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조지 5세급 전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영국 해군]][[분류:전함]]
[[분류:영국 해군]][[분류:전함]]
 
{{군사}}
[[파일:King George V class battleship 1945.jpg|섬네일|1945년 마리아나 제도의 아프라 항에 입항하는 HMS 킹 조지 5세|350픽셀]][[파일:HMS King George V (Battleship) (1940).jpg|섬네일|510픽셀|HMS 킹 조지 5세, 1940년]]
[[파일:킹 조지 5세급 전함, HMS 킹 조지 5세.jpg|섬네일|1945년 마리아나 제도의 아프라 항에 입항하는 HMS 킹 조지 5세|350픽셀]][[파일:HMS King George V (Battleship) (1940).jpg|섬네일|510픽셀|HMS 킹 조지 5세, 1940년]]
== 개요 ==
== 개요 ==
'''King George V-class'''
'''King George V-class'''
15번째 줄: 15번째 줄:
[http://www.world-war.co.uk/bb/kgv_class.php3 출처1] [http://www.ww2ships.com/britain/gb-cs-001-b.shtml 출처2 (''Overview'' 부분)] [http://www.navypedia.org/ships/uk/brit_bb1_king_george_v.htm 출처3]
[http://www.world-war.co.uk/bb/kgv_class.php3 출처1] [http://www.ww2ships.com/britain/gb-cs-001-b.shtml 출처2 (''Overview'' 부분)] [http://www.navypedia.org/ships/uk/brit_bb1_king_george_v.htm 출처3]
=== 무장 ===
=== 무장 ===
주무장으로는 14인치(355.6mm) 함포를 장착하였다. 이는 당시 조약에 의해 주력함의 함포 구경을 14인치로 제한한 것에 맞춘 것이었다. 그러나 워싱턴 군축 조약이 1937년에 파기되면서 조약은 무용지물이 되었고, 함포는 이미 1936년 중반에 주문했기 때문에 계획을 바꾸려면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간이 수반되어 최종적으로 14인치로 결정되었다. 함포는 총 12문 배치하려 했지만 조약에 의해 배수량 35,000톤을 맞추면서 함선의 방호력을 강화하였기에 B 터렛(2번 포탑)에는 함포를 2개 밖에 장착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해서 KGV급은 1,550톤의 Mk.3 4연장 포탑 2기, 898톤의 Mk.2 2연장 포탑 1기가 배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포 배치로 인해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합포별로는 190발의 탄환이 적재되었고, 해당 함포는 1,590파운드(약 721.2kg) 포탄을 40도 각도로 최대 38,560야드(약 35.25km) 정도 발사할 수 있었다. 함포의 포각은 유압에 의해 조절되었고 각도는 각 함포별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었다.
주무장으로는 14인치(355.6mm) 함포를 장착하였다. 이는 당시 조약에 의해 주력함의 함포 구경을 14인치로 제한한 것에 맞춘 것이었다. 그러나 워싱턴 군축 조약이 1937년에 파기되면서 조약은 무용지물이 되었고, 함포는 이미 1936년 중반에 주문했기 때문에 계획을 바꾸려면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기간이 수반되어 최종적으로 14인치로 결정되었다. 함포는 총 12문 배치하려 했지만 조약에 의해 배수량 35,000톤을 맞추면서 함선의 방호력을 강화하였기에 B 터렛(2번 포탑)에는 함포를 2개 밖에 장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렇게 해서 KGV급은 1,550톤의 Mk.3 4연장 포탑 2기, 898톤의 Mk.2 2연장 포탑 1기가 배치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포 배치로 인해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합포별로는 190발의 탄환이 적재되었고, 해당 함포는 1,590파운드(약 721.2kg) 포탄을 40도 각도로 최대 38,560야드(약 35.25km) 정도 발사할 수 있었다. 함포의 포각은 유압에 의해 조절되었고 각도는 각 함포별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었다.  


부무장은 당시 프랑스가 부포를 양용포로 선택한 것을 따라 5.25인치(133mm) 양용포를 장착하였다. 5.25인치 양용포는 2연장 동력구동포탑에 장착되어 각 선측면에 4개씩, 총 8개를 배치하였다. 해당 양용포는 70도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801파운드(약 363.3kg)의 포탄을 45도 각도에서는 24,070야드(약 22km), 최대 고도에 해당되는 70도 각도에서는 46,500야드(약 42.5km)까지 발사가 가능했다. 고저각 조절은 전기-유압식으로 이루어진다. 근접 대공 무장으로는 8연장 2파운더 폼폼 포를 장비하였는데 폼폼 포는 B 터렛(2번 포탑)에 1기, Y 터렛(3번 포탑)에 1기, 격납고 상부에 2기가 설치되어 총 4개가 장비되었다. 그 외에도 4연장 0.5인치 기관총도 대공무장으로 고려되었지만 실제로 장착하지는 않았다. HMS 킹 조지 5세와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에는 UP(Unrifled Projector) 대공로켓이 장착되었지만 이 로켓은 실전에서 쓸모가 없다고 판단하여 그 이후로 나온 함선에서는 20mm 기관포로 교체되었다. 전반적으로 대공 무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강화되었다.
부무장은 당시 프랑스가 부포를 양용포로 선택한 것을 따라 5.25인치(133mm) 양용포를 장착하였다. 5.25인치 양용포는 2연장 동력구동포탑에 장착되어 각 선측면에 4개씩, 총 8개를 배치하였다. 해당 양용포는 70도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801파운드(약 363.3kg)의 포탄을 45도 각도에서는 24,070야드(약 22km), 최대 고도에 해당되는 70도 각도에서는 46,500야드(약 42.5km)까지 발사가 가능했다. 고저각 조절은 전기-유압식으로 이루어진다. 근접 대공 무장으로는 8연장 2파운더 폼폼 포를 장비하였는데 폼폼 포는 B 터렛(2번 포탑)에 1기, Y 터렛(3번 포탑)에 1기, 격납고 상부에 2기가 설치되어 총 4개가 장비되었다. 그 외에도 4연장 0.5인치 기관총도 대공무장으로 고려되었지만 실제로 장착하지는 않았다. HMS 킹 조지 5세와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에는 UP(Unrifled Projector) 대공로켓이 장착되었지만 이 로켓은 실전에서 쓸모가 없다고 판단하여 그 이후로 나온 함선에서는 20mm 기관포로 교체되었다. 전반적으로 대공 무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강화되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이와 같은 장갑 구성으로 인해 선측장갑은 15인치 포탄을 13500야드(약 12.34km) 거리에서까지 방호할 수 있었고, 갑판은 33500야드(약 30.63km) 이내에서 발사한  15인치 포탄의 방호가 가능했었다.
이와 같은 장갑 구성으로 인해 선측장갑은 15인치 포탄을 13500야드(약 12.34km) 거리에서까지 방호할 수 있었고, 갑판은 33500야드(약 30.63km) 이내에서 발사한  15인치 포탄의 방호가 가능했었다.
=== 동력기관 ===
킹 조지 5세급 전함의 기관부는 유닛시스템을 채택하였으며, 4개의 보일러실로 이루어져있다. 각 보일러실마다 2기의 Admiralty 3-드럼 보일러가 위치하였으며, 추가로 과열기와 4기의 터빈시설이 존재하였다. 앞쪽에 위치한 2기의 보일러실은 보일러실끼리 나란히 위치하였고, 그 뒤쪽에 위치한 2기의 엔진실은 보조 기관실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였다. 뒤쪽의 보일러실 2기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였고 그 뒤쪽에 내부 엔진실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동력기관으로 함선은 100,000마력을 낼 수 있었고 최대 속도는 28노트 정도로 나왔다.


== 제원 ==
== 제원 ==
56번째 줄: 53번째 줄:
| colspan="3" align="center" | '''항속거리''' || align="center" colspan="5" | 10노트에서 15600해리
| colspan="3" align="center" | '''항속거리''' || align="center" colspan="5" | 10노트에서 15600해리
|-
|-
| rowspan="10" | '''무장''' || colspan="2" | '''주무장''' || align="center" colspan="5" | 4연장 14인치 45구경장 BL Mk.7 함포 2문<br />2연장 14인치 45구경장 BL Mk.7 함포 1문
| rowspan="10" | '''무장''' || colspan="2" | '''주무장''' || align="center" colspan="5" | 4연장 14인치 45구경장 BL Mk.7 함포 2문<br>2연장 14인치 45구경장 BL Mk.7 함포 1문
|-
|-
| rowspan="9" | '''부무장''' || rowspan="3" | '''초기''' || align="center" colspan="5" | 2연장 5.25인치 50구경장 QF Mk.1 양용포 8기
| rowspan="9" | '''부무장''' || rowspan="3" | '''초기''' || align="center" colspan="5" | 2연장 5.25인치 50구경장 QF Mk.1 양용포 8기
76번째 줄: 73번째 줄:
| align="center" | 20mm 대공포 24기 || 20mm 대공포 39기 || 2연장 20mm 대공포 4기
| align="center" | 20mm 대공포 24기 || 20mm 대공포 39기 || 2연장 20mm 대공포 4기
|-
|-
| colspan="3" | '''레이더''' || colspan="2" | Type 279<br />Type 284 || colspan="3" | Type 284<br />Type 273<br />Type 284<br />Type 285 4기<br />Type 282 6기  
| colspan="3" | '''레이더''' || colspan="2" | Type 279<br>Type 284 || colspan="3" | Type 284<br>Type 273<br>Type 284<br>Type 285 4기<br>Type 282 6기  
|-
|-
| rowspan="12" | '''장갑''' || colspan="2" | '''선측''' || colspan="5" | 4.5인치~15인치 (114mm~381mm)
| rowspan="12" | '''장갑''' || colspan="2" | '''선측''' || colspan="5" | 4.5인치~15인치 (114mm~381mm)
88번째 줄: 85번째 줄:
| '''상부''' || colspan="5" | 6인치 (152mm)
| '''상부''' || colspan="5" | 6인치 (152mm)
|-
|-
| rowspan="3" | '''포좌''' || '''전면''' || colspan="5" | 11.76인치 (299mm)
| rowspan="3" | '''바벳''' || '''전면''' || colspan="5" | 11.76인치 (299mm)
|-
|-
| '''측면''' || colspan="5" | 12.75인치 (324mm)
| '''측면''' || colspan="5" | 12.75인치 (324mm)
111번째 줄: 108번째 줄:
! style="width:180px" | 이름 !! 건조시작일 !! 진수일 !! 취역일 !! 최후
! style="width:180px" | 이름 !! 건조시작일 !! 진수일 !! 취역일 !! 최후
|-
|-
| HMS 킹 조지 5세<br />(HMS King Geroge V) || 1937년 1월 1일 || 1939년 2월 21일 || 1940년 12월 11일 || 1949년 9월 퇴역.
| HMS 킹 조지 5세<br>(HMS King Geroge V) || 1937년 1월 1일 || 1939년 2월 21일 || 1940년 12월 11일 || 1949년 9월 퇴역.
|-
|-
|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br />(HMS Prince of Wales) || 1937년 1월 1일  || 1939년 5월 5일 || 1941년 3월 31일 || 1941년 12월 10일. [[말레이 해전]]에서 격침(3° 34'N, 104° 26'E)<ref>[http://uboat.net/allies/warships/ship/4071.html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ref>
|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br>(HMS Prince of Wales) || 1937년 1월 1일  || 1939년 5월 5일 || 1941년 3월 31일 || 1941년 12월 10일 침몰(3° 34'N, 104° 26'E)<ref>[http://uboat.net/allies/warships/ship/4071.html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ref>
|-
|-
| HMS 듀크 오브 요크<br />(HMS Duke of York) || 1937년 5월 5일 || 1940년 2월 28일 || 1941년 11월 4일 || 1951년 11월 퇴역
| HMS 듀크 오브 요크<br>(HMS Duke of York) || 1937년 5월 5일 || 1940년 2월 28일 || 1941년 11월 4일 || 1951년 11월 퇴역
|-
|-
| HMS 앤슨<br />(HMS Anson) || 1937년 7월 20일 || 1940년 2월 24일 || 1942년 6월 22일 || 1950년 8월 퇴역
| HMS 앤슨<br>(HMS Anson) || 1937년 7월 20일 || 1940년 2월 24일 || 1942년 6월 22일 || 1950년 8월 퇴역
|-
|-
| HMS 하우<br />(HMS Howe) || 1937년 6월 1일 || 1940년 4월 9일 || 1942년 9월 28일 || 1949년 4월 21일 퇴역
| HMS 하우<br>(HMS Howe) || 1937년 6월 1일 || 1940년 4월 9일 || 1942년 9월 28일 || 1949년 4월 21일 퇴역
|}
|}


131번째 줄: 128번째 줄:
*** 7월 : UP 로켓 제거, 8연장 2파운더 대공포 2기 증설, Type 271 레이더 증설.
*** 7월 : UP 로켓 제거, 8연장 2파운더 대공포 2기 증설, Type 271 레이더 증설.
*** 12월 : 20mm 오리콘 대공포 7기 증설. 기준 배수량 39,100톤, 만재 배수량 44,460톤으로 증가.
*** 12월 : 20mm 오리콘 대공포 7기 증설. 기준 배수량 39,100톤, 만재 배수량 44,460톤으로 증가.
* 1942년
* 1942년
** HMS 킹 조지 5세
** HMS 킹 조지 5세
136번째 줄: 134번째 줄:
** HMS 듀크 오브 요크
** HMS 듀크 오브 요크
*** 4월 : 20mm 오리콘 대공포 8기 증설.
*** 4월 : 20mm 오리콘 대공포 8기 증설.
* 1943년
* 1943년
** HMS 킹 조지 5세
** HMS 킹 조지 5세
145번째 줄: 144번째 줄:
** HMS 하우
** HMS 하우
*** 중반 : 20mm 오리콘 대공포 22기 증설.
*** 중반 : 20mm 오리콘 대공포 22기 증설.
* 1944년
* 1944년
** HMS 킹 조지 5세
** HMS 킹 조지 5세
152번째 줄: 152번째 줄:
** HMS 하우
** HMS 하우
*** 5월 : 20mm 대공포 6기, 함재기용 캐터필트 1, Type 273, 281, 284 레이더 제거. 4연장 40mm 보포스 대공포 2기, 8연장 2파운더 대공포 2기, 2연장 20mm 오리콘 대공포 4기, Type 274, 277, 281B, Type 282 레이더 2기, Type 285, 293레이더 증설. 만재 배수량 45,226톤으로 증가.
*** 5월 : 20mm 대공포 6기, 함재기용 캐터필트 1, Type 273, 281, 284 레이더 제거. 4연장 40mm 보포스 대공포 2기, 8연장 2파운더 대공포 2기, 2연장 20mm 오리콘 대공포 4기, Type 274, 277, 281B, Type 282 레이더 2기, Type 285, 293레이더 증설. 만재 배수량 45,226톤으로 증가.
* 1945년
* 1945년
** HMS 킹 조지 5세
** HMS 킹 조지 5세
162번째 줄: 163번째 줄:
** HMS 하우
** HMS 하우
*** 9월 : 20mm 대공포 34기, 40mm 대공포 18기, 4연장 2파운더 대공포 6기 제거.
*** 9월 : 20mm 대공포 34기, 40mm 대공포 18기, 4연장 2파운더 대공포 6기 제거.
* 1946년
* 1946년
** HMS 킹 조지 5세
** HMS 킹 조지 5세
171번째 줄: 173번째 줄:
** HMS 하우
** HMS 하우
*** 40mm 대공포 8기, 4연장 2파운더 대공포 6기 제거.
*** 40mm 대공포 8기, 4연장 2파운더 대공포 6기 제거.
* 1949년
* 1949년
** HMS 앤슨
** HMS 앤슨
183번째 줄: 186번째 줄:
[http://www.navypedia.org/ships/uk/brit_bb1_king_george_v.htm ''Modernizations'' 부분]
[http://www.navypedia.org/ships/uk/brit_bb1_king_george_v.htm ''Modernizations'' 부분]


== 외부 참조 ==
== 외부링크 ==
* [http://www.navypedia.org/ships/uk/brit_bb1_king_george_v.htm KING GEORGE V battleships (1940-1942)]
* [http://www.navypedia.org/ships/uk/brit_bb1_king_george_v.htm KING GEORGE V battleships (1940-1942)]
* [http://www.world-war.co.uk/bb/kgv_class.php3 King George V Class BB]
* [http://www.world-war.co.uk/bb/kgv_class.php3 King George V Class BB]
192번째 줄: 195번째 줄:
{{각주}}
{{각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의 해상장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의 해상장비}}
[[분류:영국 해군]]
[[분류:영국 해군]]
[[분류:전함]]
[[분류:전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