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상황/아프리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 9월 30일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아프리카의 경우 54개국 중 15개국만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10% 목표를 달성했고 54개국 절반은 전체 인구의 2% 이하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ref>[https://m.sedaily.com/NewsView/22SL12IAP4#cb 아프리카 절반 국가, 백신 접종률 2% 이하...갈 길 멀어], 서울경제, 2021.10.02</ref>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 9월 30일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아프리카의 경우 54개국 중 15개국만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10% 목표를 달성했고 54개국 절반은 전체 인구의 2% 이하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ref>[https://m.sedaily.com/NewsView/22SL12IAP4#cb 아프리카 절반 국가, 백신 접종률 2% 이하...갈 길 멀어], 서울경제, 2021.10.02</ref>  


==={{나라|이집트}}===
==={{국기|이집트}}===
이집트 정부는 2020년 3월 15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우려로 대학교를 포함해 전국 모든 학교에 대한 휴교 조치에 들어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15047700079?section=search 이집트,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2주간 휴교], 연합뉴스, 2020.03.15</ref> 2020년 3월 19일부터 식당, 카페, 쇼핑몰의 야간영업을 금지했고 이집트를 오가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이 중단됐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19188851079?section=search 이집트, 코로나19에 식당·카페·쇼핑몰 야간영업 금지(종합)], 연합뉴스, 2020.03.19</ref>
이집트 정부는 2020년 3월 15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우려로 대학교를 포함해 전국 모든 학교에 대한 휴교 조치에 들어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15047700079?section=search 이집트,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2주간 휴교], 연합뉴스, 2020.03.15</ref> 2020년 3월 19일부터 식당, 카페, 쇼핑몰의 야간영업을 금지했고 이집트를 오가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이 중단됐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19188851079?section=search 이집트, 코로나19에 식당·카페·쇼핑몰 야간영업 금지(종합)], 연합뉴스, 2020.03.19</ref>


27번째 줄: 27번째 줄:
2020년 9월 8일 이집트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10만명을 넘었다.<ref>[https://medicalxpress.com/news/2020-09-egypt-coronavirus-cases-ministry.html Egypt coronavirus cases top 100,000: ministry], Medical Xpress, 2020.09.08</ref>
2020년 9월 8일 이집트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10만명을 넘었다.<ref>[https://medicalxpress.com/news/2020-09-egypt-coronavirus-cases-ministry.html Egypt coronavirus cases top 100,000: ministry], Medical Xpress, 2020.09.08</ref>


==={{나라|알제리}}===
==={{국기|알제리}}===
2020년 3월 24일(현지시간)부터 열흘 동안 수도 알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으로 야간 통행금지를 시행한다고 알제리 국영 APS 통신이 보도했고 블리다주(州)를 3월 24일부터 열흘간 봉쇄한다고 밝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24167900079?section=search 알제리, 코로나19 우려로 수도에 야간 통행금지], 연합뉴스</ref>
2020년 3월 24일(현지시간)부터 열흘 동안 수도 알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으로 야간 통행금지를 시행한다고 알제리 국영 APS 통신이 보도했고 블리다주(州)를 3월 24일부터 열흘간 봉쇄한다고 밝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24167900079?section=search 알제리, 코로나19 우려로 수도에 야간 통행금지], 연합뉴스</ref>


33번째 줄: 33번째 줄:


압델마드지드 테분(75) 알제리 대통령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치료 중인 것으로 2020년 11월 3일(현지시간) 확인됐는데 테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수도 알제 군병원에 입원했고 사흘 뒤인 30일 독일로 옮겨졌지만 알제리 대통령실은 병명 또는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공개하지 않아왔다.<ref>[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1104_0001221529#_enliple 알제리 대통령, 코로나19 확진·…"상태 개선 중"], 뉴시스, 2020.11.04</ref>
압델마드지드 테분(75) 알제리 대통령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치료 중인 것으로 2020년 11월 3일(현지시간) 확인됐는데 테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수도 알제 군병원에 입원했고 사흘 뒤인 30일 독일로 옮겨졌지만 알제리 대통령실은 병명 또는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공개하지 않아왔다.<ref>[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1104_0001221529#_enliple 알제리 대통령, 코로나19 확진·…"상태 개선 중"], 뉴시스, 2020.11.04</ref>
==={{나라|모로코}}===
==={{국기|모로코}}===
2020년 3월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자국을 오가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의 운항을 중단한다고 밝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15064700079?section=search 아프리카 모로코, 코로나19 관련 "모든 국제선 항공편 중단"], 연합뉴스</ref> 3월 20일부터는 전국적인 이동제한령을 실시하고 국민이 식품 및 약품 구매 등 특별한 경우에만 외출할 수 있도록 했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419044600079?section=search 모로코, 코로나19 이동제한령 5월 20일까지 연장], 연합뉴스</ref>
2020년 3월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자국을 오가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의 운항을 중단한다고 밝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315064700079?section=search 아프리카 모로코, 코로나19 관련 "모든 국제선 항공편 중단"], 연합뉴스</ref> 3월 20일부터는 전국적인 이동제한령을 실시하고 국민이 식품 및 약품 구매 등 특별한 경우에만 외출할 수 있도록 했다.<ref>[https://m.yna.co.kr/view/AKR20200419044600079?section=search 모로코, 코로나19 이동제한령 5월 20일까지 연장], 연합뉴스</ref>
   
   
39번째 줄: 39번째 줄:


2020년 9월 20일 누적 확진자 수 10만명을 넘었다.<ref>[http://www.xinhuanet.com/english/2020-09/21/c_139383493.htm Morocco's COVID-19 cases top 100,000], 2020.09.21</ref>
2020년 9월 20일 누적 확진자 수 10만명을 넘었다.<ref>[http://www.xinhuanet.com/english/2020-09/21/c_139383493.htm Morocco's COVID-19 cases top 100,000], 2020.09.21</ref>
==={{나라|나이지리아}}===
==={{국기|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정부는 수도 아부자와 [[라고스]], 오군주(州) 등 인구가 가장 많은 3개 지역에서 2020년 3월 30일 오전 11시부터 2주간 모든 주민의 통행을 금지하고, 사무실과 상점을 폐쇄한다고 밝혔다.<ref>[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4412782 아프리카 코로나19 확진 증가에 나이지리아 이동 제한], KBS 뉴스</ref>
나이지리아 정부는 수도 아부자와 [[라고스]], 오군주(州) 등 인구가 가장 많은 3개 지역에서 2020년 3월 30일 오전 11시부터 2주간 모든 주민의 통행을 금지하고, 사무실과 상점을 폐쇄한다고 밝혔다.<ref>[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4412782 아프리카 코로나19 확진 증가에 나이지리아 이동 제한], KBS 뉴스</ref>


49번째 줄: 49번째 줄:


2021년 12월 21일 AFP통신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질병통제센터는 "4차 유행이 찾아왔다"며 확진자 급증이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결과라고 설명했는데 지난 8일까지만 해도 나이지리아의 일일 확진자 수는 268명이었으나 최근 일주일간은 하루에 <s>수만명씩 나오는 유럽 국가들에 비해</s> 10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보고되고 있고 인구가 2억 2000만명에 달하는 나이지리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22만 5000명이며 백신을 맞은 인구는 전체의 3% 미만이다.<ref>[https://m.news1.kr/articles/?4530642 나이지리아 확진자 500% 폭증…"오미크론·델타 때문"], 뉴스1, 2021.12.22</ref>
2021년 12월 21일 AFP통신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질병통제센터는 "4차 유행이 찾아왔다"며 확진자 급증이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결과라고 설명했는데 지난 8일까지만 해도 나이지리아의 일일 확진자 수는 268명이었으나 최근 일주일간은 하루에 <s>수만명씩 나오는 유럽 국가들에 비해</s> 10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보고되고 있고 인구가 2억 2000만명에 달하는 나이지리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22만 5000명이며 백신을 맞은 인구는 전체의 3% 미만이다.<ref>[https://m.news1.kr/articles/?4530642 나이지리아 확진자 500% 폭증…"오미크론·델타 때문"], 뉴스1, 2021.12.22</ref>
==={{나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콩고민주공화국}}===
콩고 민주공화국이 2020년 3월 28일부터 수도 [[킨샤사]]에서 나흘간 외출 금지를 명령했다.<ref>[http://m.munhwa.com/mnews/view.html?no=2020032701071321306002 군복입은 남아共 대통령 “전면 봉쇄… 가장 중대한 전쟁”], 문화일보, 2020.03.27</ref>
콩고 민주공화국이 2020년 3월 28일부터 수도 [[킨샤사]]에서 나흘간 외출 금지를 명령했다.<ref>[http://m.munhwa.com/mnews/view.html?no=2020032701071321306002 군복입은 남아共 대통령 “전면 봉쇄… 가장 중대한 전쟁”], 문화일보, 2020.03.27</ref>


55번째 줄: 55번째 줄:


콩고 민주 공화국은 에볼라에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76041 #]
콩고 민주 공화국은 에볼라에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76041 #]
==={{나라|케냐}}===
==={{국기|케냐}}===
2020년 3월 27일(현지시간)부터 의료진 등 필수 인력을 제외한 모든 케냐인은 매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야간 이동이 금지되는데 동아프리카에서 코로나19를 이유로 야간 통행 금지령을 발령한 국가는 케냐가 처음이다.<ref>[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327_0000972622#_enliple 케냐, 27일부터 야간통행 금지…'사회적 거리두기' 일환], 뉴시스, 2020.03.27</ref>
2020년 3월 27일(현지시간)부터 의료진 등 필수 인력을 제외한 모든 케냐인은 매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야간 이동이 금지되는데 동아프리카에서 코로나19를 이유로 야간 통행 금지령을 발령한 국가는 케냐가 처음이다.<ref>[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327_0000972622#_enliple 케냐, 27일부터 야간통행 금지…'사회적 거리두기' 일환], 뉴시스, 2020.03.27</ref>


65번째 줄: 65번째 줄:


전국적으로 밤 10시부터 익일 새벽 4시까지 야간통금을 시행하고 있던 케냐에서 무타히 카그웨 케냐 보건부 장관은 2021년 6월 17일(현지시간) 서부 부시아, 비히가, 키수무 등 13개 도시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증가했고 이들 지역에서 검사 수 대비 양성률이 '''21%'''라며 이들 지역에 대해 저녁 7시부터 익일 새벽 4시까지로 통금을 강화한다고 밝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10618002200009 케냐, '코로나 확산' 서부 13개 도시에 야간통금령 강화], 연합뉴스, 2021.06.18</ref>
전국적으로 밤 10시부터 익일 새벽 4시까지 야간통금을 시행하고 있던 케냐에서 무타히 카그웨 케냐 보건부 장관은 2021년 6월 17일(현지시간) 서부 부시아, 비히가, 키수무 등 13개 도시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증가했고 이들 지역에서 검사 수 대비 양성률이 '''21%'''라며 이들 지역에 대해 저녁 7시부터 익일 새벽 4시까지로 통금을 강화한다고 밝혔다.<ref>[https://m.yna.co.kr/view/AKR20210618002200009 케냐, '코로나 확산' 서부 13개 도시에 야간통금령 강화], 연합뉴스, 2021.06.18</ref>
==={{나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공에서의 첫 코로나19 확진자는 2020년 3월 5일에 나왔다.<ref>[https://m.sedaily.com/NewsView/1Z03DARS07#_enliple 남아공까지 코로나19 확산···"첫 확진자 이탈리아 다녀와"], 서울경제</ref> 2020년 3월 15일에 3월 18일부터 한국과 이탈리아, 이란, 스페인, 독일, 미국, 영국, 중국 등 코로나 고위험국에서 오는 외국인에 대해 여행 금지 조치를 내린다고 밝혔으며 18일부터 3주간 휴교령도 선포했다.<ref>[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316_0000957095 남아공, 한국 등 코로나19 고위험국 시민 입국 금지], 뉴시스</ref>
남아공에서의 첫 코로나19 확진자는 2020년 3월 5일에 나왔다.<ref>[https://m.sedaily.com/NewsView/1Z03DARS07#_enliple 남아공까지 코로나19 확산···"첫 확진자 이탈리아 다녀와"], 서울경제</ref> 2020년 3월 15일에 3월 18일부터 한국과 이탈리아, 이란, 스페인, 독일, 미국, 영국, 중국 등 코로나 고위험국에서 오는 외국인에 대해 여행 금지 조치를 내린다고 밝혔으며 18일부터 3주간 휴교령도 선포했다.<ref>[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316_0000957095 남아공, 한국 등 코로나19 고위험국 시민 입국 금지], 뉴시스</ref>


87번째 줄: 87번째 줄:


2021년 12월 12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신을 완전히 접종한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날 오전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전 대통령의 추도식에 참석한 뒤 몸이 좋지 않아 검사를 받았다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ref>[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1121306384325945&type=outlink&ref=https%3A%2F%2Fm.search.naver.com 오미크론 유행하는 남아공서 대통령도 '돌파 감염'], 머니투데이, 2021.12.13</ref> 2021년 11월 하순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 변이|오미크론]]이 검출된 남아공에서 이후 감염자가 3주째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2021년 12월 16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 2만 명대를 이어갔고 국립전염병연구소(NICD)는 이 날 검사자 중 양성 반응 비율은 '''30.9%'''라고 발표했다.<ref>[https://mn.kbs.co.kr/mobile/news/view.do?ncd=5350594 남아공 사흘 연속 2만 명대 신규 확진], KBS 뉴스, 2021.12.17</ref>
2021년 12월 12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신을 완전히 접종한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날 오전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전 대통령의 추도식에 참석한 뒤 몸이 좋지 않아 검사를 받았다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ref>[https://m.mt.co.kr/renew/view.html?no=2021121306384325945&type=outlink&ref=https%3A%2F%2Fm.search.naver.com 오미크론 유행하는 남아공서 대통령도 '돌파 감염'], 머니투데이, 2021.12.13</ref> 2021년 11월 하순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 변이|오미크론]]이 검출된 남아공에서 이후 감염자가 3주째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2021년 12월 16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 2만 명대를 이어갔고 국립전염병연구소(NICD)는 이 날 검사자 중 양성 반응 비율은 '''30.9%'''라고 발표했다.<ref>[https://mn.kbs.co.kr/mobile/news/view.do?ncd=5350594 남아공 사흘 연속 2만 명대 신규 확진], KBS 뉴스, 2021.12.17</ref>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2021년 12월 12일에는 하루 확진자가 3만8000명에 육박하기도 했으나 3주 후부터 뚜렷한 확진자 감소세가 나타나면서 남아프리카 정부는 2022년 1월 30일 각료 회의에서 코로나 무증상 환자를 더는 격리하지 않고, 유증상자의 격리 기간도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기로 결정했으며 2022년 1월에 방역을 위한 심야 통금을 해제하고 감염자 동선 추적 등 역학 조사를 중단했다.<ref>[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2/02/01/CHFZKY2UGBGNHIFVKUOPOYISTE/ 남아공도 위드 코로나로 가나… “무증상자 격리 안한다”], 조선일보, 2022.02.01</ref>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