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민주공화국 프랑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CFA 프랑/중앙아프리카|콩고민주공화국(킨샤샤)의 화폐|콩고공화국(브라자빌)의 화폐}}
{{다른 뜻|CFA 프랑/중앙아프리카|콩고 민주공화국(킨샤샤)의 화폐|콩고 공화국(브라자빌)의 화폐}}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콩고민주공화국 프랑
|현지어 명칭 = Franc Congolais <small>프헝 콩골레<sup>[[프랑스어|fr]]</sup></small>
|원어이름 = Franc Congolais 프헝 콩골레<sup>[[프랑스어|fr]]</sup>
|다른 언어명 = Congolese Franc <small>콩골리즈 프랑<sup>[[영어|en]]</sup></small>
|그림    =  
|그림1 =
|그림설명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콩고민주공화국}}
|사용국 = {{국기|콩고민주공화국}}
|비공식   =  
|비공식 사용국 =
|ISO      = CDF
|iso 코드 = CDF
|기호     = F (FC)
|기호 = F (FC)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small>1/100</small>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small>상팀(Centime)</small>
|비율 = 1/100
|보조단위_비율_2 =
|이름 = 상팀(Centime)
|보조단위_이름_2 =
}}
|지폐 = 1000F, 5000F, 10000F, 20000F<br/><small>(구권 : 10F, 20F, 50F, 100F, 200F, 500F)</small>
|지폐     = 1000F, 5000F, 10000F, 20000F<br /><small>(구권 : <s>10F, 20F,</s> 50F, 100F, 200F, 500F)</small>
|동전 = (없음)
|동전     = (없음)
|발행 기관 = 콩고 중앙은행 (Banque Centrale du Congo)
|중앙은행 = 콩고 중앙은행 (Banque Centrale du Congo)
|인쇄처 =  
|인쇄처   =  
|조폐국 =  
|조폐국   =  
|인플레이션 = 41.5%<small> (2017년 추정치)</small>
|환율     = 0.70원/F<small> (2020.02.16 기준)</small>
|환율 = 0.70원/F<small> (2020.02.16 기준)</small>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자이르 자이르]] (100,000 : 1)<br /><small>[[콩고 프랑]] (300,000,000,000,000 : 1)</small><ref>옛날 '콩고 공화국'을 가리키며, 지금의 콩고민주공화국 및 콩고공화국과는 개념적으로 별개이다.</ref>
|전신 = [[자이르 자이르]] (100,000 : 1)<br/><small>[[콩고 프랑]] (300,000,000,000,000 : 1)</small><ref>옛날 '콩고 공화국'을 가리키며, 지금의 콩고민주공화국 및 콩고공화국과는 개념적으로 별개이다.</ref>
|이후화폐 =
|후신 =  
|비고    =  
}}
}}
Congolese Franc <small>콩골리즈 프랑<sup>[[영어|en]]</sup></small>
== 소개 ==
== 소개 ==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의 [[프랑]]계 통화이다. 인접한 [[콩고공화국]]('콩고')에서는 통합화폐인 [[CFA 프랑]]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유의.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의 [[프랑]]계 통화이다. 인접한 [[콩고공화국]]('콩고')에서는 통합화폐인 [[CFA 프랑]]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유의.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아프리카 통화들이 대부분 그렇듯, 한국에서는 전혀 취급하지 않는 통화이다.
아프리카 통화들이 대부분 그렇듯, 한국에서는 전혀 취급하지 않는 통화이다.  


환율은 2008년에 최고점인 2.7원/F를 찍었다가 바로 직후인 2009년에 1.5원/F까지 확 떨어졌는데, 이때 정부측은 금리를 40%까지 올려서 어떻게든 폭락을 막아보고자 발악을 했으나 내전으로 소모되는 비용이 결코 만만하지 않았고, 결국 이듬해 2010년에 1.2~1.3원/F까지 하락하였었다. <s>그래도 [[대한민국 원]]보다 환율이 높았었다.</s> 이후 내전도 잠잠해지다 2013년 일시 휴전으로 인하여 잘 버티나 싶었는데, 2016년 후반기부터 다시 휘청거려 결국 1.0원/F가 뚫리고, 2018년 1월 현재는 0.67원/F(=약 2원당 3프랑 꼴)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환율은 2008년에 최고점인 2.7원/F를 찍었다가 바로 직후인 2009년에 1.5원/F까지 확 떨어졌는데, 이때 정부측은 금리를 40%까지 올려서 어떻게든 폭락을 막아보고자 발악을 했으나 내전으로 소모되는 비용이 결코 만만하지 않았고, 결국 이듬해 2010년에 1.2~1.3원/F까지 하락하였었다. <s>그래도 [[대한민국 원]]보다 환율이 높았었다.</s> 이후 내전도 잠잠해지다 2013년 일시 휴전으로 인하여 잘 버티나 싶었는데, 2016년 후반기부터 다시 휘청거려 결국 1.0원/F가 뚫리고, 2018년 1월 현재는 0.67원/F(=약 2원당 3프랑 꼴)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통상적으로 콩고민공에 가는 외국인은 대부분 목적이 확실한 사람들로, 현지인들조차 외국인에게 별로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에 여행자가 가볍게 쓱 둘러보고 갈 만한 동네가 아니다. 애초에 DR콩고측에서 입국시 '여행자 모국에서 발행한' 콩고민공 대사관의 비자를 요구한다. 이게 공식적인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그 [[뒷돈|속뜻]]이야 뭐...
통상적으로 콩고민공에 가는 외국인은 대부분 목적이 확실한 사람들로, 현지인들조차 외국인에게 별로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에 여행자가 가볍게 쓱 둘러보고 갈 만한 동네가 아니다. 애초에 DR콩고측에서 입국시 '여행자 모국에서 발행한' 콩고민공 대사관의 비자를 요구한다. 이게 공식적인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그 [[뒷돈|속뜻]]이야 뭐...  


또한 DR콩고는 모두가 다이아몬드를 건 전쟁에 매달려있는 듯, 괴멸적인 공업수준을 자랑하는지라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2번째로 높은 물가를 자랑하고 있다. 구형 권종 중 최고액권인 500F은 약 300원이 조금 넘는 수준인데, 이걸로 뭘 할 수 있는게 [[잉여|딱히 없다]]. 때문에 현지인들도 [[미국 달러]]를 거리낌없이 쓰고 있을 정도니 '''굳이 콩고민공 프랑으로 환전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달러를 지불하면 100%의 확률로 프랑화를 거스름돈을 주니, 출국하기 전에 신경써서 <s>그 얼마 되지 않을</s> 프랑화를 모두 소진해버리면 된다.
또한 DR콩고는 모두가 다이아몬드를 건 전쟁에 매달려있는 듯, 괴멸적인 공업수준을 자랑하는지라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2번째로 높은 물가를 자랑하고 있다. 구형 권종 중 최고액권인 500F은 약 300원이 조금 넘는 수준인데, 이걸로 뭘 할 수 있는게 [[잉여|딱히 없다]]. 때문에 현지인들도 [[미국 달러]]를 거리낌없이 쓰고 있을 정도니 '''굳이 콩고민공 프랑으로 환전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달러를 지불하면 100%의 확률로 프랑화를 거스름돈을 주니, 출국하기 전에 신경써서 <s>그 얼마 되지 않을</s> 프랑화를 모두 소진해버리면 된다.
47번째 줄: 45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콩고(킨샤샤) 프랑 2차 시리즈 (2012)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D.Congo Franc 2n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F'''<br />오카피 & 카니오카<small>(전통조각장식 상자)</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1,000F'''<br/>오카피 & 카니오카<small>(전통조각장식 상자)</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5,000F'''<br />얼룩말 & 헴바 조각상
| style="text-align: center;" | '''5,000F'''<br/>얼룩말 & 헴바 조각상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F'''<br />버팔로 & 쿠바추장 조각상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F'''<br/>버팔로 & 쿠바추장 조각상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F'''<br />기린 & 바실렐레 두상조각
| style="text-align: center;" | '''20,000F'''<br/>기린 & 바실렐레 두상조각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DF129.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File:CDF129.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DF131s.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DF133s.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DF135.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File:CDF13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앵무새 & 옥수수
| style="text-align: center;" | 앵무새 & 옥수수
67번째 줄: 65번째 줄:


== 1차 (현용권/구권, 1997~) ==
== 1차 (현용권/구권, 1997~) ==
1997년 초판의 구성은 1C~50C 및 1F~100F까지의 11종 구성이었다. 이후 한 차례 개정을 통해 5F까지의 지폐가 생산 중단됨과 동시에 색상도 서로 바뀌었다. 이때 발행 중단된 권종은 여전히 공식적으론 통용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그냥 통용되지 않는다. 은행에서도 발권은행이 아니면 교환이 어려울 정도인데, 액면이 너무 낮기 때문.
1997년 초판의 구성은 1C~50C 및 1F~100F까지의 11종 구성이었다. 이후 한 차례 개정을 통해 5F까지의 지폐가 생산 중단됨과 동시에 색상도 서로 바뀌었다. 이때 발행 중단된 권종은 여전히 공식적으론 통용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그냥 통용되지 않는다. 은행에서도 발권은행이 아니면 교환이 어려울 정도인데, 액면이 너무 낮기 때문.  


2000년에는 200F, 2002년에는 500F가 추가되어서 현재의 10F~500F 6종 구성이 완성되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이 중에서 100F, 200F, 500F 3종만이 쓰이는 정도이다.
2000년에는 200F, 2002년에는 500F가 추가되어서 현재의 10F~500F 6종 구성이 완성되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이 중에서 100F, 200F, 500F 3종만이 쓰이는 정도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콩고(킨샤샤) 프랑 1차 시리즈 - 고액권 (2000, 2002, 2003)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D.Congo Franc 1st Series High Unit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10F 루바 전통조각 "테트 아 테트"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20F 숫사자 머리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0F 음와나 푸 (Mwana Pwo, 쵸퀘식 가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F
| style="text-align: center;" | 루바 전통조각
"테트 아 테트"
| style="text-align: center;" | 루바 전통조각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F
| style="text-align: center;" | 숫사자 머리
| style="text-align: center;" | 암사자와 아기사자들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F
| style="text-align: center;" | 음와나 푸
(Mwana Pwo, 쵸퀘식 가면)
| style="text-align: center;" | 콩고강의 어촌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F
| style="text-align: center;" | 코끼리
| style="text-align: center;" | 잉가 2
(수력발전소)
|-
|-
| style="text-align: center;" | 루바 전통조각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암사자와 아기사자들
| style="text-align: center;" | 200F
| style="text-align: center;" | 콩고강의 어촌
| style="text-align: center;" | 밭일
| style="text-align: center;" | 나무통 두들기며 노는 사람들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F 코끼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F 밭일
| style="text-align: center;" | 500F
| style="text-align: center;" | 500F 다이아몬드 캐는 인부들
| style="text-align: center;" | 다이아몬드 캐는 인부들
| style="text-align: center;" | 에트로왓 계곡
(다이아몬드 채산지)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F
(기념권)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잉가 2 (수력발전소)
| style="text-align: center;" | 나무통 두들기며 노는 사람들
| style="text-align: center;" | 에트로왓 계곡 (다이아몬드 채산지)
|}
|}
* 위와 별도로, 2010년에 벨기에로부터 독립 50주년을 기념하는 500F 기념권을 발행했다.
* 500F 기념권은 201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 50주년을 기념하는 용도로 발행되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콩고(킨샤샤) 프랑 1차 시리즈 - 저액권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D.Congo Franc 1st Series Low Unit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1C 커피 수확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5C 수쿠 가면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10C 펜데 가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20C 영양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C
| style="text-align: center;" | 커피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니이라곤고 화산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C
| style="text-align: center;" | 수쿠 가면
| style="text-align: center;" | 잔데 (Harpe Zande)
(콩고민족 고유의 하프)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C
| style="text-align: center;" | 펜데 가면
| style="text-align: center;" | 펜데 무용수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20C
| style="text-align: center;" | 니이라곤고 화산
| style="text-align: center;" | 영양
| style="text-align: center;" | 잔데 (Harpe Zande) (콩고민족 고유의 하프)
| style="text-align: center;" | 펜데 무용수
| style="text-align: center;" | 우펨바 국립공원
| style="text-align: center;" | 우펨바 국립공원
|-
|-
| style="text-align: center;" | 50C 오카피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F 게카마인社 구리광산단지<ref>La Générale des Carrières et des Mines</ref>
| style="text-align: center;" | 50C
| style="text-align: center;" | 5F 코뿔소
| style="text-align: center;" | 오카피
| style="text-align: center;" | 오카피 가족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F
| style="text-align: center;" | 게카마인社 구리광산단지
(La Générale des Carrières et des Mines)
| style="text-align: center;" | 파트리스 루뭄바 (초대 총리)와 함께 체포된 공산당원들
<s>이 문서를 국방부가 좋아합니다!</s>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F
|-
| style="text-align: center;" | 코뿔소
| style="text-align: center;" | 오카피 가족
| style="text-align: center;" | 파트리스 루뭄바 (초대 총리)와 함께 체포된 공산당원들 <s>이 문서를 국방부가 좋아합니다!</s>
| style="text-align: center;" | 캄완가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캄완가 폭포
|}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