<br />[[이란]] 태권도의 대부인 [[강신철]] 사범의 시범영상.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진 날아차기 형태이다.
{{youtube|9goULN3sNRg}}<br>[[이란]] 태권도의 대부인 [[강신철]] 사범의 시범영상.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진 날아차기 형태이다.
#일단 달린다.
#일단 달린다.
#목표물 조금 거리를 둔 상태에서 도약한다.
#목표물 조금 거리를 둔 상태에서 도약한다.
85번째 줄: 85번째 줄:
여담이지만 이때는 밑에 있는 발을 가만히 냅두는 게 아니라 이쪽 발로 찰 때도 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이때는 밑에 있는 발을 가만히 냅두는 게 아니라 이쪽 발로 찰 때도 있다고 한다.


{{youtube|Q9rUXrY-eiU}}<br />참고로 태권도 선수와 가라데 선수가 대련을 한 적이 있는데 궁지에 몰렸던 태권도 선수가 {{ㅊ|야비한}} 기습으로 이단옆차기를 날려서 한방에 KO를 시킨 영상이 있다.
{{youtube|Q9rUXrY-eiU}}<br>참고로 태권도 선수와 가라데 선수가 대련을 한 적이 있는데 궁지에 몰렸던 태권도 선수가 {{ㅊ|야비한}} 기습으로 이단옆차기를 날려서 한방에 KO를 시킨 영상이 있다.


==== 두발당성차기 ====
==== 두발당성차기 ====
{{youtube|1IHFIig4aGQ}}<br />날아차기가 양발로 번갈아서 하는(?) 옆차기라면, 두발당성차기는 양발로 번갈아서 하는 앞차기.
{{youtube|1IHFIig4aGQ}}<br>날아차기가 양발로 번갈아서 하는(?) 옆차기라면, 두발당성차기는 양발로 번갈아서 하는 앞차기.
#뒷발을 먼저 앞으로 날리며 앞차기 동작을 취한다. 이때 뒷발은 속이는 동작이기 때문에 낮게 찬다.
#뒷발을 먼저 앞으로 날리며 앞차기 동작을 취한다. 이때 뒷발은 속이는 동작이기 때문에 낮게 찬다.
#이 낮게 찬 발을 공중에 휘저으며 뛰어올라서(?) 앞발로 목표물을 향해 정확하고 높게 앞차기를 한다.
#이 낮게 찬 발을 공중에 휘저으며 뛰어올라서(?) 앞발로 목표물을 향해 정확하고 높게 앞차기를 한다.


==== 돌개차기 ====
==== 돌개차기 ====
{{youtube|AzevEX2RQ7A}}<br />날아차기와 함께 태권도에서 가장 유명한 기술 중 하나.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는 태권도뿐만 아니라 [[쿵후]]에서도 많이 보이는 기술이기도 하다.
{{youtube|AzevEX2RQ7A}}<br>날아차기와 함께 태권도에서 가장 유명한 기술 중 하나.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는 태권도뿐만 아니라 [[쿵후]]에서도 많이 보이는 기술이기도 하다.


외국에서는 이 기술을 '''Tornado Kick'''으로 번역한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E4ZE9Ivs9Kc</ref> Tornado가 돌개바람이라는 뜻으로 번역되는 걸 보면 상당히 적절한 네이밍인 듯.
외국에서는 이 기술을 '''Tornado Kick'''으로 번역한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E4ZE9Ivs9Kc</ref> Tornado가 돌개바람이라는 뜻으로 번역되는 걸 보면 상당히 적절한 네이밍인 듯.
101번째 줄: 101번째 줄:


==== 나래차기 ====
==== 나래차기 ====
{{youtube|Z9Dkk2m6ZfI}}<br />뒤후려차기와 함께 태권도 최강기술 중 하나. 두발당성과 비슷하지만 양발로 앞차기를 하는 두발당성과는 달리 이쪽은 양발로 돌려차기를 한다. 그렇다고 돌개차기와도 다른 것이, 돌개차기는 양쪽 발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나래차기는 양쪽 발이 돌려차는 방향이 반대이다. 이러면 당연히 회전력이 상쇄될텐데 왜 쓰냐고 묻는다면 사실 이 기술의 진짜 목적은 상대를 속이는 것. 한쪽 발로 돌려차기를 하려는 듯 슬쩍 차서 상대를 옆으로 피하게 했다가 바로 다른쪽 발로 진짜 힘을 실어 차서 훨씬 강력한 데미지를 주려는 것이다. 또한 기술을 좀더 응용해서 양발을 연속으로 계속 차는 것이 가능하며<ref>https://www.youtube.com/watch?v=0jWoHkU9X98</ref>, 이것으로 상대를 구석으로 몬 후 뒤후려차기를 날린다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youtube|Z9Dkk2m6ZfI}}<br>뒤후려차기와 함께 태권도 최강기술 중 하나. 두발당성과 비슷하지만 양발로 앞차기를 하는 두발당성과는 달리 이쪽은 양발로 돌려차기를 한다. 그렇다고 돌개차기와도 다른 것이, 돌개차기는 양쪽 발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나래차기는 양쪽 발이 돌려차는 방향이 반대이다. 이러면 당연히 회전력이 상쇄될텐데 왜 쓰냐고 묻는다면 사실 이 기술의 진짜 목적은 상대를 속이는 것. 한쪽 발로 돌려차기를 하려는 듯 슬쩍 차서 상대를 옆으로 피하게 했다가 바로 다른쪽 발로 진짜 힘을 실어 차서 훨씬 강력한 데미지를 주려는 것이다. 또한 기술을 좀더 응용해서 양발을 연속으로 계속 차는 것이 가능하며<ref>https://www.youtube.com/watch?v=0jWoHkU9X98</ref>, 이것으로 상대를 구석으로 몬 후 뒤후려차기를 날린다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한쪽 발로 돌려차되, 힘을 실어 차진 않도록 한다. 허리만 살짝 돌려주고 발이 그걸 따라간다는 느낌으로 하면 된다.
#먼저 한쪽 발로 돌려차되, 힘을 실어 차진 않도록 한다. 허리만 살짝 돌려주고 발이 그걸 따라간다는 느낌으로 하면 된다.
#다른쪽 발로 제대로 힘을 실어 찬다. 이때 위의 방향으로 돌렸던 허리를 방향을 바꿔 반대방향으로 꺾으며 다른 쪽 발로 힘차게  돌려차면 된다.
#다른쪽 발로 제대로 힘을 실어 찬다. 이때 위의 방향으로 돌렸던 허리를 방향을 바꿔 반대방향으로 꺾으며 다른 쪽 발로 힘차게  돌려차면 된다.


==== 외발턴 ====
==== 외발턴 ====
{{youtube|dzfoA7WiqGE}}<br />시범영상.<br />2004 시드니 올림픽에서 [[문대성]] 선수가 결승전에서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 선수를 K.O.시킨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 보면 알겠지만 돌개차기와는 달리 공중에서 든 발을 축으로 해서 회전하는, 매우 화려하지만 굉장히 고난도 기술이다.
{{youtube|dzfoA7WiqGE}}<br>시범영상.<br>2004 시드니 올림픽에서 [[문대성]] 선수가 결승전에서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 선수를 K.O.시킨 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 보면 알겠지만 돌개차기와는 달리 공중에서 든 발을 축으로 해서 회전하는, 매우 화려하지만 굉장히 고난도 기술이다.


==== 점프 뒤후려차기 ====
==== 점프 뒤후려차기 ====
{{youtube|YmyXdcdVv34}}<br />뛰어오르면서 도는 것이 포인트이다.
{{youtube|YmyXdcdVv34}}<br>뛰어오르면서 도는 것이 포인트이다.


== 역사 ==
== 역사 ==
150번째 줄: 150번째 줄:
==== 방구대타(防具對打) ====
==== 방구대타(防具對打) ====
[[파일:방구대타.jpg]]
[[파일:방구대타.jpg]]
[[파일:방구대타2.jpg]]<br />초창기 몸통보호구는 무겁고 투박했다. [[대나무]] 조각을 얇게 다듬어 [[광목]]에 솜으로 감싸고 꿰맸는데, 선수들이 타격을 하다가 손과 발을 다치기도 했다. 조선연무관 공수도부 창설자 전상섭의 친동생인 전일섭이 창안했다는 것이 통설이다.<ref>서성원, [https://archive.is/5Rfyv '방구대타-대나무 호구를 아시나요?'] 태권저널, 2014.12.02</ref> 수많은 태권도인들이 태권도 관련 소장 자료들을 기증할 때 1950년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나무 호구가 기증되어 많은 태권도 관계자들을 흥분시키기도 했다. 윗쪽 첫번째 사진이 그 주인공.<ref>윤영진, [http://www.mooye.net/sub_read.html?uid=2354 1950년대 제작된 '대나무 호구' 발견], 무예신문,  2010.04.05</ref> 사실 잘 생각해보면 그냥 검도 보호구같은 것 위에 솜을 감싼 거라 보호력 하난 확실했겠지만 대신 착용감이 꽝이었을 것이다(...)
[[파일:방구대타2.jpg]]<br>초창기 몸통보호구는 무겁고 투박했다. [[대나무]] 조각을 얇게 다듬어 [[광목]]에 솜으로 감싸고 꿰맸는데, 선수들이 타격을 하다가 손과 발을 다치기도 했다. 조선연무관 공수도부 창설자 전상섭의 친동생인 전일섭이 창안했다는 것이 통설이다.<ref>서성원, [https://archive.is/5Rfyv '방구대타-대나무 호구를 아시나요?'] 태권저널, 2014.12.02</ref> 수많은 태권도인들이 태권도 관련 소장 자료들을 기증할 때 1950년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나무 호구가 기증되어 많은 태권도 관계자들을 흥분시키기도 했다. 윗쪽 첫번째 사진이 그 주인공.<ref>윤영진, [http://www.mooye.net/sub_read.html?uid=2354 1950년대 제작된 '대나무 호구' 발견], 무예신문,  2010.04.05</ref> 사실 잘 생각해보면 그냥 검도 보호구같은 것 위에 솜을 감싼 거라 보호력 하난 확실했겠지만 대신 착용감이 꽝이었을 것이다(...)


==== [[2004 아테네 올림픽]] ([[아디다스]]) ====
==== [[2004 아테네 올림픽]] ([[아디다스]]) ====
[[파일:아디다스보호구.jpg]][[파일:아디다스보호구2.jpg]]<br />
[[파일:아디다스보호구.jpg]][[파일:아디다스보호구2.jpg]]<br>
굉장히 심플하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이 특징.
굉장히 심플하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이 특징.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라저스트]]) ====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라저스트]]) ====
[[파일:라저스트보호구.jpg]]<br />
[[파일:라저스트보호구.jpg]]<br>
계속되는 편파판정으로 전자호구를 도입할지 말지에 대해 계속되는 갑론을박이 있었다.
계속되는 편파판정으로 전자호구를 도입할지 말지에 대해 계속되는 갑론을박이 있었다.
{{인용문|전자호구는 몸통과 손, 머리에 착용하는 게 불편하고 센서 오작동도 적지 않더라고요. 기존의 심판이 정교하게 판정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요.<ref>황태훈, [http://news.donga.com/3/all/20070720/8468642/1 '태권도 전자호구 도입 물건너가나'], 동아스포츠, 2007.07.20</ref>|황경선|베이징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웰터급(67kg 이하) 우승자}}
{{인용문|전자호구는 몸통과 손, 머리에 착용하는 게 불편하고 센서 오작동도 적지 않더라고요. 기존의 심판이 정교하게 판정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요.<ref>황태훈, [http://news.donga.com/3/all/20070720/8468642/1 '태권도 전자호구 도입 물건너가나'], 동아스포츠, 2007.07.20</ref>|황경선|베이징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웰터급(67kg 이하) 우승자}}
169번째 줄: 169번째 줄:


==== [[2012 런던 올림픽]] ([[대도]]) ====
==== [[2012 런던 올림픽]] ([[대도]]) ====
[[파일:대도보호구.jpg]]<br />2011년 6월 27일 WTF는 런던올림픽에서도 광저우와 마찬가지로 라저스트로 가겠다고 발표, [[헬게이트]]가 열렸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다들 대도를 채택할 줄 알고 대도 제품으로 연습했었는데 이제 와서 라저스트로 바꾼다? 특히 상술한 그리스의 국가대표 니콜라이디스는 급기야 눈물을 터뜨리고 말았다고 한다. 만년 콩라인이었던 본인의 선수생활의 마지막 올림픽이 될 수도 있기 때문.<ref>한혜진, [http://www.mookas.com/media_view.asp?news_no=13121 참가국 라저스트에 '울분'… WTF에 강경 대응 요구], 무카스미디어, 2011.06.29</ref>
[[파일:대도보호구.jpg]]<br>2011년 6월 27일 WTF는 런던올림픽에서도 광저우와 마찬가지로 라저스트로 가겠다고 발표, [[헬게이트]]가 열렸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다들 대도를 채택할 줄 알고 대도 제품으로 연습했었는데 이제 와서 라저스트로 바꾼다? 특히 상술한 그리스의 국가대표 니콜라이디스는 급기야 눈물을 터뜨리고 말았다고 한다. 만년 콩라인이었던 본인의 선수생활의 마지막 올림픽이 될 수도 있기 때문.<ref>한혜진, [http://www.mookas.com/media_view.asp?news_no=13121 참가국 라저스트에 '울분'… WTF에 강경 대응 요구], 무카스미디어, 2011.06.29</ref>


결국 항의를 견디지 못하고 [[2012 런던 올림픽]]을 6개월 앞두고 WTF에서는 전자호구로 대도(Daedo)의 제품을 채택한다고 발표했다.<ref>한혜진, [http://www.mookas.com/media_view.asp?news_no=15670 올림픽-세계선수권 태권도 전자호구 ‘대도(Daedo)’ 결정], 무카스미디어, 2015.02.16</ref> 당연히 라저스트사에선 반발하는 중. 더 당연히 우리나라 네티즌들의 반응은 한낱 스포츠기업이 뭔데 WTF를 말 그대로 호구 취급하냐고....<ref>한혜진, [http://www.mookas.com/media_view.asp?news_no=13007 '올림픽 전자호구 탈락한 라저스트 강력 반발… 왜?'], 무카스미디어, 2011.05.27</ref>  
결국 항의를 견디지 못하고 [[2012 런던 올림픽]]을 6개월 앞두고 WTF에서는 전자호구로 대도(Daedo)의 제품을 채택한다고 발표했다.<ref>한혜진, [http://www.mookas.com/media_view.asp?news_no=15670 올림픽-세계선수권 태권도 전자호구 ‘대도(Daedo)’ 결정], 무카스미디어, 2015.02.16</ref> 당연히 라저스트사에선 반발하는 중. 더 당연히 우리나라 네티즌들의 반응은 한낱 스포츠기업이 뭔데 WTF를 말 그대로 호구 취급하냐고....<ref>한혜진, [http://www.mookas.com/media_view.asp?news_no=13007 '올림픽 전자호구 탈락한 라저스트 강력 반발… 왜?'], 무카스미디어, 2011.05.27</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