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스코틀랜드]] [[포크송|포크]] [[음악]]계의 진정한 울트라 킹왕짱 [[최종보스]].'''  
'''[[스코틀랜드]] [[포크송|포크]] [[음악]]계의 진정한 울트라 킹왕짱 [[최종보스]].'''  


이 말 한 마디로 코리스의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다. [[아일랜드 포크 음악]] 같은 경우 [[클랜시 브라더스]]와 [[더블리너스]]가 서로 누가 [[최종 보스]]인지 우열을 가리기 힘든 가운데 더블린 시티 램블러스, 울프 톤스, 아이리시 로버스, 퓨리스 같은 다른 그룹들도 거기에 못지않는 인기를 얻었지만,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은 사실상 코리스가 부동의 1위 최종보스로 군림하고 있는 상황.
이 말 한 마디로 코리스의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다. [[아일랜드 포크 음악]] 같은 경우 [[클랜시 브라더스]]와 [[더블리너스]]가 서로 누가 [[최종 보스]]인지 우열을 가리기 힘든 가운데 더블린 시티 램블러스, 울프 톤스, 아이리시 로버스, 퓨리스 같은 다른 그룹들도 거기에 못지않는 인기를 얻었지만,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은 사실상 코리스가 부동의 1위 최종보스로 군림하고 있는 상황.  


코리스가 없었다면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은 아일랜드 포크 음악과 같은 하나의 대중음악 장르로 자리잡지 못했을 것이며''' 그냥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정도로나 취급되었을 것이다. 물론 코리스 이전에도 알렉스 캠벨(Alex Campbell) 같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가들이 [[클랜시 브라더스]]가 스타트를 끊은 아일랜드 포크 리바이벌(전통 음악 부흥 운동)의 영향을 받아 스코틀랜드 포크 리바이벌을 시작하긴 했지만, 그 스코틀랜드 포크 리바이벌을 제대로 끓어오르게 한 것은 다름 아닌 코리스. 현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을 있게 한 원동력이며 또한 현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 그 자체가 바로 코리스이다!
코리스가 없었다면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은 아일랜드 포크 음악과 같은 하나의 대중음악 장르로 자리잡지 못했을 것이며''' 그냥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정도로나 취급되었을 것이다. 물론 코리스 이전에도 알렉스 캠벨(Alex Campbell) 같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가들이 [[클랜시 브라더스]]가 스타트를 끊은 아일랜드 포크 리바이벌(전통 음악 부흥 운동)의 영향을 받아 스코틀랜드 포크 리바이벌을 시작하긴 했지만, 그 스코틀랜드 포크 리바이벌을 제대로 끓어오르게 한 것은 다름 아닌 코리스. 현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을 있게 한 원동력이며 또한 현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 그 자체가 바로 코리스이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코리스가 먼치킨인 또 다른 이유는 다루는 악기 종류가 장난이 아니게 많다는 것. 보통 일반적인 포크 음악 그룹은 한 멤버가 한 가지 악기만 다루거나 많아 봐야 네 가지, 다섯 가지 정도이며, 전체 악기의 가짓수도 많아 봐야 열 가지를 넘지 않는다. 때문에 앨범 작업을 할 때는 세션을 많이 동원을 하는 것. '''그런데 코리스는 2인조 그룹으로 활동하면서 다룬 악기의 가짓수는 스무 가지가 넘는다!''' 세션을 단 1명도 동원하지 않고 20여 종의 다양한 악기를 연주를 했다는 것에 대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코리스가 먼치킨인 또 다른 이유는 다루는 악기 종류가 장난이 아니게 많다는 것. 보통 일반적인 포크 음악 그룹은 한 멤버가 한 가지 악기만 다루거나 많아 봐야 네 가지, 다섯 가지 정도이며, 전체 악기의 가짓수도 많아 봐야 열 가지를 넘지 않는다. 때문에 앨범 작업을 할 때는 세션을 많이 동원을 하는 것. '''그런데 코리스는 2인조 그룹으로 활동하면서 다룬 악기의 가짓수는 스무 가지가 넘는다!''' 세션을 단 1명도 동원하지 않고 20여 종의 다양한 악기를 연주를 했다는 것에 대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코리스 멤버 각각만 봐도 정말 엄청난 먼치킨인데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로이 윌리엄슨은 [[용준형]]+[[노이영]]+'''[[로이킴]]'''이라 할 수 있겠다. 무슨 말이냐 하면 탁월한 작곡 능력과 다양한 악기를 다룰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감미로운 중저음을 탑재했다는 뜻. 그런데 그 '다양한 악기' 라는 것이 가짓수가 '''거짓말 안 치고 10가지를 넘을''' 뿐만 아니라 '''아예 새로운 악기를 개발'''하기까지 했다! 로니 브라운은 로이 윌리엄슨만큼의 초능력자라 할 수는 없겠지만 역시 거의 10가지 가까운 악기를 다루며 작곡도 어느 정도 했으니 다른 포크 가수들과 비교하면 역시 먼치킨.
코리스 멤버 각각만 봐도 정말 엄청난 먼치킨인데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로이 윌리엄슨은 [[용준형]]+[[노이영]]+'''[[로이킴]]'''이라 할 수 있겠다. 무슨 말이냐 하면 탁월한 작곡 능력과 다양한 악기를 다룰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감미로운 중저음을 탑재했다는 뜻. 그런데 그 '다양한 악기' 라는 것이 가짓수가 '''거짓말 안 치고 10가지를 넘을''' 뿐만 아니라 '''아예 새로운 악기를 개발'''하기까지 했다! 로니 브라운은 로이 윌리엄슨만큼의 초능력자라 할 수는 없겠지만 역시 거의 10가지 가까운 악기를 다루며 작곡도 어느 정도 했으니 다른 포크 가수들과 비교하면 역시 먼치킨.  


== 멤버 ==
== 멤버 ==
코리스(The Corries)라는 이름은 1966년 2인조로 전환하면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962년 처음 조직되었을 때는 코리 포크 트리오와 패디 벨(The Corrie Folk Trio and Paddie Bell)이라고 했다. 코리(Corrie)는 스코틀랜드 북부의 고원 지대에 분포하는 특수한 빙하 지역인 '권곡' 을 뜻하는 스코틀랜드식 영어.
코리스(The Corries)라는 이름은 1966년 2인조로 전환하면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962년 처음 조직되었을 때는 코리 포크 트리오와 패디 벨(The Corrie Folk Trio and Paddie Bell)이라고 했다. 코리(Corrie)는 스코틀랜드 북부의 고원 지대에 분포하는 특수한 빙하 지역인 '권곡' 을 뜻하는 스코틀랜드식 영어.  


코리스 멤버는 다음과 같이 2명. 사실상 '코리스' 라고 하면 이렇게 둘을 두고 하는 말이다.
코리스 멤버는 다음과 같이 2명. 사실상 '코리스' 라고 하면 이렇게 둘을 두고 하는 말이다.
40번째 줄: 40번째 줄:
실제로 로이 윌리엄슨은 목공예에 탁월한 능력이 있어서 뒤에 설명할 코리스 자체 제작 악기도 전부 로이 윌리엄슨이 직접 만든 것이다. 그리고 로니 브라운은 가수 활동을 하면서도 그림도 그리며, 이 그림은 '''코리스 홈페이지에서 코리스 앨범과 함께 팔고 있다!''' 음악계에서 은퇴한 지금도 그림은 그린다. 아니, 그림을 더 많이 그리고 싶어서 음악계에서 은퇴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이다! 바야흐로 스코틀랜드판 [[태연|탱화백]] 등장.
실제로 로이 윌리엄슨은 목공예에 탁월한 능력이 있어서 뒤에 설명할 코리스 자체 제작 악기도 전부 로이 윌리엄슨이 직접 만든 것이다. 그리고 로니 브라운은 가수 활동을 하면서도 그림도 그리며, 이 그림은 '''코리스 홈페이지에서 코리스 앨범과 함께 팔고 있다!''' 음악계에서 은퇴한 지금도 그림은 그린다. 아니, 그림을 더 많이 그리고 싶어서 음악계에서 은퇴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이다! 바야흐로 스코틀랜드판 [[태연|탱화백]] 등장.


아무튼 이렇게 미술 선생님 2명, 건축기사 1명으로 조직된 3인조 그룹에 패디 벨이라는, 북아일랜드 출신으로 스코틀랜드에 건너와 있던 '''비서'''가 합류했다. 이에 따라 공식 명칭은 '코리 포크 트리오와 패디 벨'이 되었다. 클랜시 브라더스의 공식 명칭이 '클랜시 브라더스와 토미 메이컴'인 것처럼. 사실 코리 포크 트리오는 클랜시 브라더스로부터 엄청난 영향을 받은 정도를 넘어서 클랜시 브라더스의 스코틀랜드 버전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은 것이, 다음과 같은 정말 엄청난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렇게 미술 선생님 2명, 건축기사 1명으로 조직된 3인조 그룹에 패디 벨이라는, 북아일랜드 출신으로 스코틀랜드에 건너와 있던 '''비서'''가 합류했다. 이에 따라 공식 명칭은 '코리 포크 트리오와 패디 벨'이 되었다. 클랜시 브라더스의 공식 명칭이 '클랜시 브라더스와 토미 메이컴'인 것처럼. 사실 코리 포크 트리오는 클랜시 브라더스로부터 엄청난 영향을 받은 정도를 넘어서 클랜시 브라더스의 스코틀랜드 버전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은 것이, 다음과 같은 정말 엄청난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1. 3+1 체제: 클랜시 브라더스(패디, 톰, 리엄 클랜시)와 토미 메이컴의 3+1 체제가 코리 포크 트리오(로이 윌리엄슨, 로니 브라운, 빌 스미스)와 패디 벨의 3+1 체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당장 그룹 이름만 봐도...
1. 3+1 체제: 클랜시 브라더스(패디, 톰, 리엄 클랜시)와 토미 메이컴의 3+1 체제가 코리 포크 트리오(로이 윌리엄슨, 로니 브라운, 빌 스미스)와 패디 벨의 3+1 체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당장 그룹 이름만 봐도...
48번째 줄: 48번째 줄:
코리 포크 트리오는 매년 가을에 에딘버러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문화 축제인 에딘버러 페스티벌(Edinburgh Festival)을 통해 음악계에 데뷔했다. 그런데 여기에서부터 벌써 먼치킨의 feel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 '''첫 공연 때는 관객이 딱 8명이었는데 페스티벌 막판에는 전석이 매진되었다!''' [[흠좀무]].
코리 포크 트리오는 매년 가을에 에딘버러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문화 축제인 에딘버러 페스티벌(Edinburgh Festival)을 통해 음악계에 데뷔했다. 그런데 여기에서부터 벌써 먼치킨의 feel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 '''첫 공연 때는 관객이 딱 8명이었는데 페스티벌 막판에는 전석이 매진되었다!''' [[흠좀무]].


코리 포크 트리오는 이듬해 1963년부터 앨범 작업을 시작하여, 1963년에는 세 장의 미니앨범을 냈다. 특이한 것은 이 미니앨범들은 같은 제목의 앨범이 4곡짜리 버전과, 그 4곡에 없는 2곡을 추가한 6곡짜리 버전이 각각 따로 있다는 것. 그리고 1964년에는 정규 앨범 <The Corrie Folk Trio and Paddie Bell>과 싱글 <O Waly Waly & Love is Teasing>을 냈다. 1965년에는 <The Corrie Folk Trio and Paddie Bell> 이라는 제목의 또 다른 앨범과 <Frosty Winds> 라는 4곡짜리 미니앨범, 그리고 <The Promise of the Day>라는 앨범을 냈다. 그러나 1965년 중에 패디 벨이 그룹을 탈퇴하게 되었는데, 이는 임신과 출산 때문이었다. 나머지 세 멤버들은 같은 해 <Those Wild Corries!>라는 앨범을 녹음했다. 그리고 앨범 발매를 앞두고 있는데, 1966년 새해 첫날 빌 스미스가 탈퇴를 선언했다. 그와 동시에 음악계에서도 물러나 건축기사로 복귀했다.
코리 포크 트리오는 이듬해 1963년부터 앨범 작업을 시작하여, 1963년에는 세 장의 미니앨범을 냈다. 특이한 것은 이 미니앨범들은 같은 제목의 앨범이 4곡짜리 버전과, 그 4곡에 없는 2곡을 추가한 6곡짜리 버전이 각각 따로 있다는 것. 그리고 1964년에는 정규 앨범 <The Corrie Folk Trio and Paddie Bell>과 싱글 <O Waly Waly & Love is Teasing>을 냈다. 1965년에는 <The Corrie Folk Trio and Paddie Bell> 이라는 제목의 또 다른 앨범과 <Frosty Winds> 라는 4곡짜리 미니앨범, 그리고 <The Promise of the Day>라는 앨범을 냈다. 그러나 1965년 중에 패디 벨이 그룹을 탈퇴하게 되었는데, 이는 임신과 출산 때문이었다. 나머지 세 멤버들은 같은 해 <Those Wild Corries!>라는 앨범을 녹음했다. 그리고 앨범 발매를 앞두고 있는데, 1966년 새해 첫날 빌 스미스가 탈퇴를 선언했다. 그와 동시에 음악계에서도 물러나 건축기사로 복귀했다.  


이에 따라 로니 브라운과 로이 윌리엄슨은, 빌 스미스의 대타를 영입하기보다는 2인조로 전환하기를 선택을 했는데... 이 때까지만 하더라도 로니 브라운과 로이 윌리엄슨 모두 자기네들이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의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1인자 킹왕짱 먼치킨 최종보스가 될 줄은 전혀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이에 따라 로니 브라운과 로이 윌리엄슨은, 빌 스미스의 대타를 영입하기보다는 2인조로 전환하기를 선택을 했는데... 이 때까지만 하더라도 로니 브라운과 로이 윌리엄슨 모두 자기네들이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의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1인자 킹왕짱 먼치킨 최종보스가 될 줄은 전혀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61번째 줄: 61번째 줄:
1968년 코리스는 두 번째 정규 앨범인 <Kishmul's Galley>를 발매했다. 그리고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먼치킨의 길을 가게 되는데... 이듬해 코리스가 발매한 라이브 앨범 <The Corries in Concert>에서 <Flower of Scotland>가 최초로 앨범 형태로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 그리고 그 해 12월에 코리스는 런던에서 스튜디오 앨범 <Scottish Love Songs>를 녹음하여 이듬해에 발매를 했는데, 이것을 별도로 서술하는 까닭은 이 앨범에 한국인에게 가장 잘 알려진 스코틀랜드 고전 포크송 1, 2위를 다투는 <[[Annie Laurie]]>('''애니 로리''') {{ㅊ|이쯤에서 [[오덕후]]들 단체로 흥분하는 소리가 들린다! '''분명히 말하지만 이 곡은 [[애니]]나 [[로리]]와는 진짜 아무런 관계가 없다!'''}} 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 정작 스코틀랜드 본토에서는 별로 널리 불리는 곡은 아니고, 코리스의 주요 곡도 아니지만, 한국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한 것이다.
1968년 코리스는 두 번째 정규 앨범인 <Kishmul's Galley>를 발매했다. 그리고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먼치킨의 길을 가게 되는데... 이듬해 코리스가 발매한 라이브 앨범 <The Corries in Concert>에서 <Flower of Scotland>가 최초로 앨범 형태로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 그리고 그 해 12월에 코리스는 런던에서 스튜디오 앨범 <Scottish Love Songs>를 녹음하여 이듬해에 발매를 했는데, 이것을 별도로 서술하는 까닭은 이 앨범에 한국인에게 가장 잘 알려진 스코틀랜드 고전 포크송 1, 2위를 다투는 <[[Annie Laurie]]>('''애니 로리''') {{ㅊ|이쯤에서 [[오덕후]]들 단체로 흥분하는 소리가 들린다! '''분명히 말하지만 이 곡은 [[애니]]나 [[로리]]와는 진짜 아무런 관계가 없다!'''}} 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 정작 스코틀랜드 본토에서는 별로 널리 불리는 곡은 아니고, 코리스의 주요 곡도 아니지만, 한국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한 것이다.


한편 1969년 여름, 로이 윌리엄슨은 자체 악기인 콤볼린을 개발했다. 이전에도 로이 윌리엄슨은 28현 기타나 치터 기타와 같은 자체 악기를 만들어 연주를 했지만, 이 콤볼린의 경우는 굉장히 특이한 것이 '''여러 가지 악기를 하나로 합쳤다!''' 애초에 새로 악기를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아무나 할 수 없는 발상인데, [[몰라 뭐야 그거 무서워]]... 그것으로도 모자라서 로이 윌리엄슨 전용과 로니 브라운 전용을 따로 만들었다. 로이 윌리엄슨 전용 콤볼린은 [[기타]]와 반두리아를 합쳐 놓고 거기에 공명현, 곧 그 현을 직접 연주는 하지 않지만 다른 현을 연주할 때 그 공명으로 울리게 되는 현 13줄을 추가했다. 로이 윌리엄슨 콤볼린이 마치 인도의 시타르처럼 한쪽에 줄감개가 잔뜩 튀어나와 있는 것은 이 때문. 로니 브라운 전용 콤볼린은 기타와 만돌린을 합쳐 놓고 거기에 베이스 현을 덧붙였다.
한편 1969년 여름, 로이 윌리엄슨은 자체 악기인 콤볼린을 개발했다. 이전에도 로이 윌리엄슨은 28현 기타나 치터 기타와 같은 자체 악기를 만들어 연주를 했지만, 이 콤볼린의 경우는 굉장히 특이한 것이 '''여러 가지 악기를 하나로 합쳤다!''' 애초에 새로 악기를 개발한다는 것 자체가 아무나 할 수 없는 발상인데, [[몰라 뭐야 그거 무서워]]... 그것으로도 모자라서 로이 윌리엄슨 전용과 로니 브라운 전용을 따로 만들었다. 로이 윌리엄슨 전용 콤볼린은 [[기타]]와 반두리아를 합쳐 놓고 거기에 공명현, 곧 그 현을 직접 연주는 하지 않지만 다른 현을 연주할 때 그 공명으로 울리게 되는 현 13줄을 추가했다. 로이 윌리엄슨 콤볼린이 마치 인도의 시타르처럼 한쪽에 줄감개가 잔뜩 튀어나와 있는 것은 이 때문. 로니 브라운 전용 콤볼린은 기타와 만돌린을 합쳐 놓고 거기에 베이스 현을 덧붙였다.  


1970년, 코리스는 레이블을 EMI로 바꾸고, 콤볼린을 사용한 트랙이 처음으로 수록된 <Strings and Things> 앨범을 내놓았다. 1971년에는 <Live at the Royal Lyceum Theatre>, 1972년에는 <Sound the Pibroch>과 <Live A Live O>(다른 레이블로 발매), 1973년에는 <A Little of What you Fancy> 앨범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시작에 불과했다! 1974년, 코리스는 레이블을 Dara로 바꾸고, 이 해에 <Live from Scotland Volume 1>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명실상부한 코리스 최대 히트곡인 <[[Flower of Scotland]]>가 수록되었고, 로니 브라운이 작사 및 작곡한 <The Roses of Prince Charlie>도 수록되었다. 그리고 이 두 곡은 따로 싱글로도 발매가 되었는데...
1970년, 코리스는 레이블을 EMI로 바꾸고, 콤볼린을 사용한 트랙이 처음으로 수록된 <Strings and Things> 앨범을 내놓았다. 1971년에는 <Live at the Royal Lyceum Theatre>, 1972년에는 <Sound the Pibroch>과 <Live A Live O>(다른 레이블로 발매), 1973년에는 <A Little of What you Fancy> 앨범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시작에 불과했다! 1974년, 코리스는 레이블을 Dara로 바꾸고, 이 해에 <Live from Scotland Volume 1>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명실상부한 코리스 최대 히트곡인 <[[Flower of Scotland]]>가 수록되었고, 로니 브라운이 작사 및 작곡한 <The Roses of Prince Charlie>도 수록되었다. 그리고 이 두 곡은 따로 싱글로도 발매가 되었는데...


'''문자 그대로 초초초초초초초대박을 터트렸다.''' 코리스는 문자 그대로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의 독보적이고 압도적이며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최종보스]]'''로 등극을 했다. 그 인기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설명하려면, 2007년 하반기(<Tell Me>)와 2008년 하반기(<Nobody>)의 [[원더걸스]] 말고는 마땅히 비교할 곳이 없겠다. 이것으로도 모자라서 이 곡이 하도 대박을 터트리다 보니, 스코틀랜드 럭비 국가대표팀 내에서 이 곡이 '''응원가로 불리기 시작했다!''' 이렇게 문자 그대로 슈퍼스타가 된 코리스는 1975년도에는 <Live From Scotland> 앨범의 2권, 3권을 연달아 발매하며 진짜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스코틀랜드 음악 역사를 통째로 뒤바꿔 놓은 인기를 구가했다.
'''문자 그대로 초초초초초초초대박을 터트렸다.''' 코리스는 문자 그대로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의 독보적이고 압도적이며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최종보스]]'''로 등극을 했다. 그 인기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설명하려면, 2007년 하반기(<Tell Me>)와 2008년 하반기(<Nobody>)의 [[원더걸스]] 말고는 마땅히 비교할 곳이 없겠다. 이것으로도 모자라서 이 곡이 하도 대박을 터트리다 보니, 스코틀랜드 럭비 국가대표팀 내에서 이 곡이 '''응원가로 불리기 시작했다!''' 이렇게 문자 그대로 슈퍼스타가 된 코리스는 1975년도에는 <Live From Scotland> 앨범의 2권, 3권을 연달아 발매하며 진짜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스코틀랜드 음악 역사를 통째로 뒤바꿔 놓은 인기를 구가했다.  


1977년 코리스는 스튜디오, 라이브 앨범을 각각 하나씩 발매했다. 스튜디오 앨범은 <Peat Fire Flame>이라는 앨범인데 코리스의 앨범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이라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 물론 대표곡인 <Flower of Scotland>와 <The Roses of Prince Charlie>가 포함된 1974년도 <Live from Scotland> 1권이 코리스를 대표하는 앨범이겠지만, 이 앨범도 들어 보면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었고 곡들 하나하나도 굉장히 우수한 곡들이다. 그리고 같은 해에 <Live from Scotland> 4권도 발매되었다. 이 무렵이 바야흐로 코리스가 인기 최정상에 등극했을 때인데, 이 때의 공연 비디오를 하나 보면 정말 코리스의 인기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1977년 코리스는 스튜디오, 라이브 앨범을 각각 하나씩 발매했다. 스튜디오 앨범은 <Peat Fire Flame>이라는 앨범인데 코리스의 앨범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이라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 물론 대표곡인 <Flower of Scotland>와 <The Roses of Prince Charlie>가 포함된 1974년도 <Live from Scotland> 1권이 코리스를 대표하는 앨범이겠지만, 이 앨범도 들어 보면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었고 곡들 하나하나도 굉장히 우수한 곡들이다. 그리고 같은 해에 <Live from Scotland> 4권도 발매되었다. 이 무렵이 바야흐로 코리스가 인기 최정상에 등극했을 때인데, 이 때의 공연 비디오를 하나 보면 정말 코리스의 인기가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71번째 줄: 71번째 줄:
1980년대에 들어와서도 코리스의 인기는 여전했다. 이 무렵 스코틀랜드와 영국 중앙정부 사이에 갈등이 생기면서[* 스코틀랜드인들은 잉글랜드에 대한 반감도 아일랜드인들이 잉글랜드에 대해 품는 것만큼 클 뿐만 아니라, 잉글랜드인들에 대해 상당한 우월 의식을 갖고 있어서 원래부터 관계가 좋지 않았다. 그런데 1980년대 출범한 영국 중앙정부의 대처 총리가 보수적인 정책을 내놓고 스코틀랜드에 대해 차별 대우를 가하면서 진보적인 성향에 민족 감정이 강한 스코틀랜드인들과 마찰을 일으켰고, 이전부터 나오고 있던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곧 스코틀랜드가 영국 연합에서 탈퇴해 독립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 잉글랜드에 대한 저항감과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는 코리스 레퍼토리가 잘 먹혀들게 된 것. 1980년에 코리스는 <Stovies>라는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는데, 기존의 스코틀랜드 곡들 레퍼토리도 물론 들어 있지만 미국 컨트리 웨스턴 곡들도 몇 곡 포함되어 새로운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1982년에 발매한 앨범 <The Dawning of the Day>에서는, 같은 제목의 타이틀 곡(로이 윌리엄슨이 직접 작사, 작곡했다)에서 노골적으로 잉글랜드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며 민족 감정을 자극했다! 결과적으로 코리스는 단순한 가수를 뛰어넘어 완전 애국지사의 경지에 도달했고, 이러한 인기의 절정에서 1983년, 코리스 멤버들이 MC가 되어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인 <The Corries & Other Folk>가 STV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도 코리스의 인기는 여전했다. 이 무렵 스코틀랜드와 영국 중앙정부 사이에 갈등이 생기면서[* 스코틀랜드인들은 잉글랜드에 대한 반감도 아일랜드인들이 잉글랜드에 대해 품는 것만큼 클 뿐만 아니라, 잉글랜드인들에 대해 상당한 우월 의식을 갖고 있어서 원래부터 관계가 좋지 않았다. 그런데 1980년대 출범한 영국 중앙정부의 대처 총리가 보수적인 정책을 내놓고 스코틀랜드에 대해 차별 대우를 가하면서 진보적인 성향에 민족 감정이 강한 스코틀랜드인들과 마찰을 일으켰고, 이전부터 나오고 있던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곧 스코틀랜드가 영국 연합에서 탈퇴해 독립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 잉글랜드에 대한 저항감과 스코틀랜드인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는 코리스 레퍼토리가 잘 먹혀들게 된 것. 1980년에 코리스는 <Stovies>라는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는데, 기존의 스코틀랜드 곡들 레퍼토리도 물론 들어 있지만 미국 컨트리 웨스턴 곡들도 몇 곡 포함되어 새로운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1982년에 발매한 앨범 <The Dawning of the Day>에서는, 같은 제목의 타이틀 곡(로이 윌리엄슨이 직접 작사, 작곡했다)에서 노골적으로 잉글랜드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며 민족 감정을 자극했다! 결과적으로 코리스는 단순한 가수를 뛰어넘어 완전 애국지사의 경지에 도달했고, 이러한 인기의 절정에서 1983년, 코리스 멤버들이 MC가 되어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인 <The Corries & Other Folk>가 STV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1985년, 코리스는 <Scotland will Flourish> 앨범을 발매했고, 같은 해 STV 방송국에서는 2년 전 방영되었던 프로그램의 시즌 2가 방영되었다. 코리스는 이번에도 MC로 출연했는데, 1983년과 다른 점은 '''이 때 게스트들 가운데에는 [[클랜시 브라더스]]가 있었다는 것.''' 리유니언 투어 기간이어서 1기 체제로 복귀해 있었던 클랜시 브라더스가 출연하여 스코틀랜드 TV에서 공연을 했을 뿐만 아니라 코리스 멤버들과 포크 음악의 가치에 대해 심각하고 진지한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1985년, 코리스는 <Scotland will Flourish> 앨범을 발매했고, 같은 해 STV 방송국에서는 2년 전 방영되었던 프로그램의 시즌 2가 방영되었다. 코리스는 이번에도 MC로 출연했는데, 1983년과 다른 점은 '''이 때 게스트들 가운데에는 [[클랜시 브라더스]]가 있었다는 것.''' 리유니언 투어 기간이어서 1기 체제로 복귀해 있었던 클랜시 브라더스가 출연하여 스코틀랜드 TV에서 공연을 했을 뿐만 아니라 코리스 멤버들과 포크 음악의 가치에 대해 심각하고 진지한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이렇게 코리스의 인기는 식을 줄 몰랐고, <Barrett's Privateers> 앨범을 발매한 1987년에는 마침내 BBC에 출연하게 되었다! 그것도 프로그램 한 개도 아니고 무려 여섯 개의 시리즈가 이어지는 프로였고, 단순히 스튜디오에서 공연하고 이야기 늘어놓는 프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 관련된 장소에 가서 공연을 하는 순서까지 있었다. STV 프로보다 훨씬 더 시각적인 요소가 강하고 훨씬 더 버라이어티한 프로였던 것이다.
이렇게 코리스의 인기는 식을 줄 몰랐고, <Barrett's Privateers> 앨범을 발매한 1987년에는 마침내 BBC에 출연하게 되었다! 그것도 프로그램 한 개도 아니고 무려 여섯 개의 시리즈가 이어지는 프로였고, 단순히 스튜디오에서 공연하고 이야기 늘어놓는 프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 관련된 장소에 가서 공연을 하는 순서까지 있었다. STV 프로보다 훨씬 더 시각적인 요소가 강하고 훨씬 더 버라이어티한 프로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때부터 로이 윌리엄슨의 건강에 이상이 생겼으니... 원래 로이 윌리엄슨은 천식을 앓고 있었다. 때문에 공연을 앞두고 임시 면역 주사를 맞는 경우도 있었다. 당장 1987년도 BBC 프로 방송 화면만 봐도 2년 전까진 서서도 아무 이상 없이 공연을 하던 로이 윌리엄슨이 1987년도엔 거의 대부분 위 유튜브 클립에서처럼 앉아서 공연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도 아무튼 로이 윌리엄슨은 최선을 다해 공연을 했고, 이듬해인 1988년에 코리스는  <The Bonnie Blue>라는 제목의 앨범을 냈다. 그리고 이듬해 1989년에도 정상적으로 투어를 돌았다. 그런데, 1989년도 투어 도중, 로이 윌리엄슨의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투어를 마치고 로이 윌리엄슨은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았는데...
그러나 이 때부터 로이 윌리엄슨의 건강에 이상이 생겼으니... 원래 로이 윌리엄슨은 천식을 앓고 있었다. 때문에 공연을 앞두고 임시 면역 주사를 맞는 경우도 있었다. 당장 1987년도 BBC 프로 방송 화면만 봐도 2년 전까진 서서도 아무 이상 없이 공연을 하던 로이 윌리엄슨이 1987년도엔 거의 대부분 위 유튜브 클립에서처럼 앉아서 공연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도 아무튼 로이 윌리엄슨은 최선을 다해 공연을 했고, 이듬해인 1988년에 코리스는  <The Bonnie Blue>라는 제목의 앨범을 냈다. 그리고 이듬해 1989년에도 정상적으로 투어를 돌았다. 그런데, 1989년도 투어 도중, 로이 윌리엄슨의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투어를 마치고 로이 윌리엄슨은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았는데...
83번째 줄: 83번째 줄:
'''그리고 이 새 국가에 버프를 받은 스코틀랜드 대표팀은 잉글랜드를 13-7로 [[개발살]]내고 그랜드슬램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 끝내주는 사건도 잠시, 로이 윌리엄슨은 1990년 8월 12일, 뇌종양이 악화되어 54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코리스의 향후 거취에 대해, 로니 브라운은 로이 윌리엄슨의 대타를 뽑지 않고 솔로로 활동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따라 코리스는 24년, 코리 포크 트리오까지 포함하면 28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새 국가에 버프를 받은 스코틀랜드 대표팀은 잉글랜드를 13-7로 [[개발살]]내고 그랜드슬램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 끝내주는 사건도 잠시, 로이 윌리엄슨은 1990년 8월 12일, 뇌종양이 악화되어 54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코리스의 향후 거취에 대해, 로니 브라운은 로이 윌리엄슨의 대타를 뽑지 않고 솔로로 활동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따라 코리스는 24년, 코리 포크 트리오까지 포함하면 28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코리스는 비록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레전설]]'''로써 스코틀랜드 음악계에서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최종보스로 군림하게 되었으니, 그것은 <Flower of Scotland>가 스코틀랜드 국가가 되었기 때문. 이제까지 그 어떤 나라도 '''대중가요 가수가 부른 노래를 국가로 채택'''한 경우는 없다. 스코틀랜드가 최초. 그러니 코리스야말로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 아니 스코틀랜드 음악계 전반에 걸쳐 그 누구도 도전할 수 없는 '''최종보스'''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코리스는 비록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레전설]]'''로써 스코틀랜드 음악계에서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최종보스로 군림하게 되었으니, 그것은 <Flower of Scotland>가 스코틀랜드 국가가 되었기 때문. 이제까지 그 어떤 나라도 '''대중가요 가수가 부른 노래를 국가로 채택'''한 경우는 없다. 스코틀랜드가 최초. 그러니 코리스야말로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 아니 스코틀랜드 음악계 전반에 걸쳐 그 누구도 도전할 수 없는 '''최종보스'''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1997년 스코틀랜드 축구 대표팀도 <Flower of Scotland>를 국가로 채택하였고, 1998년도 월드컵에 출전했을 때도 이 곡이 국가로 불렸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 국가처럼 불리던 몇몇 곡들을 완전히 밀어내고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스코틀랜드 국가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2006년도에 스코틀랜드 국립 오케스트라(Royal Scottish National Orchestra)에서 온라인 투표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Flower of Scotland>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1997년 스코틀랜드 축구 대표팀도 <Flower of Scotland>를 국가로 채택하였고, 1998년도 월드컵에 출전했을 때도 이 곡이 국가로 불렸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 국가처럼 불리던 몇몇 곡들을 완전히 밀어내고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스코틀랜드 국가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2006년도에 스코틀랜드 국립 오케스트라(Royal Scottish National Orchestra)에서 온라인 투표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Flower of Scotland>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94번째 줄: 94번째 줄:
2010년도 영연방 경기대회 때부터는 <Flower of Scotland>가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2014년에 스코틀랜드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찬반 투표 결과에서 스코틀랜드가 분리독립을 하게 된다면, 국가로 가장 유력한 곡이 바로 이 <Flower of Scotland>였다. 이 경우 스코틀랜드는 '''인류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대중가요를 국가로 채택한 나라'''가 될 것이었으나... 결과는 아쉽게도 부결.
2010년도 영연방 경기대회 때부터는 <Flower of Scotland>가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2014년에 스코틀랜드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찬반 투표 결과에서 스코틀랜드가 분리독립을 하게 된다면, 국가로 가장 유력한 곡이 바로 이 <Flower of Scotland>였다. 이 경우 스코틀랜드는 '''인류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대중가요를 국가로 채택한 나라'''가 될 것이었으나... 결과는 아쉽게도 부결.


1990년에는 코리스의 미공개 음원들과 <Flower of Scotland>(1974년도 앨범에 수록된 버전)로 구성된 <Flower of Scotland>라는 제목의 컴필레이션 앨범이 나왔다. 그리고 로니 브라운은 1991년 봄부터 솔로로 연예계에 복귀했다. 1992년에는 <The First Time>, 1993년에는 <Scots wha hae>, 1996년에는 <Scottish Love Songs>와 <Battle Songs and Ballads>라는 앨범을 냈다. 또한 1996년에는 영화에도 출연했다. 한편 1995년 <Bonnet, Belts, and Sword>를 시작으로 이전에 LP로 발매되었던 코리스 앨범들이 CD로 재발매되기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코리스의 인기는 로이 윌리엄슨 사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이어질 수 있었다.
1990년에는 코리스의 미공개 음원들과 <Flower of Scotland>(1974년도 앨범에 수록된 버전)로 구성된 <Flower of Scotland>라는 제목의 컴필레이션 앨범이 나왔다. 그리고 로니 브라운은 1991년 봄부터 솔로로 연예계에 복귀했다. 1992년에는 <The First Time>, 1993년에는 <Scots wha hae>, 1996년에는 <Scottish Love Songs>와 <Battle Songs and Ballads>라는 앨범을 냈다. 또한 1996년에는 영화에도 출연했다. 한편 1995년 <Bonnet, Belts, and Sword>를 시작으로 이전에 LP로 발매되었던 코리스 앨범들이 CD로 재발매되기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코리스의 인기는 로이 윌리엄슨 사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이어질 수 있었다.  


한편 초기 코리 포크 트리오 멤버였던 패디 벨은 1960년대 후반에 앨범을 몇 차례 발매하기도 했지만, 1970년대 들어 알코올 중독이다 뭐다 복잡한 말들이 많이 나와서 연예계에서 은퇴했다. 그러던 패디 벨은 1990년대 가까스로 연예계로 돌아왔고, 1993년에는 <The Dawn of a Brand New Day>, 1997년에는 <Make me Want to Stay>, 1998년에는 <An Irish Kiss>라는 앨범을 발매하였다. 패디 벨은 2005년 8월 3일, 7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한편 초기 코리 포크 트리오 멤버였던 패디 벨은 1960년대 후반에 앨범을 몇 차례 발매하기도 했지만, 1970년대 들어 알코올 중독이다 뭐다 복잡한 말들이 많이 나와서 연예계에서 은퇴했다. 그러던 패디 벨은 1990년대 가까스로 연예계로 돌아왔고, 1993년에는 <The Dawn of a Brand New Day>, 1997년에는 <Make me Want to Stay>, 1998년에는 <An Irish Kiss>라는 앨범을 발매하였다. 패디 벨은 2005년 8월 3일, 7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