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상황/아시아/대한민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09번째 줄: 209번째 줄:
국내에서는 1월 20일에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 첫 확진자는 춘절을 맞아 인천공항을 거쳐 삿포로로 가려던 중국인 여행객으로, 흉부 X선 사진까지 챙겨온 꼼꼼한 여행객이었지만 발열 및 오한 증상을 보여 검역관 직권으로 격리되고,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서 국내 첫 번째 확진자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200129184552618|제목='우한폐렴' 1번환자 폐 사진 꺼냈지만..공항검역 '빈틈' 없었다|뉴스=뉴시스|저자=임재희|날짜=2020-01-29}}</ref>.
국내에서는 1월 20일에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 첫 확진자는 춘절을 맞아 인천공항을 거쳐 삿포로로 가려던 중국인 여행객으로, 흉부 X선 사진까지 챙겨온 꼼꼼한 여행객이었지만 발열 및 오한 증상을 보여 검역관 직권으로 격리되고,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서 국내 첫 번째 확진자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200129184552618|제목='우한폐렴' 1번환자 폐 사진 꺼냈지만..공항검역 '빈틈' 없었다|뉴스=뉴시스|저자=임재희|날짜=2020-01-29}}</ref>.


국내 초기 진행 상황에서는 질병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적어 각종 해프닝이 발생하였다. 초기 확진자 중 한 명인 3번 확진자는 역학조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여 2,3차 감염자를 발생시켜 구설수에 올랐으며,<ref>{{뉴스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200130184915757|제목='6번확진자' 접촉 '3번환자' 행적은..22∼25일 "강남.일산" 체류|뉴스=연합뉴스|저자=강애란|날짜=2020-01-30}}</ref> 당시 진단 방식을 개선하는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ref>{{뉴스 인용|url=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20501000000&bid=0015&act=view&list_no=365897&tag=&nPage=1|제목=민·관 협력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이 빨라진다|뉴스=질병관리본부|저자=|날짜=2020-01-30}}</ref> 음성 반응을 보였으나 다시 확진되는 해프닝<ref>{{뉴스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200131165249138|제목=우한에서 온 60대 여성, 전북에서 신종코로나 확진..8번째|뉴스=뉴시스|저자=고석중|날짜=2020-01-31}}</ref>도 있었다. 이 외에도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감염된 확진자가 방치되고, <ref>{{뉴스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3834688|제목="신고했는데"…21세기·전남대병원,16번환자 모두 억울한 이유|뉴스=뉴스1|저자=음상준, 이영성, 전원|날짜=2020-02-06}}</ref> 감염 경로를 확인하기 어려운 확진자<ref>{{뉴스 인용|url=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222/99818946/1|제목=3번→6번→83번→29번→30번… “메르스때 넘어 5차감염 발생”|뉴스=뉴스1|저자=박성민|날짜=2020-02-22}} </ref>가 등장하는 등 지역 내 유행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었다.
국내 초기 진행 상황에서는 질병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적어 각종 해프닝이 발생하였다. 초기 확진자 중 한 명인 3번 확진자는 역학조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여 2,3차 감염자를 발생시켜 구설수에 올랐으며,<ref>{{뉴스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200130184915757|제목='6번확진자' 접촉 '3번환자' 행적은..22∼25일 "강남.일산" 체류|뉴스=연합뉴스|저자=강애란|날짜=2020-01-30}}</ref> 당시 진단 방식을 개선하는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ref>{{뉴스 인용|url=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20501000000&bid=0015&act=view&list_no=365897&tag=&nPage=1|제목=민·관 협력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이 빨라진다|뉴스=질병관리본부|저자=|날짜=2020-01-30}}</ref> 음성 반응을 보였으나 다시 확진되는 해프닝<ref>{{뉴스 인용|url=https://news.v.daum.net/v/20200131165249138|제목=우한에서 온 60대 여성, 전북에서 신종코로나 확진..8번째|뉴스=뉴시스|저자=고석중|날짜=2020-01-31}}</ref>도 있었다. 이 외에도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감염된 확진자가 방치되고, <ref>{{뉴스 인용|url=https://www.news1.kr/articles/?3834688|제목="신고했는데"…21세기·전남대병원,16번환자 모두 억울한 이유|뉴스=뉴스1|저자=음상준, 이영성, 전원|날짜=2020-02-06}}</ref>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 (29번 확진자) 가 등장하는 등 지역 내 유행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었다.


당시에는 질병의 공식 명칭이 없었기 때문에 언론에서는 "우한 폐렴", "우한 코로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등의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전파력이 [[MERS|중동호흡기증후군 (MERS)]]보다 높고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했으며,<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25495.html|제목=“우한 폐렴 전파력, 메르스보다 높고 사스보다 낮아”|뉴스=한겨레|저자=박현정, 배지현|날짜=2020-01-22}}</ref> 지역 감염 차단을 위해 대대적인 선별 진료소 확대 및 검역 강화, 진단대상 확대 등의 조치를 취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ytn.co.kr/_ln/0103_202001312019377468|제목=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지역사회 확산 차단에 집중|뉴스=YTN|저자=이연아|날짜=2020-01-31}}</ref><ref>{{뉴스 인용|url=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172&contSeq=172&board_id=311&gubun=ALL|제목=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브리핑(2.7), 진단검사 대상 확대|뉴스=중앙사고수습본부|저자=|날짜=2020-02-07}}</ref>
당시에는 질병의 공식 명칭이 없었기 때문에 언론에서는 "우한 폐렴", "우한 코로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등의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전파력이 [[MERS|중동호흡기증후군 (MERS)]]보다 높고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했으며,<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25495.html|제목=“우한 폐렴 전파력, 메르스보다 높고 사스보다 낮아”|뉴스=한겨레|저자=박현정, 배지현|날짜=2020-01-22}}</ref> 지역 감염 차단을 위해 대대적인 선별 진료소 확대 및 검역 강화 조치를 취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ytn.co.kr/_ln/0103_202001312019377468|제목=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지역사회 확산 차단에 집중|뉴스=YTN|저자=이연아|날짜=2020-01-31}}</ref>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대구교회 집단 감염 ====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 대구교회 집단 감염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